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2년 10월 노동시장 동향
2022.11.07 고용노동부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2년 10월 노동시장 동향
|
2022년 10월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493만 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5만 1천명(+2.4%) 증가하였다. 제조업 증가세, 비대면 수요증가 및 대면서비스업 개선 등이 가입자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 고용보험 상시가입자수 증감(천명): (’22.6)475→ (7)431→ (8)427→ (9)378→ (10)351
고용보험 가입자수는 보건복지(+79천명), 제조업(+72천명), 출판영상통신(+61천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47천명) 등 산업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제조업은 수출 감소 등에도 불구하고 2021년 1월이후 22개월 연속 증가세이며, 서비스업도 비대면 수요 증가와 대면서비스업 회복 등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하였다.
▸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81→ (7)79→ (8)78→ (9)74→ (10)72
▸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360→ (7)318→ (8)315→ (9)272→ (10)250
다만,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대되었던 직접일자리사업 축소 영향으로 공공행정 감소폭이 확대되고, 교육서비스(기타교육기관), 도소매(무점포소매업) 등 증가폭 둔화, 협회,개인서비스업은 감소로 전환되면서 전체 가입자 증가폭도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10월 중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7만 7천명으로 사업서비스(-1천명), 건설업(-1천명), 제조업(-1천명)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2천명(-2.2%) 감소하였다.
▸구직급여신규신청자수 증감(천명): (’22.6)-6→ (7)-7→ (8)-3→ (9)2→ (10)-2
구직급여 지급자는 53만 5천명으로 3만명(-5.3%) 감소하였고, 지급액은 8,188억원으로 689억원(-7.8%) 감소하였으며, 지급 건수당 지급액은
약 141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 감소하였다.
※ <붙임1> 2022년 10월 노동시장 동향 상세 내용(6~16쪽)
※ <붙임2> 2022년 10월 통계표(17쪽 이하)
Ⅰ
|
고용보험 가입자수 현황
|
|
1. 제조업
|
□ (전체) 제조업 가입자수는 368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만 2천명 증가하면서 2021년 1월 이후 22개월 연속 증가
ㅇ 원자재 가격 상승, 수출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제조업 가입자수 증가 지속
▸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81→ (7)79→ (8)78→ (9)74→ (10)72
□ (중분류) 전자통신, 금속가공, 식료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증가 지속하였고, 의복·모피, 섬유는 감소
ㅇ <식료품 > 도시락, 반조리식품 등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증가 지속
▸식료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10.4→ (7)9.1→ (8)10.0→ (9)9.6→ (10)9.1
기타식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6.4 → (7)5.5→ (8)6.0→ (9)6.0→ (10)5.8
ㅇ <섬유↓> 원부자재, 물류비 등의 상승, 소비 위축 등으로 감소폭 확대
▸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0.4→ (7)-0.9→ (8)-1.1→ (9)-1.3→ (10)-1.5
직물및직조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0.1→ (7)-0.1→ (8)-0.2→ (9)-0.3→ (10)-0.4
