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2020년 기준 농업법인조사 결과」 발표
2022.03.01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부, 「2020년 기준 농업법인조사 결과」 발표
|
- 전년 대비 법인 1,184개소, 종사자 8,702명 증가 -
|
주요 내용
□ (운영현황) 활동 중 농업법인은 총 24,499개소(전년 대비 5.1% 증가)
□ (종사자) 농업법인 종사자는 약 169천명(전년 대비 5.4% 증가)
□ (사업유형) 영농조합법인은 농업생산 중심, 농업회사법인은 가공·유통업 중심 운영
* 영농조합법인 중 농업생산 39.3%, 농업회사법인 중 가공·유통 57.8%
□ (경영실적) 농업법인의 총매출액은 42조 9,162억 원(전년 대비 7.0% 증가)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2020년 기준 농업법인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 대상은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활동 중인 농업법인*(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24,499개소이며, ①운영현황, ②종사자현황, ③사업유형, ④경영실적 등을 조사하였다.
* 통계청의 통계기업등록부(SBR)에서 매출액 또는 종사자가 확인된 법인
2020년 기준 농업법인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활동 중인 농업법인은 총 24,499개소로 전년 대비 1,184개소 증가(5.1%)하였다. 활동 중인 농업법인 중 영농조합법인은 10,136개소(41.4%)이며, 농업회사법인은 14,363개소(58.6%)이다.
둘째, 2020년 말 기준 농업법인의 종사자는 168,951명으로 전년 대비 8,702명 증가(5.4%)하였으며 영농조합법인의 종사자는 69천명, 농업회사법인의 종사자는 100천명이다. 분야별로는 농업생산(단순노무) 분야의 종사자가 76천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농업생산(생산관리) 31천명, 마케팅/판매․물류 23천명 순으로 종사자 수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가 60천명(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40대(38천명, 22.3%), 60대(34천명, 20.4%) 순으로 많았다.
셋째, 영농조합법인 중에는 주된 사업(매출액 중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한 사업)이 농업(작물재배업+축산업) 생산(39.3%)인 법인이 가장 많았으며, 농축산물유통업(25.3%), 농축산물가공업(18.1%) 순이다. 농업회사법인 중에는 주된 사업이 농축산물유통업(35.1%)인 법인이 가장 많았으며, 농업 생산(31.3%), 농축산물가공업(22.7%) 순이다.
넷째, 농업법인의 총매출액은 42조 9,1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조 8,229억 원(7.0%) 증가하였다. 영농조합법인의 매출액은 11조 8,963억 원(전년 대비 2.6% 증가), 농업회사법인의 매출액은 31조 199억 원(전년 대비 8.8% 증가)이다. 농업법인 중 결산법인*의 법인당 자산의 평균은 16.3억 원, 부채는 10.6억 원, 자본은 5.7억 원이다.
* 국세청 법인세 자료에 등록된 법인
조사 결과의 세부내용은 농식품부 누리집(www.mafra.go.kr)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을 통해 게재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매년 농업법인의 운영 관련 현황 변화를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으며, 동 조사 결과는 농업법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붙임 1. 2020년 기준 농업법인조사 인포그래픽
2. 2020년 기준 농업법인 조사결과 요약
붙임1
|
2020년 기준 농업법인조사 인포그래픽
|
붙임2
|
2020년 기준 농업법인 조사결과 요약
|
|
일 러 두 기
|
|
|
|
|
□ 농업법인조사 결과는 농업을 경영하는 법인의 생산구조와 경영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농업법인 기업체를 대상으로 2020년 말을 기준으로 실적을 조사하여 집계한 결과입니다.
□ 농업법인조사 결과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의 통계청 농어업법인조사(’01~’15)가 중지됨에 따라 ’15년 기준 농업법인 조사부터 농림축산식품부로 조사 주체가 변경되었습니다.
○ 농업법인의 재무제표 작성 현황, 경영실태, 경영성과, 매출액 등은 국세청의 협조를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수시통계품질진단 결과 조사 모집단이 변경되어 ‘17년 이전 농업법인 조사와의 시계열 분석이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실질적 운영 중인 농업법인을 목표 모집단으로 하여 통계청 통계기업등록부(SBR) 자료 중 활동법인으로 모집단이 변경되었습니다.
□ 본 보도자료는 조사결과 주요 결과표를 제시하였으며, 농업법인 조사 결과자료는 농림축산식품부(www.mafra.go.kr) 및 국가통계포털(KOSIS, http://kosis.kr)에 수록할 예정입니다.
