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 : 2020~2040년
내·외국인 인구전망(2020~2040년) 결과(요약)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에서 2040년 5,019만명으로 감소할 전망
총인구 중 내국인 구성비는 2020년 96.7%에서 2040년 95.7%로 감소하고, 외국인은 2020년 3.3%에서 2040년 4.3%로 증가할 전망
* 대한민국에 3개월 이상 거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합
|
ㅇ 2040년 총인구는 5,019만명으로 감소, 내국인 구성비는 95.7%(4,803만명)로 감소, 외국인은 4.3%(216만명)로 2020년 대비 외국인의 구성비는 1.3배 높아질 전망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3,583만 명에서 향후 10년간 362만 명 감소, 2030년 3,221만 명, 2040년 2,676만 명 수준일 것으로 전망
|
ㅇ (내국인 연령구조) 2020년과 2040년의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감소(71.5%→55.7%),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증가(16.1%→35.3%),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은 감소(12.4%→8.9%)할 전망
ㅇ (외국인 연령구조) 2020년과 2040년의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감소(90.8%→81.6%),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증가(4.6%→12.5%),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은 증가(4.6%→6.0%)할 전망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20년 807만명에서 2040년 1,698만명으로 향후 20년간 2배 이상 증가할 전망
|
ㅇ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25년 1,000만 명을 넘고, 2035년 1,500만 명을 넘어설 전망
ㅇ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 구성비는 2020년 16.1%에서 2025년 20%를 넘고, 2035년 30%를 넘어설 전망
내국인 총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2020년 39.9명에서 2040년 79.5명으로 증가할 전망
* 총부양비 = 유소년부양비 + 노년부양비
|
ㅇ2020~2040년 기간 동안 유소년부양비는 13~17명으로 비슷한 수준이나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2020년 22.5명에서 2040년 63.4명으로 증가할 전망
이주배경인구*는 2020년 218만명에서 2040년 323만명으로 증가,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0년 4.2%에서 2040년 6.4%로 증가할 전망
* 본인 또는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출생 시 또는 현재 외국 국적인 사람, 내국인(귀화), 내국인(이민자2세), 외국인의 합으로 산출
|
ㅇ이주배경인구 중 내국인(귀화)은 2020년 19만명에서 2040년 47만명으로,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0년 28만명에서 2040년 60만명으로 각각 2배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
ㅇ총인구 중 내국인(귀화) 구성비는 2020년 0.4%에서 2040년 0.9%로,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0년 0.5%에서 2040년 1.2%로 늘어날 전망
이주배경인구 중 학령인구(6-21세)는 2020년 30만명에서 2040년 47만명으로 향후 20년간 1.6배 증가할 전망
|
ㅇ이주배경인구 중 유소년인구(0-14세)는 2020년 32만명에서 2040년 41만명으로 1.3배 늘어날 전망
내·외국인 인구전망(2020~2040년) 결과
Ⅰ. 내·외국인 인구전망
1. 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에서 2040년 5,019만명으로 감소하고, 총인구 중 내국인 구성비는 96.7%에서 95.7%로 감소, 외국인은 3.3%에서 4.3%로 증가할 전망
|
ㅇ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에서 2040년 5,019만명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 2020년 내국인은 5,013만명으로 총인구의 96.7%, 외국인은 170만명으로 총인구의 3.3%를 차지
- 2040년 내국인은 4,803만명으로 총인구의 95.7%, 외국인은 216만명으로 총인구의 4.3%를 차지, 2020년 대비 외국인의 구성비는 1.3배 높아질 전망
