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고용형태 공시 결과 공개
2022.08.25 고용노동부
2022년 고용형태 공시 결과 공개
|
◇ ’22.3.31. 기준, 상시 300인 이상 3,687개 기업이 고용형태 공시 완료(+132개사, 공시율 99.9%)
◇ 300인 이상 기업의 고용형태는 82.1%가 소속 근로자이며,
17.9%는 사업장 내 파견·용역, 하도급 등 ‘소속 외 근로자’로 나타남
ㅇ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1,528천명)은 평균 18.8%가 소속 외 근로자인 것으로 공시되었으며,
- 반도체 등 ‘전자부품제조업’은 소속 외 근로자가 15.4%인 반면,
‘조선업’은 절반을 넘는 62.3%가 소속 외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남
* 전산업 평균 17.9%, 제조업 평균 18.8%, 비제조업 평균 17.5%
ㅇ ‘건설업’(466천명)은 소속 외 근로자(221천명, 47.3%)와 기간제근로자(149천명, 32.0% * 소속 근로자 중 60.6%) 비중이 모두 높은 편
◇ 지난해와 비교하면, 소속 근로자(+190천명)가 소속 외 근로자(+71천명) 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으나, 고용형태 비중은 ‘소속 외’에서 소폭 증가
|
□ ’14년부터 기업의 자율적 고용구조 개선을 위해「고용형태 공시제」를
운영하고 있다.
<참고> 고용형태공시제 개요
|
|
1) 공시대상: 상시 300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민간기업
* 공공기관은 알리오(www.alio.go.kr)를 통해 공시하는 경우 본 공시대상에서 제외
2) 공시방법: 기업 자율공시, “워크넷” www.work.go.kr/gongsi
3) 공시시점: 매년 3. 31. 기준 현황을 4. 30.까지 입력 * 5∼6월 보완기간 운영
4) 고용형태: ①소속 근로자(▲기간 정함 없는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 ②소속 외 근로자(사업장 내 용역, 파견, 하도급 등)
5) 법적 근거: 고용정책기본법 제15조의6(’14년부터 시행)
6) 공시자료 확인: 고용형태공시제 전용 사이트(www.work.go.kr/gongsi) - ‘대국민 공개용 고용형태 공시정보 보기’에서 확인
|
1 공시기업 3,687개사 (+132개사 증가), 공시율 99.9%
|
□ (총괄) 올해에 고용형태 공시를 완료한 기업은 3,687개사이며,
이들 기업이 공시한 전체 근로자수는 5,234천명으로 집계되었다.
ㅇ 공시율은 99.9%(1개사 미공시)이며, 공시기업(300인 이상)은 지난해보다 132개사 증가하였다.
* 공시기업은 보건복지(+53개), 제조(+26개), 전문과학(+24개) 등에서 증가하고,
사업서비스(-11개), 운수창고(-3개), 교육서비스(-2개) 등에서 감소하였음
< ’22년 고용형태공시 현황(’22.3.31. 기준, 3,687개사) >
구분
|
전체 근로자(소속+소속 외)
|
|||||||||||
|
소속 근로자(기간정함없음+기간제)
|
소속 외
근로자
|
||||||||||
|
기간정함없음
|
기간제
|
||||||||||
|
전일제
|
단시간
|
|
전일제
|
단시간
|
|
전일제
|
단시간
|
||||
‘22년
|
규모
(천명)
|
5,234
|
4,299
|
4,005
|
294
|
3,248
|
3,153
|
95
|
1,051
|
852
|
199
|
935
|
비중
(%)
|
100.0
|
82.1
|
93.2
|
6.8
|
75.6
|
73.4
|
2.2
|
24.4
|
19.8
|
4.6
|
17.9
|
|
지난해
|
규모
(천명)
|
4,973
|
4,109
|
3,864
|
245
|
3,172
|
3,088
|
84
|
937
|
776
|
161
|
864
|
비중
(%)
|
100.0
|
82.6
|
94.0
|
6.0
|
77.2
|
75.2
|
2.0
|
22.8
|
18.9
|
3.9
|
17.4
|
|
증감
|
규모
(천명, %)
|
+261
|
+190
|
+141
|
+49
|
+76
|
+65
|
+11
|
+114
|
+76
|
+38
|
+71
|
+5.2
|
+4.6
|
+3.6
|
+20
|
+2.4
|
+2.1
|
+13.1
|
+12.2
|
+9.8
|
+23.6
|
+8.2
|
||
비중
(%p)
|
0.0
|
-0.5
|
-0.8
|
+0.8
|
-1.6
|
-1.8
|
+0.2
|
+1.6
|
+0.9
|
+0.7
|
+0.5
|
2 기간제 (24.4%, +1.6%p), 소속 외 (17.9%, +0.5%p) 비중 증가
* 전체 근로자(소속+소속 외) 중 기간제 비중은 20.1%, +1.3%p 증가
|
□ (공시근로자 규모) 공시 근로자는 5,234천명이며, 이 중 소속 근로자는 4,299천명(82.1%), 소속 외 근로자는 935천명(17.9%)이다.
