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 보도자료
2023.01.20 통계청
2022년 4/4분기(12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 (요약)
|
□ ’22년 4/4분기(12월 1일 기준) 가축 사육마릿수는 전년동기대비
한․육우, 산란계는 증가하고 젖소, 돼지, 육계, 오리는 감소함
○ (한‧육우 ) 369만 4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0만 4천마리(2.9%) 증가함
- 큰 소 산지가격 하락으로 출하 감소에 따른 2세 이상 사육 마릿수 증가
○ (젖 소) 39만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만 1천 마리(-2.7%) 감소함
- 원유 할당 물량 감축 및 생산비 상승으로 생산성 저하 착유 마릿수 감소
○ (돼 지) 1천 112만 4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9만 3천마리(-0.8%) 감소함
- ’22년 6월 이후, 모돈 사육 마릿수 감소세 전환으로 2~4개월 마릿수 감소
○ (산란계 ) 7천 418만 8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57만 6천 마리(2.2%) 증가함
- ’22년 3~9월 병아리 및 중추 입식 마릿수 증가로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
○ (육 계) 8천 871만 3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489만 마리(-5.2%) 감소함
- 병아리 원가 상승 및 조류독감 발생지역 입식 기피로 1개월 미만 마릿수 감소
○ (오 리) 599만 4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75만 8천 마리(-11.2%) 감소함
- 조류독감 조기 발생으로 위험지역 조기출하 및 사육제한 시기를 1개월 앞당겨 육용오리 사육 마릿수 감소
|

2022년 4/4분기(12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
|
□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369만 4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0만 4천마리(2.9%) 증가, 전분기대비 5만 9천마리(-1.6%) 감소함
○ 큰 소 산지가격 하락으로 출하 감소에 따른 2세 이상 사육 마릿수 증가
|
* 한우 큰소 산지 가격 및 도축 마릿수 (출처: 농협축산정보센터, 600㎏, 천원/마리)
|
|||
|
․수컷 : 5,698 (´21.9.~´21.11.)
|
→ 5,016 (´22.6.~´22.8.)
|
→ 5,092 (´22.9.~´22.11.)
|
|
|
․암컷 : 6,627 (´21.9.~´21.11.)
|
→ 5,605 (´22.6.~´22.8.)
|
→ 5,517 (´22.9.~´22.11.)
|
|
|
․도축 마릿수(출처: 농림축산검역본부, 천 마리)
226 (´21.9.~´21.11.) → 260 (´22.6.~´22.8.) → 214 (´22.9.~´22.11.)
|
|||
|
** 2세 이상 사육 마릿수 (천 마리)
․ 수컷 : 242 (´21.12.) → 290 (´22.9.) → 274 (´22.12.)
․ 암컷 : 1,229 (´21.12.) → 1,288 (´22.9.) → 1,272 (´22.12.)
|
□ 젖소 사육마릿수는 39만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만 1천 마리(-2.7%) 감소, 전분기대비 3백 마리(0.1%) 증가함
○ 원유 할당 물량 감축 및 생산비 상승으로 생산성 저하 착유 마릿수 감소
|
* 2세 이상 마릿수(천 마리) :
|
246 (´21.12.) → 239 (´22.9.) → 242 (´22.12.)
|
|
** 1세 미만 마릿수(천 마리) :
|
80 (´21.12.) → 77 (´22.9.) → 75 (´22.12.)
|
□ 돼지 사육마릿수는 1천 112만 4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9만 3천 마리(-0.8%) 전분기대비 20만 2천 마리(-0.8%) 각각 감소함
○ ‘22년 6월 이후, 모돈 마릿수 감소세 전환으로 2~4개월 마릿수 감소
|
* 모돈 마릿수 (천 마리) :
|
926 (´21.12.)
|
→ 920 (´22.6.)
|
→ 913 (´22.9.)
|
→ 896 (´22.12.)
|
||
|
** 2~4개월 마릿수(천 마리) :
|
3,454 (´21.12.)
|
→ 3,481 (´22.9.)
|
→ 3,394 (´22.12.)
|

□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7천 418만 8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57만 6천 마리(2.2%) 증가, 전분기대비 167만 5천 마리(-2.2%) 감소함
○ ‘22년 3⁓9월 병아리 및 중추 입식 마릿수 증가로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
|
* 6개월 이상 마릿수(천 마리) :
|
52,353 (´21.12.)
|
→ 52,991 (´22.9.)
|
→ 54,124 (´22.12.)
|
□ 육계 사육마릿수는 8천 871만 3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489만 마리(-5.2%), 전분기대비 75만 마리(-0.8%) 각각 감소함
○ 병아리 원가 상승 및 조류독감 발생지역 입식 기피로 1개월 미만 마릿수 감소
|
* 병아리 가격(출처: 대한양계협회, 원) :
|
428 (´21.9.~´21.11.)
|
→ 739 (´22.6.~´22.8.)
|
→ 630 (´22.9.~´22.11.)
|
|
** 육용계(1개월 미만)마릿수(천 마리) :
|
82,361 (´21.12.)
|
→ 77,749 (´22.9.)
