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1. 24.
반응형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 공고

2023.01.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나노‧소재기술개발 2,511억원 지원으로
기술자립과 미래기술 확보에 앞장선다
- 용융염원자로용 고온 내부식 구조소재 등 미래기술연구실(7개) 과제 공모
- 극자외선 감광 패터닝 기술 등 국가핵심소재연구단(2개) 과제 공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 1월 25일(수) 2023년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하였다.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은 나노기술과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분야 과기정통부 대표 연구개발사업이다. 미래 신시장‧신산업 창출 및 주력산업 고도화를 견인할 세계 수준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연구기반 확충  우수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 2022년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주요성과 >

▸오염입자 저감 내플라즈마 소재 기술 개발 ⇨ ㈜세미콤/(주)코미코 등 기술료 13억원(22년)
▸반도체 극자외선 펠리클 소재 개발 ⇨ 지(G)사 기술이전 5억원
▸육방정계질화붕소 단결정 합성기술 개발 ⇨ 나노물질 신구조 개발(Nature(IF=69.504) 논문)

 

올해는 전년 2,363억 원에서 약 6.3% 증액된 총 2,511억 원 나노‧ 소재기술개발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2023년 상반기에는 국가전략기술을 뒷받침하는 나노‧미래소재 핵심기술 및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중점 투자하여 미래기술연구실 7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 2개 등 총 9개 신규과제를 추진한다.

 

 

미래기술연구실은 미래 소‧부‧장을 선점할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 확보와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위한 창의적‧도전적 연구(건강100세, 신IoT 등)를 지원한다. 2023년에는 “용융염원자로용 고온 내부식 구조소재”, “나노메쉬 기반 착용가능감지기”, “고안전성/저비용 이차전지 원천기술 개발” 등 미래먹거리 원천기술 개발에 필요한 신규과제(7개, 전략형‧선도형‧경쟁형)를 모집하여 총 80개 연구단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핵심소재연구단은 5년 내 주력산업 분야 소‧부‧장 핵심품목의 기술자립을 목표로, 산‧학‧연 협업(기업 필수 참여)을 통해 완성도 높은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2023년에는 “극자외선(EUV) 감광 패터닝 기술 개발(반도체)”과 “이차전지용 금속/수지 복합시트 개발(이차전지)” 관련 소재 연구단을 추가 모집(2개, 플랫폼형)하여 총 67개 연구단을 지원한다.

 

< 2023년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주요 신규과제 >

미래기술연구실
국가핵심소재연구단
【7개 과제】
・용융염원자로용 고온 내부식 구조소재 개발
・나노 메쉬 기반 착용가능 감지기기술개발
・고안전성/저비용 이차전지 원천기술 개발 등
【2개 과제】
・극자외선(EUV) 감광 패터닝 기술 개발(반도체)
・이차전지용 금속/수지 복합시트 개발(이차전지)

 

과기정통부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미래성장과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국가전략기술의 핵심 나노 및 미래소재기술개발을 앞으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지원 과제에 대한 다양한 성과관리 노력을 통해 세계적으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소‧부‧장 국산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1

2023년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상반기 신규과제

 

※ 자세한 상반기 통합안내문은 한국연구재단 누리집(www.nrf.re.kr) 참조

 

□ (미래기술연구실) 전략형

번호
연구주제명
연구기간
단계
연구기간
당해
지원규모
형태
1
용융염원자로용 고온 내부식 금속 구조소재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5.12.
(2년 9개월)
7.5억원
(9개월 분)
단위
2
미래 이동수단용 고온(200 ℃ 이상) 고분자막 연료전지 소재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5.12.
(2년 9개월)
7.5억원
(9개월 분)
단위

 

□ (미래기술연구실) 선도형

번호
분야
연구주제명
연구기간
단계
연구기간
당해
지원규모
형태
1
건강
100세
항암 치료·진단용 방사성나노복합체 및 생체분포영상시스템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5.12.
(2년 9개월)
7.5억원
(9개월 분)
단위

 

