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2022.08.24 통계청
2022년 6월 인구동향(요약)
|
□ 출생아 수는 18,83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2.4% 감소
□ 사망자 수는 24,85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 증가
□ 혼인 건수는 14,898건으로 전년동월대비 8.2% 감소
□ 이혼 건수는 7,586건으로 전년동월대비 13.2% 감소
□ 자연증가(출생아 수 - 사망자 수)는 –6,019명
|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단위: 명(건), 인구 1천 명당 명(건), %)
|
||||||||||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연증가
|
혼인 건수
|
이혼 건수
|
|||||
|
조출생률
|
|
조사망률
|
|
자연 증가율
|
|
조혼인율
|
|
조이혼율
|
|
2021.6p
|
21,504
|
5.1
|
24,398
|
5.8
|
-2,894
|
-0.7
|
16,235
|
3.8
|
8,741
|
2.1
|
2022.6p
|
18,830
|
4.5
|
24,850
|
5.9
|
-6,019
|
-1.4
|
14,898
|
3.5
|
7,586
|
1.8
|
증감
|
-2,674
|
-0.6
|
452
|
0.1
|
-3,125
|
-0.7
|
-1,337
|
-0.3
|
-1,155
|
-0.3
|
증감률
|
-12.4
|
-
|
1.9
|
-
|
-
|
-
|
-8.2
|
-
|
-13.2
|
-
|
<인구동태건수 추이>
![](https://blog.kakaocdn.net/dn/JHbIw/btrKvdUWS7M/KHBjiD8COGEh7AhW5H65R1/img.png)
2022년 6월 인구동향
|
1. 출생
□ 2022년 6월 출생아 수는 18,830명, 전년동월대비 2,674명(-12.4%) 감소함.
[표 1] 전국 출생아 수 및 증감률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6월
|
1~6월
|
5월
|
6월
|
1~6월
|
|||
출생아 수(명)
|
272,337
|
260,562
|
21,504
|
136,254
|
20,007
|
18,830
|
128,138
|
전년(동월) 증감률(%)
|
-10.0
|
-4.3
|
-2.8
|
-4.0
|
-8.7
|
-12.4
|
-6.0
|
![](https://blog.kakaocdn.net/dn/bSUiY8/btrKwhWLcLT/CDKx7aJqqyDMUryouiUnk1/img.png)
□ 시도별 출생아 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강원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함.
[표 2] 시도별 출생아 수
(단위: 명, 인구 1천 명당 명, %)
|
||||||||||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
|
|
|
|
|
1~6월
|
||||
6월
|
조출생률
|
1~6월
|
5월
|
6월
|
조출생률
|
누계
|
전년누계비
|
|||
전 국
|
272,337
|
260,562
|
21,504
|
5.1
|
136,254
|
20,007
|
18,830
|
4.5
|
128,138
|
-6.0
|
서 울
|
47,445
|
45,531
|
3,795
|
4.9
|
24,053
|
3,372
|
3,137
|
4.1
|
21,851
|
-9.2
|
부 산
|
15,058
|
14,446
|
1,265
|
4.6
|
7,570
|
1,179
|
1,125
|
4.1
|
7,408
|
-2.1
|
대 구
|
11,193
|
10,661
|
880
|
4.5
|
5,530
|
878
|
741
|
3.8
|
5,256
|
-5.0
|
인 천
|
16,040
|
14,947
|
1,172
|
4.9
|
7,700
|
1,211
|
1,082
|
4.5
|
7,415
|
-3.7
|
광 주
|
7,318
|
7,956
|
683
|
5.8
|
4,129
|
613
|
560
|
4.8
|
3,838
|
-7.0
|
대 전
|
7,481
|
7,414
|
638
|
5.4
|
3,902
|
616
|
564
|
4.8
|
3,819
|
-2.1
|
울 산
|
6,617
|
6,127
|
518
|
5.6
|
3,210
|
418
|
443
|
4.8
|
2,845
|
-11.4
|
세 종
|
3,468
|
3,570
|
280
|
9.4
|
1,854
|
254
|
248
|
7.9
|
1,710
|
-7.8
|
경 기
|
77,737
|
76,139
|
6,226
|
5.6
|
39,655
|
5,938
|
5,723
|
5.2
|
38,716
|
-2.4
|
강 원
|
7,835
|
7,357
