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2022.09.02 통계청
2022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
|
|
목 차
|
|
|
|
|
❐ 2022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요약).................... 1
❐ 2022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 2
1.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2
2.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4
3. 소비자물가지수 지역별 동향 8
❐ 통계표......................................................... 10
1. 지출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10
2.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11
3. 주요 국가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16
◇ 부 록
◎ 소비자물가지수의 개요 18
◎ 자주하는 질문 20
◎ 2022년 소비자물가동향 공표일정 21
|

소비자물가지수 주요 등락률 추이
|
(%)
|
연도별 동향(전년비)
|
최근 월별 동향(전년동월비)
|
||||||
2019
|
2020
|
2021
|
‘22.5월
|
6월
|
7월
|
8월
|
||
◦ 소비자물가지수
|
0.4
|
0.5
|
2.5
|
5.4
|
6.0
|
6.3
|
5.7
|
|
◦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
0.9
|
0.7
|
1.8
|
4.1
|
4.4
|
4.5
|
4.4
|
|
◦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
0.7
|
0.4
|
1.4
|
3.4
|
3.9
|
3.9
|
4.0
|
|
◦ 생활물가지수
|
0.2
|
0.4
|
3.2
|
6.7
|
7.4
|
7.9
|
6.8
|
|
◦ 신선식품지수
|
-5.1
|
9.0
|
6.2
|
2.5
|
5.4
|
13.0
|
14.9
|
|
품
목
성
질
별
|
농축수산물
|
-1.7
|
6.7
|
8.7
|
4.2
|
4.8
|
7.1
|
7.0
|
공업제품
|
-0.2
|
-0.2
|
2.3
|
8.3
|
9.3
|
8.9
|
7.0
|
|
전기․가스․수도
|
1.5
|
-1.4
|
-2.1
|
9.6
|
9.6
|
15.7
|
15.7
|
|
서 비 스
|
0.9
|
0.3
|
2.0
|
3.5
|
3.9
|
4.0
|
4.1
|
2022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요약)
|

2022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
1.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 2022년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2020=100)로 전월대비 0.1% 하락
◦ 전년동월대비 5.7% 상승하여 전월 6.3%보다 0.6%p 축소
< 월별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
(2020=100, %)
|
‘21.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지 수
|
102.75
|
103.17
|
103.35
|
103.87
|
104.04
|
104.69
|
105.30
|
106.06
|
106.85
|
107.56
|
108.22
|
108.74
|
108.62
|
전 월 비
|
0.5
|
0.4
|
0.2
|
0.5
|
0.2
|
0.6
|
0.6
|
0.7
|
0.7
|
0.7
|
0.6
|
0.5
|
-0.1
|
전년동월비
|
2.6
|
2.4
|
3.2
|
3.8
|
3.7
|
3.6
|
3.7
|
4.1
|
4.8
|
5.4
|
6.0
|
6.3
|
5.7
|
전년누계비
|
2.1
|
2.2
|
2.3
|
2.4
|
2.5
|
3.6
|
3.6
|
3.8
|
4.1
|
4.3
|
4.6
|
4.9
|
5.0
|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4% 각각 상승
< 월별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동향 >
(2020=100, %)
|
‘21.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지 수
|
102.01
|
102.26
|
102.58
|
102.81
|
103.25
|
103.77
|
104.22
|
104.40
|
104.98
|
105.73
|
106.15
|
106.28
|
106.53
|
전 월 비
|
0.3
|
0.2
|
0.3
|
0.2
|
0.4
|
0.5
|
