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대비 2020년 화학물질 취급업체 19.9% 증가
2023.01.18 환경부

□ 취급업체 3만 7,107개, 화학물질 수 3만 1,600종, 유통량 6억 8,680만 톤
□ 제조량 4억 6,126만 톤, 수입량 3억 5,064만 톤, 수출량 1억 2,510만 톤으로 조사
□ 제3차 조사 대비 증가한 유통량(4,861만 톤)은 제조·수입량 증가 및 통계조사 대상의 확대에 기인
|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제4차(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화학물질 취급업체 3만 7,107개 사업장에서 3만 1,600종의 화학물질 6억 8,680만 톤이 유통되었다고 밝혔다.
○ 이는 2018년 제3차 조사 대비, 취급업체 수는 19.9%, 화학물질 종류는 7.1%, 유통량은 7.6%가 각각 증가한 수치다. 유통량이 7.6%(4,861만 톤) 증가한 것은 제조·수입량 증가와 통계조사 대상의 확대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광양(26.4백만톤↑), 대산(21.0백만톤↑), 포항(26.0백만톤↑) 등의 주요 산단의 제조·수입량 증가 및 조사 대상 10,592개소(전체 사업장의 28.5%) 확대
○ 환경부는 지난 2014년 제1차 화학물질 통계조사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취급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 및 제조, 사용, 수출입 등의 취급실태를 파악하여 화학사고 대응 및 예방, 사업장 취급 안전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해왔다.
□ ‘20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취급형태별로는 2018년 대비 제조량 8.2%(3,489만 톤), 수입량 5.6%(1,859만 톤), 수출량 4.1%(487만 톤)이 각각 증가했다.
< ‘18년, ’20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 비교 >
구분
|
’20년
|
’18년
|
증감량
|
(%)
|
|
업체수(개소)
|
37,107
|
30,954
|
6,153
|
(19.9)
|
|
화학물질(종)
|
31,600
|
29,499
|
2,101
|
(7.1)
|
|
유통량*(백만톤)
|
686.8
|
638.2
|
48.6
|
(7.6)
|
|
|
제조량
|
461.3
|
426.4
|
34.9
|
(8.2)
|
|
수입량
|
350.6
|
332.1
|
18.6
|
(5.6)
|
|
수출량
|
125.1
|
120.2
|
4.9
|
(4.1)
|
* 유통량(686.8백만톤) = [제조량(461.3) + 수입량 (350.6)] - 수출량(125.1)
○ 지역별로는 대규모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이 입지한 전남(29.6%), 울산(24.4%), 충남(18.8%) 등 상위 3개 지역에서 전체 제조‧수입량의 72.8%인 5억 9,089만 톤을 차지했다.
< 지역별 제조‧수입 현황 >
|
||||||
(단위 : 백만톤)
|
||||||
순위
|
시도
|
’20년도
|
’18년도
|
증감량
|
||
제조‧수입량 (%)
|
제조‧수입량 (%)
|
|||||
계
|
811.9
|
(100.0)
|
758.4
|
(100.0)
|
53.5
|
|
1
|
전남
|
240.5
|
(29.6)
|
212.9
|
(28.1)
|
27.6
|
2
|
울산
|
197.8
|
(24.4)
|
207.1
|
(27.3)
|
△9.3
|
3
|
충남
|
152.6
|
(18.8)
|
125.5
|
(16.5)
|
27.1
|
4
|
경북
|
65.3
|
(8.0)
|
38.7
|
(5.1)
|
26.7
|
5
|
인천
|
34.1
|
(4.2)
|
46.5
|
(6.1)
|
△12.4
|
6
|
강원
|
31.9
|
(3.9)
|
36.9
|
(4.9)
|
△4.9
|
7
|
서울
|
27.8
|
(3.4)
|
16.8
|
(2.2)
|
11.0
|
8
|
경기
|
27.4
|
(3.4)
|
19.9
|
(2.6)
|
7.6
|
9
|
충북
|
14.8
|
(1.8)
|
20.3
|
(2.7)
|
△5.5
|
10
|
경남
|
10.1
|
(1.2)
|
21.9
|
(2.9)
|
△11.8
|
11
|
전북
|
5.6
|
(0.7)
|
6.7
|
(0.9)
|
△1.1
|
12
|
부산
|
2.4
|
(0.3)
|
3.0
|
(0.4)
|
△0.6
|
13
|
제주
|
0.5
|
(0.1)
|
0.5
|
(0.1)
|
0.03
|
14
|
대전
|
0.4
|
(0.1)
|
0.5
|
(0.1)
|
△0.02
|
15
|
광주
|
0.4
|
(0.0)
|
0.2
|
(0.0)
|
0.2
|
16
|
대구
|
0.2
|
(0.0)
|
0.9
|
(0.1)
|
△0.6
|
17
|
세종
|
0.1
|
(0.0)
|
0.4
|
(0.1)
|
△0.4
|
○ 산단별로는 여수 산단(19.5%), 울산‧미포 산단(13.7%), 온산 산단(10.4%), 광양(9.1%), 대산(8.6%) 순으로 제조‧수입량 상위 순위를 차지했다.
