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기업활동조사 결과[요약]
|
□ 기업활동조사 대상 국내 기업수는 13,448개로 전년(13,429개) 대비 0.1% 증가
○ 조사대상 기업의 종사자수는 4,916천명으로 전년(4,713천명) 대비 4.3% 증가
□ 조사대상 기업(금융보험업 제외)의 총매출액은 2,760조원으로 전년(2,360조원) 대비 16.9% 증가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222.4조원으로 전년(97.7조원) 대비 127.6% 증가
○ 기업이 매출액 천원당 얻은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80.6원으로 전년(41.4원) 대비 39.2원 증가
□ 조사대상 기업 중 자회사 보유기업은 6,006개로 전년(5,823개) 대비 3.1% 증가
○ 국외 자회사 보유기업은 3,329개로 전년(3,313개) 대비 0.5% 증가
○ 국외 자회사는 중국(26.0%), 미국(14.4%), 베트남(11.9%) 등에 주로 분포
□ 연구개발비(금융보험업 제외)는 66.3조원으로 전년(60.2조원) 대비 10.2% 증가
□ 외부위탁 활용 기업은 9,821개로 전년(9,737개) 대비 0.9% 증가
○ 분야별로는 경비·청소·시설 관리(24.4%), 생산(17.6%), 운송·배송업무 (15.6%) 순으로 외부위탁 비중이 높음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개발 또는 활용 중인 기업은 1,925개로 전년(1,773개) 대비 8.6% 증가
○ 기업들이 주로 개발‧활용하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클라우드(22.5%), 빅데이터(18.9%), 인공지능(14.2%), 사물인터넷(13.3%) 등임
|
2021년 기업활동조사 결과
|
1. 기업수 및 종사자수
◇ 조사대상 기업수는 13,448개로 전년 대비 0.1% 증가
◇ 종사자수는 4,916천명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
- 상용근로자수는 전년 대비 2.3% 증가하였고, 상용근로자 비중은 87.6%로 전년 대비 1.7%p 감소
|
ㅇ 조사대상 기업수는 13,448개로 전년(13,429개) 대비 0.1%(19개) 증가
- 업종별로는 제조업은 6,155개로 전년(6,150개) 대비 0.1% 증가하였고, 건설업(5.6%), 전기가스업(2.9%), 금융보험업(2.2%) 등에서 증가
ㅇ 종사자수는 4,916천명으로 전년(4,713천명) 대비 4.3% 증가
- 상용근로자수는 4,306천명으로 운수․창고업, 전문과학기술업 등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2.3%(97천명) 증가
- 상용근로자 비중은 전체 종사자수의 87.6%으로 전년 대비 1.7%p 감소
<표1> 업종별 기업수 및 종사자수
|
(개, 천명, %)
|
|||||||||
산업분류
|
기업수
|
총종사자수
|
상용근로자수
|
|||||||
2020
|
2021
|
|
2020
|
2021(A)
|
|
2020
|
2021(B)
|
|
||
증감률
|
증감률
|
증감률
|
비중
(B/A*100)
|
|||||||
전산업
|
13,429
|
13,448
|
0.1
|
4,713
|
4,916
|
4.3
|
4,209
|
4,306
|
2.3
|
87.6
|
제조업
|
6,150
|
6,155
|
0.1
|
2,003
|
2,023
|
1.0
|
1,934
|
1,934
|
0.0
|
95.6
|
전기가스업
|
68
|
70
|
2.9
|
37
|
38
|
2.1
|
37
|
38
|
2.0
|
98.7
|
건설업
|
558
|
589
|
5.6
|
282
|
299
|
5.9
|
155
|
154
|
-0.8
|
51.5
|
도소매업
|
1,587
|
1,587
|
0.0
|
449
|
432
|
-3.7
|
406
|
405
|
-0.3
|
93.7
|
운수ㆍ창고업
|
726
|
698
|
-3.9
|
231
|
254
|
9.8
|
211
|
242
|
14.6
|
95.3
|
숙박 및 음식점업
|
359
|
345
|
-3.9
|
163
|
160
|
-1.7
|
133
|
132
|
-0.3
|
82.6
|
정보통신업
|
1,269
|
1,259
|
-0.8
|
342
|
339
|
-0.8
|
318
|
322
|
1.3
|
95.1
|
부동산업
|
292
|
290
|
-0.7
|
69
|
72
|
4.0
|
62
|
66
|
6.3
|
91.9
|
전문과학기술업
|
690
|
700
|
1.4
|
145
|
160
|
10.9
|
139
|
152
|
9.0
|
94.6
|
사업시설관리업
|
629
|
634
|
0.8
|
510
|
607
|
19.0
|
469
|
505
|
7.6
|
83.1
|
예술스포츠업
|
328
|
335
|
