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창업 18만개 돌파, 대면업종 창업 회복세
- 2021년 1∼9월 창업기업 동향 -
□ ’21.1∼9월(누계) 창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부동산업 제외 시 6.1%(47,476개) 증가
2021.11.24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 18만개 돌파, 대면업종 창업 회복세
- 2021년 1∼9월 창업기업 동향 -
□ ’21.1∼9월(누계) 창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부동산업 제외 시 6.1%(47,476개) 증가
□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업 등에서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술창업은 역대 최초 18만개 돌파(지난해 대비 3.8% 증가)
□ 작년 창업이 감소한 개인서비스업의 경우 올해 5.2% 증가하는 등 일부 대면업종의 창업은 회복세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가 발표한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21년 1∼9월 전체창업은 106만 8,998개로 나타났다.
전체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7.3%(83,729개)가 감소*했으나, 작년 정책 변화(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 사업자 등록 의무화, ‘20.1월)로 사업자 등록이 급증한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6.1%(47,476개) 증가**한 수치이다.
* 1∼9월 창업기업(개) : (’19) 945,322 → (’20) 1,152,727 → (’21) 1,068,998
** 1∼9월 부동산업 제외 신규창업(개) : (’19) 755,412 → (’20) 783,453→ (’21) 830,929
주요 업종별로는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도·소매업이 12.3% 증가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작년 창업이 감소한 개인서비스업도 올해는 5.2%가 증가하면서 일부 대면업종에서 회복의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비대면화로 인해 정보통신업(26.1%), 전문과학기술업(20.8%) 등에서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3/4분기(누적) 기준 기술기반업종창업*(이하 ‘기술창업’)은 역대 최초로 18만개를 돌파했다.
* 1∼9월 기술창업 수(개) : (’19) 166,326 → (’20) 173,928 → (’21) 180,607
▣ 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을 포괄한 기술기반업종 (OECD, 유럽연합 기준)
|
![](https://blog.kakaocdn.net/dn/Vvr62/btrlYN1zVJD/OJEcy483tfkI3mK8izDplk/img.png)
업종별 동향
|
도·소매업은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12.3% 증가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은 작년 창업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이 35.5% 감소했다.
<부동산 창업 현황 및 증감율(누계)>
기간
|
부동산업 창업(수)
|
전년동기대비 증감율(%)
|
’19.1∼9월
|
189,910
|
-31.6
|
’20.1∼9월
|
369,274
|
94.4
|
’21.1∼9월
|
238,069
|
-35.5
|
숙박·음식점업은 올해 4.0% 감소하여 작년(‘19년 대비 ‘20년 8.9%↓) 대비 감소폭이 줄었고, 개인서비스업은 작년(‘19년 대비 ‘20년 5.6%↓)과 달리 올해는 5.2% 증가했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
|||||||
구분
|
전체 창업
|
|
|
|
|
|
|
도·소매
|
숙박·음식점
|
개인서비스
|
부동산업
|
기타
|
기술창업
|
||
’20.1∼9월
|
1,152,727
|
287,631
|
125,785
|
40,585
|
369,274
|
155,524
|
173,928
|
’21.1∼9월
|
1,068,998
|
323,016
|
120,813
|
42,709
|
238,069
|
163,784
|
180,607
|
(△7.3)
|
(12.3)
|
(△4.0)
|
(5.2)
|
(△35.5)
|
(5.3)
|
(3.8)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기술창업은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한 정보통신업(26.1%)과 온라인광고업(포털배너, SNS 활용 광고 등)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과학·기술업(20.8%)이 창업 증가를 주도하며 전년동기대비 3.8%(6,679개) 증가했다.