[표 1] 내․외국인 인구수 및 구성비, 2020-2040년 (단위: 만 명,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총인구
|
5,184
|
5,174
|
5,163
|
5,156
|
5,150
|
5,145
|
5,120
|
5,087
|
5,019
|
|
내국인
|
5,013
|
5,012
|
5,003
|
4,992
|
4,981
|
4,972
|
4,929
|
4,883
|
4,803
|
|
|
구성비
|
96.7
|
96.9
|
96.9
|
96.8
|
96.7
|
96.6
|
96.3
|
96.0
|
95.7
|
외국인
|
170
|
162
|
160
|
164
|
169
|
173
|
190
|
204
|
216
|
|
|
구성비
|
3.3
|
3.1
|
3.1
|
3.2
|
3.3
|
3.4
|
3.7
|
4.0
|
4.3
|
내국인 인구성장률은 2020~2025년 연평균 0.17% 감소에서 2035~2040년 연평균 0.33% 감소로 감소세가 확대될 전망
|
ㅇ 총인구 인구성장률은 2020~2025년 연평균 0.15% 감소에서 2035~2040년 연평균 0.27% 수준 감소로 감소율이 확대될 전망
- 내국인 인구성장률은 2020~2025년 연평균 0.17% 감소에서 2035~2040년 연평균 0.33% 감소로 감소세가 확대될 전망
- 외국인 인구성장률은 2020~2025년 연평균 0.29% 증가에서 2025~2030년 연평균 1.93% 증가로 확대되었다가 이후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ㅇ 총인구 인구성장은 2020~2025년 평균 7만8천명 감소에서 2035~2040년 평균 13만5천 명 감소로 감소폭이 확대될 전망
※ 인구성장 = 자연증가(출생-사망) + 국제순이동
[표 2] 내․외국인 인구성장률, 2020-2040년 (단위: 만 명, %)
|
구분
|
’20-’25
|
’25-’30
|
’30-’35
|
’35-’40
|
인구성장1)
|
총인구
|
-7.8
|
-5.0
|
-6.6
|
-13.5
|
내국인
|
-8.7
|
-9.0
|
-9.9
|
-16.7
|
|
외국인
|
0.9
|
4.1
|
3.3
|
3.2
|
|
인구성장률2)
|
총인구
|
-0.15
|
-0.10
|
-0.13
|
-0.27
|
내국인
|
-0.17
|
-0.17
|
-0.19
|
-0.33
|
|
외국인
|
0.29
|
1.93
|
1.36
|
1.18
|
주) 1. 해당 기간의 시작년도 7월에서 끝년도 6월까지 5년간 인구증가 추계치의 단순평균
2. 해당 기간의 두 시점 간(시작년도와 끝년도) 연평균 인구증가율
2.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국제이동)
자연증가(출생아수-사망자수)는 내국인은 2020~2025년 연평균 –8만 명에서 2035~2040년 연평균 –18만 명 수준으로 자연감소가 확대되고, 외국인은 2020~2025년 연평균 3천 명에서 2030~2035년 기간 중 자연감소가 시작될 전망
|
ㅇ 내국인 출생아수는 2020~2025년 연평균 24만2천 명 수준에서 이후 다소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2035~2040년 연평균 29만9천 명 수준, 외국인 출생아수는 2020~2040년 평균 7천명 수준으로 전망
ㅇ 내국인 사망자수는 2020~2025년 연평균 32만1천명에서 2035~2040년 연평균 47만9천 명으로 증가, 외국인 사망자수는 2020~2025년 연평균 4천명에서 2035~2040년 연평균 8천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국제순이동자수는 2020~2025년 연평균 -9천 명에서 2035~ 2040년 연평균 1만3천명 수준, 외국인 국제순이동자수는 2020~2025년 연평균 6천명에서 2035~2040년 연평균 3만3천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표 3] 인구변동요인별 인구, 2020-2040년 (단위: 만 명)
|
구분
|
’20-’25
|
’25-’30
|
’30-’35
|
’35-’40
|
|
자연증가
|
총인구
|
-7.5
|
-10.3
|
-11.2
|
-18.1
|
|
내국인
|
-7.8
|
-10.4
|
-11.2
|
-18.0
|
||
외국인
|
0.3
|
0.1
|
0.0
|
-0.1
|
||
|
출생
|
총인구
|
25.0
|
27.3
|
31.7
|
30.6
|
내국인
|
24.2
|
26.6
|
31.0
|
29.9
|
||
외국인
|
0.7
|
0.7
|
0.7
|
0.7
|
||
|
사망
|
총인구
|
32.5
|
37.6
|
42.9
|
48.7
|
내국인
|
32.1
|
37.0
|
42.2
|
47.9
|
||
외국인
|
0.4
|
0.5
|
0.7
|
0.8
|
||
국제순이동
|
총인구
|
-0.2
|
5.3
|
4.6
|
4.6
|
|
내국인
|
-0.9
|
1.4
|
1.3
|
1.3
|
||
외국인
|
0.6
|
3.9
|
3.3
|
3.3
|
주) 해당기간의 시작년도 7월에서 끝년도 6월까지 5년간 추계치의 단순평균