2.1
|
47
|
45
|
-2.7
|
32
|
31
|
-1.1
|
69.0
|
기타산업
|
412
|
417
|
1.2
|
72
|
75
|
3.0
|
57
|
62
|
7.8
|
82.8
|
금융보험업
|
361
|
369
|
2.2
|
363
|
412
|
13.3
|
256
|
263
|
2.8
|
63.9
|
2. 매출액 및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금융보험업 제외)
◇ 기업의 매출액은 2,760조원으로 전년 대비 16.9% 증가
◇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전년 대비 16.8% 증가
|
ㅇ 매출액은 2,760조원으로 전년(2,360조원) 대비 16.9% 증가
- 업종별로는 운수·창고업(36.2%), 제조업(19.5%), 예술스포츠업(17.8%), 전기가스업(15.9%), 정보통신업(13.9%) 등에서 증가
ㅇ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2,1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 증가
- 운수·창고업(41.7%), 제조업(19.4%), 숙박 및 음식점업(16.8%) 등에서 증가
<표2> 업종별 매출액/기업당 매출액
(조원, 억원, %)
|
||||||||
산업분류
|
매출액(조원)
|
기업당 매출액(억원)
|
||||||
2019
|
2020
|
2021
|
|
2019
|
2020
|
2021
|
|
|
증감률
|
증감률
|
|||||||
전산업
(금융보험업제외)
|
2,440
|
2,360
|
2,760
|
16.9
|
1,893
|
1,806
|
2,110
|
16.8
|
제조업
|
1,435
|
1,377
|
1,645
|
19.5
|
2,267
|
2,238
|
2,672
|
19.4
|
전기가스업
|
62
|
56
|
65
|
15.9
|
9,236
|
8,282
|
9,321
|
12.5
|
건설업
|
183
|
174
|
177
|
2.0
|
3,160
|
3,117
|
3,011
|
-3.4
|
도소매업
|
390
|
392
|
446
|
13.8
|
2,634
|
2,468
|
2,807
|
13.8
|
운수ㆍ창고업
|
100
|
90
|
123
|
36.2
|
1,339
|
1,241
|
1,758
|
41.7
|
숙박 및 음식점업
|
34
|
28
|
31
|
12.3
|
986
|
773
|
903
|
16.8
|
정보통신업
|
132
|
137
|
156
|
13.9
|
1,176
|
1,077
|
1,237
|
14.8
|
부동산업
|
15
|
15
|
15
|
0.1
|
573
|
525
|
529
|
0.8
|
전문과학기술업
|
32
|
38
|
41
|
8.0
|
554
|
546
|
581
|
6.5
|
사업시설관리업
|
34
|
34
|
37
|
9.3
|
540
|
544
|
591
|
8.5
|
예술스포츠업
|
9
|
7
|
8
|
17.8
|
289
|
216
|
249
|
15.4
|
기타산업
|
13
|
13
|
15
|
14.8
|
320
|
322
|
365
|
13.4
|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222.4조원으로 전년 대비 127.6% 증가
◇ 매출액 천원당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전년 대비 39.2원 증가
|
ㅇ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222.4조원으로 전년(97.7조원) 대비 127.6% 증가
- 업종별로는 제조업, 정보통신업, 운수․창고업 등에서 증가
ㅇ 매출액 천원당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80.6원으로 전년(41.4원) 대비 39.2원 증가
-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161.6원), 부동산업(139.7원) 등에서 다른 업종에 비해 매출액 천원당 순이익이 높게 나타남
<표3> 업종별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십억원, 원, %)
|
||||||||
산업분류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십억원)
|
매출액 천원당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원)
|
||||||
2019
|
2020(A)
|
2021(B)
|
|
2019
|
2020(C)
|
2021(D)
|
|
|
증감(B-A)
|
증감(D-C)
|
|||||||
전산업
(금융보험업제외)
|
101,708
|
97,693
|
222,354
|
124,661
|
41.7
|
41.4
|
80.6
|
39.2
|
제조업
|
63,982
|
61,532
|