기타섬유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0.5→ (7)-0.6→ (8)-0.6→ (9)-0.7→ (10)-0.6
ㅇ <의복,모피↓> 물가 상승,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감소 지속
▸의복,모피 제조업 증감(천명): (‘22.6)-0.9→ (7)-1.2→ (8)-1.1→ (9)-1.2→ (10)-1.1
봉제의복 제조업 증감(천명): (’22.6)-0.9→ (7)-1.1→ (8)-1.0→ (9)-1.0→ (10)-1.1
※ 의류 재고지수(계절조정): (’21.9)103.5, (‘22.7)113.5→ (8p)108.6→ (9p)109.9
※ 봉제의복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71.5, (‘22.7)84.5→ (8p)80.5→ (9p)76.3
ㅇ <화학제품 > 이차전지 소재, 특수가스 등 첨단소재 중심으로 증가 지속
▸화학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7.6→ (7)7.6→ (8)6.4→ (9)6.1→ (10)6.0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증감(천명): (‘22.6)2.5→ (7)2.5→ (8)2.2→ (9)2.3→ (10)2.4
합성고무·플라스틱물질 증감(천명): (’22.6)3.2→ (7)2.8→ (8)2.1→ (9)1.9→ (10)1.9
※ 화학제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115.5, (‘22.7)105.8→ (8p)100.7→ (9p)99.6
ㅇ <의약품 ><의료·정밀기기 > 수출 감소 확대, 경쟁 심화에 따른 의약품 가격 하락 압박 등 어려움이 있으나 증가 지속
▸의약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2.5→ (7)2.2→ (8)2.0→ (9)2.1→ (10)2.0
※ 의약품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157.2, (’22.7)173.5→ (8p)177.4→ (9p)184.2
▸의료,정밀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6)3.7→ (7)3.6→ (8)3.8→ (9)3.2→ (10)3.0
의료용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6)2.1→ (7)2.0→ (8)2.2→ (9)2.3→ (10)2.2
정밀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6)1.8→ (7)1.9→ (8)1.8→ (9)1.9→ (10)1.9
※ 의료,정밀기기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141.9, (‘22.7)153.1→ (8p)153.4→ (9p)166.2
※ 바이오헬스 수출액 증감률(%): (‘21.10)11.0, (’22.8)-0.1→ (9)-4.5→ (10)-18.7
ㅇ <고무, 플라스틱 > 자동차 등 제조업 업황 호조에 따른 중간재 수요로 플라스틱제품 중심으로 증가 지속
▸고무,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5.2→ (7)5.1→ (8)4.5→ (9)4.1→ (10)3.8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4.7→ (7)4.4→ (8)4.0→ (9)3.5→ (10)3.3
※ 플라스틱제품 생산지수(계절조정): (’21.9)88.5, (‘22.7)87.8→ (8p)87.3→ (9p)84.8
ㅇ <전기장비 ><기계장비 > 전기장비는 일·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증가 지속, 기계장비는 공작기계 수요 증가와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증가 지속
▸전기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6)8.5→ (7)8.9→ (8)8.4→ (9)8.0→ (10)5.9
일차·이차전지 제조업 증감(천명): (‘22.6)4.4→ (7)4.8→ (8)5.1→ (9)5.3→ (10)3.5
가정용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6)1.7→ (7)1.4→ (8)0.5→ (9)0.3→ (10)-0.1
▸기계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6)8.7→ (7)9.0→ (8)9.0→ (9)10.2→ (10)8.5
일반목적용 기계 제조업 증감(천명): (‘22.6)5.2→ (7)5.2→ (8)5.3→ (9)5.5→ (10)5.1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 증감(천명): (‘22.6)3.5→ (7)3.8→ (8)3.8→ (9)4.7→ (10)3.3
