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 사전예약 실시(8.2., 정례브리핑)
2021.08.02 질병관리청
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 사전예약 실시
8.2.(월) 20시부터 사전예약 실시, 8.5.(목)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
◆ 예방접종 현황 및 55~59세 접종 안내 ○ 8.2. 0시 기준으로 예방접종 1회 이상 19,472,376명(전 국민의 37.9%), 접종완료 7,146,409명(전 국민의 13.9%) ○ 55~59세 8월 둘째 주(8.9.~8.15.) 지역구분 없이 화이자 백신 접종 ◆ 고령층 미접종자 접종 안내 ○ 60세이상 요양병원·시설 등 신규입소자 및 미동의로 인한 미접종자 중 희망자는 8.31.(화)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가능 ○ 60~74세 연령층 8.2.(월) 20시부터 누리집 또는 콜센터(1339, 지자체)를 통해 사전예약 실시 - (사전예약) 8.2.(월) ~ 8.31.(화), (예방접종) 8.5.(목) ~ 9.3.(금) ◆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5~6월 위중증·사망자 중 93.5%는 백신 미접종자 ○ 고령층 및 미접종자는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 당부 |
1. 예방접종 현황 및 55~59세 접종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2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19,472,376명으로 전 국민의 37.9%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7,146,409명으로, 전 국민의 13.9%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60대 86.9%, 70대 89.5%, 80세 이상 80.5%(1차접종 기준)이며, 7월 마지막 주부터 접종이 시작된 50대는 31.3%가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구분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
1차접종자(명) |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접종률(%)* | ||
계 | 19,472,376 | 37.9 | 7,146,409 | 13.9% | |
연 령 |
80세 이상 | 1,815,054 | 80.5 | 1,738,733 | 77.1% |
70∼79 | 3,362,620 | 89.5 | 1,548,144 | 41.2% | |
60∼69 | 6,202,465 | 86.9 | 543,993 | 7.6% | |
50∼59 | 2,678,777 | 31.3 | 632,641 | 7.4% | |
40∼49 | 1,818,430 | 22.4 | 662,120 | 8.2% | |
30∼39 | 1,835,857 | 27.5 | 1,165,851 | 17.4% | |
18∼29 | 1,759,173 | 23.1 | 854,927 | 11.2%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인구 대비 접종률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아울러 추진단은, 8월 둘째주(8.9.~15.)에 시행되는 55~59세 접종 또한 첫째주와 동일하게 지역구분 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 모더나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591개소, 8.2. 0시 기준)의 경우, 모더나 백신으로 접종
○ 8월 둘째 주에 예방접종 일정이 예정되어 있는 분들께는 접종일 전에 백신 종류 등을 문자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2. 고령층 미접종자 접종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8~9월 시행계획>(7.30.)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요양병원·시설 등 신규 입원·입소자, 60세 이상 고령층 미접종자 대상으로 접종을 시행한다.
○ 요양병원·시설 등의 입원·입소·종사자 중 신규자와 미접종자 중 희망자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50세 이상)으로 접종을 실시한다.
- 7월 27일(화)부터 실시된 접종은 8월 31일(화)까지 가능*하며, 요양병원의 경우 자체접종으로, 취약시설의 경우 시설계약의사 또는 보건소가 방문하여 접종한다.
* 추후 상황에 따라 연장 가능
○ 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상반기와 동일하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접종을 시행한다.
- 60~74세 연령층은 오늘 20시부터 누리집 또는 콜센터(1339, 지자체)를 통한 사전예약*이 가능하며, 거주지 등에 관계없이 방문 가능한 전국 보건소를 통해 8월 5일(목)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8주 간격)으로 접종받을 수 있다.
* (사전예약기간) 8월 2일(월)∼31일(화), (접종기간) 8월 5일(목)∼9월 3일(금)
○ 75세 이상 연령층의 경우 별도 기간 없이 예방접종센터에서 개별 예약 후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받을 수 있다.
○ 60세 이상 연령층도 다른 연령층과 동일하게 SNS 당일 예약이나 예비명단을 통해 위탁의료기관에서 mRNA 백신 접종도 가능하다.
3.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8월 3일(화)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8.2만 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며, 이를 시작으로 8월에는 약 2,860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될 예정이다.
○ 백신별로는 코백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3.5만 회분,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및 화이자 백신 약 1,730만 회분, 모더나 백신 1,046만 회분*이 공급될 계획이다.