3.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2020년부터 향후 10년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362만 명 감소, 고령인구는 480만 명 증가, 외국인 생산연령인구는 5만 명, 고령인구는 10만 명 각각 증가할 전망
|
ㅇ 2020년부터 향후 10년간 총인구 중 생산연령인구는 357만명 감소, 유소년인구는 198만명 감소, 고령인구는 490만명 증가할 전망
ㅇ 2020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71.5%(3,583만명), 고령인구는 16.1%(807만명), 유소년인구는 12.4%(623만명)
- 2040년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55.7%(2,676만명)로 감소, 고령인구는 35.3%(1,698만명)로 증가, 유소년인구는 8.9%(430만명)로 감소할 전망
ㅇ 2020년 외국인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90.8%(155만명), 고령인구는 4.6%(8만명), 유소년인구는 4.6%(8만명)
- 2040년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81.6%(176만명)로 감소, 고령인구는 12.5%(27만명)로 유소년인구는 6.0%(13만명)로 각각 증가할 전망
[표 4]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2020-2040년 (단위: 만 명,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총
인
구
|
인구
|
계
|
5,184
|
5,174
|
5,163
|
5,156
|
5,150
|
5,145
|
5,120
|
5,087
|
5,019
|
0-14
|
631
|
614
|
593
|
569
|
546
|
525
|
433
|
414
|
443
|
||
15-64
|
3,738
|
3,703
|
3,668
|
3,637
|
3,603
|
3,561
|
3,381
|
3,144
|
2,852
|
||
65+
|
815
|
857
|
902
|
950
|
1,001
|
1,059
|
1,306
|
1,529
|
1,724
|
||
구성비
|
0-14
|
12.2
|
11.9
|
11.5
|
11.0
|
10.6
|
10.2
|
8.5
|
8.1
|
8.8
|
|
15-64
|
72.1
|
71.6
|
71.0
|
70.5
|
70.0
|
69.2
|
66.0
|
61.8
|
56.8
|
||
65+
|
15.7
|
16.6
|
17.5
|
18.4
|
19.4
|
20.6
|
25.5
|
30.1
|
34.4
|
||
내
국
인
|
인구
|
계
|
5,013
|
5,012
|
5,003
|
4,992
|
4,981
|
4,972
|
4,929
|
4,883
|
4,803
|
0-14
|
623
|
606
|
585
|
560
|
537
|
515
|
421
|
401
|
430
|
||
15-64
|
3,583
|
3,558
|
3,526
|
3,493
|
3,456
|
3,411
|
3,221
|
2,975
|
2,676
|
||
65+
|
807
|
848
|
892
|
939
|
989
|
1,045
|
1,287
|
1,507
|
1,698
|
||
구성비
|
0-14
|
12.4
|
12.1
|
11.7
|
11.2
|
10.8
|
10.4
|
8.5
|
8.2
|
8.9
|
|
15-64
|
71.5
|
71.0
|
70.5
|
70.0
|
69.4
|
68.6
|
65.3
|
60.9
|
55.7
|
||
65+
|
16.1
|
16.9
|
17.8
|
18.8
|
19.8
|
21.0
|
26.1
|
30.9
|
35.3
|
||
외
국
인
|
인구
|
계
|
170
|
162
|
160
|
164
|
169
|
173
|
190
|
204
|
216
|
0-14
|
8
|
8
|
8
|
9
|
9
|
10
|
12
|
13
|
13
|
||
15-64
|
155
|
145
|
142
|
144
|
147
|
150
|
160
|
169
|
176
|
||
65+
|
8
|
9
|
10
|
11
|
12
|
13
|
18
|
22
|
27
|
||
구성비
|
0-14
|
4.6
|
5.0
|
5.2
|
5.4
|
5.6
|
5.8
|
6.3
|
6.3
|
6.0
|
|
15-64
|
90.8
|
89.7
|
88.7
|
87.9
|
87.3
|
86.6
|
84.1
|
82.8
|
81.6
|
||
65+
|
4.6
|
5.3
|
6.0
|
6.7
|
7.1
|
7.6
|
9.5
|
11.0
|
12.5
|
4. 내국인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3,583만명(71.5%)에서 2040년 2,676만명(55.7%)으로 감소, 2040년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대비 74.7% 수준
