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고용동향
2022.11.09 통계청
2022년 10월 고용동향(요약)
|
□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8.9%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
○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6.4%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 실업률은 2.4%로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5.6%로 전년동월과 동일
□ 취업자는 2,841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7만 7천명 증가
|
○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30대, 20대, 60세이상 등에서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
< 고용률 추이 >
|
|||||
|
’21. 10월
|
’22. 7월
|
8월
|
9월
|
10월
|
고용률(%)
|
61.4
|
62.9
|
62.8
|
62.7
|
62.7
|
․15~64세(OECD비교기준)
|
67.3
|
69.1
|
68.9
|
68.9
|
68.9
|
․15~29세(청년층)
|
45.1
|
47.7
|
47.3
|
46.6
|
46.4
|
취업자(만명, 전년동월대비증감)
|
65.2
|
82.6
|
80.7
|
70.7
|
67.7
|
․15~64세(OECD비교기준)
|
41.5
|
52.7
|
52.4
|
43.5
|
40.7
|
․15~29세(청년층)
|
18.0
|
9.2
|
8.1
|
1.6
|
2.1
|
인 구(만명, 전년동월대비증감)
|
29.6
|
16.8
|
16.6
|
16.0
|
15.4
|
․15~64세(OECD비교기준)
|
-14.3
|
-28.2
|
-28.0
|
-28.3
|
-28.5
|
․15~29세(청년층)
|
-14.8
|
-21.8
|
-21.1
|
-20.8
|
-20.4
|
○ 실업률은 50대, 60세이상 등에서 하락하여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 실업률 추이 >
|
|||||
|
’21. 10월
|
’22. 7월
|
8월
|
9월
|
10월
|
실업률(%)
|
2.8
|
2.9
|
2.1
|
2.4
|
2.4
|
․15~29세(청년층) 실업률
|
(5.6)
|
(6.8)
|
(5.4)
|
(6.1)
|
(5.6)
|
‥(25~29세)
|
(5.0)
|
(6.6)
|
(5.6)
|
(6.1)
|
(5.7)
|
취업자
|
|
○ 산업별로는 제조업(20만 1천명, 4.7%), 숙박및음식점업(15만 3천명, 7.3%),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2만 1천명, 4.5%) 등에서 증가
- 도매및소매업(-6만명, -1.8%), 금융및보험업(-1만 5천명, -1.9%), 협회및단체,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7천명, -0.6%) 등에서 감소
○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73만 8천명 증가하였으나, 임시근로자는 8만 5천명, 일용근로자는 8만명 각각 감소
-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 9천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6만 7천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무급가족종사자는 6만 1천명 감소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추이 >
|
|||||
(전년동월대비증감, 만명)
|
’21. 10월
|
’22. 7월
|
8월
|
9월
|
10월
|
임금근로자
|
67.1
|
76.6
|
73.2
|
58.3
|
57.3
|
․상 용
|
61.5
|
89.5
|
90.7
|
81.6
|
73.8
|
․임 시
|
21.9
|
-5.2
|
-7.8
|
-12.0
|
-8.5
|
․일 용
|
-16.2
|
-7.7
|
-9.7
|
-11.4
|
-8.0
|
비임금근로자
|
-1.9
|
6.0
|
7.6
|
12.4
|
10.5
|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
-2.6
|
7.8
|
5.3
|
9.6
|
6.7
|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
4.5
|
4.9
|
8.8
|
8.7
|
9.9
|
․무급가족종사자
|
-3.7
|
-6.7
|
-6.5
|
-5.9
|
-6.1
|
실업자
|
|
○ 50대, 60세이상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9만 5천명 감소