< 산업단지별 제조‧수입 현황 >
|
||||||
(단위 : 백만톤)
|
||||||
순위
|
산단
|
’20년도
|
’18년도
|
증감량
|
||
제조‧수입량 (%)
|
제조‧수입량 (%)
|
|||||
계
|
811.9
|
(100.0)
|
758.4
|
(100.0)
|
53.5
|
|
1
|
여수국가산단
|
158.7
|
(19.5)
|
158.0
|
(20.8)
|
0.8
|
2
|
울산ㆍ미포국가산단
|
111.0
|
(13.7)
|
136.2
|
(18.0)
|
△25.2
|
3
|
온산국가산단
|
84.6
|
(10.4)
|
69.0
|
(9.1)
|
15.6
|
4
|
광양국가산단(광양제철)
|
74.2
|
(9.1)
|
47.8
|
(6.3)
|
26.4
|
5
|
대산일반산단
|
70.2
|
(8.6)
|
49.1
|
(6.5)
|
21.0
|
6
|
포항국가산단(포항제철)
|
56.3
|
(6.9)
|
30.3
|
(4.0)
|
26.0
|
7
|
현대제철(구 송산)일반산단
|
10.6
|
(1.3)
|
19.3
|
(2.5)
|
△8.7
|
8
|
아산국가산단(원정지구)
|
10.1
|
(1.2)
|
12.4
|
(1.6)
|
△2.3
|
9
|
안정국가산단
|
6.9
|
(0.8)
|
8.0
|
(1.0)
|
△1.1
|
10
|
북평국가산단(북평)
|
6.1
|
(0.8)
|
6.5
|
(0.9)
|
△0.4
|
11
|
당진1철강일반산단
|
4.5
|
(0.6)
|
-
|
(0.0)
|
4.5
|
12
|
호산일반산단
|
3.3
|
(0.4)
|
4.9
|
(0.6)
|
△1.6
|
13
|
포항국가산단(포항철강2연관)
|
3.0
|
(0.4)
|
2.6
|
(0.3)
|
0.4
|
14
|
군산일반산단
|
2.3
|
(0.3)
|
2.7
|
(0.4)
|
△0.5
|
15
|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구 탕정2)일반산단
|
2.2
|
(0.3)
|
0.1
|
(0.0)
|
2.2
|
16
|
고정국가산단
|
2.1
|
(0.3)
|
0.4
|
(0.1)
|
1.7
|
17
|
광양국가산단(광양연관)
|
2.0
|
(0.2)
|
3.5
|
(0.5)
|
△1.5
|
18
|
장당일반산단
|
2.0
|
(0.2)
|
0.0
|
(0.0)
|
2.0
|
19
|
아산국가산단(고대지구)
|
1.6
|
(0.2)
|
2.7
|
(0.4)
|
△1.1
|
20
|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일반산단
|
1.2
|
(0.2)
|
0.1
|
(0.0)
|
1.1
|
|
기타 산업단지
|
25.1
|
(3.1)
|
21.2
|
(2.8)
|
3.9
|
|
해당없음
|
173.9
|
(21.4)
|
183.8
|
(24.2)
|
△9.9
|
○ 업종별로는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이 전체 제조‧수입량의 38.8%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27.6%), 1차 금속 제조업(19.6%)의 비중이 높았다.