다만, 기술창업 중 사업지원서비스업과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6.0%, 4.6% 감소하였다.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
||||||||
구분
|
기술창업
|
|
||||||
제조업
|
정보통신
|
전문·
과학·기술
|
사업지원
|
교육
|
보건·
사회복지
|
창작·
예술·여가
|
||
’20.1∼9월
|
173,928
|
38,395
|
27,152
|
40,461
|
29,071
|
29,909
|
3,773
|
5,167
|
’21.1∼9월
|
180,607
|
36,664
|
34,240
|
48,874
|
21,507
|
30,195
|
3,875
|
5,252
|
(3.8)
|
(△4.6)
|
(26.1)
|
(20.8)
|
(△26.0)
|
(1.0)
|
(2.7)
|
(1.6)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연령별 동향
|
청년층 창업은 4.6% 증가한 반면, 부동산업 창업이 급감함에 따라 40대 이상 연령대의 창업이 감소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증가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40세 이상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감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6 (30대) △14.1 (40대) △30.7 (50대) △38.4 (60세이상) △49.6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
||||||||
구 분
|
청년층(39세 이하)
|
40대
|
50대
|
60세 이상
|
||||
30세 미만
|
30대
|
소계
|
||||||
전체 창업
|
’20.1∼9월
|
127,866
|
238,048
|
365,914
|
303,511
|
286,290
|
195,985
|
|
’21.1∼9월
|
137,782
|
245,023
|
382,805
|
287,682
|
246,855
|
150,078
|
||
(7.8)
|
(2.9)
|
(4.6)
|
(△5.2)
|
(△13.8)
|
(△23.4)
|
|||
부동산업 제외
|
’20.1∼9월
|
117,339
|
198,477
|
315,816
|
207,714
|
168,580
|
90,650
|
|
’21.1∼9월
|
126,033
|
211,032
|
337,065
|
221,284
|
174,337
|
96,977
|
||
(7.4)
|
(6.3)
|
(6.7)
|
(6.5)
|
(3.4)
|
(7.0)
|
|||
|
기술창업
|
’20.1∼9월
|
21,509
|
45,855
|
67,364
|
53,341
|
36,676
|
16,393
|
’21.1∼9월
|
20,928
|
46,059
|
66,987
|
56,939
|
39,061
|
17,404
|
||
(△2.7)
|
(0.4)
|
(△0.6)
|
(6.7)
|
(6.5)
|
(6.2)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조직형태별 동향
|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7%(1,638개) 감소했고, 개인창업**은 7.8%(8만 2,091개) 감소했다.
* 1∼9월 법인 창업기업(개) : (’18) 76,920 → (’19) 81,196 → (’20) 95,858 → (’21) 94,220
** 1∼9월 개인 창업기업(개) : (’18) 936,819 → (’19) 864,126 → (’20) 1,056,869 → (’21) 974,778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0.7%(585개) 감소하였고, 개인창업은 6.8%(48,061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월 부동산업 제외 법인창업(개) : (’18) 69,649 → (’19) 70,581 → (’20) 80,321 → (’21) 79,736
** 1∼9월 부동산업 제외 개인창업(개) : (’18) 666,302 → (’19) 684,831 → (’20) 703,132 → (’21) 751,193
법인창업은 금융보험업(34.2%↑), 전문·과학·기술업(8.6%↑), 정보통신업(7.3%↑) 등의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제조업(15.2%↓), 전기·가스·공기(29.3%↓), 도·소매업(4.1%↓) 등의 업종에서 감소했다.
개인창업은 금융보험업(37.4%↑), 정보통신업(32.5%), 전문·과학·기술업(25.4%↑) 등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부동산업(36.8%↓), 사업시설관리(21.3%↓), 예술·스포츠·여가(9.4%↓) 등 업종에서 감소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법인은 1.2%(410개) 감소하였고, 개인은 5.1%(7,089개) 증가하였다.
* 1∼9월 법인 기술창업(개) : (’18) 29,952 → (’19) 30,477 → (’20) 34,776 → (’21) 34,366
** 1∼9월 개인 기술창업(개) : (’18) 127,666 → (’19) 135,849 → (’20) 139,152 → (’21) 146,241
지역별 동향
|
지역별로는 울산(15.4%↓), 세종(13.6%↓), 전북(13.1%↓), 서울(12.6%↓), 광주(12.5%↓) 등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세종(10.8%↑), 인천(8.1%↑), 대전(7.0%↑) 등 대부분 지역(13개 지역)에서 증가했으나, 전북(4.6%↓), 전남(2.6%↓), 강원(2.2%↓), 광주(1.6%↓), 울산(0.8%↓) 지역(5개 지역)에서는 감소했다.