143,603
|
82,071
|
44.6
|
44.7
|
87.3
|
42.6
|
전기가스업
|
3,171
|
3,342
|
1,744
|
-1,599
|
51.2
|
59.4
|
26.7
|
-32.6
|
건설업
|
9,376
|
9,976
|
13,032
|
3,056
|
51.3
|
57.4
|
73.5
|
16.1
|
도소매업
|
8,697
|
9,535
|
15,486
|
5,951
|
22.3
|
24.3
|
34.8
|
10.4
|
운수ㆍ창고업
|
-747
|
807
|
13,341
|
12,533
|
-7.5
|
9.0
|
108.7
|
99.8
|
숙박 및 음식점업
|
465
|
-3,660
|
67
|
3,727
|
13.6
|
-131.9
|
2.2
|
134.1
|
정보통신업
|
9,939
|
10,491
|
25,164
|
14,673
|
75.2
|
76.7
|
161.6
|
84.8
|
부동산업
|
1,945
|
1,515
|
2,143
|
628
|
125.7
|
98.9
|
139.7
|
40.8
|
전문과학기술업
|
1,948
|
2,829
|
4,428
|
1,599
|
60.0
|
75.1
|
108.9
|
33.7
|
사업시설관리업
|
1,173
|
907
|
1,210
|
303
|
34.5
|
26.5
|
32.3
|
5.8
|
예술스포츠업
|
1,033
|
-115
|
1,112
|
1,226
|
111.6
|
-16.2
|
133.3
|
149.5
|
기타산업
|
725
|
532
|
1,024
|
492
|
55.6
|
40.1
|
67.3
|
27.1
|

3. 국내 ․ 외 자회사 현황
◇ 조사대상 기업의 44.7%가 국내 또는 국외에 자회사1) 보유
◇ 국외 자회사의 진출지역은 아시아가 67.4% 차지
|
ㅇ 국내‧외 자회사 보유 기업은 6,006개로 전년 대비(5,823개) 3.1% 증가, 조사대상 전체 기업 대비 44.7% 비중으로 전년 대비 1.3%p 증가
ㅇ 국내 자회사를 보유한 기업은 4,602개로 전년 대비 3.9% 증가, 국외 자회사 보유 기업은 3,329개로 전년 대비 0.5% 증가
<표4> 자회사 보유 기업수
|
|
(개, %)
|
|||||||
산업분류
|
연도
|
기업수
|
자회사
|
|
|||||
국내 보유 기업수
|
국외 보유 기업수
|
||||||||
보유기업수
|
비중
|
||||||||
|
비중
|
|
비중
|
||||||
전산업
|
2020
|
13,429
|
5,823
|
43.4
|
4,430
|
76.1
|
3,313
|
56.9
|
|
2021
|
13,448
|
6,006
|
44.7
|
4,602
|
76.6
|
3,329
|
55.4
|
||
|
증감률
|
0.1
|
3.1
|
|
3.9
|
|
0.5
|
|
|
제조업
|
2020
|
6,150
|
3,093
|
50.3
|
2,054
|
66.4
|
2,196
|
71.0
|
|
2021
|
6,155
|
3,128
|
50.8
|
2,096
|
67.0
|
2,208
|
70.6
|
||
|
증감률
|
0.1
|
1.1
|
|
2.0
|
|
0.5
|
|
|
도소매업
|
2020
|
1,587
|
563
|
35.5
|
454
|
80.6
|
281
|
49.9
|
|
2021
|
1,587
|
580
|
36.5
|
468
|
80.7
|
277
|
47.8
|
||
|
증감률
|
0.0
|
3.0
|
|
3.1
|
|
-1.4
|
|
|
정보통신업
|
2020
|
1,269
|
618
|
48.7
|
546
|
88.3
|
254
|
41.1
|
|
2021
|
1,259
|
647
|
51.4
|
559
|
86.4
|
268
|
41.4
|
||
|
증감률
|
-0.8
|
4.7
|
|
2.4
|
|
5.5
|
|
ㅇ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 자회사는 15,238개로 전년 대비 7.9% 증가하였으며, 기업당 국내 자회사수는 3.3개로 전년(3.2개) 보다 증가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 전기가스업, 건설업 등에서 증가
ㅇ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국외 자회사는 9,586개로 전년 대비 0.7% 증가하였으며, 기업당 국외 자회사수는 2.9개로 전년과 동일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 정보통신업, 전기가스업 등에서 증가
<표5> 국내・외 자회사수
(개, %)
|
||||||||||||||
산업분류
|
국내 자회사
|
국외 자회사
|
||||||||||||
보유 기업수
|
자회사수
|
기업당
자회사수
|
보유 기업수
|
자회사수
|
기업당
자회사수
|
|||||||||
2020
|
2021
|
2020
|
2021
|
|
‘20
|
‘21
|
2020
|
2021
|
2020
|
2021
|
|
‘20
|
‘21
|
|
증감률
|
증감률
|