|
→ 76,321 (´22.12.)
|
□ 오리 사육마릿수는 599만 4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75만 8천 마리(-11.2%), 전분기대비 320만 2천 마리(-34.8%) 각각 감소함
○ 조류독감 조기 발생으로 위험지역 조기출하 및 사육제한 시기를 1개월 앞당겨 육용오리 사육 마릿수 감소
|
* 육용오리(45일 미만)마릿수(천 마리) :
|
6,113 (´21.12.)
|
→ 8,479 (´22.9.)
|
→ 5,330 (´22.12.)
|

통 계 표
|
1. 조사결과 총괄
(단위: 천 마리, 농장(가구), %)
구 분
|
’19.12
|
’20.12
|
’21.12
|
2022년
|
증 감(증감률)p)
|
|||||
3월
|
6월
|
9월
|
12월p)
|
전분기
|
전년동기
|
|||||
소
|
총 마릿수
|
3,645
|
3,805
|
3,990
|
3,954
|
4,122
|
4,142
|
4,084
|
-58
|
94
|
|
|
|
|
|
|
|
|
(-1.4)
|
(2.3)
|
|
- 한․육우
|
3,237
|
3,395
|
3,589
|
3,558
|
3,734
|
3,752
|
3,694
|
-59
|
104
|
|
|
|
|
|
|
|
|
|
(-1.6)
|
(2.9)
|
|
․한우
|
3,078
|
3,227
|
3,415
|
3,385
|
3,567
|
3,584
|
3,528
|
-56
|
113
|
|
|
|
|
|
|
|
|
|
(-1.6)
|
(3.3)
|
|
∙가임암소
|
1,491
|
1,555
|
1,640
|
1,620
|
1,648
|
1,691
|
1,700
|
9
|
61
|
|
|
|
|
|
|
|
|
|
(0.5)
|
(3.7)
|
|
- 젖 소
|
408
|
410
|
401
|
397
|
388
|
390
|
390
|
0
|
-11
|
|
|
|
|
|
|
|
|
|
(0.1)
|
(-2.7)
|
|
∙가임젖소
|
316
|
314
|
307
|
306
|
301
|
297
|
302
|
5
|
-5
|
|
|
|
|
|
|
|
|
|
(1.5)
|
(-1.6)
|
|
사육 농장수
|
94,735
|
93,847
|
94,462
|
94,048
|
93,653
|
93,003
|
91,991
|
-1,012
|
-2,471
|
|
|
|
|
|
|
|
|
|
(-1.1)
|
(-2.6)
|
|
- 한․육우
|
94,007
|
93,178
|
93,845
|
93,449
|
93,009
|
92,461
|
91,481
|
-980
|
-2,364
|
|
|
|
|
|
|
|
|
|
(-1.1)
|
(-2.5)
|
|
․한우
|
89,731
|
88,994
|
89,824
|
89,501
|
89,258
|
88,725
|
87,784
|
-941
|
-2,040
|
|
|
|
|
|
|
|
|
|
(-1.1)
|
(-2.3)
|
|
- 젖 소
|
6,168
|
6,106
|
6,105
|
6,087
|
5,991
|
5,957
|
5,932
|
-25
|
-173
|
|
|
|
|
|
|
|
|
|
(-0.4)
|
(-2.8)
|
|
돼
지
|
총 마릿수
|
11,280
|
11,078
|
11,217
|
11,169
|
11,166
|
11,326
|
11,124
|
-202
|
-93
|
|
|
|
|
|
|
|
|
(-1.8)
|
(-0.8)
|
|
∙모 돈
|
1,026
|
1,001
|
1,023
|
1,024
|
1,021
|
1,008
|
995
|
-13
|
-28
|
|
|
|
|
|
|
|
|
|
(-1.3)
|
(-2.8)
|
|
사육 농장수
|
6,133
|
6,078
|
5,942
|
5,951
|
5,894
|
5,835
|
5,695
|
-140
|
-247
|
|
|
|
|
|
|
|
|
|
(-2.4)
|
(-4.2)
|
|
닭
|
총 마릿수
|
172,920
|
178,528
|
177,194
|
171,560
|
190,243
|
175,993
|
173,136
|
-2,857
|
-4,058
|
|
|
|
|
|
|
|
|
(-1.6)
|
(-2.3)
|
|
- 산 란 계
|
72,701
|
72,580
|
72,612
|
70,428
|
73,073
|
75,863
|
74,188
|
-1,675
|
1,576
|
|
|
|
|
|
|
|
|
|
(-2.2)
|
(2.2)
|
|
- 육 계
|
88,738
|
94,835
|
93,604
|
89,990
|
106,254
|
89,463
|
88,713
|
-750
|
-4,890
|
|
|
|
|
|
|
|
|
|
(-0.8)
|
(-5.2)
|
|
- 종 계
|
11,481
|
11,114
|
10,978
|
11,142
|
10,916
|
10,667
|
10,234
|
-433
|
-744
|
|
|
|
|
|
|
|
|
|
(-4.1)
|
(-6.8)
|
|
사육 가구수
|
2,784
|
2,845
|
2,842
|
2,786
|
3,096
|
2,820
|
2,694
|
-126
|