< ’21년 1∼9월(누계)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
|||||||||
지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전체
|
△12.6
|
△5.7
|
△5.5
|
△7.9
|
△12.5
|
△12.1
|
△15.4
|
△0.6
|
△11.3
|
부동산업 제외
|
5.3
|
4.7
|
6.5
|
8.1
|
△1.6
|
7.0
|
△0.8
|
11.8
|
△2.2
|
지역
|
충북
|
충남
|
세종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전국
|
전체
|
△8.1
|
△6.7
|
△13.6
|
△13.1
|
△12.1
|
△5.3
|
△8.5
|
△9.0
|
△7.3
|
부동산업 제외
|
4.2
|
4.5
|
10.8
|
△4.6
|
△2.6
|
4.5
|
4.5
|
6.5
|
6.1
|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참고1
|
|
’21년 1∼9월 창업기업 동향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
증가 업종
□ (도·소매업) 온라인 쇼핑의 활성화 지속 등으로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업종인 통신판매업의 증가세가 ‘19년부터 견조하게 지속
ㅇ (월별동향) ‘21년 상반기 두 자릿수의 증가세 이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3/4분기는 증가폭이 축소되었지만 1~9월(누계)은 증가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도·소매업
|
95,582
|
100,883
|
287,631
|
105,733
|
102,095
|
35,185
|
35,271
|
31,639
|
323,016
|
(14.6)
|
(26.8)
|
(15.5)
|
(10.6)
|
(1.2)
|
(△2.4)
|
(10.8)
|
(△4.2)
|
(12.3)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도매업은 감소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매업, 그중 무점포소매업은 지속적으로 증가
- 무점포소매업 중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증가
* 온라인쇼핑매출 증감률(%) : (’20.2/4) 15.4→(3/4) 17.8→(4/4) 20.4→(’21.1/4) 14.3→(2/4) 17.9→(3/4) 15.2
ㅇ (연령별) 40대와 60세 이상에서 도·소매업 증가를 주도하는 가운데 전 연령대에서 신규 창업이 활발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9.3 (30대) 12.4 (40대) 15.8 (50대) 10.1 (60세이상) 12.6
ㅇ (조직형태별) 개인창업은 증가를 보이나, 법인창업은 기저효과 영향으로 감소
* ’21년 1~9월(누계) 도·소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4.1 (개인) 13.9
□ (건설업)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시장성장과 공공·민간 건설수주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실내건축·건축마무리 공사업, 주택건설업, 건설장비 운영업 등의 창업이 활발
* 공공 건설수주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 (’20년 1~9월) 11.3 → (’21년 1~9월) 10.6
* 민간 건설수주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 (’20년 1~9월) 34.0 → (’21년 1~9월) 12.8
*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시장규모(조원) : (’00) 9.1→(‘10) 19→(’16) 28.4→(‘20) 41.5
* 인테리어 관련app(오늘의집) 결제 추정액(억원) :
(’19.上) 848→(‘19.下) 1,510→(’20.上) 2,892→(‘20.下) 3,991→(’21.上) 4,673
ㅇ (월별동향) 올해 주택 및 공공발주 공사가 증가하는 가운데 명절효과 등의 영향으로 3/4분기 증가폭은 소폭 감소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건설업
|
16,288
|
16,166
|
50,231
|
18,577
|
16,759
|
6,162
|
5,706
|
4,891
|
55,222
|
(△4.1)
|
(2.6)
|
(△0.9)
|
(14.1)
|
(3.7)
|
(△1.4)
|
(19.4)
|
(△4.8)
|
(9.9)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종합건설업 및 전문직별공사업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건물건설업 및 건설장비운영업이 크게 증가
- 실내건축공사업은 자가거주 확대에 따른 인테리어 증가와 내방객 감소에 따른 업장 리모델링(포장, 배달 등) 확대로 창업이 증가
ㅇ (연령별) 30세 미만과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며, 40~50대 중·장년층의 신규 창업도 활발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건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3.6 (30대) 10.4 (40대) 6.0 (50대) 8.7 (60세이상) 18.9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이 모두 증가
* ’21년 1~9월(누계) 건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4 (개인) 11.6
□ (운수·창고업) 배달 확대와 비대면과 플랫폼기반 운송업이 증가하면서 소화물운송업, 택시운송업 등의 창업 증가
ㅇ (월별동향) 지난해 부진에서 증가로 전환되었으며, 9월 명절효과를 제외하고는 증가세가 지속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운수·
창고업
|
14,635
|
15,106