* 850만 회분(8월 배정 물량) + 196만 회분(7월 공급 연기 물량)
- 백신별 세부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되는 대로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 안내할 예정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2.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
계 | 상반기 | 7월 | 8월 | 9월 | 4분기 | |||
계 | 1억 9,300만 | 2,770만 | 1,862만 | 908만 | 약 2,860만 | 약 4,200만 | 약 9천만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126.7만 | 126.7만 | - | 83.5만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000.2만 | 881.4만 | 118.8만 | 약 1,730만 (8.3, AZ 118.2만) |
|||
화이자 | 6,600만 | 1,375.6만 | 700.2만 | 675.3만 | ||||
모더나 | 4,000만 | 115.2만 | 11.2만 | 104.0만 | 1,046만 | |||
얀센 | 700만 | 111.4만 | 101.3만 | 10.1만 | (협의중)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4. 이상반응, 피해조사 주간 보고 (22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2주차, 8.1.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25,460,280건 중 이상반응은 117,348건(22주 신규 신고건수 3,733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6%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1%(111,558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9%(5,790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화이자 백신 0.25%, 얀센 0.67%,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67%, 모더나 0.23%이었다.
○ 2차 접종이 교차접종(1차 접종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화이자 백신)인 경우 이상반응 신고율은 0.28%(2,622건)로, 1·2차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자의 신고율(0.22%)보다 높고, 1·2차 모두 화이자 접종자의 신고율(0.31%)보다 낮았다.
< 2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단위: 건) >
1차-2차 접종백신* | 예방접종 | 전체 이상반응a (신고율, %) |
일반 이상반응b |
중대한 이상반응c | ||||
소계 | 사망① | 아나필락시스 의심② |
주요 이상반응③ | |||||
소계 | 5,977,683 | 17,449 | (0.29) | 16,476 | 973 | 128 | 58 | 787 |
AZ-AZ | 1,105,026 | 2,426 | (0.22) | 2,279 | 147 | 11 | 18 | 118 |
PF-PF | 3,948,089 | 12,401 | (0.31) | 11,622 | 779 | 114 | 31 | 634 |
AZ-PF | 924,568 | 2,622 | (0.28) | 2,575 | 47 | 3 | 9 | 35 |
* (AZ-AZ) 1차 및 2차 접종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접종, (PF-PF) 1차 및 2차 접종 모두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 (AZ-PF) 1차 접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교차접종)
a.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였으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님. 신고 현황 분류는 새로운 정보 추가시 변경 될 수 있음
b. 일반 이상반응은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등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
c.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의 사례를 포함
① 사망, ② 아나필락시스 의심(아나필락시스양 반응 포함)
③ 주요 이상반응 : 특별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Special Interest, AESI),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5.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판정 결과 분석 (7.25.~7.31.) |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평가현황 총괄(1차~24차) >
구 분 | 사망/중증1) | 아나필락시스2) (중증) |
||||||
누계 | 사망 | 중증 | 누계 | 24차 | ||||
누계 | 24차 | 누계 | 24차 | |||||
계 | 1,070 | 464 | 413) | 606 | 55 | 431(14) | 33(0) | |
평 가 결과 |
인과성 인정 | 7 | 2 | 0 | 5 | 0 | 146(11) | 12(0) |
명확히 인과성 없거나 인정되기 어려움 | 1,054 | 453 | 40 | 601 | 55 | 285(3) | 21(0) | |
판정 보류 | 9 | 9 | 1 | 0 | 0 | 0(0) | 0(0) |
1)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을 기준으로 분류함.
2) 일반 및 중대한 이상반응 포함
3) 사망 재평가 사례 5건 포함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예방접종 후 발생한 사망, 중증 및 아나필락시스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 평가 결과를 안내하였다.
○ 현재까지 총 24회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를 개최하여 사망 및 중증 사례 1,070건(사망 464건, 중증 606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431건을 평가하였고, 총 153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146건(신규 12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였다.
< 인과성 인정사례(누적) 현황 7건 >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 |
중증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2, 뇌정맥동혈전증 1,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 |
|
화이자 | 사망 | 심근염 1 |
중증 | 심낭염 1 |
□ 7월 30일(금) 제24차 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신규 사망·중증 사례 91건(사망 36건, 중증 55건)과 재평가 사례 5건(사망 5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33건을 평가하였다.
○ 사망 및 중증 사례의 추정사인·진단명에 대한 기저질환과 예방접종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 95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평가하였고, 사망사례 1건은 최종부검결과를 확인 후 재평가하기로 결정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는 신규로 12건을 백신과의 인과성이 인정된다고 평가하였으며, 이 중 중증사례는 없었다.
○ 인과성 인정이 어렵다고 평가된 사례 중 모세혈관누출증후군으로 추정된 사망 1건, 혈소판감소증으로 추정된 중증 2건,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추정된 중증 1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Unlikely-indeterminate, 현재까지 총14명)로 평가하였다.