< 업종별 제조‧수입 현황 >
|
||||||
(단위 : 백만톤)
|
||||||
순위
|
업종 (중분류)
|
’20년도
|
’18년도
|
증감량
|
||
제조‧수입량 (%)
|
제조‧수입량 (%)
|
|||||
계
|
811.9
|
(100.0)
|
758.4
|
(100.0)
|
53.5
|
|
1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314.7
|
(38.8)
|
305.5
|
(40.3)
|
9.3
|
2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224.3
|
(27.6)
|
191.6
|
(25.3)
|
32.6
|
3
|
1차 금속 제조업
|
158.8
|
(19.6)
|
118.8
|
(15.7)
|
40.0
|
4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49.5
|
(6.1)
|
66.0
|
(8.7)
|
△16.5
|
5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43.8
|
(5.4)
|
56.0
|
(7.4)
|
△12.3
|
6
|
도매 및 상품중개업
|
10.6
|
(1.3)
|
8.9
|
(1.2)
|
1.7
|
7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1.8
|
(0.2)
|
0.2
|
(0.0)
|
1.7
|
8
|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
1.7
|
(0.2)
|
1.6
|
(0.2)
|
0.0
|
9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1.6
|
(0.2)
|
1.1
|
(0.1)
|
0.5
|
10
|
비금속광물 광업;연료용 제외
|
1.2
|
(0.1)
|
1.3
|
(0.2)
|
△0.1
|
11
|
그 외 업종(‘18년 59개/’20년 62개)
|
4.0
|
(0.5)
|
7.4
|
(1.0)
|
△3.4
|
※ 업종분류 근거 : 「통계법」 제22조에 따른 “한국표준산업분류(중분류)”
|
○ 유해화학물질(1,413여종)의 제조·수입량은 전체 제조·수입량의 9.8%인 7,936만 톤으로 2018년 대비 2.8% 증가했다.
< 상위 10위 유해화학물질 제조‧수입 현황 >
|
||||||
(단위 : 천톤)
|
||||||
순위
|
화학물질명(CAS No)
|
’20년도
|
’18년도
|
증감량
|
||
제조‧수입량 (%)
|
제조‧수입량 (%)
|
|||||
총 계
|
79,357
|
(100.0)
|
77,196
|
(100.0)
|
2,161
|
|
소 계 (10개 물질)
|
50,738
|
(63.9)
|
50,484
|
(65.4)
|
254
|
|
1
|
벤젠(71-43-2)
|
9,932
|
(12.5)
|
10,650
|
(13.8)
|
△718
|
2
|
p-자일렌(106-42-3)
|
9,447
|
(11.9)
|
11,599
|
(15.0)
|
△2,152
|
3
|
톨루엔(108-88-3)
|
6,166
|
(7.8)
|
6,212
|
(8.0)
|
△46
|
4
|
황산(7664-93-9)
|
5,290
|
(6.7)
|
5,443
|
(7.1)
|
△153
|
5
|
메틸알코올(메탄올)(67-56-1)
|
4,318
|
(5.4)
|
2,150
|
(2.8)
|
2,168
|
6
|
스타이렌(100-42-5)
|
4,227
|
(5.3)
|
4,111
|
(5.3)
|
117
|
7
|
1,3-부타디엔(106-99-0)
|
3,093
|
(3.9)
|
2,616
|
(3.4)
|
478
|
8
|
수산화나트륨(1310-73-2)
|
3,076
|
(3.9)
|
2,882
|
(3.7)
|
194
|
9
|
자일렌(1330-20-7)
|
2,685
|
(3.4)
|
2,252
|
(2.9)
|
432
|
10
|
1,2-디클로로에탄염화수소(107-06-2)
|
2,505
|
(3.2)
|
2,571
|
(3.3)
|
△66
|
|
기타 (1,403종)
|
28,619
|
(36.1)
|
26,712
|
(34.6)
|
1,907
|
○ 발암성물질은 총 307종, 4,196만 톤으로 전체 제조‧수입량의 5.2%를 차지하며 2018년 대비 7.9%가 감소했다.
