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경찰청, 전세사기 등 악성사기 척결 종합대책 추진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2. 8. 17.
반응형

경찰청, 전세사기 등 악성사기 척결 종합대책 추진

2022.08.16 경찰청

경찰청, 「전세사기 등 악성사기 척결 종합대책」 추진
- 신임 경찰청장, 국민체감 약속 1호로 민생경제를 위협하는 「악성사기 척결」 추진 -
- 전세사기‧보이스피싱 등 사기범죄를 분석, 대표적 7개 단속과제 선정 -
-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을 단장으로 특별팀 운영, 연말까지 대대적 전국 단속 -

 

윤희근 신임 경찰청장이 국민 체감 약속 1호로 ‘경제적 살인, 악성사기 근절’을 발표하며, ‘흉기로 사람을 해치는 것만 살인이 아니라, 조직적・악질적 사기는 한 가족의 인생을 파멸시키는 경제적 살인’으로 정의하고, 단호히 대처할 것을 약속했다.

 

사기범죄 발생건수는 ’17년부터 ’20년까지 매년 10% 이상 증가했으며, 총 범죄 중 사기범죄가 차지하는 비율도 ’17년 13.9%에서 ’21년 20.6%까지 확대되는 등 피해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최근 5년간 사기죄 발생‧검거현황 >

구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발생
건수
총범죄
1,662,341
1,580,751
1,611,906
1,587,866
1,429,826
사기범죄(비율*)
231,489(13.9%)
270,029(17.1%)
304,472(18.9%)
347,675(21.9%)
294,075(20.6%)
검거
건수
총범죄
1,413,717
1,328,609
1,342,854
1,289,129
1,136,665
사기범죄(비율*)
183,974(13.0%)
202,300(15.2%)
225,121(16.8%)
237,407(18.4%)
180,418(15.9%)
검거
인원
총범죄
1,833,495
1,728,602
1,749,015
1,684,366
1,360,405
사기범죄(비율*)
273,843(14.9%)
315,627(18.3%)
349,329(20.0%)
369,317(21.9%)
231,204(17.0%)

 

 

또한, 최근 여러 사람이 역할을 분담하고 사전에 계획하여 불특정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조직적‧전문적으로 범행을 저지르는 ‘다중피해사기’ 로 인한 광범위한 피해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억 원) : (’19) 6,398 → (’20) 7,000 → (’21) 7,744

가상자산 유사수신 피해금(억 원) : (’19) 7,638 → (’20) 2,136 → (’21) 31,282

 

경찰청은 서민의 경제생활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전세사기 ‧ 보이스피싱 등 단속을 바탕으로 사기범죄 양상과 변화추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고질적‧악질적인 7대 사기범죄를 ‘악성사기’로 확대 선정하고, 척결을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 악성사기 7대 세부과제 (붙임 참조) >

①전세사기, ②전기통신금융사기, ③가상자산 등 유사수신사기, ④사이버사기, ⑤보험사기, ⑥투자‧영업‧거래 등 기타 조직적사기, ⑦다액 피해사기

 

먼저, 전세사기는 서민의 주거권을 침해하고 서민의 전 재산을 잃게 하는 중대한 악성범죄로 검거건수․인원이 ’19년 107건․95명에서 ’21년․187건 243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금리인상 ‧ 부동산가격 하락 가능성으로 인해 브로커 등 조직적 사기에 대한 사회적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전기통신금융사기는 전년 대비 범죄피해가 감소되는 추세이나, ’22년 상반기 피해금액이 3,068억 원(1일 25억)에 이르는 등 여전히 국민의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보험사기는 선량한 다수 가입자들의 보험료 부담을 가중시키는 경제범죄로, 최근 브로커가 연계된 조직적 보험사기가 증가하고 일부는 강력범죄로 연계되어 사회문제화되고 있다.

※ 보험사기 연간 누수 액: 공영보험 1.2조 원, 민영보험 6.1조 원 추정(’19.12. 서울대·보험연구원)

 

사이버사기는 주식‧가상자산 등 투자 확산의 영향으로 가짜사이트 이용 투자사기 등 신종사기가 증가 추세이며, 가상자산 유사수신 사기는 전국적 ‧ 조직적 범죄로 변모하여 발생건수와 피해액이 대폭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투자․영업․거래관계에서의 조직적 사기와, 5억 이상 다액 사기범죄(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범도 증가 추세로 국민을 괴롭히는 악성범죄이다.

