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방’ 1000곳 선정…업체당 최대 4900만원 지원
올해 4.6대 1 높은 경쟁률…맞춤형 솔루션·개선방안 등 컨설팅도 제공
2022.05.04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10인 미만 제조업체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스마트공방’ 사업에 참여할 업체 1000곳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스마트공방 사업은 디지털 전환 등 급속히 변화하는 제조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소공인의 제조공정 자동화, 스마트기술 도입 등 기존 수작업 위주 제조공정의 개선을 지원해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등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스마트공방 사업에는 코로나19 등 어려운 상황 속 스마트기술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자 소공인 4650여 곳이 지원해 4.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중기부는 신청업체에 대해 스마트공장 전문가의 스마트기술 도입 타당성 등 사전 검토와 서류·발표 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1000곳을 선정했다.
선정된 업체 중에서는 기타기계·장비 제조업이 135곳(13.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금속가공 제조 130곳(13.0%), 식음료품 제조 89곳(8.9%), 기타제품 제조 82곳(8.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선정업체는 전담 컨설턴트가 소공인 업종특성·상황·수준·역량 등을 분석 후 맞춤형 솔루션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받는다.
또 스마트공방 구축에 따른 연구시설, 기계장비 및 부품 등 장비·재료비와 공정개선, 생산관리 및 제품개발, 스마트 공방 구축 SW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업체당 최대 49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장세훈 중기부 지역상권과장은 “포스트코로나, 4차산업 혁명에 대비한 소공인 생산공정의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생산성 및 품질향상 등 소공인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소공인에 대한 스마트기술 보급을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거리두기 해제 3주 차…안정적 감소세 유지” (0) | 2022.05.04 |
---|---|
유통업체 납품대금 미지급, 자진 시정하면 과징금 면제 (0) | 2022.05.04 |
5인 미만 사업장이 꼭 지켜야 할 근로기준법_고용노동부 (0) | 2022.05.03 |
[정책달력] 5월부터 달라집니다(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유류세 인하 확대, 전국 모든 학교 정상 등교 실시,전국 숙박 할인권 발급 마감) (0) | 2022.05.03 |
4년제 대학 등록금 평균 676만3100원…올해 97%가 동결·인하_교육부 (0) | 2022.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