ㅇ 소속 근로자 중에서 기간정함없는 근로자는 3,248천명, 기간제 근로자는 1,051천명이다.
ㅇ 통상 근로자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은 단시간 근로자는 294천명이다.
* 단시간 기간제는 통상 근로시간<대부분 주40시간> 보다 1시간이라도 적은 경우 해당
ㅇ 지난해와 비교하면, 전체 공시 근로자수는 261천명 증가하였으며,
- 소속 근로자(+190천명), 소속 근로자 중 기간정함없음(+76천명),
기간제(+114천명), 소속 외 근로자(+71천명) 모두 증가하였다.
□ (고용형태별 비중) 고용형태별 비중은 소속 근로자 82.1%, 소속 외 근로자 17.9%, 소속 근로자 중 기간정함없는 근로자 75.6%, 기간제 근로자 24.4%로,
ㅇ 지난해와 비교하면, 소속 근로자 비중은 감소(-0.5%p),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은 증가(+0.5%p)하였다.
- 소속 근로자 중 기간정함없는 근로자 비중은 감소(-1.6%p)하였고,
기간제 근로자 비중(+1.6%p)과 단시간 근로자 비중(+0.8%p)은 증가하였다.
3 산업별로는 조선업 (62.3%), 건설업 (47.3%) 에서 높은 소속 외 근로자 비중
|
□ (소속 외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의 소속 외 근로자 규모는 935천명으로 공시되었으며, 그 비중은 17.9%임
ㅇ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이 높은 산업은 조선업(62.3%), 건설업(47.3%) 등이었음
* 전산업 평균 17.9%, 제조업 평균 18.8%, 비제조업 평균 17.5%
ㅇ 지난해와 비교하면, 소속 외 근로자는 사업서비스업(+24천명), 건설업(+22천명)을 중심으로 71천명 증가하였다.
- 다만 건설업은 비중으로 보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건설업의 기간제 근로자(+30천명)가 소속 외(+22천명) 보다 더 많이 늘었기 때문
< 소속 외 근로자 비중(%) 및 증감(%p) > * 근로자 규모 순 6개 산업
구 분
|
전체
|
제조
|
|
사업서비스
|
건설
|
도소매
|
보건복지
|
금융보험
|
조선
|
||||||||
’22년 비중
(%)
|
17.9
|
18.8
|
62.3
|
7.8
|
47.3
|
17.0
|
6.6
|
18.5
|
전년대비 비중 증감(%p)
|
+0.5
|
-0.7
|
+1.1
|
+3.4
|
-1.1
|
-0.9
|
-0.3
|
+0.9
|
□ (소속 근로자) 공시 근로자 5,234천명 중 소속 근로자는 4,299천명으로 그 비중은 82.1%임
ㅇ 소속 근로자 비중은 건설업, 조선업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평균수준(82.1%)
- 다만 기간제 비중은 산업간 차이가 큰 편으로, 제조업은 기간제 비중이 평균 5.8%인 반면 건설업(60.6%), 사업서비스관리(47.2%), 보건복지업(32.7%) 등은 기간제 고용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음
ㅇ 지난해와 비교하면, 기간정함없는 근로자(+76천명)는 보건복지업(+20천명), 반도체 등 제조업(+16천명), 전문과학기술업(+13천명)에서 늘었으며,
- 기간제 근로자(+114천명)는 건설업(+30천명), 보건복지업(+28천명), 운수창고업(+13천명) 등에서 증가하였다.
