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 전자위생증명서, '호주산 식육' 에 최초 적용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1. 8. 27.
반응형

축산물 전자위생증명서, '호주산 식육' 에 최초 적용

2021.08.27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 전자위생증명서,‘호주산 식육’에 최초 적용
- 향후 칠레 등 전자 위생증명서 적용 국가 지속 확대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축산물 수입 시 원본으로 제출해야 하는 수출위생증명서* 전자 위생증명서로도 제출할 수 있도록 개선한 수입신고 절차를 호주산 식육**에 대해 9월 1일부터 처음으로 적용합니다.

* 수출위생증명서 : 수출국 정부와 한국 정부 간에 합의된 증명서로 수출국 정부는 수출 시마다 수입위생요건, 제품명, 수량・중량, 작업장의 명칭・소재지・등록번호, 생산 또는 가공일자 등을 확인하고 발급함

**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

○ 이번 절차 개선은 2019년 식약처와 호주 농수환경부(Department of Agriculture, Water and Environment)가 체결한 ‘식약처-호주 농수환경부 전자 위생증명서 도입에 관한 업무협약(MOU)에 따른 것으로, 양 기관은 그간 디지털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송‧수신 시스템을 상호 개발해 2020년 7월부터 시범운영해왔습니다.

- 전자 위생증명서 송‧수신 시스템을 이용하면 국내 수입자는 관세청 통관단일창구(Unipass)에서 호주에서 전송된 위생증명서 번호를 조회‧입력해 간편하게 수입신고가 가능합니다.

- 참고로 호주는 국내 축산물 수입국 중 2위로, 호주산 축산물은 지난해 국내에 약 25만 톤이 수입됐고 이중 식육은 약 23만 톤(91%)을 차지했습니다.

○ 이번 절차 개선으로 수입 신고가 간편해짐은 물론, 수출위생증명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어 수입식품 안전관리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 또한 호주산 식육 수입을 위해 연간 1만 5,000여건씩 제출하던 수출위생증명서를 원본으로 제출하지 않아도 돼, 종이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발생률도 감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수입식품 검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다 안전한 수입식품이 수입될 수 있도록 전자 위생증명서로 수입신고가 가능한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 호주에 이어 오는 8월 31일에 칠레 농업부 농축산청(Agricultural and Livestock Service) ‘식약처-칠레 농업부 농축산청 전자위생증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주요 내용은 전자 위생증명서의 기술적 교환, 대상 품목확대 노력 등 전자 위생증명서 인정을 위한 상호 협력입니다.

* 칠레는 국내 축산물 수입국 중 11위로, 칠레산 축산물은 지난해 약 3만 1,000톤 수입됐고 이 중 식육은 약 2만 9,000톤(94%)이며 수출위생증명서로는 약 2,000건임

○ 또한 호주산 치즈 등 유가공품을 포함한 모든 호주산 축산물에 대해 전자 위생증명서로 수입신고가 가능하도록 대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식약처는 앞으로도 수입 업무 효율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절차를 개선하는 한편, 국민들이 수입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붙임> 1. 전자 위생증명서 수입신고 방법

2. 축산물 수입 현황

붙임1
전자 위생증명서 수입신고 방법

 

❍ 관세청 통관단일창구(Unipass)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입신고서에 수출 위생증명서 번호를 입력하면 수입신고 가능

* http://unipass.customs.go.kr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붙임2
축산물 수입 현황

 

❍ 축산물 수입 상위 15개 국가(중량 기준)

(단위:건,톤,천$)

순위 2018년 2019년 2020년
국가 중량 금액 국가 중량 금액 국가 중량 금액

1,672,768 6,867,384
1,662,144 6,937,364
1,511,283 6,549,732
1 미국 585,631 2,762,560 미국 588,307 2,888,696 미국 521,410 2,605,815
2 호주 260,554 1,450,026 호주 253,030 1,417,837 호주 248,795 1,460,991
3 독일 152,188 464,981 독일 142,372 446,902 브라질 130,275 233,678
4 브라질 111,122 211,647 브라질 128,410 260,220 독일 109,910 379,273
5 스페인 97,718 288,705 스페인 92,763 301,224 뉴질랜드 80,381 364,841
6 네덜란드 80,213 244,558 네덜란드 74,179 221,195 네덜란드 75,864 251,594
7 뉴질랜드 73,105 352,870 뉴질랜드 70,247 324,698 스페인 58,677 220,013
8 캐나다 51,193 156,396 캐나다 53,216 169,522 캐나다 44,653 154,464
9 프랑스 41,630 159,905 태국 40,579 162,757 덴마크 35,793 119,071
10 칠레 36,199 139,699 프랑스 39,574 147,108 프랑스 34,066 141,733
11 덴마크 30,522 96,330 칠레 35,070 130,162 칠레 31,386 122,413
12 태국 29,628 117,155 덴마크 32,791 95,459 태국 30,741 119,933
13 오스트리아 22,314 76,633 멕시코 19,665 76,196 이탈리아 17,595 61,641
14 멕시코 20,599 76,732 오스트리아 18,170 66,883 오스트리아 17,318 72,373
15 벨기에 17,432 59,865 중국 15,839 60,988 멕시코 16,781 65,644

 

첨부파일

8.27 (보도참고) 수입검사관리과.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