|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베이비붐 세대(’55-’63년생)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6만명 감소, 2030년대에는 연평균 55만명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중 15~24세 비중은 2020년 15.9%에서 2040년 10.7%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중 25~49세 비중은 2020년 50.4%에서 2035년 48.2%로 감소 후 증가하여 2040년 50.7% 수준일 것으로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중 50~64세 비중은 2020년 33.7%에서 2040년 38.6%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표 5]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및 구성비, 2020-2040년 (단위: 만 명,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내국인 인구
|
5,013
|
5,012
|
5,003
|
4,992
|
4,981
|
4,972
|
4,929
|
4,883
|
4,803
|
|
생산연령인구
(15-64)
|
계
|
3,583
|
3,558
|
3,526
|
3,493
|
3,456
|
3,411
|
3,221
|
2,975
|
2,676
|
(구성비)
|
(71.5)
|
(71.0)
|
(70.5)
|
(70.0)
|
(69.4)
|
(68.6)
|
(65.3)
|
(60.9)
|
(55.7)
|
|
15-24
|
570
|
545
|
521
|
502
|
485
|
467
|
443
|
392
|
287
|
|
25-49
|
1,807
|
1,785
|
1,763
|
1,740
|
1,716
|
1,700
|
1,576
|
1,435
|
1,357
|
|
50-64
|
1,206
|
1,227
|
1,241
|
1,251
|
1,255
|
1,245
|
1,202
|
1,148
|
1,032
|
|
구성비
|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5-24
|
15.9
|
15.3
|
14.8
|
14.4
|
14.0
|
13.7
|
13.8
|
13.2
|
10.7
|
|
25-49
|
50.4
|
50.2
|
50.0
|
49.8
|
49.6
|
49.8
|
48.9
|
48.2
|
50.7
|
|
50-64
|
33.7
|
34.5
|
35.2
|
35.8
|
36.3
|
36.5
|
37.3
|
38.6
|
38.6
|
내국인 고령인구(65세이상)는 2020년 807만명에서 2040년 1,698만명으로 2020년부터 향후 20년간 2.1배 증가할 전망
※ 내국인 고령인구는 2025년 1,000만 명을 넘고, 2035년 1,5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
|
ㅇ 내국인 65세 이상 고령인구 구성비는 2020년 16.1%에서 증가하여 2025년 20%를 넘어서고 2040년 35.3%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70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546만명(10.9%)에서 2040년 1,288만명(26.8%)으로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8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78만명(1.6%)에서 2040년 250만명(5.2%)으로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65세 이상 고령인구 성비는 2020년 76.1명에서 2040년 85.0명으로 증가할 전망
[표 6] 내국인 고령인구, 구성비 및 성비, 2020-2040년 (단위: 만 명, %, 여자인구 1백 명당 명)
구분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내국인 인구
|
5,013
|
5,012
|
5,003
|
4,992
|
4,981
|
4,972
|
4,929
|
4,883
|
4,803
|
|
고령
인구
|
65+
|
807
|
848
|
892
|
939
|
989
|
1,045
|
1,287
|
1,507
|
1,698
|
70+
|
546
|
564
|
591
|
618
|
644
|
683
|
892
|
1,103
|
1,288
|
|
75+
|
348
|
357
|
377
|
397
|
415
|
434
|
544
|
721
|
896
|
|
85+
|
78
|
86
|
94
|
101
|
110
|
118
|
157
|
193
|
250
|
|
구성비
|
65+
|
16.1
|
16.9
|
17.8
|
18.8
|
19.8
|
21.0
|
26.1
|
30.9
|
35.3
|
70+
|
10.9
|
11.3
|
11.8
|
12.4
|
12.9
|
13.7
|
18.1
|
22.6
|
26.8
|
|
75+
|
7.0
|
7.1
|
7.5
|
7.9
|
8.3
|
8.7
|
11.0
|
14.8
|
18.7
|
|
85+
|
1.6
|
1.7
|
1.9
|
2.0
|
2.2
|
2.4
|
3.2
|
4.0
|
5.2
|
|
성비
|
65+
|
76.1
|
76.8
|
77.6
|
78.4
|
79.1
|
79.7
|
82.5
|
84.0
|
85.0
|
70+
|
69.1
|
69.6
|
70.5
|
71.2
|
71.9
|
72.9
|
77.0
|
79.8
|
81.1
|
|
75+
|
60.1
|
60.7
|
61.8