※ 기계 설비투자지수(계절조정): (‘21.9)122.3, (’22.7)129.7→ (8p)143.4→ (9p)133.9
* ‘21.10월 ‘석유정제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전기장비’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5천명)
* ‘21.12월 ’기계장비‘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전자통신‘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천명)
’기계장비‘ 일부사업장이 ’협회 및 단체, 수리업‘ 으로 산업분류 변경(-0.7천명)
ㅇ <전자·통신 > 고급 가전 및 디지털 전환(데이타센터 등)에 따른 수요로 반도체, 전자부품, 통신, 영상 및 음향기기 등을 중심으로 증가 지속
▸전자통신 제조업 증감(천명): (‘22.6)15.0→ (7)15.4→ (8)15.9→ (9)14.2→ (10)16.5
반도체 제조업 증감(천명): (‘22.6)3.1→ (7)3.1→ (8)3.3→ (9)3.6→ (10)3.8
※ 반도체 수출액 증감률(%): (‘21.10)28.8, (’22.8)-7.8→ (9)-5.7→ (10)-17.4
전자부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3.6→ (7)2.9→ (8)3.0→ (9)2.4→ (10)1.9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6)4.2→ (7)4.7→ (8)5.0→ (9)4.7→ (10)4.8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증감(천명): (‘22.6)4.1→ (7)4.7→ (8)4.7→ (9)3.5→ (10)6.0
* ‘22.2월 ’기계장비‘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전자통신‘ 제조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1천명)
* ‘22.2월 ’전자통신(전자부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연구개발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2천명)
ㅇ <1차 금속 > 수출감소와 전방수요(건설 등) 위축 등으로 증가폭 둔화
▸1차 금속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5.0→ (7)5.0→ (8)5.3→ (9)2.3→ (10)2.3
※ 1차 철강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98.9, (‘22.7)97.1→ (8p)91.0→ (9p)71.3
※ 철강제품 수출액 증감률(%): (‘21.10)48.5, (’22.8)2.5→ (9)-21.1→ (10)-20.8
ㅇ <금속가공 > 글로벌 인프라 투자, 제조업 중간재(자동차, 반도체, 전자부품, 기계장비) 등 금속가공 수요에 힘입어 증가 지속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10.0→ (7)9.6→ (8)10.1→ (9)10.2→ (10)10.5
구조용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2.8→ (7)2.7→ (8)2.9→ (9)2.9→ (10)3.0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7.1→ (7)6.8→ (8)7.0→ (9)7.1→ (10)7.4
※ 금속가공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71.0, (‘22.7)71.5→ (8p)72.8→ (9p)72.8
ㅇ <기타운송장비 > 원자재가격 상승, 지속적인 구인난 등 어려움이 있으나 선박 건조량 증가에 힘입어 증가 전환, 다만, 조선업은 감소 지속
▸기타운송장비 제조업 증감(천명): (’22.6)-0.8→ (7)-0.8→ (8)-0.7→ (9)0.0→ (10)0.3
선박및보트건조업 증감(천명): (‘22.6)-1.5→ (7)-1.5→ (8)-1.3→ (9)-0.6→ (10)-0.3
※ 선박및보트건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21.9)55.0, (‘22.7)57.7→ (8p)59.9→ (9p)58.7
※ 선박 수주량(만CGT): (’21년 上)1,084→ (’21년 下)657→ (’22년 上)979
ㅇ <자동차 >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 친환경차 수요 확대 등에 힘입어 완성차, 자동차부품 모두 증가 지속
▸자동차 제조업 증감(천명): (‘22.6)2.1→ (7)1.3→ (8)1.2→ (9)2.3→ (10)1.8
완성차 제조업 증감(천명): (‘22.6)0.7→ (7)0.8→ (8)1.0→ (9)1.1→ (10)0.3