< 상위 10위 발암성물질(Group 1, 2A, 2B) 제조‧수입 현황 >
|
|||||||
(단위 : 천톤)
|
|||||||
순위
|
발암물질명(등급)
|
’20년도
|
’18년도
|
증감량
|
|||
제조‧수입량 (%)
|
제조‧수입량 (%)
|
||||||
계
|
41,963
|
(100.0)
|
45,558
|
(100.0)
|
△3,595
|
||
1
|
벤젠(71-43-2)
|
1
|
9,932
|
(23.7)
|
10,650
|
(23.4)
|
△718
|
2
|
스타이렌(100-42-5)
|
2A
|
4,227
|
(10.1)
|
4,111
|
(9.0)
|
117
|
3
|
1,3-부타디엔(106-99-0)
|
1
|
3,093
|
(7.4)
|
2,616
|
(5.7)
|
478
|
4
|
에틸벤젠(100-41-4)
|
2B
|
2,750
|
(6.6)
|
2,773
|
(6.1)
|
△24
|
5
|
1,2-이염화에탄(107-06-2)
|
2B
|
2,505
|
(6.0)
|
2,571
|
(5.6)
|
△66
|
6
|
쿠멘(98-82-8)
|
2B
|
1,873
|
(4.5)
|
1,987
|
(4.4)
|
△114
|
7
|
염화비닐(75-01-4)
|
1
|
1,735
|
(4.1)
|
1,638
|
(3.6)
|
97
|
8
|
아크릴로나이트릴(107-13-1)
|
2B
|
935
|
(2.2)
|
920
|
(2.0)
|
15
|
9
|
산화에틸렌(75-21-8)
|
1
|
909
|
(2.2)
|
724
|
(1.6)
|
185
|
10
|
니트로벤젠(98-95-3)
|
2B
|
573
|
(1.4)
|
541
|
(1.2)
|
32
|
-
|
기타(‘18년 226종 / ’20년 297종)
|
-
|
13,431
|
(32.0)
|
17,029
|
(37.4)
|
△3,597
|
|
○ 사고대비물질은 97종 중 89종, 4,340만 톤이 취급되었으며 2018년 대비 4.2%가 증가했다.
< 상위 10위 사고대비물질 제조‧수입 현황 >
|
||||||
(단위 : 천톤)
|
||||||
구분
|
’20년도
|
’18년도
|
증감량
|
|||
제조‧수입량 (%)
|
제조‧수입량 (%)
|
|||||
총 합계(89종*)
|
43,395
|
(100.0)
|
41,653
|
(100.0)
|
1,742
|
|
1
|
벤젠(71-43-2)
|
9,932
|
(22.9)
|
10,650
|
(25.6)
|
△718
|
2
|
톨루엔(108-88-3)
|
6,166
|
(14.2)
|
6,212
|
(14.9)
|
△46
|
3
|
황산(7664-93-9)
|
5,290
|
(12.2)
|
5,443
|
(13.1)
|
△153
|
4
|
메탄올(67-56-1)
|
4,318
|
(9.9)
|
2,150
|
(5.2)
|
2,168
|
5
|
염소(7782-50-5)
|
2,114
|
(4.9)
|
2,046
|
(4.9)
|
67
|
6
|
염화비닐(75-01-4)
|
1,735
|
(4.0)
|
1,638
|
(3.9)
|
97
|
7
|
질산(7697-37-2)
|
1,545
|
(3.6)
|
1,558
|
(3.7)
|
△13
|
8
|
페놀(108-95-2)
|
1,531
|
(3.5)
|
1,561
|
(3.7)
|
△30
|
9
|
염화수소(7647-01-0)
|
1,406
|
(3.2)
|
1,687
|
(4.1)
|
△281
|
10
|
암모니아(7664-41-7)
|
1,332
|
(3.1)
|
1,420
|
(3.4
|
△89
|
-
|
기타 (79종)
|
8,026
|
(18.5)
|
7,289
|
(17.5)
|
737
|
* 사고대비물질 97종 중 ’20년도 제조수입량 물질 수는 89종
|
□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는 화학물질안전원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icis.me.go.kr)‘에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신건일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장은 “2018년 대비 화학물질의 제조, 수입, 유통량이 증가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화학물질의 유통 및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라며,
○ “이번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를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며,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화학물질 관련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마련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화학물질 통계조사 개요.
2. 연도별·형태별 유통 현황.
3. 제조·수입·수출 현황.
4. 질의응답.
5. 전문용어 설명. 끝.
