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상반기, 전국 124개 지자체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26,788명 배정
2022.12.14 법무부
2023년도 상반기, 전국 124개 지자체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26,788명 배정
|
□ 정부는 2022. 12. 8.(목)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심사협의회’를 개최하여 2023년도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 규모를 확정하고 농‧어업 분야 인력난 해소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습니다.
❍ 이번 협의회를 통해 2023년도 상반기 전국 124개 지자체에 총 26,788명을 배정하였으며, 이는 올해 상반기 배정한 인원 12,330명보다 2.2배 많은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 상세 인원은 [붙임1] 참조
- 올해에는 전국 114개 지자체에 19,718명의 계절근로자를 배정하였고 실제로는 98개 지자체에 11,342명*(11.30.기준)이 참여하여 농‧어촌의 일손을 돕고 있습니다.
-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입국이 제한되었던 ’21년도(48개 지자체, 1,850명 참여)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농‧어촌 인력난 해소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해외 입국 계절근로자 10,028명, 국내 체류 참여자 1,314명(11.30. 기준)
❍ 한편, 이번 협의회에서는 해양수산부의 건의에 따라 가리비 종패 투입시기(2월~5월), 출하기(7월~11월)의 계절성을 고려하여 경상남도 고성군의 소규모 양식 사업장(5㏊ 미만)에도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또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이탈과 관련하여 이탈률이 가장 높은 A국가는 국내 모든 지자체에 업무협약(MOU) 방식을 통한 계절근로자 송출을 내년부터 3년간 제한하고, 그 외에도 이탈률이 높은 B국가의 4개 지자체, C국가의 1개 지자체, D국가의 1개 지자체 등 일부 해외 지자체에 대해서는 1년간 국내 송출을 제한하기로 하였습니다.
❍ 다만, 업무협약(MOU)방식을 통한 송출이 제한되더라도 이탈률이 낮고 농어가의 만족도가 높은 결혼이민자 가족․친척 초청 방식, 국내 합법체류자 참여 및 성실 근로자의 재입국은 허용하여 농어가의 인력부족 문제를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치 방식>
|
|
|
|
|
(해외입국) ①국내 기초지자체와 외국 기초지자체 간 업무협약(MOU) ②결혼이민자 가족‧친척
(국내체류) ③합법 체류 중인 사람(유학 등 9개 체류자격)
|
□ 앞으로도 정부는 국내 지자체와의 협업과 소통을 강화하여 일손이 필요한 농‧어촌에서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원활하게 고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 아울러 정기적인 실태조사, 인권침해 예방 교육 등을 실시하여 계절근로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이탈률이 높은 해외 지자체에 대해서는 제재를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 붙임 1. 2023년 상반기 지자체별 계절근로자 배정 결과
2. 2023년 주요 변경 사항
붙임 1
|
|
2023년 상반기 지자체별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 결과