0.4
|
0.2
|
0.6
|
0.7
|
0.4
|
0.1
|
0.2
|
전년동월비
|
1.9
|
2.0
|
2.8
|
2.4
|
2.7
|
3.0
|
3.2
|
3.3
|
3.6
|
4.1
|
4.4
|
4.5
|
4.4
|
전년누계비
|
1.5
|
1.6
|
1.7
|
1.8
|
1.8
|
3.0
|
3.1
|
3.2
|
3.3
|
3.4
|
3.6
|
3.7
|
3.8
|
* 계절적인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곡물 외의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작성
□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4.0% 각각 상승
< 월별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동향 >
(2020=100, %)
|
‘21.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지 수
|
101.70
|
101.58
|
101.83
|
102.06
|
102.51
|
103.16
|
103.59
|
103.72
|
104.11
|
104.60
|
105.04
|
105.43
|
105.76
|
전 월 비
|
0.2
|
-0.1
|
0.2
|
0.2
|
0.4
|
0.6
|
0.4
|
0.1
|
0.4
|
0.5
|
0.4
|
0.4
|
0.3
|
전년동월비
|
1.3
|
1.4
|
2.3
|
1.9
|
2.2
|
2.6
|
2.9
|
2.9
|
3.1
|
3.4
|
3.9
|
3.9
|
4.0
|
전년누계비
|
1.1
|
1.1
|
1.2
|
1.3
|
1.4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의 범위를 OECD 기준의 식료품과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5% 하락, 전년동월대비 6.8% 상승
◦ 식품은 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8.9% 각각 상승
◦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1.5% 하락, 전년동월대비 5.5% 상승
◦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4% 하락, 전년동월대비 6.0% 상승
< 생활물가지수 동향 >
(2020=100, %)
|
품목수
|
가중치
|
2021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8월
|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
생활물가지수
|
144
|
529.4
|
103.33
|
0.5
|
3.3
|
110.91
|
0.4
|
7.9
|
110.35
|
-0.5
|
6.8
|
- 식품
|
84
|
203.7
|
105.17
|
1.1
|
3.8
|
113.26
|
1.3
|
8.8
|
114.48
|
1.1
|
8.9
|
- 식품이외
|
60
|
325.7
|
102.18
|
0.2
|
3.0
|
109.43
|
-0.1
|
7.3
|
107.77
|
-1.5
|
5.5
|
전월세포함
생활물가지수
|
146
|
627.7
|
103.06
|
0.5
|
3.0
|
109.72
|
0.4
|
7.0
|
109.27
|
-0.4
|
6.0
|
*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
□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5.4%, 전년동월대비 14.9% 각각 상승
◦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0.6% 하락, 전년동월대비 2.8% 상승
◦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11.7%, 전년동월대비 28.0% 각각 상승
◦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2.3%, 전년동월대비 9.6% 각각 상승
< 신선식품지수 동향 >
(2020=100, %)
|
품목수
|
가중치
|
2021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8월
|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
신선식품지수
|
55
|
42.2
|
104.26
|
3.7
|
-0.9
|
113.70
|
6.9
|
13.0
|
119.80
|
5.4
|
14.9
|
- 신선어개
|
11
|
10.6
|
99.95
|
-0.2
|
2.2
|
103.39
|
-1.1
|
3.3
|
102.73
|
-0.6
|
2.8
|
- 신선채소
|
26
|
16.8
|
99.12
|
10.0
|
-11.8
|
113.57
|
17.3
|
26.0
|
126.88
|
11.7
|
28.0
|
- 신선과실
|
18
|
14.8
|
113.19
|
0.4
|
10.7
|
121.22
|
2.3
|
7.5
|
124.00
|
2.3
|
9.6