< 실업자 추이 >
|
|||||
|
’21. 10월
|
’22. 7월
|
8월
|
9월
|
10월
|
실업자(만명)
|
78.8
|
83.6
|
61.5
|
70.4
|
69.2
|
․전년동월대비증감(만명)
|
(-24.1)
|
(-8.4)
|
(-12.9)
|
(-5.2)
|
(-9.5)
|
비경제활동인구
|
|
○ 연로(2만 4천명, 1.0%)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육아(-14만 5천명, -13.1%), 쉬었음(-9만 7천명, -4.1%) 등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42만 8천명 감소
※ 구직단념자는 41만 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명 감소
2022년 10월 고용동향
|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
|||||||||
|
2021. 10
|
2022. 9
|
2022. 10
|
||||||
|
증 감
|
증감률
|
|
증 감
|
증감률
|
|
증 감
|
증감률
|
|
◉ 15세이상인구
|
45,148
|
296
|
0.7
|
45,284
|
160
|
0.4
|
45,302
|
154
|
0.3
|
|
|
|
|
|
|
|
|
|
|
▣ 경제활동인구
|
28,528
|
412
|
1.5
|
29,093
|
654
|
2.3
|
29,110
|
582
|
2.0
|
(참가율)
|
(63.2)
|
(0.5)
|
|
(64.2)
|
(1.2)
|
|
(64.3)
|
(1.1)
|
|
|
|
|
|
|
|
|
|
|
|
남 자
|
16,187
|
127
|
0.8
|
16,426
|
282
|
1.7
|
16,462
|
276
|
1.7
|
(참가율)
|
(72.8)
|
(0.0)
|
|
(73.7)
|
(1.0)
|
|
(73.8)
|
(1.0)
|
|
여 자
|
12,341
|
285
|
2.4
|
12,667
|
373
|
3.0
|
12,648
|
306
|
2.5
|
(참가율)
|
(53.8)
|
(0.9)
|
|
(55.1)
|
(1.4)
|
|
(55.0)
|
(1.2)
|
|
|
|
|
|
|
|
|
|
|
|
◦ 15세이상 고 용 률
|
61.4
|
1.0
|
|
62.7
|
1.4
|
|
62.7
|
1.3
|
|
(계절조정)
|
(60.9)
|
|
|
(62.2)
|
|
|
(62.2)
|
|
|
15 ~ 64세 고 용 률
|
67.3
|
1.4
|
|
68.9
|
1.7
|
|
68.9
|
1.6
|
|
(계절조정)
|
(67.0)
|
|
|
(68.7)
|
|
|
(68.7)
|
|
|
◦ 취 업 자
|
27,741
|
652
|
2.4
|
28,389
|
707
|
2.6
|
28,418
|
677
|
2.4
|
농림어업
|
1,594
|
20
|
1.3
|
1,656
|
84
|
5.4
|
1,641
|
47
|
2.9
|
광공업
|
4,334
|
-12
|
-0.3
|
4,532
|
223
|
5.2
|
4,531
|
197
|
4.5
|
․제조업
|
4,324
|
-13
|
-0.3
|
4,526
|
227
|
5.3
|
4,525
|
201
|
4.7
|
건설업
|
2,127
|
52
|
2.5
|
2,121
|
-12
|
-0.6
|
2,139
|
12
|
0.6
|
도소매·숙박음식점업
|
5,427
|
-92
|
-1.7
|
5,501
|
69
|
1.3
|
5,521
|
93
|
1.7
|
전기·운수·통신·금융
|
3,428
|
282
|
9.0
|
3,490
|
76
|
2.2
|
3,485
|
57
|
1.7
|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등
|
10,830
|
402
|
3.9
|
11,091
|
266
|
2.5
|
11,102
|
272
|
2.5
|
상용근로자
|
15,062
|
615
|
4.3
|
15,817
|
816
|
5.4
|
15,800
|
738
|
4.9
|
임시근로자
|
4,843
|
219
|
4.7
|
4,773
|
-120
|
-2.4
|
4,758
|
-85
|
-1.8
|
일용근로자
|
1,207
|
-162
|
-11.9
|
1,102
|
-114
|
-9.4
|
1,126
|
-80
|
-6.6
|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
1,313
|
-26
|
-1.9
|
1,380
|
96
|
7.5
|
1,380
|
67
|
5.1
|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
4,256
|
45
|
1.1
|
4,331
|
87
|
2.0
|
4,354
|
99
|
2.3
|
무급가족종사자
|
1,061
|
-37
|
-3.4
|
987
|
-59
|
-5.6
|
1,000
|
-61
|
-5.8
|
◦ 실 업 자
|
788
|
-241
|
-23.4
|
704
|
-52
|
-6.9
|
692
|
-95
|
-12.1
|
실 업 률
|
2.8
|
-0.9
|
|