-148
|
|
|
|
|
|
|
|
|
|
(-4.5)
|
(-5.2)
|
|
오
리
|
총 마릿수
|
8,637
|
7,929
|
6,752
|
5,706
|
9,764
|
9,197
|
5,994
|
-3,202
|
-758
|
|
|
|
|
|
|
|
|
(-34.8)
|
(-11.2)
|
|
- 종 오 리
|
881
|
709
|
635
|
540
|
586
|
664
|
631
|
-33
|
-4
|
|
|
|
|
|
|
|
|
|
(-5.0)
|
(-0.7)
|
|
- 육용오리
|
7,756
|
7,219
|
6,117
|
5,166
|
9,178
|
8,532
|
5,363
|
-3,169
|
-753
|
|
|
|
|
|
|
|
|
|
(-37.1)
|
(-12.3)
|
|
사육 가구수
|
486
|
449
|
379
|
336
|
550
|
530
|
338
|
-192
|
-41
|
|
|
|
|
|
|
|
|
|
(-36.2)
|
(-10.8)
|
주1) 한·육우, 젖소는 소이력제 자료
2) 돼지는 2017년부터 모집단을 농림어업총조사에서 돼지이력제로 변경하여 작성함
3) 가구(농장)당 사육마릿수: 한․육우 40.4마리, 젖소 65.7마리, 돼지 1,953마리, 닭 64,267마리, 오리 17,735마리
4) p : 잠정치(소 축종)
2. 축종별 현황
가. 한․육우
(단위: 천 마리, 농장, %)
구 분
|
’19.12
|
’20.12
|
’21.12
|
2022년
|
증 감(증감률)p)
|
||||||
3월
|
6월
|
9월
|
12월p)
|
전분기
|
전년동기
|
||||||
총 마릿수
|
3,237
|
3,395
|
3,589
|
3,558
|
3,734
|
3,752
|
3,694
|
-59
|
104
|
||
|
|
|
|
|
|
|
|
(-1.6)
|
(2.9)
|
||
- 가임암소
|
1,491
|
1,555
|
1,640
|
1,620
|
1,648
|
1,691
|
1,700
|
9
|
61
|
||
|
|
|
|
|
|
|
|
|
(0.5)
|
(3.7)
|
|
|
품
종
별
|
한우
|
3,078
|
3,227
|
3,415
|
3,385
|
3,567
|
3,584
|
3,528
|
-56
|
113
|
|
|
|
|
|
|
|
|
(-1.6)
|
(3.3)
|
||
육우
|
159
|
168
|
174
|
172
|
167
|
168
|
166
|
-3
|
-8
|
||
|
|
|
|
|
|
|
|
(-1.5)
|
(-4.8)
|
||
|
연
령
별
|
1세미만
|
988
|
1,049
|
1,095
|
1,096
|
1,109
|
1,117
|
1,077
|
-40
|
-18
|
|
|
|
|
|
|
|
|
(-3.6)
|
(-1.7)
|
||
1~2세미만
|
915
|
965
|
1,023
|
1,035
|
1,046
|
1,057
|
1,070
|
13
|
47
|
||
|
|
|
|
|
|
|
|
(1.2)
|
(4.6)
|
||
2세이상
|
1,334
|
1,382
|
1,471
|
1,426
|
1,579
|
1,578
|
1,547
|
-32
|
75
|
||
|
|
|
|
|
|
|
|
(-2.0)
|
(5.1)
|
||
|
규
모
별
|
50마리미만
|
1,094
|
1,104
|
1,139
|
1,138
|
1,131
|
1,135
|
1,127
|
-9
|
-13
|
|
|
|
|
|
|
|
|
(-0.8)
|
(-1.1)
|
||
50~100마리미만
|
782
|
843
|
915
|
908
|
956
|
972
|
948
|
-24
|
33
|
||
|
|
|
|
|
|
|
(-2.5)
|
(3.6)
|
|||
100마리이상
|
1,361
|
1,448
|
1,536
|
1,511
|
1,647
|
1,645
|
1,619
|
-26
|
84
|
||
|
|
|
|
|
|
|
|
(-1.6)
|
(5.5)
|
||
사육 농장수
|
94,007
|
93,178
|
93,845
|
93,449
|
93,009
|
92,461
|
91,481
|
-980
|
-2,364
|
||
|
|
|
|
|
|
|
|
(-1.1)
|
(-2.5)
|
||
- 한우
|
89,731
|
88,994
|
89,824
|
89,501
|
89,258
|
88,725
|
87,784
|
-941
|
-2,040
|
||
|
|
|
|
|
|
|
|
(-1.1)
|
(-2.3)
|
||
- 육우
|
7,276
|
7,174
|
7,153
|
7,061
|
6,896
|
6,937
|
6,802
|
-135
|
-351
|
||
|
|
|
|
|
|
|
|
|
(-1.9)
|
(-4.9)
|
|
|
규모별
농장수
|
50마리미만
|
75,374
|
73,157
|
72,197
|
72,089
|
70,172
|
69,385
|
68,917
|
-468
|
-3,280
|
|
|
|
|
|
|
|
|
(-0.7)
|
(-4.5)
|
||
50~100마리미만
|
11,198
|
12,094
|
13,099
|
12,968
|
13,670
|
13,893
|
13,527