|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
□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5.0% 상승
(2020=100, %)
|
품목수
|
가중치
|
2021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8월
|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
자가주거비포함지수
|
459
|
1248.3
|
102.51
|
0.4
|
2.3
|
107.67
|
0.4
|
5.5
|
107.59
|
-0.1
|
5.0
|
- 자가주거비
|
1
|
248.3
|
101.58
|
0.2
|
1.5
|
103.33
|
0.1
|
1.9
|
103.45
|
0.1
|
1.8
|
* 자신의 소유주택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는 서비스에 대해 지불한 비용(자가주거비)을 포함하여 작성
2.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 지출목적별 동향
◦ 전월대비 식료품·비주류음료(1.4%), 음식·숙박(0.9%), 오락·문화(0.7%), 주택·수도·전기·연료(0.2%), 가정용품·가사서비스(0.6%), 보건(0.2%), 기타 상품·서비스(0.2%), 교육(0.1%), 의류·신발(0.1%), 주류·담배(0.1%)는 상승, 통신은 변동 없으며, 교통(-4.9%)은 하락
◦ 전년동월대비 식료품·비주류음료(8.0%), 음식·숙박(8.7%), 주택·수도·전기·연료(6.2%), 교통(8.8%), 기타 상품·서비스(6.8%), 가정용품·가사서비스(5.3%), 오락·문화(3.3%), 의류·신발(3.3%), 교육(1.5%), 보건(0.9%), 통신(1.0%), 주류·담배(2.5%)가 모두 상승
< 지출목적별 등락률 및 기여도 >
(2020=100, %, %p)
지출목적별 부문
|
품목수
|
가중치
|
지수
|
등락률
|
기여도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 총 지 수 >
|
458
|
1,000.0
|
108.62
|
-0.1
|
5.7
|
-0.11
|
5.71
|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
140
|
154.5
|
114.69
|
1.4
|
8.0
|
0.22
|
1.28
|
주류 및 담배
|
7
|
16.5
|
103.17
|
0.1
|
2.5
|
0.00
|
0.04
|
의류 및 신발
|
25
|
48.6
|
103.69
|
0.1
|
3.3
|
0.00
|
0.16
|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
15
|
171.6
|
106.99
|
0.2
|
6.2
|
0.03
|
1.04
|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
50
|
53.9
|
107.90
|
0.6
|
5.3
|
0.03
|
0.29
|
보 건
|
34
|
87.2
|
100.82
|
0.2
|
0.9
|
0.01
|
0.08
|
교 통
|
33
|
106.0
|
117.40
|
-4.9
|
8.8
|
-0.59
|
0.98
|
통 신
|
6
|
48.4
|
99.86
|
0.0
|
1.0
|
0.00
|
0.05
|
오락 및 문화
|
47
|
57.5
|
104.60
|
0.7
|
3.3
|
0.04
|
0.19
|
교 육
|
20
|
70.3
|
102.57
|
0.1
|
1.5
|
0.00
|
0.10
|
음식 및 숙박
|
44
|
131.3
|
112.43
|
0.9
|
8.7
|
0.12
|
1.16
|
기타상품 및 서비스
|
37
|
54.2
|
109.28
|
0.2
|
6.8
|
0.01
|
0.37
|
< 지출목적별 등락률 >
|
< 주요 부문 등락률 추이 >
|
|
|
|
|
|
□ 품목성질별 동향
◦ 상품은 전월대비 0.6% 하락, 전년동월대비 7.6% 상승
-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2.0%, 전년동월대비 7.0% 각각 상승
-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1.4% 하락, 전년동월대비 7.0% 상승
-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5.7% 각각 상승
◦ 서비스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1% 각각 상승
- 집세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8% 각각 상승
-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6.1% 각각 상승
< 품목성질별 등락률 및 기여도 >
(2020=100, %, %p)
|
품목수
|
가중치
|
지수
|
등락률
|
기여도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 총 지 수 >
|
458
|
1000.0
|
108.62
