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소폭 하락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2. 12. 3.
반응형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소폭 하락

2022.12.03 농림축산식품부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소폭 하락
-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유지하였으나 유지류 및 설탕 가격은 상승 -

 

주요 내용

□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35.7포인트로 전월(135.9) 대비 소폭 하락

□ 전월 대비 곡물 가격은 1.3% 하락(152.3→150.4), 육류는 0.9% 하락(118.2→117.1), 유제품은 1.2% 하락(139.3→137.5)하였으나 유지류는 2.3% 상승(151.3→154.7), 설탕은 5.2% 상승(108.6→114.3)

□ 정부는 주요 품목의 수급 동향을 지속 점검하면서, 업체 및 소비자의 부담 완화를 위한 조치를 추진 중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135.9포인트) 대비 소폭 하락한 135.7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곡물, 육류 및 유제품 가격은 하락하였고 유지류 및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2.5월) 158.1 → (6월) 154.7 → (7월) 140.6 → (8월) 137.6 → (9월) 136.0 → (10월) 135.9 → (11월) 135.7

 

 

2022년 11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10월(152.3포인트) 대비 1.3% 하락한 150.4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국제  가격은 러시아의 흑해 곡물 수출협정(Black Sea Grain Initiative) 복귀에 따라 하락하였으며, 미국산 밀의 높은 가격으로 인한 수입 수요 감소, 러시아로부터의 밀 공급량 증가 등도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옥수수 역시 흑해 곡물 수출협정 연장 및 미국 미시시피강의 수위 회복에 따른 물류 여건 개선의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가격은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가 달러 대비 절상되는 등 환율 영향으로 상승하였다.

 

유지류 가격의 경우, 전월(151.3포인트) 대비 2.3% 상승한 154.7포인트를 기록하며 7개월 만에 가격이 올랐다. 팜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 수입 수요를 증가시켰고, 또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기상 문제로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미국을 중심으로 바이오연료 관련 지속적인 수요가 있어 가격이 상승하였다. 반면 유채씨유는 국제 공급물량이 충분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해바라기씨유는 흑해 곡물 수출협정이 연장됨에 따라 각각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8.2포인트) 대비 0.9% 하락한 117.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소고기는 중국의 지속적인 수요에도 불구하고 브라질과 호주로부터의 수출 물량이 증가하여 가격이 연속 하락하였다. 반면 가금육은 조류인플루엔자 심화에 따른 공급물량 감소로, 돼지고기는 연휴 기간을 앞둔 수요 증가 및 환율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39.3포인트) 대비 1.2% 하락한 137.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탈지분유는 수입 수요 저조 및 유럽의 수출용 물량 증가로 인해, 전지분유는 중국의 수요 저조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였으며 버터도 소비자 수요 불확실성에 따른 수입 수요 약화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치즈 가격은 지속적인 수입 수요 및 서유럽 수출용 물량 감소의 영향으로 상승하였다.

 

 

설탕의 경우, 전월(108.6포인트) 대비 5.2% 상승한 114.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주요 생산국의 수확 지연에 따른 공급량 부족과 인도의 설탕 수출 제한 조치가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이었다. 브라질에서 에탄올 가격이 상승하면서 에탄올용 사탕수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2/23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2/23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 2,756.4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2.0%(57.0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512.8백만톤(2.4%↓) / 잡곡 1,462.4(3.1%↓) / 밀 781.1(0.4%↑)

 

2022/23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 2,777.4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0.7%(20.7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519.0백만톤(0.6%↓) / 잡곡 1,483.8(1.3%↓) / 밀 774.7(0.2%↑)

 

2022/23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 839.4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2.2%(18.5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194.0백만톤(1.6%↓) / 잡곡 345.4(6.1%↓) / 밀 300.1(2.4%↑)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관련 업계와 주요 곡물 등의 재고 및 시장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국제곡물 수급 및 가격 불안 상황에 대응하는 조치를 지속 추진하고 있다.

 

주요 곡물 국제가격은 6월 이후 상대적으로 안정 상황을 유지하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추이, 주요 수출국의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향후에도 전반적으로 보합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파종 단계인 남미의 기상 상황과 우크라이나 사태 추이, 중국의 수요 변화 등이 가격 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국제곡물 선물가격 변화(10월→11월→12.1, $/톤):

(밀) 315 → 289 → 279, (대두) 508 → 530 → 525, (옥수수) 270 → 263 → 256

** 선물가격지수 전망(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100):

(’22.2분기) 193.3 → (3분기) 164.3 → (4분기) 162.2  (’23.1분기) 162.0

 

정부는 연초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에 따른 밀 국제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국내 밀가루 가격 안정을 위해 금년 추경에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사업’을 반영하여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제분업체 밀가루 출하가격이 7월 이후 동결되거나 인상이 최소화되어 일반 소비자 및 가공․외식업체의 부담이 일부 경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밀가루 소비자물가지수(2020=100) : (7월) 138.22 → (8월) 136.49 → (9월) 138.26 → (10월) 136.92 → (11월) 137.85(전월 대비로는 0.7% 상승했으나 7월 대비로는 0.3% 하락)

 

또한 정부는 국제 축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올해 12월 31일까지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 주요 축산물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국제 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축산농가의 부담 완화를 위해 올해 한시적으로 특별사료구매자금(1.5조 원 규모, 금리 1%)의 융자 상환기간을 연장**하여 지원하고 있다.