2.4
|
-0.3
|
|
2.4
|
-0.4
|
|
(계절조정)
|
(3.2)
|
|
|
(2.8)
|
|
|
(2.8)
|
|
|
남 자
|
457
|
-148
|
-24.4
|
390
|
-57
|
-12.7
|
395
|
-62
|
-13.6
|
실업률
|
2.8
|
-1.0
|
|
2.4
|
-0.4
|
|
2.4
|
-0.4
|
|
(계절조정)
|
(3.2)
|
|
|
(2.6)
|
|
|
(2.7)
|
|
|
여 자
|
331
|
-93
|
-21.9
|
313
|
4
|
1.4
|
298
|
-33
|
-10.0
|
실업률
|
2.7
|
-0.8
|
|
2.5
|
0.0
|
|
2.4
|
-0.3
|
|
(계절조정)
|
(3.3)
|
|
|
(3.1)
|
|
|
(2.9)
|
|
|
|
|
|
|
|
|
|
|
|
|
중졸이하
|
89
|
-25
|
-21.9
|
55
|
-31
|
-35.8
|
66
|
-24
|
-26.7
|
(실업률)
|
(2.2)
|
(-0.6)
|
|
(1.4)
|
(-0.7)
|
|
(1.7)
|
(-0.5)
|
|
고 졸
|
328
|
-147
|
-31.0
|
309
|
-5
|
-1.7
|
304
|
-24
|
-7.3
|
(실업률)
|
(3.1)
|
(-1.4)
|
|
(2.9)
|
( 0.0)
|
|
(2.8)
|
(-0.3)
|
|
대졸이상
|
371
|
-69
|
-15.6
|
340
|
-17
|
-4.6
|
323
|
-48
|
-12.8
|
(실업률)
|
(2.7)
|
(-0.6)
|
|
(2.4)
|
(-0.2)
|
|
(2.3)
|
(-0.4)
|
|
|
|
|
|
|
|
|
|
|
|
▣ 비경제활동인구
|
16,620
|
-116
|
-0.7
|
16,191
|
-495
|
-3.0
|
16,192
|
-428
|
-2.6
|
2022년 10월 고용동향
|
1.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가.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 2022년 10월 15세이상 인구는 4,530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5만 4천명(0.3%) 증가하였음
□ 경제활동인구는 2,911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8만 2천명(2.0%) 증가하였음
|
’21. 10월
|
’22.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경제활동인구(천명)
|
28,528
|
29,366
|
29,311
|
29,025
|
29,093
|
29,110
|
(전년동월비, %)
|
( 1.5)
|
( 2.2)
|
( 2.6)
|
( 2.4)
|
( 2.3)
|
( 2.0)
|
|
|
|
|
|
|
|
(계절조정 전월비, %)
|
( 0.3)
|
(-0.2)
|
( 0.1)
|
(-0.4)
|
( 0.3)
|
( 0.0)
|
○ 성별로 보면 남자는 1,646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7만 6천명(1.7%) 증가하였고, 여자는 1,264만 8천명으로 30만 6천명(2.5%) 증가하였음
< 15세이상인구 및 경제활동인구 >
|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
|
2021.
|
10
|
|
2022.
|
9
|
|
2022.
|
10
|
|
|
증감
|
||||||||||
증감
|
증감
|
증감률
|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
|
|
|
|
|
|
|
|
|
|
◦ 15세이상인구
|
45,148
|
100.0
|
296
|
45,284
|
100.0
|
160
|
45,302
|
100.0
|
154
|
0.3
|
남 자
|
22,226
|
49.2
|
159
|
22,281
|
49.2
|
68
|
22,294
|
49.2
|
68
|
0.3
|
여 자
|
22,923
|
50.8
|
137
|
23,003
|
50.8
|
92
|
23,008
|
50.8
|
86
|
0.4
|
|
|
|
|
|
|
|
|
|
|
|
- 경제활동인구
|
28,528
|
100.0
|
412
|
29,093
|
100.0
|
654
|
29,110
|
100.0
|
582
|
2.0
|
남 자
|
16,187
|
56.7
|
127
|
16,426
|
56.5
|
282
|
16,462
|
56.6
|
276
|
1.7
|
여 자
|
12,341
|
43.3
|
285
|
12,667
|
43.5
|
373
|
12,648
|
43.4
|
306
|
2.5
|
|
|
|
|
|
|
|
|
|
|
|
- 비경제활동인구
|
16,620
|
100.0
|
-116
|
16,191
|
100.0
|
-495
|
16,192
|
100.0
|
-428
|
-2.6
|
남 자
|
6,039
|
36.3
|
32
|
5,855
|
36.2
|
-214
|
5,831
|
36.0
|
-208
|
-3.4
|
여 자
|
10,581
|
63.7