|
-0.1
|
5.7
|
-0.11
|
5.71
|
- 상 품
|
310
|
466.6
|
110.92
|
-0.6
|
7.6
|
-0.30
|
3.56
|
․농축수산물
|
78
|
83.8
|
116.74
|
2.0
|
7.0
|
0.18
|
0.63
|
(농산물)1)
|
57
|
43.8
|
118.21
|
5.2
|
10.4
|
0.24
|
0.47
|
(채소류)
|
27
|
16.9
|
126.83
|
11.6
|
27.9
|
0.21
|
0.45
|
(축산물)
|
6
|
27.6
|
120.55
|
-1.6
|
3.7
|
-0.05
|
0.12
|
(수산물)
|
15
|
12.4
|
103.11
|
-0.5
|
3.2
|
-0.01
|
0.04
|
․공업제품1)
|
228
|
348.4
|
109.95
|
-1.4
|
7.0
|
-0.48
|
2.44
|
(가공식품)
|
73
|
86.8
|
110.83
|
0.7
|
8.4
|
0.06
|
0.72
|
(석유류)
|
6
|
39.4
|
142.48
|
-10.0
|
19.7
|
-0.57
|
0.90
|
․전기‧가스‧수도
|
4
|
34.4
|
106.55
|
0.1
|
15.7
|
0.00
|
0.49
|
- 서 비 스
|
148
|
533.4
|
106.60
|
0.4
|
4.1
|
0.19
|
2.15
|
․집세
|
2
|
98.3
|
103.45
|
0.1
|
1.8
|
0.01
|
0.18
|
․공공서비스
|
30
|
127.3
|
101.83
|
0.0
|
0.8
|
0.00
|
0.10
|
․개인서비스
|
116
|
307.8
|
109.58
|
0.6
|
6.1
|
0.17
|
1.88
|
(외식)
|
39
|
126.7
|
112.20
|
0.7
|
8.8
|
0.09
|
1.12
|
(외식외)
|
77
|
181.1
|
107.75
|
0.4
|
4.2
|
0.08
|
0.76
|
주1) 농산물은 하위 4개 분류 중 채소류만 수록하였고, 공업제품은 하위 8개 분류 중 가공식품, 석유류만 수록
< 품목성질별 등락률 >

< 주요 부문 등락률 추이 >
|
|
|
|
|
|
< 주요 등락품목 >
(%)
|
전월대비
|
전년동월대비
|
|
농축
수산물
|
배추(30.7), 토마토(34.6), 시금치(32.0),
파프리카(43.1), 무(19.3), 수박(11.2), 파(12.5)
|
배추(78.0), 수입쇠고기(19.9), 돼지고기(3.8),
오이(69.2), 파(48.9), 포도(22.0), 호박(83.2)
|
|
돼지고기(-3.3), 쌀(-2.6), 수입쇠고기(-1.9),
복숭아(-6.8), 체리(-11.5), 고등어(-1.9), 갈치(-3.6)
|
쌀(-16.5), 달걀(-10.0), 고춧가루(-14.1),
고구마(-21.1), 배(-19.3), 콩(-11.7), 찹쌀(-9.7)
|
||
공업제품
|
빵(2.1), 소시지(5.8), 홍삼(6.6), 침구(2.9),
싱크대(3.5), 햄및베이컨(2.0), 즉석식품(1.5)
|
경유(30.4), 휘발유(8.5), 등유(73.4), 빵(15.0),
기능성화장품(14.0), 수입승용차(5.6)
|
|
휘발유(-12.4), 경유(-10.0), 등유(-2.7),
자동차용품(-9.6), 컴퓨터(-1.9), 소형주방가전(-5.5)
|
컴퓨터(-3.6), 전기밥솥(-11.6), 조제약(-1.4),
병원약품(-2.0),마스크(-3.4),청소기(-4.3)
|
||
전기·가스·수도
|
상수도료(0.3), 도시가스(0.1)
|
전기료(18.2), 도시가스(18.4), 지역난방비(12.5), 상수도료(3.5)
|
|
|
|
||
서비스
|
집세
|
전세(0.2), 월세(0.1)
|
전세(2.6), 월세(0.9)
|
공공
서비스
|
하수도료(0.4)
|
외래진료비(2.3), 국제항공료(22.0)
|
|
|
유치원납입금(-18.6), 부동산중개수수료(-7.7)
|
||
개인
서비스
|
햄버거(7.7), 온라인콘텐츠이용료(3.1),
공동주택관리비(1.1), 국내단체여행비(6.3)
|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관리비(4.7),
생선회(외식)(9.8), 치킨(11.4)
|
|
승용차임차료(-11.3), 골프장이용료(-0.4),
커피(외식)(-0.1), 학교보충교육비(-0.1)
|
병원검사료(-31.4), 가전제품렌탈비(-4.7),
자동차보험료(-1.3), 취업학원비(-0.5)
|
3. 소비자물가지수 지역별 동향
□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
◦ 전월대비 서울, 세종은 0.1% 상승, 부산, 제주는 변동 없으며, 대구, 울산,경기는 0.1%, 인천, 광주 등 9개 지역은 0.2~0.3%, 경북은 0.4% 각각 하락
◦ 전년동월대비 제주는 6.8%, 강원, 충남은 6.7%, 충북, 전남은 6.6%, 경북은 6.5%, 세종은 6.1%, 전북, 경남은 6.0%, 부산, 대구 등 6개 지역은 5.5~5.9%, 대전은 5.4%, 서울은 5.1% 각각 상승
<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
(2020=100, %)
|
지 수
|
등 락 률
|
|
지 수
|
등 락 률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전 국