□ (미래기술연구실) 경쟁형

번호
분야
연구주제명
총 연구기간
단계
연구기간
당해 지원규모
형태
1
건강
100세
감염 질환 실시간 정보수집를 위한 나노메쉬 기반 착용가능 감지기 기술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4.12.
(1년 9개월)
1×2팀
3.75억원 내외
단위
2
그린
에너지
고안전성/저비용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 원천기술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4.12.
(1년 9개월)
1×2팀
3.75억원 내외
단위
3
그린
에너지
멀티스케일 모형화 기반 자가발전형 수소생산 원천 기술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4.12.
(1년 9개월)
1×2팀
3.75억원 내외
단위
4
신사물인터넷
작물의 생육 상태 및 품질 검사를 위한 광대역 적외선 초분광 센서 및 카메라 기술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4.12.
(1년 9개월)
1×2팀
3.75억원 내외
단위

 

□ (국가핵심소재연구단) 플랫폼형

번호
연구주제명
연구기간
단계
연구기간
당해
지원규모
형태
1
극자외선 피알(PR) 패터닝 장비용 광학계 핵심 부품 소재 및 내구성 향상 부품 기술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5.12.
(2년 9개월)
11.25억원
(9개월 분)
단위
2
분자접합 적용 이차전지 파우치용 금속/수지 복합시트 개발
‘23.4~’27.12
(4년 9개월)
‘23.4.~’25.12.
(2년 9개월)
11.25억원
(9개월 분)
단위

 

 

붙임 2

2023년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개요

 

□ 사업 구조

 

ㅇ 기술개발과 기반구축을 토대로 미래기술, 핵심기술, 사업화, 팹 고도화, 연구혁신으로 유형화하여 지원

구분
유형
주요내용
미래
기술
①전략형
‣차세대 소‧부‧장 대응 하향식 지원
②선도형
‣기술수준↑ 산업수준↓ 타겟 중심의 문제해결연구 지원
③경쟁형
‣기술수준↓ 산업수준↑ 경쟁형 방식 기술개발 지원
④도전형
‣기술수준↓ 산업수준↓ 창의성에 기반한 도전적 연구 지원
⑤나노커넥트
‣상용화 조기 연계를 위한 원천기술 완성도 향상 지원
⑥미소디
‣신연구방법론(계산과학 등) 활용, 신물성·신소재 발굴 지원
핵심
기술
①특화형
‣특정품목의 성능구현을 위한 대체기술 확보 지원
②플랫폼형
‣복수의 품목 성능향상에 기반이 되는 범용기술 확보 지원
사업화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의 사업화 기술개발 지원
팹 고도화
‣나노팹 시설·장비·운영·서비스 고도화 및 활용 지원
연구혁신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혁신허브 구축 및 인력양성 지원
‣공공연 인력파견 및 나노안전성센터 운영 지원
‣극한소재실증연구기반 조성

* 

미래기술연구실(전략형, 선도형, 경쟁형, 도전형) ,

국가핵심소재연구단(특화형, 플랫폼형)

 

□ 예산 현황

 

* 6개 세부사업(나노소재기술개발,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 소부장 전문인력양성 등)

구분
유형
‘22년
’23년
증감

%
기술
개발
미래
기술
①전략형
19,000
25,950
6,950
36.6
②선도형
17,416
18,800
1,384
7.9
③경쟁형
10,750
14,400
3,650
34.0
④도전형
4,934
4,900
△34
△0.7
⑤나노커넥트
11,334
15,141
3,807
33.6
⑥미소디
31,000
24,225
△6,775
△21.9
⑦기존과제
13,158
6,966
△6,192
△47.1
핵심
기술
①특화형
26,000
22,325
△3,675
△14.1
②플랫폼형
81,160
80,777
△383
△0.5
사업화(나노융합2020+)
5,400
5,200
△200
△3.7
기반
구축
팹고도화
60,108
63,626
3,518
5.9
연구혁신
35,559
42,241
6,682
18.8
합계
315,819
324,551
8,732
2.8

 

붙임 3

2022년도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주요성과

 

< 2022년도 나노‧소재 연구개발 대표 우수성과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