|
45,868
|
17,520
|
15,833
|
5,992
|
5,249
|
4,592
|
49,788
|
(△8.1)
|
(2.8)
|
(△3.0)
|
(19.7)
|
(4.8)
|
(8.1)
|
(17.2)
|
(△9.7)
|
(8.5)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육상여객운송업, 도로화물운송업 및 소화물전문운송업이 크게 증가
- 육상여객운송업은 택시운송업, 도로화물운송업은 개인화물자동차운송업, 소화물전문운송업은 늘찬배달업이 증가
ㅇ (연령별) 30세 미만과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며 40~50대 중·장년층의 신규 창업도 활발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운수·창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6.0 (30대) 4.5 (40대) 5.8 (50대) 10.3 (60세이상) 11.0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1년 1~9월(누계) 운수·창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8 (개인) 8.6
□ (전문·과학·기술) 온라인광고업(포털배너, 모바일, SNS 활용 광고 등)의 성장과 컨설팅 시장의 확대로 신규 창업이 증가
* 온라인광고 시장규모(조원, 한국디지털광고협회) : (’18) 5.3 → (’19) 6.4 → (’20) 7.7 → (’21e) 8.6
** 경영 컨설팅업 매출액(조원, 통계청) : (’16) 8.5 → (’17) 8.8 → (’18) 10.1 → (’19) 11.1
*** 디자인전문업체 산업규모(조원, 한국디자인진흥원) : (’18) 3.6 → (’19) 3.9(9.3%↑)
ㅇ (월별동향) 지난해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3/4분기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전문·과학·
기술
|
13,037
|
13,861
|
40,461
|
16,254
|
16,406
|
6,244
|
5,328
|
4,834
|
48,874
|
(13.9)
|
(21.4)
|
(18.5)
|
(24.7)
|
(18.4)
|
(18.4)
|
(25.3)
|
(11.5)
|
(20.8)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연구개발업, 전문서비스업 및 기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이 증가했으며, 전문서비스업 중 광고업과 회사본부및경영컨설팅업, 기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전문디자인업이 증가
- 상대적으로 낮은 창업 리스크, 컨설팅에 대한 수요 확대(안전관리 등), 퇴직한 고급유휴인력 증가 등으로 컨설팅산업의 창업이 증가
- 디지털화(Digitization)로의 산업형태 변화와 상품의 질과 함께 시각적 디자인 중요성의 증가 등으로 디자인 산업의 창업이 활발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증가했고, 다른 업종에 비해 40대 이상의 신규 진입이 크게 증가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전문·과학·기술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3.0 (30대) 16.2 (40대) 23.2 (50대) 28.3 (60세이상) 19.2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1년 1~9월(누계) 전문·과학·기술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8.6 (개인) 25.4
□ (개인 서비스업)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창업 회복 추세 및 ’20년 기저효과로 창업이 증가
ㅇ (월별동향) 전년도 초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로 상반기 크게 증가하였지만, 명절효과 등으로 3/4분기는 감소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개인
서비스업
|
13,539
|
13,123
|
40,585
|
15,469
|
12,743
|
4,650
|
4,185
|
3,908
|
42,709
|
(△10.9)
|
(1.7)
|
(△5.6)
|
(14.3)
|
(△2.9)
|
(△1.9)
|
(1.6)
|
(△8.3)
|
(5.2)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개인서비스업(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은 기타 개인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30세 미만을 중심으로 40대를 제외하고 창업이 증가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개인 서비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1.1 (30대) 6.0 (40대) 0.6 (50대) △0.7 (60세이상) 5.2
ㅇ (조직형태별) 개인창업은 증가한 반면, 법인창업은 감소
* ’21년 1~9월(누계) 개인 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5 (개인) 5.5
□ (정보통신업) 사회 전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급속히 진행 및 ICT기반 투자가 증대되면서 소프트웨어개발·공급 등 창업이 활발
ㅇ (월별동향) 코로나19 영향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업종으로 전년에 이어 두 자릿수로 창업이 증가하는 추세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정보
통신업
|
9,195
|
9,793
|
27,152
|
11,686
|
11,796
|
4,743
|
3,849
|
3,204
|
34,240
|
(21.7)
|
(25.0)
|
(18.8)
|
(27.1)
|
(20.5)
|
(32.2)
|
(22.3)
|