|
593
|
4.7
|
3,752
|
574
|
610
|
4.8
|
3,696
|
-1.5
|
충 북
|
8,607
|
8,190
|
684
|
5.2
|
4,275
|
595
|
555
|
4.2
|
3,835
|
-10.3
|
충 남
|
11,950
|
10,984
|
897
|
5.2
|
5,746
|
789
|
754
|
4.3
|
5,204
|
-9.4
|
전 북
|
8,165
|
7,475
|
623
|
4.2
|
3,931
|
531
|
591
|
4.1
|
3,613
|
-8.1
|
전 남
|
9,738
|
8,430
|
676
|
4.5
|
4,421
|
650
|
565
|
3.8
|
4,032
|
-8.8
|
경 북
|
12,873
|
12,045
|
991
|
4.6
|
6,314
|
964
|
836
|
3.9
|
5,855
|
-7.3
|
경 남
|
16,823
|
15,562
|
1,264
|
4.6
|
8,187
|
1,143
|
1,051
|
3.9
|
7,204
|
-12.0
|
제 주
|
3,989
|
3,728
|
319
|
5.8
|
2,025
|
283
|
248
|
4.5
|
1,839
|
-9.2
|
【 2/4 분기별 출생 】
□ 2022년 2분기 출생아 수는 59,961명, 전년동기보다 6,168명(-9.3%) 감소함.
[표 3] 전국 출생아 수 및 증감률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2/4분기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
출생아 수(명)
|
272,337
|
260,562
|
66,129
|
66,551
|
57,757
|
68,177
|
59,961
|
전년(동기) 증감률(%)
|
-10.0
|
-4.3
|
-3.1
|
-3.4
|
-6.2
|
-2.8
|
-9.3
|
□ 2022년 2분기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07명 감소함.
ㅇ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은 전년동기에 비해 25-29세는 4.7명, 30-34세는 6.9명 각각 감소함.
[표 4]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 및 합계출산율
(단위: 가임여자 1명당 명, 해당연령 여자인구 1천 명당 명)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2/4분기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
합계출산율
|
0.84
|
0.81
|
0.82
|
0.82
|
0.71
|
0.86
|
0.75
|
-0.07
|
24세 이하
|
3.8
|
3.0
|
3.2
|
3.0
|
2.5
|
2.7
|
2.4
|
-0.8
|
25-29세
|
30.6
|
27.5
|
27.7
|
27.5
|
23.5
|
27.0
|
23.0
|
-4.7
|
30-34세
|
78.9
|
76.1
|
78.0
|
77.3
|
66.3
|
82.0
|
71.1
|
-6.9
|
35-39세
|
42.3
|
43.5
|
44.1
|
44.6
|
39.5
|
47.3
|
42.2
|
-1.9
|
40세 이상
|
3.4
|
3.7
|
3.8
|
3.8
|
3.6
|
4.3
|
3.8
|
0.0
|
![](https://blog.kakaocdn.net/dn/bcI9Bs/btrKvgjKsBR/3biCsWVYJzo21Cn6cdBSkk/img.png)
□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구성비는 전년동기에 비해 첫째아는 5.8%p 증가,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은 각각 4.5%p, 1.3%p 감소함.
[표 5]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구성비
(단위: %, %p)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2/4분기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
계1)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
첫째아
|
56.6
|
56.8
|
55.9
|
56.9
|
58.9
|
61.7
|
61.7
|
5.8
|
둘째아
|
35.1
|
35.0
|
35.8
|
35.0
|
33.4
|
31.5
|
31.3
|
-4.5
|
셋째아 이상
|
8.3
|
8.2
|
8.4
|
8.1
|
7.8
|
6.8
|
7.0
|
-1.3
|
1) 출산 순위 미상 제외
□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3.77년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01년 증가함.