붙임 1
|
|
화학물질 통계조사 개요
|
□ 목 적
○ 국내에서 취급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종류 및 제조, 보관·저장, 사용, 수출·입 등의 취급실태를 파악하여 화학사고 대응·예방 및 사업장 취급 안전관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 (법적근거) 화학물질관리법 제10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 화학물질 통계조사에 관한 규정(환경부 고시 제2021-62호)
□ 조사 개요
○ 조사 기간 :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화학물질 취급량을 2021년 6월~8월 동안 조사
○ 조사 대상
- ‘대기환경보전법’ 및 ‘물환경보전법’의 배출시설 설치허가·신고 또는 화학물질 취급(제조, 보관·저장, 사용, 수출·입) 사업장
- 화학물질 및 혼합물질을 기준량* 초과하여 취급하는 사업장
* 연간 취급량 1톤, 유해화학물질 100kg
○ 조사 내용
- (업체 일반현황) 업체명, 소재지 주소, 업종, 화학물질 취급시설 종류와 규모, 화학사고 예방·대응 등
- (화학제품 취급현황) 제품명, 용도, 제품특성(혼합물질 여부, 형태), 제품별 입․출고량, 나노물질 포함여부, 보관·저장시설 현황 등
- (구성성분 정보, 성분보유자 정보) 구성성분(물질명, CAS No, 순도·함량(%)), 제조구분, 성분명세서 보유자 정보(상호, 주소, 담당자 등)
붙임 2
|
|
연도별·형태별 현황
|
□ 연도별 유통량 현황
연도
|
’98
|
’02
|
’06
|
’10
|
’14
|
’16
|
’18
|
’20
|
|
조사
결과
|
업체수
(개소)
|
13,052
|
13,773
|
16,404
|
16,547
|
22,661
|
21,911
|
30,954
|
37,107
|
화학물질
(종)
|
8,030
|
9,358
|
14,604
|
15,840
|
16,150
|
16,874
|
29,499
|
31,600
|
|
유통량
(백만톤)
|
175.4
|
287.4
|
417.9
|
432.5
|
496.9
|
558.6
|
638.2
|
686.8
|
|
유통량 증감(%)
|
-
|
112
(63.9%)
|
130.5
(45.4%)
|
14.6
(3.5%)
|
64.4
(14.9%)
|
61.7
(12.4%)
|
79.6
(14.2%)
|
48.6
(7.6%)
|
* 유통량(686.8백만톤) = [제조량(461.3) + 수입량 (350.6)] - 수출량(125.1)
□ 유통 형태별 현황
화학물질 제조량
|
(단위:백만톤)
|
||||||||
연도별
|
‘98
|
‘02
|
‘06
|
‘10
|
‘14
|
‘16
|
‘18
|
‘20
|
|
제조량
|
181.2
|
216.2
|
286.3
|
289.1
|
323.6
|
378.1
|
426.4
|
461.3
|
|
증감
|
-
|
35.0
|
70.1
|
2.8
|
34.5
|
54.5
|
48.3
|
34.9
|
|
증감율
|
-
|
19.3%
|
32.4%
|
0.98%
|
11.9%
|
16.9%
|
12.8%
|
8.2%
|
화학물질 수입량
|
(단위:백만톤)
|
||||||||
연도별
|
‘98
|
‘02
|
‘06
|
‘10
|
‘14
|
‘16
|
‘18
|
‘20
|
|
수입량
|
42.3
|
122.0
|
189.3
|
231
|
295.5
|
321.6
|
332.1
|
350.6
|
|
증감
|
-
|
79.8
|
67.3
|
41.7
|
64.5
|
26.1
|
10.5
|
18.5
|
|
증감율
|
-
|
188.6%
|
55.2%
|
22%
|
27.9%
|
8.8%
|
3.3%
|
5.6%
|
화학물질 수출량
|
(단위:백만톤)
|
||||||||
연도별
|
‘98
|
‘02
|
‘06
|
‘10
|
‘14
|
‘16
|
‘18
|
‘20
|
|
수출량
|
48.0
|
50.8
|
57.7
|
87.6
|
122.2
|
141.1
|
120.2
|
125.1
|
|
증감
|
-
|
2.8
|
6.9
|
29.9
|
34.6
|
18.9
|
△20.9
|
4.9
|
|
증감율
|
-
|
5.8%
|
13.6%
|
51.8%
|
395%
|
15.5%
|
△14.8%
|
4.1%
|
붙임 3
|
|
제조·수입·수출 현황
|
□ 제조 현황
(단위: 천톤)
구분
|
순위
|
화학물질명(영문명, CAS No.)