- 단시간 근로자(+49천명)는 보건복지업(+18천명), 협회단체(+10천명)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 기간제 근로자 비중(%, 소속 근로자 100 기준) 및 증감(%p) >
구 분
|
전체
|
제조
|
|
사업서비스
|
건설
|
도소매
|
보건복지
|
금융보험
|
조선
|
||||||||
’22년 비중
(%)
|
24.4
|
5.8
|
7.9
|
47.2
|
60.6
|
16.3
|
32.7
|
11.9
|
전년대비 비중증감(%p)
|
+1.6
|
+0.7
|
+2.0
|
+0.4
|
+4.7
|
+1.7
|
+4.9
|
-0.5
|
4 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높은 소속 외 근로자 비중
|
□ (기업규모별) 공시기업은 ‘규모’ 특징은 크게 보이지 않으나, 500인 이상 에서는 규모가 클수록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300인 이상 전체평균 17.9% vs. 5,000인 이상 23.3%
ㅇ 지난해와 비교하면,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은 1,000~4,999인을 제외한 모든 규모에서 증가하였고,
-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500인 이상 기업에서 모두 증가했으며,
‘단시간 근로자’ 비중은 전 규모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성별) 공시 근로자(5,234천명) 중 남성 근로자는 63.7%이고 여성 근로자는 36.3%로 나타남
5 소속 외 근로자 주요 업무는 청소, 경호, 행정사무, 운송 순
|
ㅇ 일반적으로 소속 외 근로자가 수행하는 주요 업무는 청소, 경호․경비, 경영․행정․사무, 운전․운송 순으로 나타났다.
ㅇ 한편 조선업은 ‘기계 설치⸱정비⸱생산직’, ‘금속⸱재료 설치⸱정비⸱생산직(판금⸱단조⸱주조⸱용접⸱도장 등)’, ‘전기⸱전자 설치⸱정비⸱생산직’, ‘제조 단순직’ 등이 소속 외 근로자의 주요업무인 것으로 공시되었다.
* 그간 1,000인 이상 기업만 공시한 ‘소속 외 근로자의 주요 업무내용’을 ’22년부터 300인 이상 공시의무기업 전체로 확대
□ 고용노동부 이정식 장관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구인난, 조선업 하청노조 파업 등의 근본적 원인은 저임금·고위험 등 열악한 근로환경과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같은 구조적 문제이다”라며,
ㅇ “정부는 기업의 자율적인 고용구조 개선 노력을 지원하되, 정부도 적극적 노동시장정책(ALMP)과 조선업 이중구조 개선대책 마련 등을 시작으로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노동시장 개혁과 사회안전망 확충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022년 공시현황 <붙임1> 산업별 규모, 비중, <2> 제조업 중분류, <3> 전년대비 증감
[별첨] 2022년 고용형태 공시 결과 보고서
붙임1
|
|
2022년 산업별 고용형태 공시 현황(근로자 수, 비중)
|
(단위: 천명, %)
구분
|
전체 근로자 수(소속+소속 외)
|
|||||||
|
소속 근로자(기간정함없음+기간제)
|
소속 외
근로자
|
||||||
|
단시간
|
기간정함없음
|
기간제
|
|||||
|
단시간
|
|
단시간
|
|||||
전 체
|
5,234
|
4,299
|
294
|
3,248
|
95
|
1,051
|
199
|
935
|
(82.1)
|
(6.8)
|
(75.6)
|
(2.9)
|
(24.4)
|
(19.0)
|
(17.9)
|
||
광업
|
0.8
|
0.6
|
-
|
0.6
|
-
|
0
|
-
|
0.1
|
(81.3)
|
-
|
(91.2)
|
-
|
(8.8)
|
-
|
(18.7)
|
||
제조업
|
1,528
|
1,240
|
6
|
1,169
|
3
|
72
|
3
|
288
|
(81.2)
|
(0.5)
|