|||||||||||||
전산업
|
4,430
|
4,602
|
14,123
|
15,238
|
7.9
|
3.2
|
3.3
|
3,313
|
3,329
|
9,522
|
9,586
|
0.7
|
2.9
|
2.9
|
제조업
|
2,054
|
2,096
|
4,897
|
5,082
|
3.8
|
2.4
|
2.4
|
2,196
|
2,208
|
5,972
|
6,031
|
1.0
|
2.7
|
2.7
|
전기가스업
|
31
|
29
|
203
|
236
|
16.3
|
6.5
|
8.1
|
17
|
18
|
76
|
80
|
5.3
|
4.5
|
4.4
|
건설업
|
234
|
258
|
1,076
|
1,202
|
11.7
|
4.6
|
4.7
|
121
|
121
|
459
|
449
|
-2.2
|
3.8
|
3.7
|
도소매업
|
454
|
468
|
1,289
|
1,394
|
8.1
|
2.8
|
3.0
|
281
|
277
|
927
|
937
|
1.1
|
3.3
|
3.4
|
운수ㆍ창고업
|
178
|
186
|
505
|
507
|
0.4
|
2.8
|
2.7
|
63
|
62
|
343
|
346
|
0.9
|
5.4
|
5.6
|
숙박 및 음식점업
|
84
|
87
|
219
|
224
|
2.3
|
2.6
|
2.6
|
36
|
37
|
104
|
101
|
-2.9
|
2.9
|
2.7
|
정보통신업
|
546
|
559
|
1,939
|
2,111
|
8.9
|
3.6
|
3.8
|
254
|
268
|
669
|
708
|
5.8
|
2.6
|
2.6
|
부동산업
|
105
|
114
|
377
|
379
|
0.5
|
3.6
|
3.3
|
27
|
24
|
49
|
39
|
-20.4
|
1.8
|
1.6
|
전문과학기술업
|
209
|
226
|
613
|
584
|
-4.7
|
2.9
|
2.6
|
144
|
132
|
404
|
358
|
-11.4
|
2.8
|
2.7
|
그 외 기타산업
|
352
|
383
|
861
|
977
|
13.5
|
2.4
|
2.6
|
85
|
86
|
202
|
200
|
-1.0
|
2.4
|
2.3
|
금융보험업
|
183
|
196
|
2,144
|
2,542
|
18.6
|
11.7
|
13.0
|
89
|
96
|
317
|
337
|
6.3
|
3.6
|
3.5
|
ㅇ 국외 자회사의 진출지역은 아시아가 6,462개(67.4%)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북미와 유럽은 각각 1,450개(15.1%), 1,065개(11.1%) 수준
- 국가별로는 중국 2,495개(26.0%), 미국 1,376개(14.4%), 베트남 1,138개(11.9%) 순으로 분포
<표6> 국외 자회사 진출 국가
|
|
|
|
(개)
|
|||||||||
연도
|
아시아
|
북미
|
유럽
|
기타
국가
|
|||||||||
계
|
중국
|
베트남
|
일본
|
홍콩
|
그외
|
계
|
미국
|
캐나다
|
계
|
독일
|
그외
|
||
2019
|
6,449
|
2,623
|
1,085
|
417
|
331
|
1,993
|
1,271
|
1,199
|
72
|
984
|
164
|
820
|
591
|
2020
|
6,506
|
2,562
|
1,138
|
415
|
313
|
2,078
|
1,389
|
1,316
|
73
|
1,022
|
166
|
856
|
605
|
2021
|
6,462
|
2,495
|
1,138
|
422
|
298
|
2,109
|
1,450
|
1,376
|
74
|
1,065
|
177
|
888
|
609
|

4. 연구개발 현황 (금융보험업 제외)
◇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66.3조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
|
ㅇ 연구개발 기업수는 6,896개로 전년(6,228개) 대비 10.7% 증가하였고, 연구개발비는 66.3조원으로 전년 대비(60.2조원) 10.2% 증가
- 제조업의 연구개발비는 60.5조원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 기업당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0.8% 증가
ㅇ 연구개발기업의 기업당 매출액은 2,809억원으로 전년대비 11.8% 증가, 전체 기업당 매출액(2,110억원)의 1.3배 수준임
<표7> 연구개발비
(개, 십억원, %)
|
||||||||
산업분류
|
연도
|
조사대상 기업수
|
연구개발 기업수
|
연구
개발비
|
연구개발
기업당
연구개발비
|
|||
|
기업당매출액
|
|
기업당매출액
|
|||||
전산업
(금융보험업제외)
|
2020
|
13,068
|
180.6
|
6,228
|
251.2
|
60,204
|
9.7
|
|
2021
|
13,079
|
211.0
|
6,896
|
280.9
|
66,316
|