|
63.0
|
63.9
|
64.9
|
69.1
|
73.4
|
76.1
|
|
85+
|
37.5
|
38.5
|
39.6
|
40.8
|
41.9
|
42.9
|
47.7
|
53.2
|
57.5
|
내국인 유소년인구(0-14세)는 2020년 623만명에서 2040년 430만명으로 2020년부터 향후 20년간 193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
|
ㅇ 내국인 유소년인구(0-14세)는 2020년 623만명에서 2040년 430만명으로 향후 20년간 193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
ㅇ 내국인 학령인구(6-21세)는 2020년 777만명에서 2040년 427만명으로 향후 20년간 350만명 감소할 전망
- 초등학교 학령인구(6-11세)는 2020년 270만명, 2040년 176만명으로 2020년의 65.3% 수준
- 중학교 학령인구(12-14세)는 2020년 136만명, 2040년 75만명으로 2020년의 55.1% 수준
- 고등학교 학령인구(15-17세)는 2020년 138만명, 2040년 67만명으로 2020년의 48.8% 수준
- 대학교 학령인구(18-21세)는 2020년 233만명, 2040년 108만명으로 2020년의 46.4% 수준
ㅇ 내국인 청년인구(19-34세)는 2020년 1,024만명에서 2040년 640만명으로 향후 20년간 384만명 감소할 전망
[표 7] 내국인 유소년인구,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2020-2040년 (단위: 만 명,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내국인 인구
|
5,013
|
5,012
|
5,003
|
4,992
|
4,981
|
4,972
|
4,929
|
4,883
|
4,803
|
|
유소년인구
(0-14)
|
인구
|
623
|
606
|
585
|
560
|
537
|
515
|
421
|
401
|
430
|
구성비
|
12.4
|
12.1
|
11.7
|
11.2
|
10.8
|
10.4
|
8.5
|
8.2
|
8.9
|
|
학령
인구
(6-21)
|
계
|
777
|
759
|
738
|
714
|
696
|
680
|
577
|
475
|
427
|
초(6-11)
|
270
|
269
|
267
|
257
|
244
|
230
|
154
|
146
|
176
|
|
중(12-14)
|
136
|
137
|
136
|
135
|
137
|
139
|
113
|
74
|
75
|
|
고(15-17)
|
138
|
134
|
131
|
135
|
136
|
135
|
130
|
92
|
67
|
|
대(18-21)
|
233
|
220
|
204
|
187
|
179
|
177
|
179
|
163
|
108
|
|
대학진학대상(18)
|
51
|
47
|
47
|
44
|
43
|
45
|
46
|
37
|
25
|
|
청년인구(19-34)
|
1,024
|
1,014
|
999
|
984
|
966
|
947
|
834
|
731
|
640
|
5. 내국인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1백명당 부양 인구는 2020년 39.9명에서 2040년 79.5명 수준으로 향후 20년간 2.0배 증가할 전망
|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부양할 인구(유소년․고령인구)인 총부양비는 2020년 39.9명에서 2028년에 50명을 넘어서고 2040년에는 79.5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유소년부양비는 2020년 17.4명에서 2032년 12.8명까지 낮아졌다가 증가하여 2040년 16.1명 수준으로 전망
ㅇ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2020년 22.5명에서 2040년 63.4명 수준으로 2020년 대비 2.8배로 증가할 전망
ㅇ 유소년인구 1백명당 고령인구인 노령화지수는 2020년 129.6명에서 2030년 305.9명으로 높아져 2030년부터는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3배 이상 많아질 전망
[표 8] 내국인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20-2040년
(단위: 생산연령인구·유소년인구 1백 명당 명)
구분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총부양비
|
39.9
|
40.9
|
41.9
|
42.9
|
44.1
|
45.7
|
53.0
|
64.1
|
79.5
|
유소년부양비
|
17.4
|
17.0
|
16.6
|
16.0
|
15.5
|
15.1
|
13.1
|
13.5
|
16.1
|
노년부양비
|
22.5
|
23.9
|
25.3
|
26.9
|
28.6
|
30.6
|
40.0
|
50.6
|
63.4
|
노령화지수
|
129.6
|
139.9
|
152.5
|
167.8
|
184.2
|
202.9
|
305.9
|
375.3
|
394.9
|
Ⅱ. 이주배경인구 전망
1. 이주배경인구 추이
이주배경인구는 2020년 218만명(총인구 중 4.2%)에서 2040년 323만명(총인구 중 6.4%)으로 증가할 전망