(4.7)
|
(26.1)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영화·비디오제작·배급업(영화, 비디오, 방송프로그램 등), 컴퓨터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업이 증가
* 교육·기업관리·물류관리·의료·회계 등 특정한 업무 처리를 위한 응용소프트웨어와 스마트폰앱 등 모바일용 응용소프트웨어 등을 개발·공급하는 활동
- 메타버스(Metaverse) 등 ICT기반 산업의 투자 확대와 성장으로 창업이 증가
- 유튜브(YouTube) 성장, 넷플릭스 등 OTT서비스 시장 확대 등으로 영상·비디오제작·배급업 등의 산업에서 창업이 활발
* OTT 사용자(명) : (’19.1월) 71,779,940 → (’20.1월) 95,905,949 → (’21.1월) 132,276,752
** OTT 사용시간 : (’19.1월) 74,691,441 → (’20.1월) 109,867,640 → (’21.1월) 163,602,688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증가했고 40대 이상 연령대의 신규 진입이 크게 증가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8.1 (30대) 21.5 (40대) 30.3 (50대) 34.9 (60세이상) 21.8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특히 개인이 크게 증가
* ’21년 1~9월(누계) 정보통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3 (개인) 32.5
□ (교육서비스업) AI교육플랫폼 확대 등에 따라 비대면 교육서비스업이 시장에 안착되면서 창업이 회복세
ㅇ (월별동향) ‘21년 하반기 단계적 일상회복 기조와 대면 등교에 대한 기대감 상승으로 3/4분기 반등하면서 ’21년 1~9월(누계) 창업은 증가로 전환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교육
서비스업
|
9,803
|
8,635
|
29,909
|
9,692
|
9,285
|
3,300
|
3,118
|
2,867
|
30,195
|
(△1.3)
|
(△9.0)
|
(△7.2)
|
(△1.1)
|
(7.5)
|
(11.3)
|
(11.3)
|
(0.0)
|
(1.0)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일반교습학원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기타 교육기관 창업 확대로 증가로 전환
- 일반교습학원 중 일반교과학원, 방문교육학원은 감소세가 지속되는 반면, 비대면·온라인 교육학원은 견조한 증가세
- 기타 교육기관은 외국어학원, 기타 스포츠 교육기관, 기타 기술 및 직업훈련학원 등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30대 미만과 60세 이상 연령대를 중심으로 창업이 증가하였으며, 40~50대 연령대는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교육서비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7.6 (30대) 2.3 (40대) △1.5 (50대) △1.4 (60세이상) 5.0
ㅇ (조직형태별) 개인창업은 증가한 반면, 법인창업은 감소세가 지속
* ’21년 1~9월(누계) 교육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0 (개인) 1.0
□ (농업·임업·어업) 농산물 가격 상승과 농업 인구 증가 등 농업이 성장하면서 창업이 증가
ㅇ (월별동향) 지난해의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상반기 기저효과와 3/4분기 명절효과 등으로 증가폭은 다소 둔화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농업·임업·
어업
|
3,345
|
3,021
|
9,862
|
3,392
|
3,286
|
1,103
|
1,153
|
1,030
|
10,316
|
(13.2)
|
(1.1)
|
(10.3)
|
(1.4)
|
(8.8)
|
(△3.6)
|
(29.4)
|
(4.5)
|
(4.6)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농업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며, 그중 작물재배업이 크게 증가
- 최근 농산물 가격 상승과 샤인머스켓 등 상품성과 수익이 높은 과실 재배가 증가하면서 작물재배업 신규창업 활발
ㅇ (연령별)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신규 진입이 크게 증가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농업·임업·어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5 (30대) 1.5 (40대) △0.2 (50대) 0.6 (60세이상) 14.6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감소한 반면, 개인창업은 증가
* ’21년 1~9월(누계) 농업·임업·어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 9.7 (개인) 8.8
□ (금융·보험업) 대내·외 유동성 증대와 제판분리 현상, 가상자산 시장 성장 등으로 금융업, 보험대리 및 중개업의 창업이 증가
ㅇ (월별동향) 올해부터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8월 이후 두자릿수 증가로 증가폭이 크게 확대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금융·
보험업
|
1,841
|
2,235
|
6,108
|
3,112
|
2,597
|
883
|
860
|
854
|
8,287
|
(△7.6)
|
(9.6)
|
(8.0)
|
(69.0)
|
(16.2)
|
(9.3)
|
(28.7)
|
(12.5)
|
(35.7)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금융업,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이 증가하였으며
기타금융업, 보험·연금관련서비스업 등이 크게 증가