(94.2)
|
(0.3)
|
(5.8)
|
(4.3)
|
(18.8)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6
|
6
|
0
|
5
|
0
|
0.2
|
0
|
0.9
|
(85.7)
|
(0.3)
|
(96.3)
|
(0.2)
|
(3.7)
|
(3.4)
|
(14.3)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11
|
11
|
0
|
9
|
0
|
2
|
0
|
0.2
|
(98.3)
|
(0.8)
|
(84.5)
|
(0.0)
|
(15.5)
|
(5.1)
|
(1.7)
|
||
건설업
|
466
|
246
|
7
|
97
|
0.4
|
149
|
7
|
221
|
(52.7)
|
(2.9)
|
(39.4)
|
(0.4)
|
(60.6)
|
(4.5)
|
(47.3)
|
||
도매 및 소매업
|
414
|
344
|
43
|
288
|
29
|
56
|
14
|
70
|
(83.0)
|
(12.5)
|
(83.7)
|
(10.2)
|
(16.3)
|
(24.4)
|
(17.0)
|
||
운수 및 창고업
|
272
|
223
|
3
|
177
|
1
|
46
|
2
|
48
|
(82.2)
|
(1.4)
|
(79.3)
|
(0.6)
|
(20.7)
|
(4.8)
|
(17.8)
|
||
숙박 및 음식점업
|
154
|
128
|
53
|
86
|
26
|
42
|
27
|
26
|
(83.2)
|
(41.4)
|
(67.0)
|
(30.5)
|
(33.0)
|
(63.6)
|
(16.8)
|
||
정보통신업
|
278
|
255
|
8
|
234
|
4
|
20
|
4
|
23
|
(91.6)
|
(3.1)
|
(92.0)
|
(1.5)
|
(8.0)
|
(21.0)
|
(8.4)
|
||
금융 및 보험업
|
321
|
262
|
6
|
231
|
1
|
31
|
5
|
59
|
(81.5)
|
(2.2)
|
(88.1)
|
(0.6)
|
(11.9)
|
(14.8)
|
(18.5)
|
||
부동산업
|
112
|
99
|
6
|
42
|
1
|
57
|
5
|
13
|
(88.6)
|
(6.5)
|
(42.6)
|
(2.3)
|
(57.4)
|
(9.5)
|
(11.4)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205
|
171
|
8
|
137
|
4
|
34
|
4
|
34
|
(83.4)
|
(4.8)
|
(80.2)
|
(2.8)
|
(19.8)
|
(12.7)
|
(16.6)
|
||
사업서비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692
|
638
|
42
|
337
|
14
|
301
|
29
|
54
|
(92.2)
|
(6.7)
|
(52.8)
|
(4.1)
|
(47.2)
|
(9.5)
|
(7.8)
|
||
공공행정
* 알리오 공시 공공기관 제외
|
27
|
24
|
2
|
18
|
0.1
|
5
|
1
|
3
|
(87.3)
|
(6.5)
|
(77.9)
|
(0.8)
|
(22.1)
|
(26.9)
|
(12.7)
|
||
교육서비스업
|
261
|
238
|
36
|
139
|
0.8
|
99
|
35
|
23
|
(91.2)
|
(15.1)
|
(58.5)
|
(0.6)
|
(41.5)
|
(35.5)
|
(8.8)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324
|
302
|
53
|
203
|
8
|
99
|
45
|
21
|
(93.4)
|
(17.6)
|
(67.3)
|
(3.7)
|
(32.7)
|
(46.0)
|
(6.6)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1)
|
72
|
30
|
2
|
22
|
0.1
|
8
|
2
|
43
|
(41.2)
|
(8.0)
|
(72.9)
|
(0.5)
|
(27.1)
|
(28.2)
|
(58.8)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89
|
83
|
18
|
53
|
3
|
30
|
15
|
6
|
(93.2)
|
(21.5)
|
(64.0)