|
-148
|
10,336
|
63.8
|
-281
|
10,361
|
64.0
|
-220
|
-2.1
|
|
|
|
|
|
|
|
|
|
|
|
나.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참가율은 64.3%로 전년동월대비 1.1%p 상승하였음
|
’21. 10월
|
’22.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경제활동참가율(%)
|
63.2
|
64.9
|
64.8
|
64.1
|
64.2
|
64.3
|
(전년동월대비 증감, %p)
|
( 0.5)
|
( 1.2)
|
( 1.4)
|
( 1.3)
|
( 1.2)
|
( 1.1)
|
|
|
|
|
|
|
|
계절조정 참가율(%)
|
63.0
|
64.1
|
64.1
|
63.9
|
64.0
|
64.0
|
○ 성별로 보면 남자는 73.8%로 전년동월대비 1.0%p 상승하였으며, 여자는 55.0%로 1.2%p 상승하였음
○ 연령계층별로 보면 20대(2.1%p), 30대(2.0%p), 60세이상(1.4%p) 등에서 상승하였음
<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
|
||||||
(단위: %, %p, 전년동월대비)
|
||||||
|
2021. 10
|
|
2022. 9
|
|
2022. 10
|
|
증감
|
||||||
증감
|
증감
|
|||||
< 전 체 >
|
63.2
|
0.5
|
64.2
|
1.2
|
64.3
|
1.1
|
15~29세
|
47.8
|
1.6
|
49.6
|
1.7
|
49.2
|
1.4
|
․15~19세
|
7.2
|
0.8
|
7.5
|
-0.3
|
6.8
|
-0.4
|
․20~29세
|
62.2
|
1.2
|
64.6
|
2.5
|
64.3
|
2.1
|
‥20~24세
|
47.6
|
2.5
|
49.7
|
2.3
|
48.5
|
0.9
|
‥25~29세
|
73.5
|
-0.1
|
75.9
|
2.5
|
76.3
|
2.8
|
30~39세
|
77.9
|
0.3
|
80.1
|
2.7
|
79.9
|
2.0
|
40~49세
|
79.3
|
0.4
|
79.6
|
0.5
|
79.8
|
0.5
|
50~59세
|
77.7
|
1.0
|
78.6
|
1.1
|
78.7
|
1.0
|
60세이상
|
45.7
|
0.4
|
46.8
|
1.3
|
47.1
|
1.4
|
․60~64세
|
62.7
|
-0.6
|
65.2
|
2.3
|
65.5
|
2.8
|
․65세이상
|
37.7
|
0.9
|
38.4
|
1.0
|
38.7
|
1.0
|
< 남 자 >
|
72.8
|
0.0
|
73.7
|
1.0
|
73.8
|
1.0
|
15~19세
|
5.3
|
-0.4
|
6.5
|
0.3
|
5.8
|
0.5
|
20~29세
|
59.8
|
-0.7
|
62.5
|
3.0
|
62.4
|
2.6
|
30~39세
|
90.6
|
0.0
|
91.7
|
1.3
|
91.5
|
0.9
|
40~49세
|
92.2
|
0.3
|
92.5
|
0.3
|
92.8
|
0.6
|
50~59세
|
88.5
|
0.1
|
88.7
|
0.3
|
89.1
|
0.6
|
60세이상
|
56.9
|
0.8
|
58.0
|
1.6
|
58.4
|
1.5
|
< 여 자 >
|
53.8
|
0.9
|
55.1
|
1.4
|
55.0
|
1.2
|
15~19세
|
9.0
|
1.9
|
8.6
|
-0.8
|
7.9
|
-1.1
|
20~29세
|
64.6
|
3.1
|
66.8
|
2.1
|
66.2
|
1.6
|
30~39세
|
64.0
|
0.6
|
67.4
|
4.3
|
67.2
|
3.2
|
40~49세
|
65.9
|
0.5
|
66.4
|
0.9
|
66.4
|
0.5
|
50~59세
|
66.8
|
1.9
|
68.5
|
1.9
|
68.3
|
1.5
|
60세이상
|
36.4
|
0.1
|
37.4
|
1.0
|
37.7
|
1.3
|
2. 취업자 동향
가. 취업자 및 고용률
□ 2022년 10월 15세이상 취업자는 2,841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7만 7천명(2.4%)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2.7%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1,606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3만 8천명(2.1%) 증가하였고, 여자는 1,235만명으로 33만 9천명(2.8%) 증가하였음
□ 15~64세 고용률(OECD비교기준)은 68.9%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77.2%로 전년동월대비 1.5%p 상승하였고, 여자는 60.4%로 1.8%p 상승하였음
|
’21. 10월
|
’22.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취 업 자(천명)
|
27,741
|
28,478
|
28,475
|
28,410
|
28,389
|