|
-366
|
428
|
||
|
|
|
|
|
|
|
(-2.6)
|
(3.3)
|
|||
100마리이상
|
7,435
|
7,927
|
8,549
|
8,392
|
9,167
|
9,183
|
9,037
|
-146
|
488
|
||
|
|
|
|
|
|
|
|
(-1.6)
|
(5.7)
|
||
농장당 마릿수(마리)
|
34.4
|
36.4
|
38.2
|
38.1
|
40.1
|
40.6
|
40.4
|
-0.2
|
2.1
|
||
|
|
|
|
|
|
|
|
(-0.5)
|
(5.6)
|
주1) 한·육우, 젖소는 소이력제 자료
2) 사육 농장수는 한우․육우 복합 사육 농장인 경우 1농장으로 집계
3) p : 잠정치
나. 젖 소
(단위: 천 마리, 농장, %)
구 분
|
’19.12
|
’20.12
|
’21.12
|
2022년
|
증 감(증감률)p)
|
|||||||
3월
|
6월
|
9월
|
12월p)
|
전분기
|
전년동기
|
|||||||
총 마릿수
|
408
|
410
|
401
|
397
|
388
|
390
|
390
|
0
|
-11
|
|||
|
|
|
|
|
|
|
|
(0.1)
|
(-2.7)
|
|||
- 가임암소
|
316
|
314
|
307
|
306
|
301
|
297
|
302
|
5
|
-5
|
|||
|
|
|
|
|
|
|
|
|
(1.5)
|
(-1.6)
|
||
|
연 령 별
|
1세미만
|
79
|
82
|
80
|
78
|
77
|
77
|
75
|
-3
|
-5
|
|
|
|
|
|
|
|
|
|
(-3.7)
|
(-6.3)
|
|||
1~2세미만
|
73
|
75
|
75
|
74
|
73
|
73
|
74
|
1
|
-1
|
|||
|
|
|
|
|
|
|
|
(1.1)
|
(-1.3)
|
|||
2세이상
|
256
|
254
|
246
|
245
|
238
|
239
|
242
|
2
|
-5
|
|||
|
|
|
|
|
|
|
|
(1.0)
|
(-2.0)
|
|||
|
규 모 별
|
50마리미만
|
46
|
47
|
49
|
49
|
50
|
49
|
49
|
0
|
-1
|
|
|
|
|
|
|
|
|
|
(0.0)
|
(-1.3)
|
|||
50~100마리미만
|
168
|
159
|
154
|
154
|
153
|
150
|
148
|
-2
|
-6
|
|||
|
|
|
|
|
|
|
(-1.1)
|
(-3.8)
|
||||
100마리이상
|
194
|
204
|
197
|
193
|
185
|
191
|
193
|
2
|
-4
|
|||
|
|
|
|
|
|
|
|
(1.0)
|
(-2.2)
|
|||
사육 농장수
|
6,168
|
6,106
|
6,105
|
6,087
|
5,991
|
5,957
|
5,932
|
-25
|
-173
|
|||
|
|
|
|
|
|
|
|
|
(-0.4)
|
(-2.8)
|
||
|
규
모
별
농
장
수
|
50마리미만
|
2,502
|
2,503
|
2,605
|
2,621
|
2,593
|
2,558
|
2,551
|
-7
|
-54
|
|
|
|
|
|
|
|
|
|
(-0.3)
|
(-2.1)
|
|||
50~100마리미만
|
2,313
|
2,191
|
2,118
|
2,112
|
2,101
|
2,060
|
2,030
|
-30
|
-88
|
|||
|
|
|
|
|
|
|
(-1.5)
|
(-4.2)
|
||||
100마리이상
|
1,353
|
1,412
|
1,382
|
1,354
|
1,297
|
1,339
|
1,351
|
12
|
-31
|
|||
|
|
|
|
|
|
|
|
(0.9)
|
(-2.2)
|
|||
농장당 마릿수(마리)
|
66.2
|
67.1
|
65.7
|
65.2
|
64.8
|
65.4
|
65.7
|
0.3
|
0.1
|
|||
|
|
|
|
|
|
|
|
(0.5)
|
(0.1)
|
주1) 한·육우, 젖소는 소이력제 자료
2) p : 잠정치
다. 돼 지
(단위: 천 마리, 농장, %)
구 분
|
’19.12
|
’20.12
|
’21.12
|
2022년
|
증 감(증감률)
|
||||||
3월
|
6월
|
9월
|
12월
|
전분기
|
전년동기
|
||||||
총 마릿수
|
11,280
|
11,078
|
11,217
|
11,169
|
11,166
|
11,326
|
11,124
|
-202
|
-93
|
||
|
|
|
|
|
|
|
|
(-1.8)
|
(-0.8)
|
||
- 모돈수
|
1,026
|
1,001
|
1,023
|
1,024
|
1,021
|
1,008
|
995
|
-13
|
-28
|
||
|
|
|
|
|
|
|
|
|
(-1.3)
|
(-2.8)
|
|
|
월
령
별
|
2개월미만
|
3,497
|
3,399
|
3,482
|
3,501
|
3,546
|
3,545
|
3,477
|
-69
|
-6
|
|
|
|
|
|
|
|
|
(-1.9)
|
(-0.2)
|
||
2~4개월미만
|
3,453
|
3,379
|
3,454
|
3,404
|
3,349
|
3,481
|
3,394
|
-87
|
-60
|
||
|
|
|
|