자동차부품 제조업 증감(천명): (‘22.6)1.3→ (7)0.4→ (8)0.3→ (9)1.2→ (10)1.5
※ 자동차 생산지수(계절조정): (‘21.9)79.6, (‘22.7)99.4→ (8p)108.1→ (9p)104.3
※ 자동차 수출액 증감률(%): (‘21.10)-4.7, (’22.8)35.8→ (9)34.7→ (10)28.5
전기차 수출액 증감률(%): (‘21.10)48.5, (’22.8)29.2→ (9)23.0→ (10)14.4
2-2. 서비스업
|
□ (전체) 서비스업 가입자수 1,032만 6천명, 전년동월대비 25만명 증가
▸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360→ (7)318→ (8)315→ (9)272→ (10)250
ㅇ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 코로나 일상회복 등에 따른 대면서비스업 회복 등에 힘입어 증가 지속하였으나,
-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대되었던 직접일자리사업 축소 영향으로
공공행정 감소폭은 확대, 교육서비스, 도소매 증가폭은 둔화되고,
- 협회, 개인서비스는 감소 전환되는 등 서비스업 가입자 증가폭 둔화
<주요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수 증감(천명, 전년동월대비)>
구 분
|
’20.10월
|
’21.10월
|
’22.6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p)
|
|
서비스업 증감
|
394
|
235
|
360
|
318
|
315
|
272
|
250
|
|
|
도소매
|
3
|
48
|
28
|
24
|
18
|
15
|
9
|
|
운수업
|
-6
|
-4
|
15
|
13
|
12
|
12
|
12
|
|
숙박음식
|
-22
|
-6
|
41
|
40
|
45
|
45
|
46
|
|
출판,통신,정보
|
27
|
62
|
64
|
65
|
65
|
62
|
61
|
|
금융보험
|
3
|
5
|
3
|
3
|
3
|
2
|
3
|
|
부동산임대
|
6
|
6
|
6
|
6
|
6
|
5
|
8
|
|
전문과학기술
|
60
|
43
|
50
|
48
|
48
|
47
|
47
|
|
사업서비스
|
-4
|
3
|
27
|
28
|
28
|
21
|
19
|
|
공공행정
|
199
|
-111
|
-28
|
-32
|
-26
|
-47
|
-55
|
|
교육서비스
|
19
|
58
|
38
|
24
|
20
|
19
|
12
|
|
보건복지
|
102
|
121
|
96
|
84
|
82
|
80
|
79
|
|
예술,스포츠
|
-2
|
5
|
12
|
11
|
12
|
10
|
9
|
|
협회,개인서비스
|
4
|
3
|
3
|
1
|
1
|
1
|
-1
|
□ (중분류) 공공행정, 육상운송업(택시 등), 항공운송업 등은 감소 지속, 협회 및 단체는 감소 전환, 교육서비스, 소매업 등에서 증가폭 둔화
ㅇ <도매업 > 가정용품 도매업(서적, 잡지 및 신문 등),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 둔화세
▸도매업 증감(천명): (‘22.6)9.7→ (7)8.4→ (8)6.2→ (9)7.7→ (10)5.5
가정용품 도매업 증감(천명): (’22.6)1.2→ (7)1.5→ (8)0.6→ (9)0.8→ (10)-0.1
기계장비및관련물품 도매업 증감(천명): (’22.6)3.4→ (7)2.6→ (8)2.1→ (9)2.1→ (10)1.6
- <소매업 > 무점포 소매업(온라인쇼핑) 감소 전환, 편의점 증가 둔화 등으로 증가폭 둔화세
▸소매업 증감(천명): (‘22.6)17.9→ (7)15.3→ (8)11.7→ (9)7.3→ (10)3.4
종합 소매업 증감(천명): (‘22.6)7.2→ (7)7.1→ (8)6.0→ (9)4.0→ (10)2.1
백화점 증감(천명): (‘22.6)-2.1→ (7)-2.2→ (8)-2.2→ (9)-2.1→ (10)-3.6
체인화 편의점 증감(천명): (‘22.6)9.2→ (7)8.5→ (8)7.9→ (9)6.4→ (10)5.4
무점포 소매업 증감(천명): (‘22.6)7.3→ (7)5.1→ (8)2.8→ (9)0.8→ (10)-1.1
ㅇ <육상운송업↓> 택시 등 중심으로 감소폭 둔화세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 증감(천명): (‘22.6)-3.5→ (7)-3.6→ (8)-3.9→ (9)-3.3→ (10)-2.2
택시 증감(천명): (‘22.6)-5.2→ (7)-5.5→ (8)-5.5→ (9)-4.9→ (10)-4.0
택배업 증감(천명): (‘22.6)1.0→ (7)0.9→ (8)0.8→ (9)0.8→ (10)0.9
- <항공운송업↓> 해외여행 수요 급증에도 국제선 여객수가 코로나 이전 대비 크게 낮은 수준(’19.9월대비 28% 수준)이며, 운항 정상화에 필요한 인력은 휴직인원 복직으로 충원하고 있어 감소 지속