- 첫째아 출산시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73년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24년 증가함.
[표 6] 출산 순위별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
(단위: 년)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2/4분기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
계1)
|
3.62
|
3.74
|
3.76
|
3.73
|
3.74
|
3.75
|
3.77
|
0.01
|
첫째아
|
2.35
|
2.46
|
2.49
|
2.45
|
2.53
|
2.70
|
2.73
|
0.24
|
둘째아
|
4.78
|
4.89
|
4.87
|
4.92
|
4.98
|
4.93
|
4.92
|
0.05
|
셋째아 이상
|
7.36
|
7.45
|
7.44
|
7.42
|
7.51
|
7.54
|
7.49
|
0.05
|
1) 결혼생활 기간 미상 제외, 법적인 결혼여부와 관계없이 실제 결혼생활 시작에서 출산까지의 동거기간
□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전년동기에 비해 강원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함.
[표 7] 시도별 합계출산율
(단위: 가임여자 1명당 명)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2/4분기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
전 국
|
0.84
|
0.81
|
0.82
|
0.82
|
0.71
|
0.86
|
0.75
|
-0.07
|
서 울
|
0.64
|
0.63
|
0.65
|
0.62
|
0.55
|
0.66
|
0.56
|
-0.09
|
부 산
|
0.75
|
0.73
|
0.76
|
0.75
|
0.62
|
0.80
|
0.72
|
-0.04
|
대 구
|
0.81
|
0.78
|
0.81
|
0.81
|
0.69
|
0.84
|
0.74
|
-0.07
|
인 천
|
0.83
|
0.78
|
0.78
|
0.80
|
0.70
|
0.81
|
0.74
|
-0.04
|
광 주
|
0.81
|
0.90
|
0.92
|
0.94
|
0.78
|
0.93
|
0.82
|
-0.10
|
대 전
|
0.81
|
0.81
|
0.84
|
0.81
|
0.72
|
0.89
|
0.79
|
-0.05
|
울 산
|
0.98
|
0.94
|
0.97
|
0.95
|
0.84
|
0.96
|
0.83
|
-0.14
|
세 종
|
1.28
|
1.28
|
1.23
|
1.30
|
1.13
|
1.32
|
1.08
|
-0.15
|
경 기
|
0.88
|
0.85
|
0.86
|
0.86
|
0.76
|
0.93
|
0.80
|
-0.06
|
강 원
|
1.04
|
0.98
|
0.94
|
1.02
|
0.89
|
1.04
|
0.94
|
0.00
|
충 북
|
0.98
|
0.95
|
0.98
|
0.95
|
0.86
|
0.98
|
0.82
|
-0.16
|
충 남
|
1.03
|
0.96
|
0.97
|
1.00
|
0.83
|
1.00
|
0.86
|
-0.11
|
전 북
|
0.91
|
0.85
|
0.87
|
0.86
|
0.75
|
0.89
|
0.79
|
-0.08
|
전 남
|
1.15
|
1.02
|
1.02
|
1.06
|
0.87
|
1.06
|
0.92
|
-0.10
|
경 북
|
1.00
|
0.97
|
0.98
|
0.99
|
0.84
|
1.02
|
0.90
|
-0.08
|
경 남
|
0.95
|
0.90
|
0.91
|
0.93
|
0.78
|
0.91
|
0.81
|
-0.10
|
제 주
|
1.02
|
0.95
|
0.99
|
0.91
|
0.81
|
1.02
|
0.87
|
-0.12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9월 국고채 발행 계획 및 8월 발행 실적 (0) | 2022.08.26 |
---|---|
코로나19 격리자 생활지원비 신청하세요! (1) | 2022.08.25 |
2022년 7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0) | 2022.08.25 |
(인사혁신기획과) 온라인 성범죄자 공직 임용 제한 강화, 내부신고자 보호 (0) | 2022.08.25 |
“아픈 근로자 소득 걱정 없이 쉬세요” (0)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