28,418
|
(전년동월대비 증감, 천명)
|
(652)
|
(841)
|
(826)
|
(807)
|
(707)
|
(677)
|
|
|
|
|
|
|
|
15~64세 고용률(%)
|
67.3
|
69.1
|
69.1
|
68.9
|
68.9
|
68.9
|
(전년동월대비 증감, %p)
|
( 1.4)
|
( 2.0)
|
( 2.0)
|
( 2.0)
|
( 1.7)
|
( 1.6)
|
|
|
|
|
|
|
|
15세이상 고용률(%)
|
61.4
|
62.9
|
62.9
|
62.8
|
62.7
|
62.7
|
(전년동월대비 증감, %p)
|
( 1.0)
|
( 1.6)
|
( 1.6)
|
( 1.6)
|
( 1.4)
|
( 1.3)
|
|
|
|
|
|
|
|
15세이상 계절조정 고용률(%)
|
60.9
|
62.2
|
62.2
|
62.3
|
62.2
|
62.2
|
< 취업자 및 고용률 >
|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
|||||||
|
2021. 10
|
|
2022. 9
|
|
2022. 10
|
|
|
증 감
|
증 감
|
증 감
|
증감률
|
||||
< 취 업 자 >
|
27,741
|
652
|
28,389
|
707
|
28,418
|
677
|
2.4
|
남 자
|
15,730
|
274
|
16,035
|
338
|
16,068
|
338
|
2.1
|
여 자
|
12,011
|
378
|
12,354
|
368
|
12,350
|
339
|
2.8
|
< 15~64세 고용률 >
|
67.3
|
1.4
|
68.9
|
1.7
|
68.9
|
1.6
|
-
|
남 자
|
75.7
|
0.9
|
77.1
|
1.5
|
77.2
|
1.5
|
-
|
여 자
|
58.6
|
1.9
|
60.5
|
2.0
|
60.4
|
1.8
|
-
|
나. 연령계층별 취업자 및 고용률
□ 연령계층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 60세이상에서 46만명, 50대에서 14만 7천명, 30대에서 6만 1천명, 20대에서 2만 8천명 각각 증가하였으나, 40대에서 1만 1천명 감소하였음
□ 고용률은 30대, 20대, 60세이상 등에서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20대, 60세이상 등 모든 연령계층에서 상승하였고, 여자는 30대, 50대, 60세이상 등에서 상승하였음
*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만 1천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1.3%p 상승
< 연령계층별 취업자 및 고용률 >
|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
|||||||||
|
2021. 10
|
2022. 10
|
|
||||||
증감
|
|||||||||
인구
|
취업자
|
고용률
|
인구
|
취업자
|
고용률
|
인구
|
취업자
|
고용률
|
|
< 전 체 >
|
45,148
|
27,741
|
61.4
|
45,302
|
28,418
|
62.7
|
154
|
677
|
1.3
|
15~64세
|
36,435
|
24,506
|
67.3
|
36,150
|
24,913
|
68.9
|
-285
|
407
|
1.6
|
15~29세
|
8,707
|
3,927
|
45.1
|
8,503
|
3,948
|
46.4
|
-204
|
21
|
1.3
|
․15~19세
|
2,284
|
156
|
6.8
|
2,239
|
149
|
6.7
|
-44
|
-7
|
-0.1
|
․20~29세
|
6,424
|
3,771
|
58.7
|
6,264
|
3,799
|
60.7
|
-160
|
28
|
2.0
|
‥20~24세
|
2,791
|
1,235
|
44.3
|
2,689
|
1,230
|
45.7
|
-102
|
-6
|
1.4
|
‥25~29세
|
3,633
|
2,536
|
69.8
|
3,575
|
2,570
|
71.9
|
-58
|
34
|
2.1
|
30~39세
|
6,948
|
5,252
|
75.6
|
6,834
|
5,313
|
77.7
|
-113
|
61
|
2.1
|
40~49세
|
8,146
|
6,327
|
77.7
|
8,057
|
6,316
|
78.4
|
-89
|
-11
|
0.7
|
50~59세
|
8,559
|
6,511
|
76.1
|
8,585
|
6,658
|
77.6
|
26
|
147
|
1.5
|
60세이상
|
12,788
|
5,723
|
44.8
|
13,323
|
6,182
|
46.4
|
535
|
460
|
1.6
|
․60~64세
|
4,074
|
2,488
|
61.1
|
4,170
|
2,677
|
64.2
|
96
|
189
|
3.1
|
․65~69세
|
2,944
|
1,503
|
51.1
|
3,128
|
1,628
|
52.0
|
184
|
124
|
0.9
|
‥65세이상
|
8,713
|
3,235
|
37.1
|
9,152
|
3,505
|
38.3
|
439
|
270
|
1.2
|
‥70세이상
|
5,770
|
