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증 속 부가세, 나라마다 다를까?
2022.03.17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와 함께하는 나라별 영수증 파헤치기!
다른 나라들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 ‘부가세’란?
부가가치세의 줄임말로 재화, 용역이 생산되거나 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생기는 부가가치에 대하여 내는 세금입니다.
◆ 누가 내는 건가요?
한국의 경우, 10%의 부가세가 물건값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 소비자가 부담한 세금을 사업자가 보관해 두었다가 6개월에 모아서 국가에 내고 있습니다.
◆ 다른 나라는 어떤가요?
우리나라와 일본은 10%의 부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나, OECD 국가의 평균 부가세율은 2014년 19.1%에서 점진적으로 인상돼 2020년 19.3%의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 특히! 미국인 경우
물건값에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지역별로 세금이 각각 부과되어 2021년 기준 최소 1.76%(알래스카)부터 최대 9.55%(테네시)까지 상이하기 때문에 그만큼 소비자의 부담도 지역별로 다르겠죠?
◆ 우리나라와 주요국 GDP 대비 부가가치세 비율
- 대한민국: 4.3%
- 뉴질랜드: 9.8%
- 헝가리: 9.7%
- 덴마크: 9.4%
- 스웨덴: 9.2%
- 프랑스: 7.2%
- 독일: 7.1%
- 영국: 7%
- 이탈리아: 6.3%
- 캐나다: 4.5%
- 일본: 4.4%
- 스위스: 3.4%
◆ 어디에 쓰이나요?
부가세는 소득세, 법인세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세목 중 하나로 국민이 납부한 세금은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국민이 낸 소중한 세금이 올바르고 똑바로 쓰일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가 함께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육비 미지급자 출국금지 요청 기준 완화 (0) | 2022.03.21 |
---|---|
병역진로설계 지원센터를 소개합니다! 병무청 (0) | 2022.03.20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라면 꼭!…일경험 프로그램 가이드북 (1) | 2022.03.17 |
택시 운송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신규 지정 여부 논의_기획재정부 (1) | 2022.03.17 |
기재부 차관 “미 연준 금리 인상,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0) | 2022.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