|
|
|
|
(-2.5)
|
(-1.7)
|
||
4~6개월미만
|
3,257
|
3,257
|
3,215
|
3,198
|
3,212
|
3,254
|
3,222
|
-32
|
8
|
||
|
|
|
|
|
|
|
|
(-1.0)
|
(0.2)
|
||
6~8개월미만
|
132
|
120
|
121
|
123
|
121
|
116
|
119
|
3
|
-2
|
||
|
|
|
|
|
|
|
|
(2.8)
|
(-1.7)
|
||
8개월이상
|
941
|
923
|
944
|
943
|
938
|
930
|
912
|
-17
|
-32
|
||
|
|
|
|
|
|
|
|
(-1.9)
|
(-3.4)
|
||
|
규
모
별
|
1,000마리미만
|
941
|
926
|
844
|
879
|
901
|
904
|
842
|
-62
|
-2
|
|
|
|
|
|
|
|
|
(-6.9)
|
(-0.3)
|
||
1,000~5,000마리미만
|
6,481
|
6,566
|
6,688
|
6,607
|
6,488
|
6,641
|
6,474
|
-166
|
-214
|
||
|
|
|
|
|
|
|
(-2.5)
|
(-3.2)
|
|||
5,000마리이상
|
3,858
|
3,587
|
3,684
|
3,684
|
3,777
|
3,782
|
3,808
|
26
|
123
|
||
|
|
|
|
|
|
|
|
(0.7)
|
(3.3)
|
||
사육 농장수
|
6,133
|
6,078
|
5,942
|
5,951
|
5,894
|
5,835
|
5,695
|
-140
|
-247
|
||
|
|
|
|
|
|
|
|
|
(-2.4)
|
(-4.2)
|
|
|
규모별
농장수
|
1,000마리미만
|
2,776
|
2,741
|
2,528
|
2,549
|
2,518
|
2,457
|
2,344
|
-113
|
-184
|
|
|
|
|
|
|
|
(-4.6)
|
(-7.3)
|
|||
|
|||||||||||
1,000~5,000마리미만
|
2,953
|
2,954
|
3,020
|
3,009
|
2,960
|
2,970
|
2,942
|
-28
|
-78
|
||
|
|
|
|
|
|
|
(-0.9)
|
(-2.6)
|
|||
5,000마리이상
|
405
|
383
|
393
|
394
|
416
|
407
|
409
|
2
|
16
|
||
|
|
|
|
|
|
|
|
(0.5)
|
(4.1)
|
||
농장당 마릿수(마리)
|
1,839
|
1,823
|
1,888
|
1,877
|
1,895
|
1,941
|
1,953
|
12
|
66
|
||
|
|
|
|
|
|
|
|
(0.6)
|
(3.5)
|
주) 돼지는 2017년부터 모집단을 농림어업총조사에서 돼지이력제로 변경하여 작성함
라. 닭
(단위: 천 마리, 가구, %)
구 분
|
’19.12
|
’20.12
|
’21.12
|
2022년
|
증 감(증감률)
|
|||||||||
3월
|
6월
|
9월
|
12월
|
전분기
|
전년동기
|
|||||||||
총 마릿수
|
172,920
|
178,528
|
177,194
|
171,560
|
190,243
|
175,993
|
173,136
|
-2,857
|
-4,058
|
|||||
|
|
|
|
|
|
|
|
|
(-1.6)
|
(-2.3)
|
||||
|
산
란
계
|
소 계
|
72,701
|
72,580
|
72,612
|
70,428
|
73,073
|
75,863
|
74,188
|
-1,675
|
1,576
|
|||
|
|
|
|
|
|
|
|
(-2.2)
|
(2.2)
|
|||||
|
10천마리미만
|
897
|
1,041
|
953
|
1,057
|
1,039
|
1,039
|
1,013
|
-26
|
60
|
||||
|
|
|
|
|
|
|
|
|
(-2.5)
|
(6.3)
|
||||
10~30천마리미만
|
4,287
|
4,167
|
4,157
|
3,569
|
4,173
|
4,072
|
3,822
|
-250
|
-335
|
|||||
|
|
|
|
|
|
|
|
(-6.1)
|
(-8.1)
|
|||||
|
30천마리이상
|
67,517
|
67,372
|
67,503
|
65,802
|
67,862
|
70,752
|
69,353
|
-1,398
|
1,851
|
||||
|
|
|
|
|
|
|
|
|
(-2.0)
|
(2.7)
|
||||
|
육
계
|
소 계
|
88,738
|
94,835
|
93,604
|
89,990
|
106,254
|
89,463
|
88,713
|
-750
|
-4,890
|
|||
|
|
|
|
|
|
|
|
(-0.8)
|
(-5.2)
|
|||||
|
10천마리미만
|
119
|
154
|
143
|
221
|
235
|
229
|
158
|
-71
|
15
|
||||
|
|
|
|
|
|
|
|
(-31.1)
|
(10.5)
|
|||||
|
10~30천마리미만
|
4,224
|
4,934
|
4,746
|
4,955
|
5,994
|
4,499
|
3,854
|
-645
|
-892
|
||||
|
|
|
|
|
|
|
|