|
제조량
|
소계(%)
|
납사
|
1
|
나프타(Naphtha (petroleum), full-range straight-run, 64741-42-0)
|
11,338
|
24,894
(5.4)
|
2
|
나프타(Naphtha (petroleum), lightstraight-run, 64741-46-4)
|
10,548
|
||
3
|
나프타(Naphtha (petroleum), light hydrocracked, 64741-69-1)
|
3,007
|
||
기초유분
|
1
|
자일렌(Xylene, 1330-20-7)※이성질체포함
|
12,400
|
46,214
(10.0)
|
2
|
벤젠(Benzene, 71-43-2)
|
9,451
|
||
3
|
에틸렌(Ethylene, 74-85-1)
|
8,611
|
||
4
|
프로필렌(Propylene, 115-07-1)
|
7,820
|
||
5
|
톨루엔(Toluene, 108-88-3)
|
5,695
|
||
6
|
1,3-부타디엔(1,3-Butadiene, 106-99-0)
|
2,238
|
||
제조
화학물질
|
1
|
질소(Nitrogen, 7727-37-9)
|
27,991
|
87,198
(18.9)
|
2
|
산소(Oxygen, 7782-44-7)
|
14,066
|
||
3
|
산화칼슘(Calcium oxide, 1305-78-8)
|
9,969
|
||
4
|
(Slags (ferrous metal), blast furnace, 65996-69-2)
|
6,148
|
||
5
|
휘발유(Gasoline, 86290-81-5)
|
5,819
|
||
6
|
메탄(Methane, 74-82-8)
|
5,511
|
||
7
|
황산(Sulfuric acid, 7664-93-9)
|
5,260
|
||
8
|
테레프탈산(p-Phthalic acid, 100-21-0)
|
5,173
|
||
9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02-88-4)
|
3,854
|
||
10
|
스티렌(Vinylbenzene; Styrene, Ethenylbenzene, 100-42-5)
|
3,406
|
□ 수입 현황
(단위: 천톤)
구분
|
순위
|
화학물질명(영문명, CAS No.)
|
수입량
|
소계(%)
|
납사
|
1
|
나프타(Naphtha (petroleum), full-range straight-run, 64741-42-0)
|
12,867
|
29,325
(8.4)
|
2
|
나프타(Naphtha (petroleum), light straight-run, 64741-46-4)
|
8,433
|
||
3
|
나프타(Naphtha; Petroleum benzin, Benzin, 8030-30-6)
|
8,025
|
||
기초유분
|
1
|
자일렌(Xylene, 1330-20-7)※이성질체포함
|
1,357
|
3,662
(1.0)
|
2
|
1,3-부타디엔(1,3-Butadiene, 106-99-0)
|
855
|
||
3
|
벤젠(Benzene, 71-43-2)
|
481
|
||
4
|
톨루엔(Toluene, 108-88-3)
|
471
|
||
5
|
에틸렌(Ethylene, 74-85-1)
|
333
|
||
6
|
프로필렌(Propylene, 115-07-1)
|
165
|
||
수입
화학물질
|
1
|
활성탄(Carbon; Activated carbon, 7440-44-0)
|
21,044
|
73,502
(21.0%)
|
2
|
액화천연가스(Natural gas, dried, 68410-63-9)
|
17,328
|
||
3
|
철광석(Iron ores, agglomerates, 65996-65-8)
|
8,697
|
||
4
|
프로판(Propane, 74-98-6)
|
5,546
|
||
5
|
석탄(Coal, 125612-26-2)
|
4,927
|
||
6
|
천연가스(Natural gas condensates (petroleum), 64741-47-5)
|
4,733
|
||
7
|
메탄올(Methanol, 67-56-1)
|
3,887
|
||
8
|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7647-14-5)
|
3,255
|
||
9
|
부탄(Butane, 106-97-8)
|
2,137
|
||
10
|
코크스(Coke (coal), 65996-77-2)
|
1,947
|
□ 수출 현황
(단위: 천톤)
구분
|
순위
|
화학물질명(영문명,CAS No.)