< 주요 악성사기 연도별 발생건수 >

구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
전화금융사기
(피해액)
24,259
(2,470억)
34,132
(4,040억)
37,667
(6,398억)
31,681
(7,000억)
30,982
(7,744억)
가상자산 유사수신 사기 등
(피해액)
(-)
784
(1,693억)
1,125
(7,638억)
1,175
(2,136억)
551
(3조1,282억)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1,226
2,556
3,162
3,462
3,627
특경법 위반
2,013
2,553
2,436
2,572
2,073
사이버사기
92,636
112,000
136,074
174,328
141,154

※ 전세사기 검거건수‧인원: ’19년 107건・95명, ’20년 97건・157명, ’21년 187건・243명

※ 단, ’21년은 코로나 영향 등 경제활동 위축으로 대부분 범죄가 전년 대비 일시 감소하였으나, 금년은 다시 증가추세로 전환되었음에 유의

 

이러한 악성사기를 척결하기 위해, 경찰청은 국가수사본부장을 단장으로 하는 특별팀을 구성 ‧ 운영하는 한편, 전국 수사지휘부 화상회의를 개최한다.

※ 각 시도청별로도 전담 특별팀 구성 및 전담팀 운영 예정

 

또한 악성사기에 대한 대대적 단속 강화를 추진한다. 기존 단속 중이던 보이스피싱 등은 단속기간을 기존 10월에서 12월까지 연장하여 연중 단속으로 전환하고, 조직사기 및 다액사기는 새롭게 단속을 추진하는 등 전국적으로 수사력을 집중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기 피해자의 실질적인 피해회복 지원을 위해 수사 전 단계에 걸쳐 추가 피해방지 및 피해회복 조치에 집중하고, 수사 초기부터 기소 전 몰수 추징 보전 등 범죄수익추적활동을 강화한다.

 

또한, 사기 피해자 단체, 학계 등이 참여하는 자문단을 구성하여 다수 피해자 발생 중요사건은 피해자들에게 단속현황을 설명하는 등 소통을 강화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수사과정에서 나타난 제도개선 사항은 금융위 ‧ 과기부 ‧ 국토부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등 유기적 협력을 강화하여 국민이 악성사기 근절을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향후 기술 발달과 복잡해지는 사회구조의 변화, 새로운 거래양상과 신종수법의 출현 등으로 사기범죄는 고도화되고 발생도 증가할 우려가 높아, 법령․제도개선* 및 대응체계 마련에도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 관련 입법안 및 주요내용

(다중사기방지법 제정안) 다중사기 개념 정의, 처벌강화, 신상정보 공개 등
(다중피해사기방지법 제정안) 신상공개, 위장수사, 피해구제 및 처벌강화 등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안) 대면편취형 전화금융사기 계좌‧전화번호 중지

 

특히, 그간 보이스피싱 등에 대한 부처별 신고창구가 분산, 운영되어, 국민들의 범죄․차단 신고불편에 따라 경찰청 내 ‘범정부 합동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설립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대부분의 사기사건이 접수 처리되는 경찰청에 사기 발생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사전 예방 및 차단 등을 위한 시스템 마련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경찰청은 “대표적 민생경제 침해범죄인 악성 사기 범죄를 뿌리 뽑겠다는 각오로, 「전세사기 등 악성사기 척결 종합대책」 추진에 모든 수사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악성사기」 세부과제 및 유형
연번
세부과제
유 형
1
전세사기
- 건축주 ‧ 분양대행사 ‧ 명의자 등이 공모하여 갭투자 등으로 다수로부터 보증금 편취
- 보증금 반환 능력이 없거나 소유권 등 정당한 권원 없이 반복적으로 전‧월세계약 체결 등
- 임대인‧임차인 등이 임대차계약을 허위로 체결하여 금융기관‧보증기관 등 상대 대출금 편취
2
전기통신금융사기
(보이스피싱 등)
- 총책 ‧ 콜센터 ‧ 송금책 등 역할 분담,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사칭하여 범죄연루, 대출빙자 등 명목으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금원 편취
- 메신저피싱, 스미싱, 파밍, 몸캠피싱 등 피싱범죄
3
가상자산 유사수신사기 등
- 가상자산 등 각종 사업을 빙자, 원금을 초과하는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다수에게 투자금 편취
- 하위 회원을 모집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면 수당 등을 지급하겠다며 가입비‧대금 등 편취
4
사이버사기
중고거래 사이트, 게임사이트 ‧ 쇼핑몰 등에서 물건 등을 팔겠다고 속이고 다수로부터 대금 편취
5
보험사기
- 브로커, 사무장병원 등이 공모하여 허위입원‧과다진료 등 보험금 편취
- 지역 선후배 등이 공모, 조직적으로 고의 교통사고 유발
6
투자‧영업‧거래 등
기타 조직적 사기
기획부동산, 중고차거래, 취업빙자, 사업빙자, 사기대출 등 5인 이상 조직적 ‧ 영업형태 반복적 사기
7
다액 피해사기
(특경법 사기)
특경법 제3조 제1항 제1호(50억) 및 제2호(5억)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