(-14.3)
|
(-18.8)
|
|||||
|
30천마리이상
|
84,395
|
89,747
|
88,715
|
84,815
|
100,025
|
84,735
|
84,701
|
-34
|
-4,013
|
||||
|
|
|
|
|
|
|
|
(0.0)
|
(-4.5)
|
|||||
|
종
계
|
소 계
|
11,481
|
11,114
|
10,978
|
11,142
|
10,916
|
10,667
|
10,234
|
-433
|
-744
|
|||
|
|
|
|
|
|
|
|
(-4.1)
|
(-6.8)
|
|||||
|
육용(원)종계
|
-
|
-
|
8,807
|
8,946
|
8,776
|
8,673
|
8,653
|
-20
|
-154
|
||||
|
|
|
|
|
|
|
|
(-0.2)
|
(-1.8)
|
|||||
|
산란(원)종계
|
-
|
-
|
1,899
|
1,909
|
1,907
|
1,739
|
1,345
|
-395
|
-555
|
||||
|
|
|
|
|
|
|
|
(-22.7)
|
(-29.2)
|
|||||
|
토종닭(원)종계
|
-
|
-
|
272
|
287
|
233
|
255
|
237
|
-18
|
-35
|
||||
|
|
|
|
|
|
|
|
(-7.0)
|
(-12.9)
|
|||||
사육 가구수
|
2,784
|
2,845
|
2,842
|
2,786
|
3,096
|
2,820
|
2,694
|
-126
|
-148
|
|||||
|
|
|
|
|
|
|
|
|
(-4.5)
|
(-5.2)
|
||||
|
규
모
별
가구수
|
10천마리미만
|
182
|
200
|
184
|
208
|
207
|
208
|
197
|
-11
|
13
|
|||
|
|
|
|
|
|
|
|
(-5.3)
|
(7.1)
|
|||||
10~30천마리
미만
|
598
|
622
|
616
|
602
|
678
|
594
|
562
|
-32
|
-54
|
|||||
|
|
|
|
|
|
|
(-5.4)
|
(-8.8)
|
||||||
30천마리이상
|
2,004
|
2,023
|
2,042
|
1,976
|
2,211
|
2,018
|
1,935
|
-83
|
-107
|
|||||
|
|
|
|
|
|
|
|
(-4.1)
|
(-5.2)
|
|||||
가구당 마릿수(마리)
|
62,112
|
62,752
|
62,348
|
61,579
|
61,448
|
62,409
|
64,267
|
1,858
|
1,919
|
|||||
|
|
|
|
|
|
|
|
(3.0)
|
(3.1)
|
|||||
- 산란계
|
75,494
|
77,542
|
76,757
|
76,636
|
76,516
|
79,354
|
79,176
|
-178
|
2,419
|
|||||
|
|
|
|
|
|
|
|
(-0.2)
|
(3.2)
|
|||||
- 육 계
|
58,845
|
59,383
|
59,093
|
57,909
|
57,967
|
57,422
|
61,013
|
3,592
|
1,920
|
|||||
|
|
|
|
|
|
|
|
(6.3)
|
(3.2)
|
주1) 사육 가구수는 종계․산란계․육계 복합 사육 가구인 경우 1가구로 집계
2) 2006년부터 3,000마리 이상 사육가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자료
3) 2021년 1분기~2022년 1분기는 종계용도별 마릿수 시험조사
마. 오 리
(단위: 천 마리, 가구, %)
구 분
|
’19.12
|
’20.12
|
’21.12
|
2022년
|
증 감(증감률)
|
|||||||
3월
|
6월
|
9월
|
12월
|
전분기
|
전년동기
|
|||||||
총 마릿수
|
8,637
|
7,929
|
6,752
|
5,706
|
9,764
|
9,197
|
5,994
|
-3,202
|
-758
|
|||
|
|
|
|
|
|
|
|
|
|
|
(-34.8)
|
(-11.2)
|
|
규
모
별
|
|
10천마리미만
|
702
|
626
|
544
|
513
|
737
|
850
|
457
|
-393
|
-87
|
|
|
|
|
|
|
|
|
(-46.2)
|
(-16.0)
|
|||
|
10~30천마리미만
|
5,762
|
5,329
|
4,644
|
3,881
|
6,537
|
5,883
|
4,112
|
-1,772
|
-533
|
||
|
|
|
|
|
|
|
|
(-30.1)
|
(-11.5)
|
|||
|
30천마리이상
|
2,173
|
1,974
|
1,563
|
1,312
|
2,489
|
2,463
|
1,426
|
-1,038
|
-137
|
||
|
|
|
|
|
|
|
|
(-42.1)
|
(-8.8)
|
|||
|
종
오
리
|
소 계
|
881
|
709
|
635
|
540
|
586
|
664
|
631
|
-33
|
-4
|
|
|
|
|
|
|
|
|
|
(-5.0)
|
(-0.7)
|
|||
|
10천마리미만
|
369
|
305
|
264
|
263
|
254
|
285
|
234
|
-52
|
-31
|
||
|
|
|
|
|
|
|
|
(-18.1)