▸항공운송업 증감(천명): (‘22.6)-0.7→ (7)-0.9→ (8)-0.8→ (9)-0.8→ (10)-0.6
※ 9월 국제선 여객수(천명): (’19)6,803→ (’20)197→ (’21)290→ (’22)1,923
- <창고·운송관련서비스업 > 물류대행서비스 확장 등으로 증가 지속
▸창고·운송관련 증감(천명): (‘22.6)19.2→ (7)17.7→ (8)16.5→ (9)15.4→ (10)14.9
항공 및 육상 화물취급업 증감(천명): (‘22.6)13.9→ (7)12.8→ (8)11.8→ (9)10.9→ (10)10.0
ㅇ <숙박업 ><음식·음료업 > 코로나 일상회복 및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세
▸숙박업 증감(천명): (‘22.6)4.2→ (7)3.9→ (8)3.9→ (9)4.4→ (10)4.5
※ 숙박업 생산지수(계절조정) : (’21.9)77.4→ (’22.7)106.6→ (8p)105.1→ (9p)103.7
※ 10월 숙박업 가입자수(천명): (’19)79→ (’20)72→ (’21)71→ (’22)76
▸음식·음료업 증감(천명): (’22.6)36.6→ (7)36.1→ (8)40.8→ (9)40.6→ (10)41.5
음식점업 증감(천명): (‘22.6)23.0→ (7)23.4→ (8)26.5→ (9)26.3→ (10)27.5
주점및비알콜음료점업 증감(천명): (‘22.6)13.6→ (7)12.7→ (8)14.3→ (9)14.3→ (10)14.0
※ 음식점업 생산지수(계절조정) : (’21.9)85.3→ (’22.7)95.9→ (8p)94.8→ (9p)98.1
※ 10월 음식점업 가입자수(천명): (’19)517→ (’20)496→ (’21)485→ (’22)513
ㅇ <금융업 > 자산운용회사, 신용조합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
▸금융업 증감(천명): (‘22.6)0.8→ (7)1.8→ (8)1.5→ (9)1.3→ (10)1.9
은행 및 저축기관 증감(천명): (‘22.6)-1.6→ (7)-0.5→ (8)-1.2→ (9)-1.3→ (10)-1.3
투자기관 증감(천명): (‘22.6)1.3→ (7)1.3→ (8)1.3→ (9)1.4→ (10)1.4
기타금융업 증감(천명): (‘22.6)1.1→ (7)1.1→ (8)1.4→ (9)1.3→ (10)1.8
- <금융보험서비스 > 증권회사, 금융지원 서비스업 등 중심으로 증가 지속
▸금융 및 보험관련서비스업 증감(천명): (’22.6)3.7→ (7)3.4→ (8)3.0→ (9)2.7→ (10)2.4
ㅇ <출판업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 ><정보서비스업 >
재택근무·원격회의 등을 위한 원격근무솔루션과 비대면 서비스 수요증가에 따른 클라우드 이용 확대 등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업종 증가 지속
▸출판업 증감(천명): (‘22.6)40.2→ (7)39.9→ (8)39.0→ (9)38.6→ (10)38.5
소프트웨어개발및공급 증감(천명): (’22.6)40.1→ (7)39.7→ (8)38.8→ (9)38.2→ (10)37.4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및관리업 증감(천명): (‘22.6)5.9→ (7)6.3→ (8)6.7→ (9)6.5→ (10)6.4
▸정보서비스업 증감(천명): (‘22.6)9.7→ (7)9.8→ (8)9.7→ (9)8.4→ (10)8.4
- <영상·오디오기록물제작배급업 > 영화·방송·광고 제작업 등에서 증가를 지속하는 가운데, 영화관운영업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 지속
▸영상·오디오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증감(천명): (‘22.6)8.5→ (7)8.5→ (8)8.4→ (9)7.5→ (10)6.4
영화관운영업 증감(천명): (‘22.6)3.8→ (7)4.3→ (8)4.5→ (9)3.6→ (10)2.7
ㅇ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업 ><건축기술 및 기타과학기술 > 경제의 서비스화 및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R&D, SOC 관련 예산) 등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 지속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2.6)10.5→ (7)10.7→ (8)11.4→ (9)11.2→ (10)11.2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증감(천명): (‘22.6)9.2→ (7)9.2→ (8)9.6→ (9)9.5→ (10)9.3
* ‘22.2월 ’전자통신(전자부품)‘ 제조업의 일부사업장이 ’연구개발업‘으로 산업분류 변경(+1.2천명)