1,732
|
30.0
|
6,024
|
1,878
|
31.2
|
255
|
146
|
1.2
|
< 남 자 >
|
22,226
|
15,730
|
70.8
|
22,294
|
16,068
|
72.1
|
68
|
338
|
1.3
|
15~19세
|
1,160
|
61
|
5.2
|
1,132
|
65
|
5.8
|
-27
|
5
|
0.6
|
20~29세
|
3,190
|
1,784
|
55.9
|
3,116
|
1,832
|
58.8
|
-74
|
48
|
2.9
|
30~39세
|
3,631
|
3,198
|
88.1
|
3,576
|
3,187
|
89.1
|
-55
|
-11
|
1.0
|
40~49세
|
4,148
|
3,751
|
90.4
|
4,099
|
3,738
|
91.2
|
-49
|
-13
|
0.8
|
50~59세
|
4,298
|
3,720
|
86.5
|
4,310
|
3,775
|
87.6
|
11
|
55
|
1.1
|
60세이상
|
5,799
|
3,218
|
55.5
|
6,061
|
3,471
|
57.3
|
263
|
253
|
1.8
|
< 여 자 >
|
22,923
|
12,011
|
52.4
|
23,008
|
12,350
|
53.7
|
86
|
339
|
1.3
|
15~19세
|
1,124
|
95
|
8.5
|
1,107
|
84
|
7.6
|
-17
|
-12
|
-0.9
|
20~29세
|
3,233
|
1,988
|
61.5
|
3,148
|
1,967
|
62.5
|
-85
|
-20
|
1.0
|
30~39세
|
3,317
|
2,054
|
61.9
|
3,259
|
2,126
|
65.2
|
-58
|
71
|
3.3
|
40~49세
|
3,998
|
2,577
|
64.4
|
3,958
|
2,578
|
65.1
|
-40
|
2
|
0.7
|
50~59세
|
4,261
|
2,792
|
65.5
|
4,276
|
2,884
|
67.4
|
15
|
92
|
1.9
|
60세이상
|
6,989
|
2,505
|
35.8
|
7,261
|
2,712
|
37.3
|
272
|
206
|
1.5
|
다. 산업별 취업자
□ 산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 제조업(20만 1천명, 4.7%), 숙박및음식점업(15만 3천명, 7.3%),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2만 1천명, 4.5%)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 도매및소매업(-6만명, -1.8%), 금융및보험업(-1만 5천명, -1.9%) ,협회및단체,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7천명, -0.6%) 등에서 감소하였음
< 산업별 취업자 >
|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
|
2021.
|
10
|
|
2022.
|
9
|
|
2022.
|
10
|
|
|
증감
|
증감
|
증감
|
증감률
|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27,741
|
100.0
|
652
|
28,389
|
100.0
|
707
|
28,418
|
100.0
|
677
|
2.4
|
◦ 농 림 어 업
|
1,594
|
5.7
|
20
|
1,656
|
5.8
|
84
|
1,641
|
5.8
|
47
|
2.9
|
◦ 제 조 업
|
4,324
|
15.6
|
-13
|
4,526
|
15.9
|
227
|
4,525
|
15.9
|
201
|
4.7
|
◦ 건 설 업
|
2,127
|
7.7
|
52
|
2,121
|
7.5
|
-12
|
2,139
|
7.5
|
12
|
0.6
|
◦ 도매 및 소매업
|
3,331
|
12.0
|
-113
|
3,302
|
11.6
|
-24
|
3,272
|
11.5
|
-60
|
-1.8
|
◦ 운수 및 창고업
|
1,631
|
5.9
|
163
|
1,641
|
5.8
|
26
|
1,635
|
5.8
|
5
|
0.3
|
◦ 숙박 및 음식점업
|
2,096
|
7.6
|
22
|
2,199
|
7.7
|
94
|
2,249
|
7.9
|
153
|
7.3
|
◦ 정보통신업
|
929
|
3.3
|
103
|
992
|
3.5
|
62
|
988
|
3.5
|
60
|
6.4
|
◦ 금융 및 보험업
|
792
|
2.9
|
15
|
770
|
2.7
|
-24
|
777
|
2.7
|
-15
|
-1.9
|
◦ 부 동 산 업
|
544
|
2.0
|
39
|
560
|
2.0
|
19
|
551
|
1.9
|
7
|
1.3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1,237
|
4.5
|
64
|
1,292
|
4.6
|
65
|
1,293
|
4.6
|
56
|
4.5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
1,421
|
5.1
|
19
|
1,420
|
5.0
|
-5
|
1,421
|
5.0
|
0
|