|
(-11.6)
|
|||
|
10~30천마리미만
|
420
|
356
|
276
|
246
|
331
|
348
|
337
|
-11
|
61
|
||
|
|
|
|
|
|
|
|
(-3.3)
|
(22.2)
|
|||
|
30천마리이상
|
92
|
49
|
96
|
31
|
0
|
31
|
61
|
30
|
-35
|
||
|
|
|
|
|
|
|
|
(95.9)
|
(-36.5)
|
|||
|
육
용
오
리
|
소 계
|
7,756
|
7,219
|
6,117
|
5,166
|
9,178
|
8,532
|
5,363
|
-3,169
|
-753
|
|
|
|
|
|
|
|
|
|
(-37.1)
|
(-12.3)
|
|||
|
10천마리미만
|
341
|
328
|
289
|
250
|
503
|
580
|
231
|
-350
|
-59
|
||
|
|
|
|
|
|
|
|
(-60.3)
|
(-20.3)
|
|||
|
10~30천마리미만
|
5,334
|
4,996
|
4,392
|
3,635
|
6,226
|
5,527
|
3,802
|
-1,725
|
-590
|
||
|
|
|
|
|
|
|
|
(-31.2)
|
(-13.4)
|
|||
|
30천마리이상
|
2,080
|
1,896
|
1,436
|
1,281
|
2,449
|
2,425
|
1,331
|
-1,094
|
-105
|
||
|
|
|
|
|
|
|
|
(-45.1)
|
(-7.3)
|
|||
사육가구수
|
486
|
449
|
379
|
336
|
550
|
530
|
338
|
-192
|
-41
|
|||
|
|
|
|
|
|
|
|
|
(-36.2)
|
(-10.8)
|
||
|
규모별
가구수
|
10천마리미만
|
98
|
88
|
74
|
73
|
103
|
115
|
63
|
-52
|
-11
|
|
|
|
|
|
|
|
|
|
(-45.2)
|
(-14.9)
|
|||
10~30천마리
미만
|
337
|
311
|
266
|
230
|
385
|
351
|
237
|
-114
|
-29
|
|||
|
|
|
|
|
|
|
(-32.5)
|
(-10.9)
|
||||
30천마리이상
|
51
|
50
|
39
|
33
|
62
|
64
|
38
|
-26
|
-1
|
|||
|
|
|
|
|
|
|
|
(-40.6)
|
(-2.6)
|
|||
가구당 마릿수(마리)
|
17,772
|
17,659
|
17,815
|
16,983
|
17,752
|
17,352
|
17,735
|
383
|
-81
|
|||
|
|
|
|
|
|
|
|
(2.2)
|
(-0.5)
|
|||
- 종 오 리
|
9,904
|
10,135
|
10,248
|
9,477
|
9,150
|
9,628
|
10,347
|
718
|
98
|
|||
|
|
|
|
|
|
|
|
(7.5)
|
(1.0)
|
|||
- 육용오리
|
19,437
|
18,998
|
19,235
|
18,517
|
18,731
|
18,428
|
19,292
|
864
|
57
|
|||
|
|
|
|
|
|
|
|
(4.7)
|
(0.3)
|
주) 2011년부터 2,000마리 이상 사육가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자료
3. 시․도별 현황
(단위: 마리, 농장(가구))
구 분
|
한․육우p)
|
젖소p)
|
돼지
|
닭
|
오리
|
|||||
마릿수
|
농장수
|
마릿수
|
농장수
|
마릿수
|
농장수
|
마릿수
|
가구수
|
마릿수
|
가구수
|
|
전국
|
3,693,779
|
91,481
|
389,988
|
5,932
|
11,123,872
|
5,695
|
173,135,706
|
2,694
|
5,994,362
|
338
|
서울
|
42
|
2
|
12
|
1
|
-
|
-
|
-
|
-
|
-
|
-
|
부산
|
1,587
|
90
|
246
|
7
|
4,202
|
13
|
20,400
|
1
|
-
|
-
|
대구
|
12,908
|
415
|
597
|
14
|
7,983
|
13
|
340,000
|
2
|
-
|
-
|
인천
|
20,355
|
502
|
2,901
|
74
|
26,502
|
32
|
537,725
|
16
|
-
|
-
|
광주
|
4,015
|
170
|
490
|
8
|
7,985
|
11
|
130,500
|
4
|
-
|
-
|
대전
|
5,097
|
164
|
0
|
0
|
88
|
1
|
64,000
|
1
|
-
|
-
|
울산
|
38,705
|
1,607
|
752
|
21
|
39,737
|
25
|
303,883
|
7
|
-
|
-
|
세종
|
26,710
|
668
|
4,103
|
61
|
89,699
|
49
|
2,429,050
|
21
|
-
|
-
|
경기
|
322,735
|
7,088
|
156,048
|
2,226
|
1,785,264
|
1,128
|
32,030,393
|
486
|
68,900
|
5
|
강원
|
263,012
|
6,549
|
18,503
|
260
|
470,330
|
231
|
6,205,587