< 인과성 근거 불명확 사례(누적) 현황 14건 >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급성심근염 1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 3, 전신염증증후군 1, 폐색전증 1, 급성파종성뇌척수염 1, 염증성근육병증 1, 천식발작 1, 혈소판감소증 2(신규) | |
얀센 | 사망 | 모세혈관누출증후군 1(신규)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 1(신규) | |
화이자 | 중증 | 척수염 1 |
-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로 평가된 사례에 대해서는 향후 인과성의 근거가 축적되는 시점에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신규 사망사례 36건의 평균 연령은 74.8세(범위 47~90세)였고, 이 중 34명(94.4%)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받은 백신은 화이자 17명, 아스트라제네카 18명,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접종 1명이었다.
* 고혈압, 당뇨, 고지질혈증, 치매 등
- 신규 중증 사례 55건의 평균 연령은 71.3세(범위 27-88세)였고, 이 중 52명(94.5%)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1.2일(범위 18시간∼31일), 접종 받은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28명, 화이자 25명, 교차접종(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1명, 얀센 1명이었다.
- 추정 진단명의 상당수를 차지한 뇌졸중, 급성심근경색, 급성심장사, 폐렴 등은 백신접종 보다는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등) 및 고령에 의해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중증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백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 예방을 위해 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심근염, 심낭염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건강상태를 관찰하고, 접종 후 일주일간은 격렬한 신체 활동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접종 후 ①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실신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 증후군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접종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①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 발생, 구토 동반, 시야 흐려짐 등의 증상 ②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및 팔다리 부기 ③접종부위 외 멍이나 출혈 증상 등 이 나타날 경우, 진료가 필요하며
- 길랑-바레 증후군은 접종후 ①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④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등 의심증상이 생길 경우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6.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21.7.25.∼8.1.)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506명으로 전주(일평균 1,465명) 대비 2.8% 증가하여, 지난주에 이어 전국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04로 전주(1.09) 대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1을 초과하였다.
* 전국 Rt : 1.24(7월1주) → 1.32(7월2주) → 1.09(7월3주) → 1.04(7월4주)
○ 수도권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방역 강화 대책을 이행함에 따라, 직전 1주간 일 평균 966.3명(전체 대비 66.0%)에서 최근 1주간 959.9명(전체 대비 63.7%)으로 감소하여 환자 급증 추세는 둔화되었다.
○ 비수도권은 직전 1주간 일평균 498.7명(전체 대비 34.0%)에서 최근 1주간 546.1명(전체 대비 36.3%)으로 증가하였고, 부산‧경남‧대전 등에서 환자가 다수 발생하였다.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63명(총 444명)으로 전주 대비 27.1%(87명→63명) 감소하였다.
○ 주간 위중증 환자 규모는 280명, 사망자는 27명으로 환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7월2주)159명→(7월3주) 213명→(7월4주) 280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7월2주) 17명 →(7월3주)13명 → (7월4주) 27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7월2주) 546개→(7월3주) 450개 → (7월4주) 360개
구 분 | 7월 1주(7.4.~7.10.) | 7월 2주(7.11.~7.17.) | 7월 3주(7.18.~7.24.) | 7월 4주(7.25.~7.31.)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992.4 | 1348.1 | 1465.0 | 1506.0(+2.8%) | |
수도권 | 799.0 | 990.0 | 966.3 | 959.9(-0.7%) | ||
비수도권 | 193.4 | 358.1 | 498.7 | 546.1(+9.5%) | ||
해외유입 | 62.0 | 48.0 | 87.0 | 63.4 | ||
전 체 | 1054.4 | 1396.1 | 1552.0 | 1569.4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32.1 (2,229/6,947) |
30.5 (2,874/9,437) |
29.5 (3,028/10,255) |
30.2 (3,183/10,542)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34.0 | 37.8 | 39.7 | 39.2 | |
감염재생산지수(Rt) | 1.24 | 1.32 | 1.09 | 1.04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73 | 105(▲11) | 76(▲45) | 30* | ||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명) | 147 | 159 | 213 | 280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13 | 17 | 13 | 27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588 | 546 | 450 | 360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최근 4주간 감염경로를 살펴보면, 가족·지인·직장 등 소규모 접촉감염의 증가로 ‘확진자 접촉’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집단발생’ 비중은 감소하였다(22.6%→14.1%).