0.0
|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
1,187
|
4.3
|
-33
|
1,251
|
4.4
|
69
|
1,245
|
4.4
|
58
|
4.9
|
◦ 교육 서비스업
|
1,880
|
6.8
|
108
|
1,894
|
6.7
|
27
|
1,914
|
6.7
|
34
|
1.8
|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2,705
|
9.8
|
300
|
2,810
|
9.9
|
117
|
2,826
|
9.9
|
121
|
4.5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
|
466
|
1.7
|
-26
|
502
|
1.8
|
31
|
489
|
1.7
|
23
|
5.0
|
◦ 협회및단체,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
|
1,125
|
4.1
|
-57
|
1,117
|
3.9
|
-25
|
1,118
|
3.9
|
-7
|
-0.6
|
◦ 기타1)
|
353
|
1.3
|
-10
|
337
|
1.2
|
-24
|
335
|
1.2
|
-17
|
-4.9
|
1) 기타는 광업, 전기・가스・증기및공기조절공급업, 수도・하수및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생산활동, 국제및외국기관의 합계임
라. 직업별 취업자
□ 직업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 서비스종사자(25만 2천명, 8.0%), 전문가및관련종사자(21만 5천명, 3.8%), 사무종사자(12만 8천명, 2.7%)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 판매종사자(-7만 5천명, -2.8%),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7만 4천명, -3.0%)에서 감소하였음
< 직업별 취업자 >
|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
|
2021.
|
10
|
|
2022.
|
9
|
|
2022.
|
10
|
|
|
증감
|
||||||||||
증감
|
증감
|
증감률
|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27,741
|
100.0
|
652
|
28,389
|
100.0
|
707
|
28,418
|
100.0
|
677
|
2.4
|
◦ 관 리 자
|
401
|
1.4
|
-5
|
456
|
1.6
|
67
|
459
|
1.6
|
59
|
14.6
|
◦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5,708
|
20.6
|
272
|
5,904
|
20.8
|
260
|
5,923
|
20.8
|
215
|
3.8
|
◦ 사무종사자
|
4,733
|
17.1
|
68
|
4,867
|
17.1
|
123
|
4,861
|
17.1
|
128
|
2.7
|
◦ 서비스종사자
|
3,138
|
11.3
|
135
|
3,326
|
11.7
|
188
|
3,389
|
11.9
|
252
|
8.0
|
◦ 판매종사자
|
2,723
|
9.8
|
-95
|
2,664
|
9.4
|
-84
|
2,648
|
9.3
|
-75
|
-2.8
|
◦ 농림어업숙련종사자
|
1,518
|
5.5
|
21
|
1,594
|
5.6
|
95
|
1,582
|
5.6
|
64
|
4.2
|
◦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
2,439
|
8.8
|
53
|
2,385
|
8.4
|
-63
|
2,365
|
8.3
|
-74
|
-3.0
|
◦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
2,988
|
10.8
|
75
|
3,040
|
10.7
|
63
|
3,035
|
10.7
|
47
|
1.6
|
◦ 단순노무종사자
|
4,095
|
14.8
|
129
|
4,153
|
14.6
|
57
|
4,156
|
14.6
|
62
|
1.5
|
마.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73만 8천명(4.9%) 증가하였으나, 임시근로자는 8만 5천명(-1.8%), 일용근로자는 8만명(-6.6%) 각각 감소하였음
* 전체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은 55.6%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9만 9천명(2.3%),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6만 7천명(5.1%) 각각 증가하였으나, 무급가족종사자는 6만 1천명(-5.8%) 감소하였음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
|
2021.
|
10
|
|
2022.
|
9
|
|
2022.
