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한국, 2021 세계지식재산기구 ‘글로벌 혁신지수’ 5위 달성_문화체육관광부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1. 9. 22.
반응형

한국, 2021 세계지식재산기구 ‘글로벌 혁신지수’ 5위 달성

2021.09.20 문화체육관광부

한국, 2021 세계지식재산기구 글로벌 혁신지수 5위 달성
- 사상 최초 아시아 지역 국가 중 1위 기록, 문화·창의서비스 수출
전년 대비 13단계 상승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 9 20일 유엔(UN) 산하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가 발표한 ‘2021 글로벌 혁신지수(GII, Global Innovation Index)’에서 우리나라가 작년 대비 5단계 상승한 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한 데 이어, 올해 싱가포르를 제치고 아시아 지역 국가 중 1위를 기록한 것이다.

* 주요 순위: 스위스(1), 스웨덴(2), 미국(3), 영국(4), 싱가포르(8), 중국(12), 일본(13)

 

문화·창의서비스 수출 분야가 전반적인 순위 상승을 견인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는 한국의 주목할 만한 상승에 있어 특히 문화·창의서비스 수출과 상표, 세계 브랜드 가치 등의 세부지표가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문화산업의 성과와 연관된 창의적 성과 분야가 작년의 14위에서 올해 8위로, 6단계 상승한 점이 순위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창의적 성과 분야 중에서도 문화·창의서비스 수출이 조사에 포함된 세부지표 중 최대 상승폭(전년 대비 13단계 상승)을 기록했고,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시장 지표의 순위 역시 전년 대비 2단계 상승한 16위를 기록했다.

 

문화·창의서비스 수출은 전체 무역 대비 창의서비스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평가한 세부지표로,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서비스무역 세분류통계자료를 활용해 산출된다. 이 지표에 포함되는 창의서비스의 범위 역시 광고, 시청각(영화·방송·음원·도서·공연녹화), 전통, 오락 등 다양한 문화 관련 서비스들을 포괄한다.

 

한국, 혁신을 견인하는 정부 정책의 대표적 사례로 소개

 

글로벌 혁신지수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2007년부터 매년 유럽경영대학원 인시아드(INSEAD), 미국 코넬대와 함께 세계 130여 개국의 경제혁신 역량을 측정해 발표하는 지수로서,  7개 분야, 21개 항목, 81 세부지표를 토대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글로벌 혁신지수 발표 내용 중 한국의 사례를 혁신을 견인하는 정부 정책과 장려조치(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예시로 소개한 바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글로벌 혁신지수 순위는 문화를 육성하기 위한 문체부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노력이 혁신을 견인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며, “‘문화·창의서비스 수출과 연관된 한국은행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내의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향후 본 세부지표와 종합 순위의 지속적 향상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1 글로벌 혁신지수 중 주요내용
글로벌 혁신지수 개요
(개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유럽경영대학원 인시아드(INSEAD), 미국 코넬대와 세계 130여개국의 경제혁신역량을 측정하여 매년 혁신지수 발표(2007년 시작)


(평가지표) 7개 분야*, 21개 항목, 81개 세부지표


* (혁신투입) ①제도 ②인적자원 및 연구 ③인프라 ④시장성숙도 ⑤사업성숙도
(혁신산출) ⑥지식·기술 성과 ⑦창의적 성과

 

□ 2021 글로벌 혁신지수 평가 현황

 

 (전체 순위) 한국 5 (’20 10위에서 5단계 상승)

 

-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내 1 (‘20 2)

 

* ’11(16)  ’13(19)  ’15(14)  ’17(11)  ’19(11)  ’20(10)

 

** (순위상승) 한국(+5), 프랑스(+1), 중국(+2), 캐나다(+1), 오스트리아(+1) 

(순위하락) 네덜란드(-1), 덴마크(-3), 독일(-1), 일본(-3), 이스라엘(-2) 

 

□ 부문별 주요 결과

 

ㅇ 혁신투입 9(’20 10), 혁신산출 5(’20 10위에서 5단계 상승)

- 한국의 사례가 혁신을 견인하는 정부 정책과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예시로 소개

 

 문화산업 관련 창의적 상품과 서비스 항목 중,

- 문화·창의서비스 수출(40, 전년 대비 13단계 상승)*이 조사에 포함된 세부지표 중 최대 상승폭 기록

* 총 무역 대비 창의서비스 수출(%) 순위로, 한국은행 통계에 기반한 OECD 서비스무역 세분류통계 활용

-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시장(16, 전년 대비 2단계 상승)

 

□ 평가

 문화·창의서비스 수출과 더불어 상표(’20 15위→’21 8), 글로벌 브랜드 가치(’20 8위→’21 5) 등의 세부지표가 종합 순위 상승의 요인으로 평가됨

- 문화·창의서비스 수출과 연관된 한국은행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내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향후 본 세부 지표 및 종합 순위의 지속적 향상이 기대됨

* 연간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 : ’20년도 최초 흑자 기록 및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기록 중

붙임 2
20/21 글로벌 혁신지수 중 문화 관련 지표 순위
분야·항목·세부지표 산출방식 및 활용지표 ’20 ‘21 (전년
대비)
  <혁신투입>
10 9 1↑

5. 사업성숙도
7 7 -



5.3.1. 지식재산권 지출 - 지식재산권 사용에 대하여 지불한 사용료가 총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최근 3년간 평균값으로 측정
- OECD 서비스무역 세분류통계 활용
20 25 5↓
  <혁신산출>
10 5 5↑

6. 지식·기술 성과
11 8 3↑



6.3.1. 지식재산권 수입 - 지식재산권 사용에 대하여 수령한 사용료가 총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최근 3년간 평균값으로 측정
- OECD 서비스무역 세분류통계 활용
18 18 -


7. 창의적 성과
14 8 6↑



7.2 창의적
상품과 서비스

19 20 1↓



7.2.1. 문화·창의
서비스 수출
- 총 무역 대비 창의서비스* 수출(%) 순위
*광고, 시청각 관련서비스(영화·방송·음원·도서·공연녹화), 전통 및 오락서비스 등
- OECD 서비스무역 세분류통계 활용
53 40 13↑



7.2.2. 영화 제작 - 15-69세 인구대비 제작된 영화* 수 순위
*60분 이상의 상영시간을 지닌 영화로 픽션,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포함
- UNESCO 통계연구소 통계 활용
13 13 -



7.2.3.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시장
- 15-69세 인구대비 글로벌 연예·미디어 시장 순위
- PwC 글로벌 연예·미디어 전망 (광고·미디어 소비에 대한 글로벌 분석 및 향후 5년간의 예측 전망) 활용
18 16 2↑



7.2.4. 출판과
미디어 제조업
- 전체 제조 산출 대비 인쇄와 녹음된 미디어복제 생산
- UNIDO 산업통계데이터베이스 활용
98 100 2↓



7.2.5. 창의적
제품의 수출
- 총 무역대비 창의적 제품 수출의 총 가치(%)
- UNESCO 문화통계를 위한 프레임워크 활용
14 14 -

첨부파일

[0920]문체부보도자료-한국 2021 세계지식재산기구 글로벌 혁신지수 5위 달성.hwpx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