|
(4.9)
|
(36.0)
|
(51.0)
|
(6.8)
|
붙임2
|
|
2022년 제조업(중분류) 공시 현황(근로자 수, 비중)
|
(단위: 천명, %)
구분
|
전체 근로자 수(소속+소속 외)
|
||||||||
|
소속 근로자(기간정함없음+기간제)
|
소속 외
근로자
|
|||||||
|
단시간
|
기간정함없음
|
기간제
|
||||||
|
단시간
|
|
단시간
|
||||||
전 산업
|
5,234
|
4,299
|
294
|
3,248
|
95
|
1,051
|
199
|
935
|
|
(82.1)
|
(6.8)
|
(75.6)
|
(2.9)
|
(24.4)
|
(19.0)
|
(17.9)
|
|||
비제조업
|
3,706
|
3,059
|
288
|
2,079
|
92
|
979
|
196
|
647
|
|
(82.5)
|
(9.4)
|
(68.0)
|
(4.4)
|
(32.0)
|
(20.0)
|
(17.5)
|
|||
제조업
|
1,528
|
1,240
|
6
|
1,169
|
3
|
72
|
3
|
288
|
|
(81.2)
|
(0.5)
|
(94.2)
|
(0.3)
|
(5.8)
|
(4.3)
|
(18.8)
|
|||
|
음식료
|
126
|
104
|
1.5
|
95
|
0.5
|
9
|
1
|
23
|
(82.1)
|
(1.5)
|
(91.7)
|
(0.6)
|
(8.3)
|
(11.3)
|
(17.9)
|
|||
섬유의복가죽
|
21
|
18
|
0.3
|
17
|
0.3
|
1
|
0
|
3
|
|
(86.9)
|
(1.9)
|
(95.1)
|
(1.6)
|
(4.9)
|
(7.3)
|
(13.1)
|
|||
화학물질
|
123
|
97
|
0.6
|
93
|
0.5
|
4
|
0.1
|
26
|
|
(78.6)
|
(0.7)
|
(95.7)
|
(0.5)
|
(4.3)
|
(3.9)
|
(21.4)
|
|||
철강금속
|
67
|
46
|
0
|
43
|
0
|
3
|
0
|
22
|
|
(67.4)
|
(0.1)
|
(93.6)
|
(0.0)
|
(6.4)
|
(1.5)
|
(32.6)
|
|||
전자부품, 컴퓨터 및 통신
|
445
|
377
|
1
|
364
|
1
|
13
|
0
|
68
|
|
(84.6)
|
(0.3)
|
(96.6)
|
(0.2)
|
(3.4)
|
(0.7)
|
(15.4)
|
|||
전기장비
|
67
|
57
|
0.4
|
53
|
0.4
|
4
|
0
|
10
|
|
(85.3)
|
(0.8)
|
(92.5)
|
(0.8)
|
(7.5)
|
(1.1)
|
(14.7)
|
|||
기계 및 장비
|
76
|
69
|
1
|
64
|
0
|
5
|
1
|
7
|
|
(90.4)
|
(1.4)
|
(93.2)
|
(0.0)
|
(6.8)
|
(20.7)
|
(9.6)
|
|||
자동차 및 트레일러
|
238
|
214
|
0.5
|
201
|
0.4
|
13
|
0.1
|
24
|
|
(90.1)
|
(0.2)
|
(93.7)
|
(0.2)
|
(6.3)
|
(0.5)
|
(9.9)
|
|||
조 선2)
|
94
|
36
|
0.2
|
33
|
0
|
3
|
0.2
|
59
|
|
(37.7)
|
(0.6)
|
(92.1)
|
(0.0)
|
(7.9)
|
(7.8)
|
(62.3)
|
|||
기 타3)
|
270
|
224
|
0.6
|
206
|
0.2
|
17
|
0.4
|
46
|
|
(82.8)
|
(0.3)
|
(92.3)
|
(0.1)
|
(7.7)
|
(2.5)
|
(17.2)
|
붙임3
|
|
전년 대비 · 연도별 증감(근로자 수, 비중)
|
□ 전년 대비 근로자 수 증감 (단위: 천명, %p)
구 분
|
|
전체 근로자(소속+소속 외)
|
소속 외
근로자
|
||||
소속 근로자(기간정함없음+기간제)
|
|||||||
|
기간정함없음
|
기간제
|
|||||
|
단시간
|
|
단시간
|
||||
전 체
(비중증감)
|
+261
|
+190
(-0.5)
|
+76
(-1.6)
|
+11
(+0.3)
|
+114
(+1.6)
|
+38
(+1.8)
|
+71
(+0.5)
|
광업
|
0
|
0
(+0.7)
|
0
(-0.3)
|
0
(-)
|
0
(+0.3)
|
0
(-)
|
0
(-0.7)
|
제조업
|
+20
|
+26