▸전문서비스업 증감(천명): (‘22.6)14.9→ (7)13.2→ (8)12.8→ (9)12.7→ (10)12.9
기타산업회사본부 증감(천명): (‘22.6)2.0→ (7)2.2→ (8)2.7→ (9)2.1→ (10)2.6
경영컨설팅업 증감(천명): (‘22.6)4.0→ (7)3.5→ (8)3.0→ (9)2.6→ (10)2.3
▸건축및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 증감(천명): (‘22.6)21.1→ (7)21.8→ (8)21.4→ (9)21.0→ (10)20.8
ㅇ <공공행정↓> 코로나19 대응 등을 위해 확대하였던 직접일자리 규모 축소로 감소 지속. 다만, 고용보험 가입자수는 코로나 이전보다 더 많음
▸공공행정 증감(천명) : (‘22.6)-27.6→ (7)-32.3→ (8)-25.7→ (9)-47.3→ (10)-54.6
※ 10월 공공행정 가입자수(천명): (’19)377→ (’20)576→ (’21)465→ (’22)410
ㅇ <교육서비스업 > 스포츠 교육기관, 직원훈련기관 등 기타 교육기관이 증가 둔화되면서 증가폭 크게 둔화
▸교육서비스업 증감(천명): (‘22.6)37.7→ (7)23.9→ (8)20.1→ (9)18.8→ (10)12.3
초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6)9.9→ (7)6.5→ (8)4.9→ (9)4.6→ (10)3.8
중등교육기관 증감(천명): (‘22.6)11.6→ (7)7.2→ (8)6.3→ (9)5.7→ (10)4.6
기타교육기관 증감(천명): (‘22.6)9.8→ (7)4.3→ (8)2.9→ (9)4.5→ (10)0.1
ㅇ <보건업 ><사회복지업 > 보건·돌봄·사회복지 수요 증가 영향으로 비거주 복지시설(노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등), 병·의원 등에서 증가 지속
▸보건업 증감(천명) : (‘22.6)27.4→ (7)24.0→ (8)23.7→ (9)24.3→ (10)24.3
병원 증감(천명): (‘22.6)9.3→ (7)7.7→ (8)7.7→ (9)8.8→ (10)8.5
의원 증감(천명): (‘22.6)17.3→ (7)16.4→ (8)16.1→ (9)16.2→ (10)16.7
▸사회복지업 증감(천명) : (‘22.6)69.0→ (7)59.6→ (8)58.5→ (9)55.4→ (10)54.9
비거주복지시설 증감(천명): (‘22.6)53.1→ (7)46.9→ (8)46.4→ (9)43.5→ (10)42.8
ㅇ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 제조업 경기 개선에 따른 인력수요 증가 등으로 증가 지속
▸사업시설관리및조경서비스업 증감(천명): (‘22.6)7.2→ (7)6.2→ (8)6.5→ (9)5.9→ (10)6.0
- <사업지원서비스업 > 코로나 일상회복으로 여행업 소폭 증가에도, 인력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 둔화
* ‘22.2월 사업장 산업분류 변경(사업시설 유지관리 → 경비, 경호 및 탐정업 이동, +1.1천명)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2.6)19.4→ (7)21.6→ (8)21.6→ (9)14.8→ (10)13.5
인력공급 및 고용알선업 증감(천명): (‘22.6)11.5→ (7)11.4→ (8)11.9→ (9)7.2→ (10)6.7
기타 사업지원서비스업 증감(천명): (‘22.6)6.1→ (7)6.7→ (8)5.7→ (9)3.8→ (10)3.0
여행사및기타여행보조서비스업 증감(천명): (‘22.6)-0.5→ (7)0.0→ (8)0.5→ (9)0.8→ (10)1.0
ㅇ <협회 및 단체↓> 전문가 단체, 시민운동 단체 등을 중심으로 감소하면서 이번 달 들어 감소로 전환
▸협회 및 단체 증감(천명): (‘22.6)3.4→ (7)1.3→ (8)0.5→ (9)0.2→ (10)-1.7
산업 및 전문가 단체 증감(천명): (‘22.6)0.7→ (7)0.1→ (8)-0.1→ (9)-0.3→ (10)-1.0
기타협회 및 단체 증감(천명): (‘22.6)2.6→ (7)1.0→ (8)0.5→ (9)0.4→ (10)-0.9
3. 인적속성
|
□ (성별) 남성 가입자는 831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 4천명 증가,
여성 가입자는 662만 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만 7천명 증가
▸ 남성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212→ (7)199→ (8)196→ (9)176→ (10)164
▸ 여성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264→ (7)232→ (8)231→ (9)202→ (10)187
□ (연령별) 30대(+12천명), 40대(+43천명), 50대(+110천명), 60세이상(+204천명) 증가하였고, 29세이하(-17천명)는 소폭 감소