9.6
|
||
|
증감률
|
0.1
|
16.8
|
10.7
|
11.8
|
10.2
|
-1.0
|
|
제조업
|
2020
|
6,150
|
223.8
|
4,543
|
259.9
|
55,538
|
12.2
|
|
2021
|
6,155
|
267.2
|
4,897
|
296.8
|
60,465
|
12.3
|
||
|
증감률
|
0.1
|
19.4
|
7.8
|
14.2
|
8.9
|
0.8
|
◇ 최근 16년간 존속기업2) 중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비를 투자한
기업의 기업당 매출액은 조사대상 전체 기업의 3.1배 수준
|
ㅇ 최근 16년간(‘06~‘21년) 존속기업은 5,077개로 조사대상의 38.8%이며, 이들의 기업당 매출액은 조사대상 전체 기업당 매출액의 1.8배 수준
ㅇ 최근 16년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한 기업의 기업당 매출액은 조사대상 전체 기업당 매출액의 3.1배 수준
<표8> 주요 업종별 연구개발비(최근 16년간 존속기업 대상)
(개, 십억원)
|
||||||||
산업분류
|
‘21년 조사대상 기업수
|
16년간 존속기업수
|
16년간 연구개발 투자기업수
|
|||||
|
기업당
매출액(A)
|
|
기업당
매출액(B)
|
|
|
기업당
매출액(C)
|
|
|
(B/A)
|
(C/A)
|
|||||||
전산업
(금융보험업제외)
|
13,079
|
211.0
|
5,077
|
382.2
|
1.8
|
1,967
|
657.9
|
3.1
|
제조업
|
6,155
|
267.2
|
2,891
|
428.2
|
1.6
|
1,600
|
667.1
|
2.5
|
건설업
|
589
|
301.1
|
198
|
663.9
|
2.2
|
53
|
1,760.9
|
5.8
|
도소매업
|
1,587
|
280.7
|
432
|
543.3
|
1.9
|
48
|
232.9
|
0.8
|
정보통신업
|
1,259
|
123.7
|
392
|
268.7
|
2.2
|
119
|
626.3
|
5.1
|
그 외 기타산업
|
3,489
|
96.3
|
1,164
|
198.6
|
2.1
|
147
|
325.2
|
3.4
|
5. 기업의 경영전략 현황
가. 외부위탁
◇ 기업 내부업무를 국내 또는 국외 전문업체에 위탁·처리하는 기업은 9,821개로 전년 대비 0.9% 증가
|
ㅇ 업무수행의 효율화를 위해 일부 업무를 국내 또는 국외 전문업체에 위탁한 기업수는 9,821개로 전년(9,737개) 대비 0.9% 증가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9.3%), 부동산업(8.5%), 도소매업(4.2%) 등에서 증가
ㅇ 외부위탁한 기업 비중은 전체 기업 대비 73.0%로 전년(72.5%) 대비 0.5%p 증가
- 업종별로는 제조업(83.2%), 금융보험업(69.9%) 순으로 비중이 높음
<표9> 외부위탁 기업수
(개, %)
|
||||||
산업분류
|
외부위탁 기업수 (복수응답)
|
외부위탁 비율
|
||||
2020
|
2021
|
|
2020
|
2021
|
|
|
증감률
|
증감률
|
|||||
전산업
|
9,737
|
9,821
|
0.9
|
72.5
|
73.0
|
0.5
|
제조업
|
5,122
|
5,122
|
0.0
|
83.3
|
83.2
|
-0.1
|
건설업
|
363
|
366
|
0.8
|
65.1
|
62.1
|
-3.0
|
도소매업
|
1,061
|
1,106
|
4.2
|
66.9
|
69.7
|
2.8
|
운수ㆍ창고업
|
384
|
366
|
-4.7
|
52.9
|
52.4
|
-0.5
|
숙박 및 음식점업
|
220
|
228
|
3.6
|
61.3
|
66.1
|
4.8
|
정보통신업
|
868
|
865
|
-0.3
|
68.4
|
68.7
|
0.3
|
부동산업
|
165
|
179
|
8.5
|
56.5
|
61.7
|
5.2
|
그 외 기타산업
|
1,318
|
1,331
|
1.0
|
62.0
|
61.7
|
-0.3
|
금융보험업
|
236
|
258
|
9.3
|
65.4
|
69.9
|
4.5
|
ㅇ 분야별로는 경비·청소·시설 관리(24.4%), 생산(17.6%), 운송·배송업무(15.6%) 순으로 외부위탁 비중이 높음
<표10> 분야별 외부위탁 현황
|
|
|
(개, %)
|
|||||||||||
연도
|
외부위탁
기업수
|
계
|
외부위탁 분야 (복수응답)
|
|||||||||||
생산
|
정보
처리
|
디자인
제품
기획
|
조사·
마케팅
|
연구
개발
|
운송
배송
|
경비
청소
시설
|
인사
노무
|
재무
회계
법무
|
교육·
연구
|
복리
후생
등
|
||||
2020
|
9,737
|
20,897
|
3,779
|
1,005
|
722
|
739
|
810
|
3,614
|
4,779
|
1,187
|
2,234
|
1,004
|
1,024
|
|
2021
|
9,821
|
20,770
|
3,660
|
1,007