- 가상자산 거래량이 코스피 시장을 상회하는 가운데 시장진입 시 자본금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코인지갑, 디파이 등의 창업이 증가
ㅇ (연령별) 40대 이상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증가했으며 청년층(39세 이하)의 창업도 활발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금융·보험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8.4 (30대) 19.2 (40대) 49.3 (50대) 47.4 (60세이상) 31.3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두 자릿수의 증가
* ’21년 1~9월(누계) 금융·보험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34.2 (개인) 37.4
감소 업종
□ (부동산업) 부동산 임대업에 대한 규제 강화(‘20년 7.10대책 이후)와 ’20년 큰 폭의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신규창업 감소
ㅇ (월별동향) ‘20년 초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21년 1∼9월(누계)는 감소하였지만, ‘20년 3/4분기 증가폭이 축소되면서 ’21년 3/4분기는 증가로 전환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부동산업
|
87,688
|
76,464
|
369,274
|
81,924
|
77,396
|
27,473
|
26,351
|
23,572
|
238,069
|
(41.6)
|
(20.5)
|
(94.4)
|
(△6.6)
|
(1.2)
|
(△17.8)
|
(16.4)
|
(15.6)
|
(△35.5)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연령별) 30세 미만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크게 감소했으며, 전년도에 증가한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6 (30대) △14.1 (40대) △30.7 (50대) △38.4 (60세이상) △49.6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크게 감소
* ’21년 1~9월(누계) 부동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6.8 (개인) △36.8
□ (숙박·음식점업) 사회적 거리두기와 식재료 가격 급등 등으로 음식점업 창업은 감소하는 반면, 민박업의 창업이 증가
ㅇ (월별동향) ‘20년 사회적거리두기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상반기에는 전년동기대비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으나, 6월 이후 감소세가 지속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숙박·
음식점업
|
42,006
|
43,193
|
125,785
|
49,135
|
36,772
|
13,373
|
11,787
|
11,612
|
120,813
|
(△17.1)
|
(△2.5)
|
(△8.9)
|
(17.0)
|
(△14.9)
|
(△17.3)
|
(△16.5)
|
(△10.1)
|
(△4.0)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음식점업과 주점·비알코올음료점업은 감소하였으며 일반·생활숙박시설운영업은 증가
- 음식점업 중 한식일반음식점업을 중심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배달 또는 포장 가능한 피자·햄버거·샌드위치·유사음식점이 증가
- 주점·비알코올 음료점업은 주점업은 크게 감소한 반면, 포장판매(일명 ’테이크아웃‘)가 가능한 커피전문점은 크게 증가
- 숙박업은 일반·생활숙박시설 운영업 중 농어촌민박업 신고 강화 등으로 민박업과 기타 일반·생활숙박시설운영업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30세 미만은 창업이 증가했으나, 40대 이상 중·장년층의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숙박·음식점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7.4 (30대) △0.1 (40대) △7.3 (50대) △11.7 (60세이상) △3.4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과 개인창업 모두 소폭 감소
* ’21년 1~9월(누계) 숙박·음식점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0.3 (개인) △4.0
□ (제조업)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일정부분 해소(백신공급확대, 수출반등) 되면서 제조업 감소세는 다소 둔화
ㅇ (월별동향) ‘21년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제조업 창업 감소폭이 다소 축소
* 제조업 생산/전체수출 증가율(%) : (’21.2/4) 13.2/42.1→(7) 7.4/29.7→(8) 10.2/34.8→(9) △1.9/16.7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제조업
|
12,426
|
12,993
|
38,395
|
12,238
|
11,690
|
4,502
|
3,883
|
3,305
|
36,664
|
(△6.3)
|
(3.5)
|
(△5.0)
|
(△1.5)
|
(△10.0)
|
(△13.1)
|
(△2.3)
|
(△13.9)
|
(△4.5)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음식료품, 금속가공제품, 자동차·트레일러는 증가
- 일부 업황 부진 및 기저효과 등으로 섬유제품, 영업용기계장비수리업, 기계·장비, 의료·정밀·광학기기, 고무·플라스틱 등은 감소
ㅇ (연령별) 30대 미만을 제외한 30대 이상 연령대에서 창업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제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4 (30대) △3.8 (40대) △4.3 (50대) △7.6 (60세이상) △3.3