|
119
|
17,500
|
2
|
충북
|
256,991
|
5,784
|
18,784
|
303
|
623,596
|
312
|
12,536,759
|
217
|
92,050
|
11
|
충남
|
462,814
|
11,814
|
67,280
|
986
|
2,273,307
|
1,054
|
28,682,469
|
495
|
69,500
|
5
|
전북
|
464,282
|
9,310
|
31,744
|
468
|
1,360,049
|
755
|
31,793,831
|
515
|
1,308,960
|
73
|
전남
|
632,833
|
16,566
|
28,224
|
447
|
1,193,877
|
524
|
21,170,934
|
305
|
3,640,832
|
189
|
경북
|
810,118
|
19,439
|
32,251
|
645
|
1,426,535
|
674
|
24,153,796
|
304
|
46,280
|
5
|
경남
|
332,678
|
10,671
|
24,280
|
370
|
1,284,947
|
612
|
10,928,224
|
147
|
750,340
|
48
|
제주
|
38,897
|
642
|
3,773
|
41
|
529,771
|
260
|
1,808,155
|
54
|
0
|
0
|
주1) 닭은 3,000마리 이상 사육가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자료
2) 오리는 2,000마리 이상 사육가구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자료이며, 특․광역시는 인접도에 포함
3) p : 잠정치
4. 지리정보시스템(GIS)로 본 축종별 사육마릿수 구성비
(단위: %)

부록
|
가축동향조사 개요
|
1. 조사목적
가축의 사육규모별 가구(농장)수와 연령 및 성별 마릿수를 파악하여 축산정책 수립과 축산부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2. 조사연혁
1948년 농림수산부 축산국에서 행정보고에 의해 파악
1976년 지정통계 제920019*로 지정
* 제11423 → 제114023(2016.8.28. 승인번호 체계변경) → 제920019(2017.10.24. 공동작성으로 변경)
2008년 3월 5일 통계청으로 이관
2017년 9월 소 축종(한우·육우·젖소)은 통계청과 축산물품질평가원이 공동 작성
3. 대상축종: 한우, 육우, 젖소, 돼지(약 2,800개 농장), 닭(약 3,000개 가구), 오리(약 500개 가구)
4. 조사대상 * 한·육우, 젖소는 소이력제 자료 활용
돼지 약 2,800개 농장 표본대상처와 일정 규모이상의 닭, 오리 사육 가구
5. 조사기준 및 조사기간: 2022. 12. 1. 00시(조사기간 돼지·닭·오리 : 2022. 12. 1.~15.)
6. 조사 및 수집 항목
사육 가구(농장)수, 성 및 연(월)령별 마릿수 및 변동상황 등
7. 조사체계 및 방법
【한우, 육우, 젖소】축산물품질평가원 ⇔ 통계청
【돼지, 닭, 오리】조사대상 가구(농장) ⇔ 지방통계청 및 사무소 ⇔ 통계청
행정자료 및 면접조사와 비면접조사(CATI, E-mail, FAX 등) 병행
8. 주요용어 설명
한 우: 종축등록기관의 장이 정하여 공고하는 한우기준에 부합되는 소
육 우: 젖소 중 착유한 경험이 없는 암소, 젖소 암소 중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없는 소, 젖소 수소, 그 밖의 식용 소
젖 소: 착유하고 있거나 착유를 위하여 사육중인 소, 젖소 암소 중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있는 소
가임암소: 임신이 가능한 암소로서 15개월(만14개월) 이상의 암소
산 란 계: 계란(식용)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육하는 닭
육 계: 고기를 이용할 목적으로 사육하는 닭(토종닭 포함)
종계/원종계: 병아리 부화용 계란(종란)을 생산하기 위해 사육하는 닭
종 오 리: 새끼오리 부화용 오리알(종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육하는 오리
육용오리: 고기를 이용할 목적으로 사육하는 오리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명절에도 24시간 빈틈없는 방역태세 유지 (0) | 2023.01.22 |
---|---|
설 연휴기간 급하게 돈 보낼 일 있으신가요? (0) | 2023.01.22 |
“휴대전화 스팸, 이제 앱에서 간편하게 신고하세요!” (0) | 2023.01.20 |
30일부터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 ‘권고’로 완화 (0) | 2023.01.20 |
올해 디지털 인재 양성에 4537억 원 투입…전년대비 500억 원 ↑ (0) | 2023.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