|
746
|
745
|
819
|
3,246
|
5,060
|
1,324
|
2,170
|
1,078
|
915
|
|
|
비중
|
|
100.0
|
17.6
|
4.8
|
3.6
|
3.6
|
3.9
|
15.6
|
24.4
|
6.4
|
10.4
|
5.2
|
4.4
|
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개발·활용 현황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개발 또는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1,925개로 전년 대비 8.6% 증가
|
ㅇ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개발 또는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1,925개로 전년(1,773개) 대비 8.6% 증가
-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업, 부동산업, 전기가스업 등에서 증가
<표11>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개발・활용) 기업수
(개, %)
|
||||||||||||
연도
|
계
|
제조업
|
전기 가스업
|
건설업
|
도
소매업
|
운수ㆍ
창고업
|
숙박
음식업
|
정보
통신업
|
부동산업
|
그 외 기타산업
|
금융
보험업
|
|
2020
|
1,773
|
661
|
11
|
42
|
162
|
42
|
14
|
553
|
9
|
188
|
91
|
|
2021
|
1,925
|
747
|
13
|
41
|
188
|
40
|
22
|
577
|
11
|
188
|
98
|
|
|
증감률
|
8.6
|
13.0
|
18.2
|
-2.4
|
16.0
|
-4.8
|
57.1
|
4.3
|
22.2
|
0.0
|
7.7
|
ㅇ 주로 개발·활용 중인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클라우드(22.5%), 빅데이터(18.9%), 인공지능(14.2%), 사물인터넷(13.3%) 순으로 비중이 높음
<표12>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개발・활용) 분야별 기업수
|
(개, %)
|
|||||||||||
연도
|
기업수
|
계
|
활용분야 (복수응답)
|
|||||||||
사물
인터넷
|
클라
우드
|
빅
데이터
|
모바일
(5G)
|
인공
지능
|
블록
체인
|
3D
프린팅
|
로봇
공학
|
가상
증강현실
|
||||
2020
|
1,773
|
3,535
|
469
|
816
|
676
|
361
|
473
|
129
|
193
|
230
|
188
|
|
2021
|
1,925
|
3,798
|
504
|
853
|
719
|
372
|
539
|
155
|
191
|
248
|
217
|
|
|
비중
|
|
100.0
|
13.3
|
22.5
|
18.9
|
9.8
|
14.2
|
4.1
|
5.0
|
6.5
|
5.7
|
ㅇ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활용단계는 제품・서비스 개발(50.5%), 생산공정(15.0%), 판매목적(13.9%), 마케팅전략(10.4%) 순으로 비중이 높음
<표13>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개발・활용) 단계별 기업수
|
(개, %)
|
|||||||
연도
|
기업수
|
계
|
활용단계 (복수응답)
|
|||||
제품・서비스 개발
|
생산공정
|
판매목적
|
마케팅전략
|
조직관리
|
||||
2020
|
1,773
|
3,415
|
1,787
|
452
|
356
|
416
|
404
|
|
2021
|
1,925
|
3,652
|
1,846
|
546
|
507
|
381
|
372
|
|
|
비중
|
|
100.0
|
50.5
|
15.0
|
13.9
|
10.4
|
10.2
|
다. 신규사업 진출
◇ 2021년 1년 동안 신규사업에 진출한 기업은 410개이고, 이 중 제조업이 52.2%로 큰 비중 차지
|
ㅇ 신규사업에 진출한 기업수는 조사대상 기업(13,448개) 중 410개로 3.0% 비중이며, 전년(2.4%)에 비해 0.6%p 증가
- 업종별 비중은 제조업(52.2%), 정보통신업(14.4%), 도소매업(8.3%) 순임
<표14> 신규사업 진출 기업수
(개, %)
|
|||||||||||||
연도
|
기업수
|
신규사업 진출 기업수
|
|||||||||||
소계
|
제조업
|
전기
가스업
|
건설업
|
도
소매업
|
운수ㆍ
창고업
|
숙박
음식업
|
정보
통신업
|
부동산업
|
그 외 기타산업
|
금융
보험업
|
|||
2020
|
13,429
|
327
|
182
|
4
|
9
|
22
|
8
|
7
|
52
|
1
|
35
|
7
|
|
|
비중
|
|
100.0
|
