소부장 기업 현장 애로 해소에 34억 원 투자
2023.02.20 산업통상자원부
소부장 기업 현장 애로 해소에 34억 원 투자
- 소재부품장비 융합혁신지원단 심화기술지원사업 1차 공고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이창양)는 40개 공공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을 통해 소부장 기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하는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 심화기술지원사업’을 2월 20일(월) 1차 공고한다.
* 소부장 기업의 기술지원을 위해 출연연을 포함한 공공연구기관 협의체(‘20.4월 발족)
ㅇ 동 사업은 소부장 기업의 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해 융합혁신지원단 소속 연구소가 보유 기술·인력·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하여 기업의 상용화 기술문제 및 공정개선 등 소부장 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 총 34억 원, 40여 개 과제 중 1차 공고(과제당 5천만원 이내, 융합형 2억 원 한도, 1년 이내)
< 융합혁신지원단 기술지원사업 지원분야>

□ 이번 심화기술지원사업은 글로벌 경제의 블록화 등 공급망 재편에 따른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산업의 초격차 실현을 위한 전략마련과 기업 경쟁력 강화가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ㅇ 우리 소부장 기업의 기술애로 수요를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지원하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된다.
□ ’심화기술지원사업‘은 올해 상·하반기 2차례 공고 예정이며, 이번 2월 1차 공고를 통해 25개 내외의 과제(약 17억 원 규모)를 선정 지원하고, 2차 공고는 7월 이후 이루어질 예정이다.
ㅇ 공급망 안정,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산업의 변화양상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이슈 기술분야 및 소부장 산업 범용기술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OLED 등 고도 기술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융합형 연구개발과제를 우선 지원한다.
□ 산업부는 2년여간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을 통해 심화기술지원 98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ㅇ 특히, 이번 심화기술지원 사업부터는 신규참여 4개 기관*을 통해 바이오, 첨단소재, 이차전지, 의료기기 등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 ’22.12월 KOTITI시험연구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산업통상자원부는 소부장 특화단지, 지역 테크노파크(TP) 등과 연계해 우리기업의 소부장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수요를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융합혁신지원단 “심화기술지원” 사업의 기술지원 신청을 희망하는 소부장 기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 및 K-PASS (www.k-pass.kr) 공고를 통해 신청하여 지원받을 수 있다.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사업관리시스템(k-pass)에 공고 기간(’23.2.20~3.20) 내 신청
【참 고】 1. 융합혁신지원단 참여기관 현황
2. 융합혁신지원단 지원사업 우수사례
분과
|
연번
|
기관명
|
특화분야
|
비 고
|
기초
소재
(13)
|
1
|
한국화학연구원
|
화학
|
대표기관
|
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섬유 등
|
|
|
3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소재 표준
|
|
|
4
|
FITI시험연구원
|
섬유
|
|
|
5
|
다이텍연구원
|
섬유
|
|
|
6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화학/바이오
|
|
|
7
|
한국섬유소재연구원
|
섬유
|
|
|
8
|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화학
|
|
|
9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화학
|
|
|
10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
탄소
|
|
|
11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
섬유
|
|
|
12
|
KOTITI시험연구원
|
유기섬유
|
|
|
13
|
섬유개발연구원
|
섬유
|
|
|
응용
소재
(5)
|
14
|
한국재료연구원
|
재료
|
대표기관
|
15
|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금속
|
|
|
16
|
한국세라믹기술원
|
세라믹
|
|
|
17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광물
|
|
|
18
|
고등기술연구원
|
경량/비철금속
|
|
|
전자
부품
(6)
|
19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전자부품
|
대표기관
|
20
|
한국광기술원
|
LED
|
|
|
21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기계/전기/전자
|
|
|
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반도체/정보통신
|
|
|
23
|
나노종합기술원
|
반도체
|
|
|
24
|
차세대융합기술원
|
반도체
|
|
|
모듈・
부품
(6)
|
25
|
한국자동차연구원
|
스마트카
|
대표기관
|
2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융복합생산기술
|
|
|
27
|
건설기계부품연구원
|
요소부품
|
|
|
28
|
대구기계부품연구원
|
자동차부품, 지능형로봇
|
|
|
29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기계/자동차부품
|
|
|
30
|
섬유기계융합연구원
|
섬유기계
|
|
|
시스템‧
장비
(10)
|
31
|
한국기계연구원
|
기계
|
대표기관
|
32
|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자력
|
|
|
33
|
한국전기연구원
|
전기
|
|
|
34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항공·우주
|
|
|
3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너지기술
|
|
|
36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IT플랫폼
|
|
|
37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분석·평가 장비개발/지원
|
|
|
38
|
한국나노기술원
|
나노 인프라
|
|
|
39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의료기기 및 바이오
|
|
|
40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기타
|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 발표…대입전형·고교교육과정 연계 강화 (0) | 2023.02.20 |
---|---|
2023년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신규테마 3개 등 240억 지원 (0) | 2023.02.20 |
식약처, 다양한 기능성 원료 인정으로 소비자 선택권 확대 (0) | 2023.02.20 |
2022년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발표 (0) | 2023.02.20 |
문화누리카드 확산 유공자 표창…1명이 수혜자 568명 발굴 (0) | 2023.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