|
수출량
|
소계(%)
|
납사
|
1
|
나프타(Naphtha (petroleum), full-range straight-run, 64741-42-0)
|
2,825
|
5,324
(4.3)
|
2
|
나프타(Naphtha (petroleum), light straight-run, 64741-46-4)
|
2,206
|
||
3
|
나프타(Naphtha (petroleum), full-range alkylate, 64741-64-6)
|
294
|
||
기초유분
|
1
|
자일렌(Xylene, 1330-20-7)※이성질체포함
|
6,124
|
12,829
(10.3)
|
2
|
벤젠(Benzene, 71-43-2)
|
2,534
|
||
3
|
프로필렌(Propylene, 115-07-1)
|
1,800
|
||
4
|
에틸렌(Ethylene, 74-85-1)
|
1,166
|
||
5
|
톨루엔(Toluene, 108-88-3)
|
1,065
|
||
6
|
1,3-부타디엔(1,3-Butadiene, 106-99-0)
|
141
|
||
수출
화학물질
|
1
|
황산(Sulfuric acid, 7664-93-9)
|
3,923
|
19,184
(15.3)
|
2
|
테레프탈산 p-Phthalic acid 100-21-0)
|
3,361
|
||
3
|
휘발유(Gasoline, 86290-81-5)
|
2,076
|
||
4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9002-88-4)
|
2,027
|
||
5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thylene propylene copolymer, 9010-79-1)
|
1,841
|
||
6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9003-07-0)
|
1,603
|
||
7
|
황(Sulfur, precipitated, sublimed or colloidal, 7704-34-9)
|
1,520
|
||
8
|
스티렌(Vinylbenzene; Styrene, Ethenylbenzene, 100-42-5)
|
1,141
|
||
9
|
ABS 수지(ABS resin, 9003-56-9)
|
914
|
||
10
|
메탄올(Methanol, 67-56-1)
|
779
|
붙임 4
|
|
질의응답
|
1. 화학물질 통계조사 목적은 무엇인가요?
|
○ 화학물질 취급업체의 화학물질 종류, 유통형태(제조, 보관, 저장, 사용, 수출, 수입) 등을 조사하여 화학물질 안전관리와 화학사고 예방․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2.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는 공개가 되나요?
|
○ 통계조사 결과는 공개를 원칙으로 하나, 국가안전 및 영업비밀 등의 사유로 공개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정보는 공개되지 않음
○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및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지정된 화학물질의 취급현황을 화학물질안전원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http://icis.me.go.kr/)’를 통해 공개하며, 그 외의 화학물질 취급현황은 공개청구가 있을 경우 청구자에게 공개함
- 다만, 화학물질정보공개 심의신청서를 제출하여 비공개를 요청한 정보일 경우에는 화학물질정보공개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친 후 공개여부를 결정함
3. 화학물질 통계조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어떻게 되나요?
|
○ 화학물질관리법 제35조제2항제2호에 따라 행정처분과 제64조제1항제2호에 따라 과태료(1,000만원 이하)가 부과됨
붙임 5
|
|
전문용어 설명
|
○ 화학물질
- 원소‧화합물 및 그에 인위적인 반응을 일으켜 얻어진 물질과 자연상태에서 존재하는 물질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거나 추출 또는 정제한 것을 말함
○ 유해화학물질
-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말함
○ 화학물질 취급
- 화학물질을 제조, 수입, 판매, 보관‧저장, 운반 또는 사용하는 것을 말함
○ 화학물질 유통량
- 국내에서 제조된 화학물질의 양(제조량)과 외국으로부터 수입된 화학물질의 양(수입량)을 합한 양에서 외국으로 수출된 양(수출량)을 뺀 양을 말함
* 유통량 = (제조량 + 수입량) - 수출량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달 말부터 은행에 ‘확정일자 확인’ 권한 부여 (0) | 2023.01.19 |
---|---|
국토부·우리은행·한국부동산원, 전세사기 방지를 위해 손 잡는다 (0) | 2023.01.18 |
2023년 2월 10일까지 면세사업자 사업장 현황신고 (1) | 2023.01.17 |
은마 아파트, 공금사용 부적정 등 위반사항 52건 적발 (0) | 2023.01.17 |
LGU+ 및 KT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관련 파기환송심 승소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