|
지 자 체
|
농 업
|
어 업
|
합 계
|
||||
광 역
|
시‧군
|
고용주
|
근로자
|
고용주
|
근로자
|
고용주
|
근로자
|
11개 광역
|
124개 시‧군
|
7,154
|
24,418
|
620
|
2,370
|
7,774
|
26,788
|
강원도
|
강릉시
|
19
|
70
|
|
|
19
|
70
|
삼척시
|
36
|
120
|
|
|
36
|
120
|
|
양구군
|
208
|
727
|
|
|
208
|
727
|
|
영월군
|
44
|
129
|
|
|
44
|
129
|
|
원주시
|
6
|
35
|
|
|
6
|
35
|
|
인제군
|
157
|
530
|
|
|
157
|
530
|
|
정선군
|
80
|
292
|
|
|
80
|
292
|
|
철원군
|
191
|
741
|
|
|
191
|
741
|
|
춘천시
|
127
|
334
|
|
|
127
|
334
|
|
태백시
|
28
|
111
|
|
|
28
|
111
|
|
평창군
|
152
|
628
|
|
|
152
|
628
|
|
홍천군
|
407
|
1581
|
|
|
407
|
1581
|
|
화천군
|
106
|
257
|
|
|
106
|
257
|
|
횡성군
|
206
|
870
|
|
|
206
|
870
|
|
소계
|
1,767
|
6,425
|
0
|
0
|
1,767
|
6,425
|
|
경기도
|
고양시
|
15
|
47
|
|
|
15
|
47
|
광명시
|
8
|
17
|
|
|
8
|
17
|
|
광주시
|
8
|
15
|
|
|
8
|
15
|
|
김포시
|
1
|
2
|
|
|
1
|
2
|
|
남양주시
|
2
|
4
|
|
|
2
|
4
|
|
안산시
|
5
|
15
|
|
|
5
|
15
|
|
안성시
|
12
|
26
|
|
|
12
|
26
|
|
양주시
|
82
|
290
|
|
|
82
|
290
|
|
양평군
|
23
|
66
|
|
|
23
|
66
|
|
여주시
|
24
|
139
|
|
|
24
|
139
|
|
연천군
|
53
|
167
|
|
|
53
|
167
|
|
용인시
|
12
|
26
|
|
|
12
|
26
|
|
이천시
|
37
|
140
|
|
|
37
|
140
|
|
파주시
|
23
|
137
|
|
|
23
|
137
|
|
평택시
|
28
|
83
|
|
|
28
|
83
|
|
화성시
|
13
|
37
|
|
|
13
|
37
|
|
소계
|
346
|
1,211
|
0
|
0
|
346
|
1,211
|
|
경상남도
|
거창군
|
77
|
282
|
|
|
77
|
282
|
김해시
|
9
|
29
|
|
|
9
|
29
|
|
남해군
|
1
|
5
|
12
|
78
|
13
|
83
|
|
밀양시
|
104
|
204
|
|
|
104
|
204
|
|
사천시
|
21
|
51
|
|
|
21
|
51
|
|
산청군
|
45
|
111
|
|
|
45
|
111
|
|
의령군
|
39
|
93
|
|
|
39
|
93
|
|
진주시
|
46
|
152
|
|
|
46
|
152
|
|
창녕군
|
78
|
188
|
|
|
78
|
188
|
|
창원시
|
11
|
32
|
|
|
11
|
32
|
|
통영시
|
|
|
8
|
68
|
8
|
68
|
|
하동군
|
80
|
218
|
|
|
80
|
218
|
|
함안군
|
14
|
45
|
|
|
14
|
45
|
|
함양군
|
38
|
146
|
|
|
38
|
146
|
|
합천군
|
36
|
132
|
|
|
36
|
132
|
|
소계
|
599
|
1,688
|
20
|
146
|
619
|
1,834
|
|
경상북도
|
경주시
|
29
|
54
|
|
|
29
|
54
|
고령군
|
49
|
120
|
|
|
49
|
120
|
|
군위군
|
21
|
64
|
|
|
21
|
64
|
|
김천시
|
33
|
100
|
|
|
33
|
100
|
|
문경시
|
33
|
150
|
|
|
33
|
150
|
|
봉화군
|
134
|
718
|
|
|
134
|
718
|
|
상주시
|
211
|
954
|
|
|
211
|
954
|
|
성주군
|
306
|
625
|
|
|
306
|
625
|
|
안동시
|