55.7
|
1.2
|
2.8
|
6.7
|
2.4
|
2.1
|
15.9
|
0.3
|
10.7
|
2.1
|
2021
|
13,448
|
410
|
214
|
6
|
11
|
34
|
6
|
6
|
59
|
7
|
57
|
10
|
|
|
비중
|
|
100.0
|
52.2
|
1.5
|
2.7
|
8.3
|
1.5
|
1.5
|
14.4
|
1.7
|
13.9
|
2.4
|
ㅇ 신규사업 진출 단계로는 판매(48.0%), R&D(22.9%), 설비건설(18.5%), 아이디어 기획(10.5%) 순으로 나타남
ㅇ 신규사업 진출 형태로는 자체 개발(67.4%), 인수(16.8%), 공동투자(15.8%) 순으로 나타남
<표15> 진출단계 및 형태별 신규사업 현황
(개, %)
|
|||||||||||
연도
|
신규사업
진출
기업수
|
진출단계 (복수응답)
|
진출형태 (복수응답)
|
||||||||
계
|
아이디어
기획
|
R&D
|
설비
건설
|
판매
|
계
|
인수
|
공동
투자
|
자체
개발
|
|||
2020
|
327
|
375
|
32
|
104
|
74
|
165
|
375
|
55
|
57
|
263
|
|
|
비중
|
|
100.0
|
8.5
|
27.7
|
19.7
|
44.0
|
100.0
|
14.7
|
15.2
|
70.1
|
2021
|
410
|
475
|
50
|
109
|
88
|
228
|
475
|
80
|
75
|
320
|
|
|
비중
|
|
100.0
|
10.5
|
22.9
|
18.5
|
48.0
|
100.0
|
16.8
|
15.8
|
67.4
|
라. 주력사업 운영 변동
◇ 2021년 1년 동안 주력사업 운영에 변동이 있는 기업은 806개로 전년대비 7.5% 증가
|
ㅇ 주력사업의 운영에 변동이 있는 기업은 806개로 전년(750개) 대비 7.5% 증가
- 주력사업의 이전 149개와 확장 354개로 전년 대비 각각 53.6%, 10.6% 증가하였고, 축소는 303개로 전년 대비 9.0% 감소
- 업종별로는 제조업 379개(비중 47.0%), 도소매업 102개(비중 12.7%) 순으로 나타남
ㅇ 주력사업의 이전 기업(149개)의 주된 이유로는 임대계약 종료·환경개선(43.6%), 새로운 판로개척(22.8%), 생산비용 절감(9.4%) 순으로 나타남
ㅇ 주력사업의 축소 기업(303개)의 주된 이유로는 국내외 경기불황(43.9%), 구조조정 또는 전략적 축소(24.8%), 사업환경 악화(10.2%) 순으로 나타남
<표16> 주력사업 운영 변동
(개, %)
|
||||||
연도별/
산업분류
|
기업수
|
주력사업 변동
|
||||
계
|
이전
|
축소
|
확장
|
|||
2020
|
13,429
|
750
|
97
|
333
|
320
|
|
2021
|
13,448
|
806
|
149
|
303
|
354
|
|
|
증감률
|
0.1
|
7.5
|
53.6
|
-9.0
|
10.6
|
제조업
|
6,155
|
379
|
57
|
122
|
200
|
|
도소매업
|
1,587
|
102
|
20
|
40
|
42
|

마. 전략적 제휴
◇ 기업 간 전략적 제휴를 맺은 기업은 942개로 전년(919개) 대비 2.5% 증가
|
ㅇ 업종별로는 제조업(39.8%), 정보통신업(19.1%), 도소매업(10.7%), 전문과학기술업(9.4%) 등에서 전략적 제휴가 높게 나타남
<표17> 전략적 제휴 기업수
(개, %)
|
|||||||||
연도
|
기업수
|
전략적
제휴기업수
|
제조업
|
도소매업
|
정보통신업
|
전문과학
기술업
|
그 외 기타산업
|
금융보험업
|
|
2020
|
13,429
|
919
|
389
|
86
|
190
|
86
|
130
|
38
|
|
2021
|
13,448
|
942
|
375
|
101
|
180
|
89
|
149
|
48
|
|
|
비중
|
|
100.0
|
39.8
|
10.7
|
19.1
|
9.4
|
15.8
|
5.1
|
ㅇ 제휴 대상은 국내동종기업(50.7%), 국내주거래기업(41.2%), 국외동종기업 (27.6%)이 다수를 차지하고, 제휴 분야는 공동마케팅(47.7%), 공동기술개발(46.3%), 기술제휴(46.1%) 분야에서 다수를 차지함
<표18> 전략적 제휴 대상
(개)
|
||||||
연도
|
전략적
제휴기업수
|
제휴 대상 (복수응답)
|
||||
국내
주거래기업
|
국내
동종기업
|
국내
이종기업
|
국외
동종기업
|
국외
이종기업
|
||
2020
|
919
|
397
|
457
|
186
|
254
|
53
|
2021
|
942
|
388
|
478
|
237
|
260
|
49
|
<표19> 전략적 제휴 형태
(개)
|
||||||||
연도
|
전략적 제휴기업수
|
제휴 형태 (복수응답)
|
||||||
공동
마케팅
|
공동
기술개발
|
기술제휴
|
공동투자
|
공동생산
|
공동
브랜드
|
상호
주식교환
|
||
2020
|
919
|
449
|
434
|
421
|
112
|
149
|
108
|
39
|
2021
|
942
|
449
|
436
|
434
|