|
||
|
I
|
|
농업법인 일반현황
|
’20년 말 기준 활동 중인 농업법인은 24,499개로 전년대비 1,535개 증가(7.0%↑)
|
□ 농업법인 수
◦ 2020년 기준 활동 중인 농업법인은 24,499개소
- 영농조합법인은 10,136개로 전체의 41.4%를 차지하고, 전년대비 94개 감소(0.9%↓)
- 농업회사법인은 14,363개로 전체의 58.6%를 차지하고, 전년대비 1,278개 증가(9.8%↑)
|
농업법인 총 종사자수는 168,951명으로, 전년 대비 8,702명 증가
|
□ 농업법인 종사자수
◦ 농업법인의 종사자는 168,951명 이중 상근출자자가 50,961명, 상용근로자가 68,159명 임시·일용근로자가 49,831명이었음
◦영농조합법인의 종사자는 69,089명(평균 6.8명)으로 상근출자자가 25,353명, 상용근로자가 19,628명 임시·일용근로자가 24,108명이었음
◦농업회사법인의 종사자는 99,862명(평균 7.0명)으로 상근출자자가 25,608명, 상용근로자가 48,531명 임시·일용근로자가 25,723명이었음
□ 농업법인 종사자 연령
◦ 농업법인 종사자의 연령 현황을 살펴보면, ‘50대’ 종사자가 60,739명, ‘40대’ 37,635명, ‘60대’ 34,486명 순으로 농업법인 종사자는 주로 40대 이상 60대 이하 연령대에 분포함
◦ 영농조합법인 종사자 중 ‘50대’ 종사자(25,539명)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60대’ 종사자(17,575명)이 많았음
◦ 농업회사법인은 ‘50대’ 종사자(35,200명)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40대’ 종사자(24,442명)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법인 특성에 따른 종사자 현황
◦ 농업법인의 종사자 수는 사업유형별로 ‘작물재배업’ 50,829명, ‘10~49인’ 50,774명, 운영기간별로 ‘4~7년’에서 54,678명으로 각각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농업법인의 법인 당 평균 종사자 수는 사업유형별로 ‘축산업’과 ‘농축산물가공업’ 8.1명, 운영기간별로 ‘12년 이상’ 9.8명에서 각각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법인 특성 및 고용형태별 종사자 현황 >
(단위 : 개, 명)
농업생산(단순노무) 분야의 종사자가 전체의 44.6.%로 가장 높은 비중 차지
|
□ 고용분야에 따른 종사자 현황
◦ 농업법인 종사자의 고용 분야별 현황을 살펴보면, ‘농업생산(단순노무)’ 종사자가 75,730명, ‘농업생산(생산관리)’ 31,499명, ‘마케팅/농산물 판매‧물류’ 23,497명 등의 순으로 분포함
2020년에 농업법인은 29천명을 신규채용
|
◦ 영농조합법인은 11천명을 채용하였으며, 농업회사법인은 18천명을 채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근로자유형별로는 일용근로자(21천명)를 가장 많이 채용하였으며, 상용근로자(6천명), 임시근로자(2천명) 순이었다.
II
|
|
농업법인 경영현황
|
주된 사업이 농업생산인 농업법인은 8,471개(34.6%)
|
□ 농업법인 사업유형
◦ 주된 사업으로 농업생산을 하는 법인은 전체의 34.6%인 8,471개로, 그 중 7,011개 법인의 주된 사업은 ‘작물재배업’, 1,460개 법인의 주된 사업은 ‘축산업’임
◦ 농업생산 이외 사업을 하는 법인은 16,028개로, 전체 농업법인의 65.4%이며, 이중 ‘농축산물유통업(도소매업)’을 하는 법인이 7,600개로 가장 많고, ‘농축산물가공업’이 5,093개로 그 다음으로 많음
◦ 종사자 규모별로 농업법인에서 농업생산을 하는 법인은 ‘1인 이하’ 규모 법인이 3,297개(작물재배업 2,912개), 농업생산 이외 사업을 하는 법인은 ‘2~4인’ 규모의 법인이 5,947개(농축산물유통업 2,988개)로 가장 많았음
◦운영기간별로 농업생산과 농업생산 이외 사업을 하는 법인은 모두 ‘4~7년’(각각 2,708개, 5,414개)에서 가장 많았음
농업법인 매출 규모는 42조 9162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
|
□ 농업법인 판매(매출)액
◦ 2020년 기준 농업법인의 매출 규모는 42조 9,162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전년(40조 933억원)에 비해 7.0% 증가함
◦ 2020년 기준 ‘농업생산’ 법인에서는 ‘작물재배업’이 4조 7,683억원으로 ‘축산업’ 4조 4,232억원 대비 높았으며, ‘농업생산 이외 사업’ 법인에서는 ‘농축산물 유통업(도소매업)’이 19조 7,673억원으로 매출액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농업법인 중 결산법인의 자산은 16억 2,795만원, 자본은 5억 6,829만원
|
□ 결산법인 경영현황
◦ 2020년 기준 농업법인 중 결산법인의 자산은 16억 2,795만원, 자본은 5억 6,829만원, 부채는 10억 5,965만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하였음
◦ 조직형태별로는 농업회사법인이 전반적으로 영농조합법인에 비해 자산 및 부채, 자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월 산업활동동향_통계청 (0) | 2022.03.02 |
---|---|
산업단지 중금속배출 및 불법소각 첨단장비로 감시한다_환경부 (0) | 2022.03.02 |
법인세 신고도움 서비스 주요 내용(법인세 신고도움 서비스 접근 경로 ) (0) | 2022.03.01 |
21년 12월 결산법인은 3월 말까지 법인세 신고·납부하세요_국세청 (0) | 2022.03.01 |
영상 및 방송 매체 출연동물 보호를 위해 머리 맞댄다_농림축산식품부 (0)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