46
|
204
|
|
|
46
|
204
|
|
영덕군
|
17
|
41
|
|
|
17
|
41
|
|
영양군
|
200
|
830
|
|
|
200
|
830
|
|
영주시
|
65
|
197
|
|
|
65
|
197
|
|
영천시
|
44
|
127
|
|
|
44
|
127
|
|
예천군
|
57
|
179
|
|
|
57
|
179
|
|
의성군
|
78
|
225
|
|
|
78
|
225
|
|
청송군
|
106
|
627
|
|
|
106
|
627
|
|
칠곡군
|
7
|
29
|
|
|
7
|
29
|
|
포항시
|
29
|
70
|
|
|
29
|
70
|
|
소계
|
1,465
|
5,314
|
0
|
0
|
1,465
|
5,314
|
|
부 산
|
기장군
|
|
|
23
|
62
|
23
|
62
|
세 종
|
|||||||
세종시
|
13
|
24
|
|
|
13
|
24
|
|
전라남도
|
|||||||
강진군
|
8
|
18
|
1
|
3
|
9
|
21
|
|
고흥군
|
62
|
225
|
14
|
86
|
76
|
311
|
|
곡성군
|
14
|
38
|
|
|
14
|
38
|
|
광양시
|
12
|
33
|
|
|
12
|
33
|
|
나주시
|
52
|
205
|
|
|
52
|
205
|
|
담양군
|
56
|
113
|
|
|
56
|
113
|
|
무안군
|
15
|
54
|
|
|
15
|
54
|
|
보성군
|
60
|
280
|
|
|
60
|
280
|
|
순천시
|
19
|
53
|
|
|
19
|
53
|
|
신안군
|
59
|
112
|
30
|
82
|
89
|
194
|
|
영광군
|
25
|
88
|
|
|
25
|
88
|
|
영암군
|
45
|
220
|
|
|
45
|
220
|
|
완도군
|
1
|
5
|
298
|
1004
|
299
|
1009
|
|
장성군
|
22
|
60
|
|
|
22
|
60
|
|
장흥군
|
10
|
22
|
19
|
51
|
29
|
73
|
|
진도군
|
33
|
134
|
61
|
143
|
94
|
277
|
|
함평군
|
73
|
265
|
|
|
73
|
265
|
|
해남군
|
50
|
266
|
48
|
130
|
98
|
396
|
|
화순군
|
24
|
83
|
|
|
24
|
83
|
|
소계
|
640
|
2,274
|
471
|
1,499
|
1,111
|
3,773
|
|
전라북도
|
고창군
|
150
|
776
|
|
|
150
|
776
|
군산시
|
6
|
11
|
|
|
6
|
11
|
|
김제시
|
27
|
79
|
|
|
27
|
79
|
|
남원시
|
100
|
250
|
|
|
100
|
250
|
|
무주군
|
87
|
321
|
|
|
87
|
321
|
|
부안군
|
17
|
60
|
|
|
17
|
60
|
|
순창군
|
16
|
36
|
|
|
16
|
36
|
|
완주군
|
64
|
156
|
|
|
64
|
156
|
|
익산시
|
35
|
119
|
|
|
35
|
119
|
|
임실군
|
48
|
133
|
|
|
48
|
133
|
|
장수군
|
82
|
174
|
|
|
82
|
174
|
|
정읍시
|
40
|
150
|
|
|
40
|
150
|
|
진안군
|
119
|
395
|
|
|
119
|
395
|
|
소계
|
791
|
2,660
|
0
|
0
|
791
|
2,660
|
|
제주특별
자치도
|
서귀포시
|
51
|
132
|
|
|
51
|
132
|
제주시
|
51
|
135
|
|
|
51
|
135
|
|
소계
|
102
|
267
|
0
|
0
|
102
|
267
|
|
충청남도
|
공주시
|
82
|
252
|
|
|
82
|
252
|
금산군
|
108
|
336
|
|
|
108
|
336
|
|
논산시
|
104
|
311
|
|
|
104
|
311
|
|
당진시
|
59
|
278
|
4
|
7
|
63
|
285
|
|
보령시
|
13
|
35
|
52
|
364
|
65
|
399
|
|
부여군
|
101
|
255
|
|
|
101
|
255
|
|
서산시
|
34
|
92
|
|
|
34
|
92
|
|
서천군
|
|
|
34
|
197
|
34
|
197
|
|