|
10
|
|
|
증감
|
||||||||||
증감
|
증감
|
증감률
|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27,741
|
100.0
|
652
|
28,389
|
100.0
|
707
|
28,418
|
100.0
|
677
|
2.4
|
◦임금근로자
|
21,112
|
76.1
|
671
|
21,692
|
76.4
|
583
|
21,684
|
76.3
|
573
|
2.7
|
- 상용근로자
|
15,062
|
54.3
|
615
|
15,817
|
55.7
|
816
|
15,800
|
55.6
|
738
|
4.9
|
- 임시근로자
|
4,843
|
17.5
|
219
|
4,773
|
16.8
|
-120
|
4,758
|
16.7
|
-85
|
-1.8
|
- 일용근로자
|
1,207
|
4.3
|
-162
|
1,102
|
3.9
|
-114
|
1,126
|
4.0
|
-80
|
-6.6
|
◦비임금근로자
|
6,629
|
23.9
|
-19
|
6,697
|
23.6
|
124
|
6,734
|
23.7
|
105
|
1.6
|
-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
1,313
|
4.7
|
-26
|
1,380
|
4.9
|
96
|
1,380
|
4.9
|
67
|
5.1
|
-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
4,256
|
15.3
|
45
|
4,331
|
15.3
|
87
|
4,354
|
15.3
|
99
|
2.3
|
- 무급가족종사자
|
1,061
|
3.8
|
-37
|
987
|
3.5
|
-59
|
1,000
|
3.5
|
-61
|
-5.8
|
바. 취업시간대별 취업자
□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 36시간이상 취업자는 1,373만 2천명으로 279만 4천명(-16.9%) 감소하였으나, 36시간미만 취업자는 1,429만 9천명으로 345만 9천명(31.9%) 증가하였음
□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5.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6시간 감소하였음
□ 주요 산업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의 전년동월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 제조업(36.8시간)에서 2.6시간, 도소매‧숙박음식점업(39.6시간)에서 1.7시간, 건설업(36.3시간)에서 1.4시간 각각 감소하였음
< 취업시간대별 취업자 >
|
||||||||||
(단위: 천명, 시간, %, 전년동월대비)
|
||||||||||
|
2021.
|
10
|
|
2022.
|
9
|
|
2022.
|
10
|
|
|
증감
|
||||||||||
증감
|
증감
|
증감률
|
||||||||
|
구성비
|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27,741
|
100.0
|
652
|
28,389
|
100.0
|
707
|
28,418
|
100.0
|
677
|
2.4
|
◦ 36시간미만
|
10,840
|
39.1
|
5,214
|
15,590
|
54.9
|
9,344
|
14,299
|
50.3
|
3,459
|
31.9
|
1~17시간
|
2,221
|
8.0
|
300
|
2,510
|
8.8
|
307
|
2,369
|
8.3
|
148
|
6.7
|
18~35시간
|
8,619
|
31.1
|
4,914
|
13,080
|
46.1
|
9,037
|
11,930
|
42.0
|
3,311
|
38.4
|
◦ 36시간이상
|
16,526
|
59.6
|
-4,440
|
12,342
|
43.5
|
-8,701
|
13,732
|
48.3
|
-2,794
|
-16.9
|
36~52시간
|
13,576
|
48.9
|
-3,869
|
10,271
|
36.2
|
-7,661
|
11,202
|
39.4
|
-2,374
|
-17.5
|
53시간이상
|
2,951
|
10.6
|
-570
|
2,071
|
7.3
|
-1,040
|
2,530
|
8.9
|
-420
|
-14.2
|
◦ 일 시 휴 직
|
375
|
1.4
|
-122
|
457
|
1.6
|
63
|
387
|
1.4
|
12
|
3.2
|
◦ 주당 평균 취업시간
|
|
37.4
|
-2.4
|
|
34.6
|
-4.5
|
|
35.8
|
-1.6
|
-4.3
|
- 제 조 업
|
|
39.4
|
-3.1
|
|
35.3
|
-6.5
|
|
36.8
|
-2.6
|
-6.6
|
- 건 설 업
|
|
37.7
|
-1.4
|
|
33.8
|
-4.5
|
|
36.3
|
-1.4
|
-3.7
|
- 도소매․숙박음식점업
|
|
41.3
|
-1.3
|
|
38.5
|
-3.6
|
|
39.6
|
-1.7
|
-4.1
|
1) 취업시간대별 취업자수는 조사대상주간에 공휴일이 주중 또는 주말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음
2) 2022년 10월 조사대상주간에 대체공휴일(10.10.)이 포함되었음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생활, 안전하고 의미 있게 마무리해요 (0) | 2022.11.10 |
---|---|
자영업자·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지원 총정리 (0) | 2022.11.10 |
우리 디지털 기업의 글로벌 진출 교두보 마련 (0) | 2022.11.10 |
첨단 기술 적용 3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맞춤형 신속 분류 품목 첫 지정 (0) | 2022.11.10 |
기업형 벤처캐피탈이 운용할 펀드 사업에 6개 기업 신청 (0)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