ㅇ 29세이하 감소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 및 도소매(-18천명), 사업서비스(-11천명),공공행정(-11천명), 보건복지(-10천명) 등 감소에 기인
▸ 29세이하 가입자수 증감(천명): (‘22.6)30→ (7)18→ (8)13→ (9)-9→ (10)-17
* 가장 최신자료인 ‘22.9월기준 경활 15세이상인구와 ’22.10월기준 고용보험 가입자수
<연령별 고용보험 가입자수(천명, %, 전년동월대비)>
|
’20.10월
|
’21.10월
|
’22.6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p)
|
29세 이하
|
2,447
|
2,503
|
2,505
|
2,523
|
2,520
|
2,493
|
2,485
|
(증감)
|
3
|
55
|
30
|
18
|
13
|
-9
|
-17
|
(증감률)
|
(0.1)
|
(2.3)
|
(1.2)
|
(0.7)
|
(0.5)
|
(-0.3)
|
(-0.7)
|
30대
|
3,358
|
3,365
|
3,362
|
3,360
|
3,362
|
3,371
|
3,378
|
(증감)
|
-54
|
8
|
21
|
16
|
17
|
16
|
12
|
(증감률)
|
(-1.6)
|
(0.2)
|
(0.6)
|
(0.5)
|
(0.5)
|
(0.5)
|
(0.4)
|
40대
|
3,518
|
3,545
|
3,577
|
3,570
|
3,571
|
3,581
|
3,587
|
(증감)
|
51
|
27
|
59
|
51
|
50
|
45
|
43
|
(증감률)
|
(1.5)
|
(0.8)
|
(1.7)
|
(1.4)
|
(1.4)
|
(1.3)
|
(1.2)
|
50대
|
3,004
|
3,123
|
3,195
|
3,197
|
3,209
|
3,223
|
3,233
|
(증감)
|
126
|
119
|
150
|
140
|
135
|
123
|
110
|
(증감률)
|
(4.4)
|
(4.0)
|
(4.9)
|
(4.6)
|
(4.4)
|
(4.0)
|
(3.5)
|
60세 이상
|
1,905
|
2,052
|
2,170
|
2,174
|
2,201
|
2,227
|
2,256
|
(증감)
|
238
|
148
|
215
|
207
|
211
|
203
|
204
|
(증감률)
|
(14.3)
|
(7.7)
|
(11.0)
|
(10.5)
|
(10.6)
|
(10.0)
|
(9.9)
|
4. 사업장 규모
|
□ 300인 미만은 26만 1천명 증가, 300인 이상은 9만명 증가
ㅇ 300인 미만은 보건복지(+64천명), 숙박음식(+43천명), 출판영상통신(+38천명), 300인 이상은 제조업(+37천명), 출판영상통신(+23천명) 등 중심으로 증가
<규모별 고용보험 가입자수(천명, %, 전년동월대비)>
|
’20.10월
|
’21.10월
|
’22.6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p)
|
|
전산업
|
300인 미만
|
10,097
|
10,486
|
10,644
|
10,654
|
10,683
|
10,716
|
10,747
|
(증감)
|
163
|
389
|
360
|
316
|
300
|
280
|
261
|
|
(증감률)
|
(1.6)
|
(3.9)
|
(3.5)
|
(3.1)
|
(2.9)
|
(2.7)
|
(2.5)
|
|
300인 이상
|
4,135
|
4,102
|
4,165
|
4,171
|
4,180
|
4,180
|
4,192
|
|
(증감)
|
203
|
-33
|
115
|
115
|
127
|
98
|
90
|
|
(증감률)
|
(5.2)
|
(-0.8)
|
(2.8)
|
(2.8)
|
(3.1)
|
(2.4)
|
(2.2)
|
|
제조업
|
300인 미만
|
2,439
|
2,506
|
2,536
|
2,534
|
2,534
|
2,539
|
2,541
|
(증감)
|
-35
|
67
|
48
|
43
|
41
|
38
|
35
|
|
(증감률)
|
(-1.4)
|
(2.7)
|
(1.9)
|
(1.7)
|
(1.6)
|
(1.5)
|
(1.4)
|
|
300인 이상
|
1,087
|
1,109
|
1,134
|
1,140
|
1,142
|
1,144
|
1,146
|
|
(증감)
|
-8
|
22
|
34
|
36
|
37
|
36
|
37
|
|
(증감률)
|
(-0.7)
|
(2.0)
|
(3.1)
|
(3.3)
|
(3.4)
|
(3.2)
|
(3.4)
|
|
서비스업
|
300인 미만
|
6,960
|
7,254
|
7,363
|
7,373
|
7,401
|
7,428
|
7,456
|
(증감)
|
187
|
294
|
286
|
247
|
233
|
217
|
202
|
|
(증감률)
|
(2.8)
|
(4.2)
|
(4.0)
|
(3.5)
|
(3.3)
|
(3.0)
|
(2.8)
|
|
300인 이상
|
2,880
|
2,822
|
2,855
|
2,855
|
2,862
|
2,860
|
2,870
|
|
(증감)