 

* 할당관세 물량: 소고기(10만t), 닭고기(8.25만t), 돼지고기(7만t)

** 2년 거치 일시상환 → 3년 거치 2년 분할상환

 

이와 더불어 축산농가의 생산비 저감을 위해 2023년에도 1조 원 규모의 사료구매자금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며, 연말연시 한우 소비자 가격 부담 완화를 위해 11월 1일(한우 먹는 날)부터 연말까지 대형마트와 온라인을 중심으로 약 120억 규모(할인 지원액 환산)의 할인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농림축산식품부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국제식량가격 및 수급 상황을 점검하여 국내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관련 방안을 적극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

2. 식량가격지수(2014~2022)

붙임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 품목별)
붙임2

식량가격지수(2014~2022년)
연도
식량가격지수
육류
유제품
곡물
유지류
설탕
2014
115.0
112.2
130.2
115.8
110.6
105.2
2015
93.0
96.7
87.1
95.9
89.9
83.2
2016
91.9
91.0
82.6
88.3
99.4
111.6
2017
98.0
97.7
108.0
91.0
101.9
99.1
2018
95.9
94.9
107.3
100.8
87.8
77.4
2019
1월
93.3
92.3
100.9
101.8
80.3
79.3
2월
94.0
93.1
103.8
100.7
81.8
80.3
3월
93.2
94.6
105.6
97.5
78.4
78.7
4월
93.6
97.8
106.1
94.6
79.1
79.3
5월
94.3
100.5
106.6
94.4
78.5
76.7
6월
95.4
101.2
102.9
99.2
77.5
79.9
7월
95.1
102.4
101.1
97.6
78.1
79.4
8월
94.1
102.3
100.3
92.6
82.6
76.2
9월
93.4
101.0
99.6
91.8
83.9
73.5
10월
95.2
101.6
100.8
96.0
84.1
77.8
11월
98.6
106.5
102.5
95.6
93.2
79.2
12월
101.0
106.6
103.5
97.4
101.5
83.0
(평균)
95.1
100.0
102.8
96.6
83.2
78.6
2020
1월
102.5
103.6
103.8
100.7
108.7
87.5
2월
99.4
100.5
102.9
99.6
97.6
91.4
3월
95.2
99.4
101.5
98.0
85.4
73.9
4월
92.5
96.9
95.8
99.6
81.2
63.2
5월
91.1
95.4
94.4
98.0
77.8
67.8
6월
93.3
94.8
98.3
97.3
86.6
74.9
7월
94.0
92.2
101.8
97.3
93.2
76.0
8월
95.9
92.2
102.1
99.2
98.7
81.1
9월
98.0
91.5
102.3
104.3
104.6
79.0
10월
101.4
91.8
104.5
112.1
106.5
84.7
11월
105.6
93.3
105.4
114.8
121.9
87.5
12월
108.6
94.8
109.2
116.4
131.2
87.1
(평균)
98.1
95.5
101.8
103.1
99.4
79.5
2021
1월
113.5
96.0
111.2
125.0
138.9
94.2
2월
116.6
97.8
113.1
126.1
147.5
100.2
3월
119.2
100.8
117.5
123.9
159.3
96.2
4월
122.1
104.3
119.1
126.2
162.2
100.0
5월
128.1
107.4
121.1
133.7
174.9
106.8
6월
125.3
110.7
119.9
130.3
157.7
107.7
7월
124.6
114.1
116.7
126.3
155.5
109.6
8월
128.0
113.4
116.2
130.4
165.9
120.5
9월
129.2
112.7
118.1
132.8
168.6
121.2
10월
133.2
112.0
121.5
137.1
184.8
119.1
11월
135.3
112.5
126.0
141.4
184.6
120.2
12월
133.7
111.0
129.0
140.5
178.5
116.4
(평균)
125.7
107.7
119.1
131.2
164.9
109.3
2022
1월
135.6
112.1
132.6
140.6
185.9
112.7
2월
141.2
113.9
141.5
145.3
201.7
110.5
3월
159.7
119.3
145.8
170.1
251.8
117.9
4월
158.4
121.9
146.7
169.7
237.5
121.5
5월
158.1
122.9
144.2
173.5
229.2
120.4
6월
154.7
125.9
150.2
166.3
211.8
117.3
7월
140.6
124.1
146.5
147.3
168.8
112.8
8월
137.6
121.1
143.4
145.6
163.3
110.5
9월
136.0
120.3
142.7
147.9
152.6
109.7
10월
135.9
118.2
139.3
152.3
151.3
108.6
11월
135.7
117.1
137.5
150.4
154.7
114.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