126
|
149
|
127
|
60
|

바. 성과보상 관리제도
◇ 성과보상 관리제도 중 하나라도 도입·운영하는 기업은 85.7% (11,530개)로 전년 대비 0.6%p 증가
|
ㅇ 연봉제를 도입·운영하는 기업수는 77.9%(10,479개)로 전년과 동일 비중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92.4%), 정보통신업(89.3%), 전문과학기술업(86.9%), 도소매업(82.7%) 순으로 연봉제 도입 비중이 높음
ㅇ 성과급을 지급하는 기업은 66.7%(8,966개)로 전년대비 0.8%p 증가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93.0%), 전기가스업(85.7%), 도소매업(74.9%) 순으로 성과급제도 도입 비중이 높음
ㅇ 스톡옵션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11.2%(1,500개)로 전년대비 0.3%p 증가
-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26.1%), 전문과학기술업(20.0%), 금융보험업(18.4%), 교육서비스업(12.5%) 순으로 스톡옵션제도 도입 비중이 높음
ㅇ 우리사주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11.7%(1,573개)로 전년보다 0.2%p 증가
-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32.2%), 정보통신업(17.5%), 전문과학기술업(14.1%), 제조업(13.8%) 순으로 우리사주제도 도입 비중이 높음
<표20> 연도별 성과보상 관리제 도입 기업수
(개, %, %p)
|
|||||||||
구 분
|
2019
|
2020
|
2021
|
||||||
|
비중
|
|
비중
|
|
증감률
|
비중
|
비중차
|
||
기업수
|
13,255
|
100.0
|
13,429
|
100.0
|
13,448
|
0.1
|
100.0
|
0.0
|
|
도입기업수
|
11,245
|
84.8
|
11,430
|
85.1
|
11,530
|
0.9
|
85.7
|
0.6
|
|
종
류*
|
연봉제
|
10,230
|
77.2
|
10,460
|
77.9
|
10,479
|
0.2
|
77.9
|
0.0
|
성과급
|
8,636
|
65.2
|
8,841
|
65.8
|
8,966
|
1.4
|
66.7
|
0.8
|
|
스톡옵션
|
1,253
|
9.5
|
1,455
|
10.8
|
1,500
|
3.1
|
11.2
|
0.3
|
|
우리사주
|
1,498
|
11.3
|
1,543
|
11.5
|
1,573
|
1.9
|
11.7
|
0.2
|
* 복수응답
참고
|
최근 2년 연속기업3) 의 사업실적 추이 비교
|
□ 최근 2년 연속기업의 사업실적 추이 비교 개요
ㅇ 기업활동조사는 매년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을 조사하므로 조사항목별 증감은 연속기업 뿐만 아니라, 조사대상의 신규진입 및 탈락 등의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
ㅇ 따라서 조사대상 기업의 진입 및 탈락 요인을 제거하여 순수한 증감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속기업만을 대상으로 주요 변수 추이 분석
□ 연속기업의 매출액과 순이익 추이
ㅇ 최근 2개년(‘20~’21) 연속 기업의 ‘21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6.8% 증가, 순이익은 132.5% 증가하여 조사대상 전체기업과 유사한 추이를 보임
<표21> 최근 2개년 연속기업 주요 지표 현황
(개, 조원, %)
구 분
|
기 업 수
(금융보험업 제외)
|
매 출 액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
|
증감률
|
|
증감률
|
||
전체기업
|
13,079
|
2,760
|
16.9
|
222.4
|
127.6
|
연속기업
|
12,348
|
2,714
|
16.8
|
220.4
|
132.5
|
ㅇ 연속기업의 증감률이 전반적으로 조사대상 기업과 유사한 흐름을 나타냄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법인 등기사항증명서도 스마트폰에 담긴다 (0) | 2022.12.16 |
---|---|
2021회계연도 일반정부/공공부문 부채 집계결과 발표 (0) | 2022.12.16 |
2021년 건설업조사 결과 [기업실적 부문] 보도자료 (1) | 2022.12.15 |
부동산·법인 등기사항증명서도 스마트폰에 담긴다 (0) | 2022.12.15 |
행정안전부, 2022년 전국 지역안전지수 공표 (0) | 2022.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