|
108.62
|
-0.1
|
5.7
|
경 기
|
108.57
|
-0.1
|
5.6
|
서 울
|
107.58
|
0.1
|
5.1
|
강 원
|
109.97
|
-0.3
|
6.7
|
부 산
|
108.21
|
0.0
|
5.5
|
충 북
|
109.66
|
-0.2
|
6.6
|
대 구
|
108.98
|
-0.1
|
5.9
|
충 남
|
109.89
|
-0.3
|
6.7
|
인 천
|
108.66
|
-0.2
|
5.6
|
전 북
|
109.06
|
-0.2
|
6.0
|
광 주
|
108.80
|
-0.3
|
5.8
|
전 남
|
109.50
|
-0.3
|
6.6
|
대 전
|
108.26
|
-0.2
|
5.4
|
경 북
|
109.69
|
-0.4
|
6.5
|
울 산
|
108.32
|
-0.1
|
5.5
|
경 남
|
108.87
|
-0.3
|
6.0
|
세 종
|
109.36
|
0.1
|
6.1
|
제 주
|
109.96
|
0.0
|
6.8
|
<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
|
□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동향
◦ 공공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충북은 0.3% 상승, 서울, 부산, 대구 등 16개 지역은 변동 없음
- 전년동월대비로는 세종은 2.2%, 충북은 1.7%, 서울, 부산, 대구 등 13개 지역은 0.5~1.2%, 인천은 0.1% 각각 상승, 충남은 0.6% 하락
◦ 개인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세종은 1.0%, 서울, 대전, 전남, 제주는 0.7%, 부산, 대구 등 6개 지역은 0.6%, 광주, 경기, 충북, 경북은 0.5%, 강원, 경남은 0.4% 각각 상승
- 전년동월대비로는 제주는 7.7%, 충북은 6.7%, 충남은 6.6%, 인천은 6.4%,서울, 부산 등 7개 지역은 6.0~6.3%, 세종, 경기는 5.9%, 광주, 전북은 5.8%, 울산은 5.7%, 경남은 5.5% 각각 상승
<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등락률 >
(%)
|
전월대비
|
전년동월대비
|
||||||
공 공
서비스
|
개 인
서비스
|
|
|
공 공
서비스
|
개 인
서비스
|
|
|
|
외식
|
외식제외 개인
|
외식
|
외식제외 개인
|
|||||
전 국
|
0.0
|
0.6
|
0.7
|
0.4
|
0.8
|
6.1
|
8.8
|
4.2
|
서 울
|
0.0
|
0.7
|
0.7
|
0.7
|
0.7
|
6.2
|
8.7
|
4.5
|
부 산
|
0.0
|
0.6
|
0.7
|
0.6
|
1.0
|
6.0
|
9.0
|
3.6
|
대 구
|
0.0
|
0.6
|
0.8
|
0.5
|
0.6
|
6.2
|
8.9
|
4.1
|
인 천
|
0.0
|
0.6
|
0.8
|
0.4
|
0.1
|
6.4
|
9.1
|
4.5
|
광 주
|
0.0
|
0.5
|
0.7
|
0.3
|
0.6
|
5.8
|
8.6
|
3.9
|
대 전
|
0.0
|
0.7
|
1.1
|
0.5
|
0.6
|
6.1
|
9.3
|
3.9
|
울 산
|
0.0
|
0.6
|
1.0
|
0.2
|
1.0
|
5.7
|
8.8
|
3.4
|
세 종
|
0.0
|
1.0
|
0.7
|
1.2
|
2.2
|
5.9
|
8.9
|
4.0
|
경 기
|
0.0
|
0.5
|
0.7
|
0.3
|
0.9
|
5.9
|
8.9
|
4.0
|
강 원
|
0.0
|
0.4
|
0.5
|
0.3
|
1.2
|
6.2
|
8.7
|
4.5
|
충 북
|
0.3
|
0.5
|
0.5
|
0.6
|
1.7
|
6.7
|
8.9
|
5.0
|
충 남
|
0.0
|
0.6
|
1.0
|
0.3
|
-0.6
|
6.6
|
8.8
|
4.9
|
전 북
|
0.0
|
0.6
|
0.7
|
0.4
|
1.1
|
5.8
|
8.7
|
4.0
|
전 남
|
0.0
|
0.7
|
1.0
|
0.4
|
1.0
|
6.3
|
9.7
|
4.0
|
경 북
|
0.0
|
0.5
|
0.7
|
0.4
|
0.5
|
6.1
|
8.8
|
4.2
|
경 남
|
0.0
|
0.4
|
0.6
|
0.3
|
0.9
|
5.5
|
8.3
|
3.5
|
제 주
|
0.0
|
0.7
|
0.8
|
0.7
|
1.2
|
7.7
|
8.7
|
6.8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호 태풍 힌남노 북상 대비 댐 사전 방류 확대 (0) | 2022.09.04 |
---|---|
전세사기 뿌리 뽑는다…임차인 법적권리 강화·피해 회복 원스톱 지원 (0) | 2022.09.03 |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본격 출하 (0) | 2022.09.03 |
추석 연휴 체류 외국인 특별방역대책 시행 (0) | 2022.09.03 |
모바일 운전면허증 궁금증 7가지 (0) | 2022.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