|
206
|
-58
|
73
|
70
|
82
|
55
|
49
|
|
(증감률)
|
(7.7)
|
(-2.0)
|
(2.6)
|
(2.5)
|
(2.9)
|
(2.0)
|
(1.7)
|
* 서비스업: 표준산업분류상 A.농림어업, B.광업, C.제조업, D.전기,가스, F.건설업을 제외한 전산업
Ⅱ
|
구직급여 신청 및 지급 현황 <5쪽 ‘이용시 유의사항’ 참고>
|
|
□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수(7만 7천명)는 전년동월대비 2천명(-2.2%) 감소
ㅇ 산업별로는 건설업(-1천명), 사업서비스(-1천명), 제조업(-1천명) 등에서 주로 감소
□ 전체 구직급여 지급자는 53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만명(-5.3%) 감소하였고, 지급액은 8,188억원으로 689억원(-7.8%) 감소
ㅇ 구직급여 지급자에게 구직급여가 1회 지급될 때 지급액인 지급건수당 지급액은 약 141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 감소
<구직급여 신청・지급 현황(천명, %, 전년동월대비)>
|
’20.10월
|
’21.10월
|
’22.6월
|
’22.7월
|
’22.8월
|
’22.9월
|
’22.10월p)
|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
88
|
78
|
85
|
100
|
81
|
81
|
77
|
(증감)
|
-
|
-10
|
-6
|
-7
|
-3
|
2
|
-2
|
(증감률)
|
-
|
(-11.0)
|
(-6.5)
|
(-6.3)
|
(-3.8)
|
(2.7)
|
(-2.2)
|
구직급여 지급자
|
643
|
565
|
615
|
613
|
603
|
571
|
535
|
(증감)
|
-
|
-78
|
-78
|
-66
|
-44
|
-41
|
-30
|
(증감률)
|
-
|
(-12.2)
|
(-11.3)
|
(-9.7)
|
(-6.7)
|
(-6.6)
|
(-5.3)
|
지급건수
|
690
|
624
|
668
|
650
|
685
|
649
|
582
|
(증감)
|
-
|
-66
|
-96
|
-86
|
-34
|
-46
|
-42
|
(증감률)
|
-
|
(-9.5)
|
(-12.6)
|
(-11.7)
|
(-4.7)
|
(-6.7)
|
(-6.7)
|
구직급여 지급액(억원)
|
9,946
|
8,877
|
9,557
|
9,136
|
9,863
|
9,261
|
8,188
|
(증감)
|
-
|
-1,069
|
-1,387
|
-1,257
|
-508
|
-492
|
-689
|
(증감률)
|
-
|
(-10.8)
|
(-12.7)
|
(-12.1)
|
(-4.9)
|
(-5.0)
|
(-7.8)
|
지급건수당 지급액(천원)
|
1,441
|
1,422
|
1,431
|
1,405
|
1,440
|
1,427
|
1,406
|
(증감)
|
-
|
-19
|
-1
|
-7
|
-3
|
24
|
-16
|
(증감률)
|
-
|
(-1.3)
|
(-0.1)
|
(-0.5)
|
(-0.2)
|
(1.7)
|
(-1.1)
|
1인당 지급액(천원)
|
1,547
|
1,572
|
1,554
|
1,490
|
1,636
|
1,621
|
1,531
|
(증감)
|
-
|
25
|
-24
|
-41
|
32
|
27
|
-41
|
(증감률)
|
-
|
(1.6)
|
(-1.5)
|
(-2.7)
|
(2.0)
|
(1.7)
|
(-2.6)
|
주1) 구직급여 통계는 임금근로자 기준으로 작성(일용근로자 포함, 자영업자 제외), 1인당 지급액은 전체 지급액을 지급자수로 나눈 값이며, 지급건수당 지급액은 지급자에게 구직급여가 1회 지급될 때의 평균 지급액임(지급자는 1주∼4주 범위 내에서 지정된 실업인정일에 구직급여를 지급 받으므로, 월 2회 구직급여를 지급 받는 경우도 있음)
2) ‘19.10.1부터 구직급여 지급요건, 지급수준, 지급기간 등이 변경되어, 기존 구직급여 신청·지급현황 통계와 시계열 단절이 발생하므로 ’19.10월∼‘21.6월 통계수치의 전년동월대비 비교는 부적절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 몽클라르 장군, 별4개 새겨진 조선시대 지휘봉 받는다 (0) | 2022.11.09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11월 수상자 선정 (0) | 2022.11.09 |
내년도 국가공무원 공채시험 일정 발표(5급 및 외교관후보자 1차 3월, 7급 1차 7월, 9급 필기 4월 시행) (0) | 2022.11.09 |
탈모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샴푸는 없어요! (0) | 2022.11.09 |
2022년 9월 말 산업재해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잠정결과 발표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