(+0.7)
|
+16
(-0.7)
|
0
(+0.1)
|
+9
(+0.7)
|
+1
(+0.3)
|
-7
(-0.7)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1
|
-1
(-0.7)
|
-1
(+0.2)
|
0
(+0.1)
|
+0.2
(-0.2)
|
0
(-1.8)
|
-0.1
(+0.7)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0
|
-1
(-0.3)
|
0
(-0.7)
|
0
(-0.3)
|
-1
(+0.7)
|
0
(-1.8)
|
+0.2
(+0.3)
|
건설업
|
+57
|
+34
(+1.1)
|
+3
(-4.7)
|
+0.4
(-)
|
+30
(+4.7)
|
+1
(+0.5)
|
+22
(-1.1)
|
도매 및 소매업
|
+11
|
+13
(+0.9)
|
+5
(-1.7)
|
0
(-0.1)
|
+7
(+1.7)
|
+2
(+2.2)
|
-2
(-0.9)
|
운수 및 창고업
|
+18
|
+13
(-0.8)
|
0
(-5.1)
|
0
(+0.4)
|
+13
(+5.1)
|
+1
(+0.6)
|
+5
(+0.8)
|
숙박 및 음식점업
|
+1
|
+2
(+0.1)
|
0
(-0.1)
|
+2
(+2.1)
|
+1
(+0.1)
|
-3
(-6.8)
|
-1
(-0.1)
|
정보통신업
|
+12
|
+9
(-0.4)
|
+8
(-0.2)
|
0
(+0.2)
|
+1
(+0.2)
|
+1
(+3.4)
|
+2
(+0.4)
|
금융 및 보험업
|
-3
|
-5
(-0.9)
|
-4
(+0.5)
|
0
(+0.1)
|
-2
(-0.5)
|
-1
(-0.3)
|
+2
(+0.9)
|
부동산업
|
+2
|
+1
(-0.7)
|
-1
(-1.1)
|
-1
(-1.9)
|
+2
(+1.1)
|
+1
(+1.7)
|
0
(+0.7)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20
|
+14
(-1.5)
|
+13
(+1.3)
|
+2
(+2.1)
|
0
(-1.3)
|
-1
(-2.0)
|
+6
(+1.5)
|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26
|
+2
(-3.4)
|
-2
(-0.4)
|
-1
(-0.1)
|
+3
(+0.4)
|
+6
(+2.2)
|
+24
(+3.4)
|
공공행정
* 알리오 공시 공공기관 제외
|
0
|
0
(-0.2)
|
+1
(+4.3)
|
+0.1
(+0.8)
|
-1
(-4.3)
|
-1
(-6.6)
|
0
(+0.2)
|
교육서비스업
|
+9
|
+8
(-0.1)
|
+3
(-0.5)
|
+0.8
(+0.2)
|
+4
(+0.5)
|
+2
(+0.6)
|
+1
(+0.1)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52
|
+49
(+0.3)
|
+20
(-4.9)
|
+3
(+1.3)
|
+28
(+4.9)
|
+14
(+1.7)
|
+3
(-0.3)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7
|
+1
(-2.0)
|
0
(-2.1)
|
+0.1
(-0.8)
|
+1
(+2.1)
|
+1
(+9.3)
|
+5
(+2.0)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20
|
+17
(-2.6)
|
+4
(-9.5)
|
+1
(+1.8)
|
+12
(+9.5)
|
+9
(+17.1)
|
+3
(+2.6)
|
* 기간제 비중 증감은 소속 근로자(=100%) 내 비중의 변화임
□ 고용형태공시 증감비교(′14~′22년) (단위: 천명, %, %p)
연도
|
구분
|
전체 근로자 수(소속+소속 외)
|
|||||||
|
소속 근로자(기간정함없음+기간제)
|
소속 외
근로자
|
|||||||
|
기간정함없음
|
기간제
|
|||||||
|
단시간
|
|
단시간
|
|
단시간
|
||||
2014
|
근로자수(비중)
|
4,364
|
3,486
(79.9)
|
|
2,738
(78.5)
|
|
675
(19.4)
|
|
878
(20.1)
|
2015
|
근로자수(비중)
|
4,593
|
3,676
(80.0)
|