ㅇ (조직형태별) 개인창업은 증가하였으나, 법인창업은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
* ’21년 1~9월(누계) 제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5.2 (개인) 0.3
□ (사업시설관리업) 사회적 거리두기 및 감염 두려움 증가 등으로 여행업, 콜센터 등은 창업이 부진
ㅇ (월별동향) 5월 이후부터 두 자릿수 감소세 지속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사업시설
관리업
|
12,724
|
11,909
|
36,642
|
10,279
|
8,623
|
3,288
|
2,828
|
2,507
|
29,736
|
(10.9)
|
(10.6)
|
(9.4)
|
(△19.2)
|
(△27.6)
|
(△32.1)
|
(△21.9)
|
(△27.3)
|
(△18.8)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여행관련서비스업과 콜센터 등 기타 사업 서비스업은 감소한 반면 청소·방역업과 사업시설유지·관리업은 증가
ㅇ (연령별)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청년층(39세 이하)에서 눈에 띄게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사업시설관리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6.7 (30대) △29.6 (40대) △12.5 (50대) △6.0 (60세이상) 0.1
ㅇ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증가했으나, 개인창업은 큰 폭의 감소
* ’21년 1~9월(누계) 사업시설관리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0.8 (개인) △21.3
□ (예술·스포츠·여가) 공연업, 스포츠시설 등 사람들 간 밀접접촉이 이루어지는 업종으로 코로나19 확산(4차 대유행)으로 감소세 지속
* 코로나19 대유행 : 1차(’20.2.18~5.5), 2차(‘20.8.12~11.12), 3차(’20.11.13~‘21.1.20), 4차(’21.7.12∼)
ㅇ (월별동향)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2/4분기 증가하였으나, 코로나 감염자 증가로 3/4분기 크게 감소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예술·
스포츠·여가
|
6,885
|
7,275
|
21,268
|
7,266
|
6,051
|
2,307
|
1,781
|
1,963
|
19,278
|
(△13.6)
|
(1.3)
|
(△8.3)
|
(5.5)
|
(△16.8)
|
(△13.1)
|
(△16.6)
|
(△21.0)
|
(△9.4)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유원지·오락관련서비스업 창업이 노래연습장 운영업·전자게임장(오락실 등) 등을 중심으로 감소
ㅇ (연령별) 40~50대 연령대를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예술·스포츠·여가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3 (30대) △2.3 (40대) △12.9 (50대) △15.2 (60세이상) △11.3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감소
* ’21년 1~9월(누계) 예술·스포츠·여가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8.0 (개인) △9.4
□ (전기·가스·공기) 최근 2~3년간 창업패턴이 소규모 발전사업자에서 대규모 발전사업자로 변화되면서 창업 수는 많지 않음
ㅇ (월별동향) 전년의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감소 폭은 축소
(단위 : 개, %)
|
|||||||||
구분
|
‘20.1~9월(누계)
|
’21.1~9월(누계)
|
|||||||
2/4
|
3/4
|
|
2/4
|
3/4
|
7월
|
8월
|
9월
|
|
|
전기·
가스·공기
|
6,240
|
7,082
|
19,052
|
5,550
|
6,007
|
2,066
|
1,895
|
2,046
|
17,259
|
(△25.6)
|
(9.6)
|
(△11.7)
|
(△11.1)
|
(△15.2)
|
(△13.3)
|
(△7.2)
|
(△23.0)
|
(△9.4)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전기업 중 태양력발전업을 중심으로 감소
- 전기·가스·공기조절업 창업의 경우 태양력발전업이 대부분을 차지
- 다만, 최근 새만금 프로젝트 및 지방의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인허가 등이 완료되고 탄소중립(Net zero)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업이 성장할 여력이 높음
ㅇ (연령별) 30~40대를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창업 감소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전기·가스·공기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4.1 (30대) △15.1 (40대) △17.8 (50대) △11.9 (60세이상) △2.8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감소 기록
* ’21년 1~9월(누계) 전기·가스·공기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9.3 (개인) △8.8
참고2
|
|
월별 창업기업동향 통계 개요
|
□ (작성목적) 전체 기업의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중소기업 현장경기를 진단하고, 창업 지원시책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생산
□ (작성근거) 『창업기업 동향(구, 신설법인 동향)』 통계작성 변경승인(통계청 통계조정과-254, ‘19.01.21.)
