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역대표중견기업육성사업(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육성지원사업(R&D) 신규지원 공고)
분류체계
|
기술 > 공동기술개발
기타 > 동반성장
|
신청기간
|
2021-12-29 ~ 2022-02-11
|
온라인신청하기해당기관의 신청화면으로 이동합니다.
|
사업개요
지역 중견기업을 수출역량과 성장잠재력을 바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신산업 기술혁신의 히든카드로 육성하고자 기술개발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주관기관(중견기업)과 동일 지역 광역권에 소재하는 기업 또는 연구소, 대학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
☞ 과제당 최대 7억원 지원
|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대상 : 산업통상자원부 R&D 과제 종료 후 정부납부기술료 납부 대상인 중소ㆍ중견기업
* 기술료 통합요령 개정고시일(‘18.4.30) 이후 정부납부기술료 확정 결과 통보 받은 과제부터 적용(시행기간: 고시일~2022년)
ㅇ 신청자격
- 주관기관 : 아래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지역 중견기업
① 신청기관(본사 또는 주사업장)이 소재하는 지역의 광역지자체(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 제외*)로부터 후보기업 추천을 받은 경우
* 단,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2조제7항에 따른 수도권 내 특수상황지역**은 지원 가능
** 강화군, 옹진군(인천),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고양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경기도)
ㆍ 신청기관은 소재하는 지역의 지자체에 후보기업 추천을 신청(기타서식1)하고, 후보기업 추천을 받은 경우에 한하여 과제를 신청할 수 있음. 과제 신청 시, 지자체에서 교부한 “지역대표 중견기업 육성사업 지원대상 후보기업 추천서”를 제출하여야 함
※ 동 사업의 지원대상 후보기업 추천 신청서 양식은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하며, 지자체별로 지원대상 후보기업 추천 신청서 양식이 일부 상이하거나, 지역별 특성 등을 반영하여 기타 추가 제출서류를 요구할 수 있음
② 직전년도 R&D집약도 1% 이상 또는 직전년도 매출액 중 수출액 비중이 10% 이상
※ 2021년 결산자료를 적용하되 추후 2021년 결산 확정 값과 현저히(10% 이상) 차이나는 경우 지원 취소 가능함.
- 참여기관
ㆍ 주관기관과 공동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기업, 대학, 연구기관, 연구조합, 사업자단체, 의료기관 등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1조 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1조,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제2조제1항제3호, 제4호 및 제4의2호, 9의2부터 9의3에 해당하는 기관
ㆍ 대기업의 경우 원칙적으로 지원 제외(수행기관 자격 없음)
- 지역혁신주체(대학(必), 기업, 연구소 등)와의 컨소시엄 구성 의무
ㆍ 신청기관은 과제 참여시 주관기관과 동일 지역(광역권)에 소재하는 대학, 기업 또는 연구소 등을 참여기관으로 하여 컨소시엄을 구성함을 원칙으로 하되, 사업목적 달성을 위해 타 지역 기관의 참여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참여 가능(단, 특수상황지역 외 수도권은 제외)
ㆍ 컨소시엄 구성 시 주관기관과 동일 지역(광역권) 소재 대학은 필수로 참여해야 함
|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대상분야 : 전 산업분야
ㅇ 사업비 지원 규모 및 기간
구분
|
지역대표 중견기업 육성사업
|
지원규모①
|
과제당 최대 정부출연금 7억원 이내(21개월 기준)
|
지원과제
|
5개 과제
|
공모유형
|
자유공모
|
지원기간②
|
2년 이내(최대 21개월 예정)
|
필수사항
|
신청기관 소속 지자체로부터 추천받은 기업만 신청 가능
|
* 지원 규모 및 기간은 실제 협약기간과 예산(국비, 지방비 등)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① 1차년도 3억원, 2차년도 4억원 이내(단, 정부의 예산 상황과 연구개발과제평가단 결과에 따라 신청한 지원 금액 대비 정부출연금 감액 가능)
② 협약기간(예정) : 1차년도(‘22년 4월∼12월, 9개월), 2차년도(‘23년 1월∼12월, 12개월)
ㅇ 사업 합동 설명회
- 일시 : ‘22. 1. 11(화), 13:50 ~16:30간 진행 예정
- 온라인 개최 : 접속방법은 ‘22.1.6 KIAT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
※ 설명회 세부 일정 및 내용은 KIAT(www.kiat.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지
※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전면 온라인으로 실시하고, 현장 참석자를 최소화하여 설명회를 진행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KIAT사업관리시스템(www.k-pass.kr)
ㅇ 제출 서류 : 중견기업확인서 등
|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바로가기) 참조
|
문의처
ㅇ 전담기관 문의처
과제접수/평가/절차 등
|
전산 등록/사업관리시스템(K-PASS)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견기업혁신팀
(02-6009-3547)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통합유지보수팀
(02-6009-4374, 4378, 4390)
|
ㅇ 14개 시ㆍ도 지방자치단체별 문의처(지방자치단체/담당관 소속/내선번호)
강원도
|
대전광역시
|
전략산업과
(033-249-2159)
|
기업창업지원과
(042-270-3692)
|
충청남도
|
충청북도
|
산업육성과
(041-635-2921)
|
경제기업과
(043-220-3222)
|
세종특별자치시
|
대구광역시
|
기업지원과
(044-300-4142)
|
경제정책과
(053-803-3392)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중소벤처기업과
(055-211-3363)
|
중소벤처기업과
(054-880-2676)
|
울산광역시
|
부산광역시
|
중소벤처기업과
(052-229-2793)
|
제조혁신과
(051-888-6734)
|
전라남도
|
전라북도
|
기반산업과
(061-286-3822)
|
기업지원과
(063-280-3223)
|
광주광역시
|
제주특별자치도
|
기업육성과
(062-613-3871)
|
미래전략과
(064-710-4712)
|
※ 특수상황지역(인천, 경기) 내 신청기관은 전담기관으로 문의
첨부문서
첨부파일
|
2022년도 중견기업육성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안내자료_3.지역대표중견기업육성사업.hwp
2022년 중견기업육성지원사업 신규지원 통합공고.hwp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기업마당
반응형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지원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2022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_산업통상자원부 (0) | 2022.01.07 |
---|---|
중견기업 DNA 융합 산학협력 프로젝트 사업(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육성지원사업(R&D) 신규지원 공고)_산업통상자원부 (0) | 2022.01.07 |
특별경영안정자금(2022년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계획 공고)_중소벤처기업부 (0) | 2022.01.07 |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사업(2022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_산업통상자원부 (1) | 2022.01.06 |
2022년 재도전성공패키지 주관기관(일반형ㆍ교육형) 모집 공고_중소벤처기업부 (0) | 2022.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