195
(5.3)
|
2,834
(77.1)
|
56
(2.0)
|
842
(22.9)
|
139
(16.5)
|
918
(20.0)
|
비중증감
|
|
-0.1
|
|
-1.4
|
|
+3.5
|
|
+0.1
|
|
2016
|
근로자수(비중)
|
4,737
|
3,805
(80.3)
|
207
(5.4)
|
2,905
(76.3)
|
69
(2.4)
|
900
(23.7)
|
138
(15.3)
|
931
(19.7)
|
비중증감
|
|
+0.3
|
+0.1
|
-0.8
|
+0.4
|
+0.8
|
-1.2
|
-0.3
|
|
2017
|
근로자수(비중)
|
4,755
|
3,852
(81.0)
|
234
(6.1)
|
2,925
(75.9)
|
87
(3.0)
|
928
(24.1)
|
147
(15.9)
|
902
(19.0)
|
비중증감
|
|
+0.7
|
+0.7
|
-0.4
|
+0.6
|
+0.4
|
+0.6
|
-0.7
|
|
2018
|
근로자수(비중)
|
4,865
|
3,959
(81.4)
|
248
(6.3)
|
3,028
(76.5)
|
98
(3.2)
|
931
(23.5)
|
150
(16.1)
|
906
(18.6)
|
비중증감
|
|
+0.4
|
+0.2
|
+0.6
|
+0.2
|
-0.6
|
+0.2
|
-0.4
|
|
2019
|
근로자수(비중)
|
4,859
|
3,979
(81.9)
|
252
(6.3)
|
3,093
(77.7)
|
102
(3.3)
|
886
(22.3)
|
150
(17.0)
|
881
(18.1)
|
비중증감
|
|
+0.4
|
0.0
|
+1.2
|
+0.1
|
-1.2
|
+0.8
|
-0.4
|
|
2020
|
근로자수
(비중)
|
5,002
|
4,089
(81.7)
|
234
(5.7)
|
3,165
(77.4)
|
86
(2.7)
|
924
(22.6)
|
148
(16.0)
|
913
(18.3)
|
비중증감
|
|
-0.2
|
-0.6
|
-0.3
|
-0.6
|
+0.3
|
-1.0
|
+0.2
|
|
2021
|
근로자수
(비중)
|
4,973
|
4,109
(82.6)
|
245
(6.0)
|
3,172
(77.2)
|
84
(2.6)
|
937
(22.8)
|
161
(17.2)
|
864
(17.4)
|
비중증감
|
|
+0.9
|
+0.3
|
-0.2
|
-0.1
|
+0.2
|
+1.2
|
-0.9
|
|
2022
|
근로자수
(비중)
|
5,234
|
4,299
(82.1)
|
294
(6.8)
|
3,248
(75.6)
|
95
(2.9)
|
1,051
(24.4)
|
199
(19.0)
|
935
(17.9)
|
비중증감
|
|
-0.5
|
+0.8
|
-1.6
|
+0.3
|
+1.6
|
+1.8
|
+0.5
|
* 2014년은 소속 근로자를 ‘기간정함없음, 기간제, 기타’로 공시, ‘기타’(73천명, 재택, 가내 근로자,
일일근로자)는 미표기
* 단시간 근로자는 2015년부터 공시
1) ‘예술스포츠업’의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은 ‘삼성물산’ 제외시 9.3%
삼성물산은 건설·리조트·패션·상사 중 본사를 리조트로 등록하여 ‘예술스포츠업’으로 분류
2) 조선업은 소분류인 ‘선박 및 보트 건조업’(제조업 내 소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으로 추출
3) 담배제조, 목재·종이 제조, 석유정제품 제조, 의약품 제조, 비금속광물제품 제조, 금속가공제품 제조 등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문제 해결 위해 디지털트윈 시범 도입 (0) | 2022.08.27 |
---|---|
중증응급수술, 소아심장, 분만 인프라 등 필수의료 확충 추진 (0) | 2022.08.27 |
연내 1회용컵 1000만개 줄이기…‘제로카페’ 본격 추진 (0) | 2022.08.27 |
추석 명절 청탁금지법 바로알기 Q&A_국민권익위원회 (0) | 2022.08.27 |
고양에서 고성까지…‘뚜르 드 디엠지 국제자전거대회’ 개막 (1) | 2022.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