아산시
|
26
|
194
|
|
|
26
|
194
|
|
예산군
|
37
|
166
|
|
|
37
|
166
|
|
천안시
|
11
|
23
|
|
|
11
|
23
|
|
청양군
|
48
|
160
|
|
|
48
|
160
|
|
태안군
|
40
|
154
|
16
|
95
|
56
|
249
|
|
홍성군
|
38
|
147
|
|
|
38
|
147
|
|
소계
|
701
|
2,403
|
106
|
663
|
807
|
3,066
|
|
충청북도
|
괴산군
|
74
|
238
|
|
|
74
|
238
|
단양군
|
66
|
232
|
|
|
66
|
232
|
|
보은군
|
68
|
125
|
|
|
68
|
125
|
|
영동군
|
95
|
204
|
|
|
95
|
204
|
|
옥천군
|
71
|
203
|
|
|
71
|
203
|
|
음성군
|
146
|
548
|
|
|
146
|
548
|
|
제천시
|
39
|
80
|
|
|
39
|
80
|
|
증평군
|
2
|
10
|
|
|
2
|
10
|
|
진천군
|
90
|
289
|
|
|
90
|
289
|
|
청주시
|
37
|
89
|
|
|
37
|
89
|
|
충주시
|
42
|
134
|
|
|
42
|
134
|
|
소계
|
730
|
2,152
|
0
|
0
|
730
|
2,152
|
붙임 2
|
|
2023년 변경되는 주요 내용
|
❍ 어업 분야 허용업종 확대
- 해조류 양식 전국 확대, 굴 선별·세척·까기·포장 분야까지 허용
❍ 업무협약(MOU) 방식 계절근로자의 연령 요건 변경
- (기존) 만 30세~55세 이하 → (개선) 만 25세~50세 이하
※ 성실근로자 재입국 시 연령 상한 제한은 없음
❍ 공공 계절근로 파견사업자를 통한 간접고용 방식 폐지
-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 확대(’22년 5개소 ⇒ ’23년 9개소 이상 예정)
※ ’23년 예산안이 확정되는 대로 공공형 사업대상자와 배정 인원 확정 예정
❍ 해외 지자체 귀국보증금 예치 제도 폐지
- 무단 이탈 방지를 위한 귀국보증금 예치 및 본국 재산 추징 제도 폐지
❍ 우수지자체의 계절근로자 고용허용 인원 확대 및 제출서류 간소화
- 현행 농어가당 최대 9명을 고용할 수 있으며, 우수지자체는 최대 5명을 추가 고용할 수 있고, 농·어업 종사 이력이 없는 계절근로자의 유치도 허용
❍ 근무처 변경 수수료 면제
- (기존) 수수료 6만원 → (개선) 수수료 면제
❍ 근무처 변경 허가 위반자 처리기준 마련
- 고용주 귀책 등 정당한 사유로 농어가를 이동하였으나 사전에 근무처변경허가를 받지 않은 「출입국관리법」제21조 최초 위반자에 한해 범칙금 면제
❍ 숙식비 공제 세부기준 마련
- 숙소 시설 종류 및 숙식 제공 유무에 따라 최대 8 ~ 20% 범위 내 공제
❍ 무단 이탈 발생 외국 지자체·국가 제재기준 세분화
- ① 20% 이상 이탈 시 외국 지자체는 국내 모든 지자체에 1년간 인력송출 제한, ② 50% 이상 이탈 시 해당 국가(전체)는 국내 모든 지자체에 1년간 인력송출 제한, ③ 70% 이상 이탈 시 해당 국가(전체)는 국내 모든 지자체에 3년간 인력송출 제한
※ 단, 성실 근로자의 재입국 및 결혼이민자의 가족·친척 초청은 허용
❍ 성실 근로자 인정 및 재입국 기준 명확화
- 계절근로자의 국내 입국일로부터 재입국 추천일까지 정상 체류한 기간을 근로일수로 인정, 이탈률이 높은 제재 대상 해외 지자체나 국가의 경우에도 성실근로자 재입국은 허용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확대 시행(2023.1.1.부터 가전제품 수리업 등 17개 업종을 의무발행업종에 추가) (0) | 2022.12.14 |
---|---|
2022년 11월 정보통신기술 수출입 동향 (0) | 2022.12.14 |
디지털콘텐츠계약법 도입합니다 (0) | 2022.12.14 |
겨울방학 선물, 「디지털 새싹* 캠프」가 열립니다. (0) | 2022.12.14 |
과기정통부, 국산 인공지능반도체를 활용한 ‘케이-클라우드’ 추진방안 발표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