□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 및 동법 시행령 제26조
□ (작성내용) 월별 전체 기업의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 창업 동향
◦ 업종 분류 :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 업종코드 기반, 통계청 조사자료 및 연계표 등 활용하여 보완
◦ 연령 분류 : 30세 미만,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만나이 기준)
◦ 조직형태별 분류 : 개인, 법인
◦ 성별 분류 : 여성, 남성
◦ 지역 분류 : 전국 17개 시·도
□ (작성단위) 영리기업
◦ 개인사업자 및 영리법인의 본점(사업자등록번호 중간 2자리로 구분)
- 제외사업자 : 80(법인 아닌 단체), 82(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 83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84(외국법인의 본․지점 및 연락
사무소), 85(영리법인의 지점), 89(법인이 아닌 종교단체)
◦ 비시장 활동을 하는 비영리 기업(단체) 등은 제외
- 제외대상 산업분류 : O(국방, 사회보장), T(자가소비), U(국제기관)
- 제외대상 법인유형 : 사단·재단법인, 학교법인, 농·축·수산·산림 협동조합 등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작성방법) 전국 사업자등록 DB(통계청, 행정자료)를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로 분류하여 집계
□ (이용 시 유의사항)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 기존에 작성하던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자료)과 활용하는 행정자료(사업자 DB)가 변경되어 법인 총계·업종구분 상 차이가 발생하여 비교 시 유의
□ (용어설명)
◦ 기업 :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단위(회사법인, 회사이외법인, 비법인단체, 개인기업의 형태로 구분)
◦ 창업기업 :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일자가 해당 월에 속하는 영리기업(개인, 법인기업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포함
◦ 기술기반창업 : 기술기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의 창업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N75), 교육, 보건·사회복지, 예술·스포츠·여가(R90))
□ (2021년 창업기업 동향 공표 계획)
통계명
|
공표일자
|
비고
|
2021년 3/4분기 및 9월 창업기업 동향
|
2021. 11. 25.(목요일)
|
보도자료 발표
|
2021년 10월 창업기업 동향
|
2021. 12. 23.(목요일)
|
|
2021년 11월 창업기업 동향
|
2022. 01. 27.(목요일)
|
|
2021년 연간 및 12월 창업기업 동향
|
2022. 02. 24.(목요일)
|
보도자료 발표
|
* 상기 공표 계획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통계수치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mss.go.kr)와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되며 분기별로 보도자료 발표
첨부파일
211122_21년_3분기_창업기업동향(보도자료).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종합부동산세 신고,납부기간은 12.1.~12.15.입니다_국세청 (0) | 2021.11.27 |
---|---|
3.8만개 사업체에 손실보상금 지급 신규 추가_중소벤처기업부 (0) | 2021.11.27 |
야간근로 사업장 대상 근로감독.실태조사 결과 발표_고용노동부 (0) | 2021.11.27 |
2021 한국지식재산협회 학술회의(conference) 개최_특허청 (0) | 2021.11.26 |
중소 종합유선방송사업자 6개사에 대해 인터넷 다중매체 방송(IPTV)방식 방송 서비스 제공 허용 결정_과학기술정보통신부 (0) | 2021.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