|
ㅇ 이주배경인구*는 2020년 218만명에서 2037년 300만명을 넘어서고, 2040년 323만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 이주배경인구 = 내국인(귀화) + 내국인(이민자2세) + 외국인
- 내국인(귀화)은 2020년 19만명에서 2040년 47만명으로 2.4배 증가,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0년 28만명에서 2040년 60만명으로 2.1배 증가할 전망
- 외국인은 2020년 170만명에서 2040년 216만명으로 1.3배 증가할 전망
[표 9] 이주배경인구, 2020-2040년 (단위: 만 명)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총인구
|
5,184
|
5,174
|
5,163
|
5,156
|
5,150
|
5,145
|
5,120
|
5,087
|
5,019
|
|
이주배경인구
|
218
|
213
|
213
|
219
|
226
|
233
|
264
|
293
|
323
|
|
|
내국인(귀화)
|
19
|
21
|
22
|
23
|
24
|
26
|
32
|
40
|
47
|
|
내국인(이민자 2세)
|
28
|
30
|
31
|
32
|
33
|
34
|
41
|
50
|
60
|
|
외국인
|
170
|
162
|
160
|
164
|
169
|
173
|
190
|
204
|
216
|
ㅇ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0년 4.2%에서 2040년 6.4%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총인구 중 내국인(귀화) 인구 구성비는 2020년 0.4%에서 2040년 0.9%로 증가, 내국인(이민자2세)는 2020년 0.5%에서 2040년 1.2%로 늘어날 전망
- 총인구 중 외국인 인구 구성비는 2020년 3.3%에서 2040년 4.3%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
[표 10]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 2020-2040년 (단위: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총인구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이주배경인구
|
4.2
|
4.1
|
4.1
|
4.3
|
4.4
|
4.5
|
5.2
|
5.8
|
6.4
|
|
|
내국인(귀화)
|
0.4
|
0.4
|
0.4
|
0.4
|
0.5
|
0.5
|
0.6
|
0.8
|
0.9
|
|
내국인(이민자 2세)
|
0.5
|
0.6
|
0.6
|
0.6
|
0.6
|
0.7
|
0.8
|
1.0
|
1.2
|
|
외국인
|
3.3
|
3.1
|
3.1
|
3.2
|
3.3
|
3.4
|
3.7
|
4.0
|
4.3
|
[표 11] 이주배경인구 유형별 구성비, 2020-2040년 (단위: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이주배경인구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
내국인(귀화)
|
8.9
|
9.8
|
10.3
|
10.6
|
10.8
|
11.0
|
12.3
|
13.5
|
14.5
|
|
내국인(이민자 2세)
|
12.9
|
14.0
|
14.6
|
14.6
|
14.6
|
14.7
|
15.5
|
16.9
|
18.5
|
|
외국인
|
78.1
|
76.3
|
75.1
|
74.8
|
74.6
|
74.3
|
72.2
|
69.6
|
67.0
|
2. 이주배경인구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2020년부터 향후 20년간 이주배경인구 생산연령인구는 67만 명, 고령인구는 29만 명, 유소년인구는 9만 명 각각 증가할 전망
|
ㅇ 총인구 생산연령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0년 4.7%에서 2040년 8.6%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 유소년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0년 5.1%에서 2040년 9.3%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 고령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0년 1.1%에서 2040년 2.2%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표 12] 이주배경인구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2020-2040년 (단위: 만 명, %)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이주배경인구
|
계
|
218
|
213
|
213
|
219
|
226
|
233
|
264
|
293
|
323
|
|
0-14
|
32
|
33
|
34
|
34
|
34
|
34
|
35
|
36
|
41
|
||
15-64
|
177
|
169
|
168
|
172
|
178
|
183
|
206
|
227
|
244
|
||
65+
|
9
|
10
|
11
|
13
|
14
|
16
|
23
|
30
|
38
|
||
|
귀
화
자
|
계
|
19
|
21
|
22
|
23
|
24
|
26
|
32
|
40
|
47
|
0-14
|
1
|
1
|
1
|
1
|
1
|
1
|
2
|
2
|
2
|
||
15-64
|
17
|
18
|
19
|
20
|
21
|
22
|
26
|
30
|
34
|
||
65+
|
1
|
1
|
2
|
2
|
2
|
3
|
5
|
7
|
11
|
||
|
이
민
자
2
세
|
계
|
28
|
30
|
31
|
32
|
33
|
34
|
41
|
50
|
60
|
0-14
|
24
|
24
|
24
|
24
|
23
|
23
|
21
|
22
|
26
|
||
15-64
|
5
|
6
|
7
|
8
|
10
|
12
|
20
|
28
|
34
|
||
65+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외
국
인
|
계
|
170
|
162
|
160
|
164
|
169
|
173
|
190
|
204
|
216
|
0-14
|
8
|
8
|
8
|
9
|
9
|
10
|
12
|
13
|
13
|
||
15-64
|
155
|
145
|
142
|
144
|
147
|
150
|
160
|
169
|
176
|
||
65+
|
8
|
9
|
10
|
11
|
12
|
13
|
18
|
22
|
27
|
||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
|
계
|
4.2
|
4.1
|
4.1
|
4.3
|
4.4
|
4.5
|
5.2
|
5.8
|
6.4
|
|
0-14
|
5.1
|
5.4
|
5.7
|
5.9
|
6.2
|
6.5
|
8.0
|
8.8
|
9.3
|
||
15-64
|
4.7
|
4.6
|
4.6
|
4.7
|
4.9
|
5.1
|
6.1
|
7.2
|
8.6
|
||
65+
|
1.1
|
1.2
|
1.3
|
1.4
|
1.4
|
1.5
|
1.8
|
2.0
|
2.2
|
3. 이주배경인구 유소년인구,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이주배경인구 학령인구(6-21세)는 2020년 30만명에서 2040년 47만명으로 향후 20년간 1.6배 증가할 전망
|
ㅇ 이주배경인구 유소년인구(0-14세)는 2020년 32만명에서 2040년 41만명으로 향후 20년간 9만명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 학령인구(6-21세)는 2020년 30만명에서 2040년 47만명으로 향후 20년간 17만명 증가할 전망
- 초등학교 학령인구(6-11세)는 2020년 13만명에서 2040년 16만명으로 향후 20년간 3만명 증가
- 중학교 학령인구(12-14세)는 2020년 5만명에서 2040년 7만명으로 향후 20년간 3만명 증가
- 고등학교 학령인구(15-17세)는 2020년 3만명에서 2040년 7만명으로 향후 20년간 4만명 증가
ㅇ 이주배경인구 청년인구(19-34세)는 2020년 78만 명에서 2040년 101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23만 명 증가할 전망
[표 13] 이주배경인구 유소년,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2020-2040년 (단위: 만 명)
|
’20
|
’21
|
’22
|
’23
|
’24
|
’25
|
’30
|
’35
|
’40
|
|
이주배경인구
|
218
|
213
|
213
|
219
|
226
|
233
|
264
|
293
|
323
|
|
유소년인구(0-14)
|
32
|
33
|
34
|
34
|
34
|
34
|
35
|
36
|
41
|
|
학령
인구
(6-21)
|
계
|
30
|
30
|
32
|
34
|
37
|
39
|
44
|
46
|
47
|
초(6-11)
|
13
|
14
|
14
|
14
|
14
|
15
|
14
|
14
|
16
|
|
중(12-14)
|
5
|
6
|
6
|
7
|
7
|
7
|
8
|
7
|
7
|
|
고(15-17)
|
3
|
3
|
4
|
5
|
6
|
6
|
8
|
8
|
7
|
|
대(18-21)
|
9
|
8
|
8
|
8
|
10
|
11
|
15
|
17
|
16
|
|
청년인구(19-34)
|
78
|
71
|
67
|
67
|
68
|
69
|
80
|
91
|
101
|
Ⅲ. 인구피라미드(2020-2040년)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기관, 지난해 사회적기업 제품 1조8171억원 어치 구매 (0) | 2022.04.27 |
---|---|
산업용 리프트 사용사업장 등 1500곳 일제 안전점검_고용노동부 (0) | 2022.04.27 |
자녀 맞돌봄 문화 확산으로 남성 육아휴직, 꾸준한 증가 추세_고용노동부 (0) | 2022.04.26 |
21년 귀속 반기분 근로장려금 조기 지급_국세청 (0) | 2022.04.26 |
국제신용평가사 S&P,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안정적)로 유지_기획재정부 (0) | 2022.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