* 확진자 접촉 비중 : (7월1주) 41.2%(3,043명) → (7월2주) 42.7%(4,175명) → (7월3주) 43.6%(4,734명) → (7월4주) 52.8%(5,79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 (’21.7.4.~7.31.)>
구 분 | 7월 1주 (7.4.~7.10.) |
7월 2주 (7.11.~7.17.) |
7월 3주 (7.18.~7.24.) |
7월 4주 (7.25.~7.31.) |
||||
전체 | 7,381명 | (100%) | 9,773명 | (100%) | 10,864명 | (100%) | 10,986명 | (100%) |
확진자 접촉 | 3,043명 | (41.2%) | 4,175명 | (42.7%) | 4,734명 | (43.6%) | 5,796명 | (52.8%) |
지역 집단발생 | 1,612명 | (21.8%) | 2,320명 | (23.7%) | 2,453명 | (22.6%) | 1,549명 | (14.1%)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55명 | (0.7%) | 65명 | (0.7%) | 36명 | (0.3%) | 10명 | (0.1%) |
해외유입 | 434명 | (5.9%) | 336명 | (3.4%) | 609명 | (5.6%) | 444명 | (4.0%) |
해외유입 관련 | 8명 | (0.1%) | 3명 | (0.0%) | 4명 | (0.0%) | 4명 | (0.0%) |
조사중(미분류) | 2,229명 | (30.2%) | 2,874명 | (29.4%) | 3,028명 | (27.9%) | 3,183명 | (29.0%)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1,913명 | (34.2%) | 2,377명 | (34.3%) | 2,220명 | (32.8%) | 2,170명 | (32.3%)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발생상황을 보면, 주점 등 유흥시설, 어린이집‧유치원 등 교육시설, 사업장, 병원 관련 발생은 지속되고 있으며 실내체육시설, 백화점에서 신규로 집단감염이 발생하였다.
- 주요 전파요인은 증상발현 이후 다수 시설 이용, 공용시설·공간 동시 이용, 밀폐‧밀접 환경에서 장시간 체류, 환기 불충분 등 이었다.
*신규 집단감염(30건): 다중이용시설(유흥시설‧실내체육시설‧백화점 등) 11건, 사업장(직장 등) 10건, 가족‧지인모임 5건, 교육시설(학교‧학원 등) 2건, 의료기관 1건, 종교시설 1건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전주 대비 2.9명으로 증가(2.8명 → 2.9명)하였으며, 특히 10대 연령층에서 4주 연속으로 증가하였으며, 20∼50대는 여전히 높은 발생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60대 이상도 소폭 증가하였다.
< 전국(국내발생)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7.31일 기준, 단위: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명))>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7월 1주 (7.4.~7.10.) |
환자수 | 6,947 | 297 | 705 | 1,726 | 1,180 | 1,291 | 1,201 | 383 | 104 | 60 |
일평균발생률 | 1.9 | 1.1 | 2.1 | 3.6 | 2.5 | 2.2 | 2.0 | 0.8 | 0.4 | 0.4 | |
7월 2주 (7.11.~7.17.) |
환자수 | 9,437 | 527 | 931 | 2,376 | 1,654 | 1,656 | 1,572 | 533 | 134 | 54 |
일평균발생률 | 2.6 | 1.9 | 2.8 | 5.0 | 3.4 | 2.9 | 2.6 | 1.1 | 0.5 | 0.4 | |
7월 3주 (7.18.~7.24.) |
환자수 | 10,255 | 742 | 1,092 | 2,328 | 1,642 | 1,779 | 1,745 | 657 | 201 | 69 |
일평균발생률 | 2.8 | 2.7 | 3.3 | 4.9 | 3.4 | 3.1 | 2.9 | 1.4 | 0.8 | 0.5 | |
7월 4주 (7.25.~7.31.) |
환자수 | 10,542 | 695 | 1,234 | 2,275 | 1,660 | 1,829 | 1,742 | 787 | 231 | 89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7 | 4.8 | 3.5 | 3.1 | 2.9 | 1.7 | 0.9 | 0.6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x 100,000(명)
○ 한편, 최근 비수도권 발생 증가세에 따라, 비수도권의 발생 특성을 살펴보면,
- 연령대별 발생률을 기준으로, 최근 2주간 모든 권역에서 20세∼39세 젊은 연령층 환자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감염경로의 경우 집단발생을 통해 감염된 환자의 비중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 권역별로는 충청권은 제조업 관련 사업장, 호남권은 지인 모임 및 다중이용시설, 경북권은 유흥주점, 노래방, 헬스장, 경남권은 목욕탕, 유흥주점, 강원·제주는 타 지역 관광객 유입 및 해외 입국 계절근로자를 통한 집단발생이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년 5∼6월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에 대해 백신 접종에 따른 분석 결과를 설명하였다.
○ ’21년 5월∼6월 확진자 총 34,954명(확진 후 28일 관찰기간 경과자) 중 미접종자는 33,797명(96.7%), 1차 접종완료자는 1,058명(3.0%), 2차 접종완료자는 99명(0.3%)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 중 93.5%(728명/779명)가 백신 미접종자로, 60세 미만에서는 99.2%(256명/258명), 60세 이상에서는 90.6%(472명/521명)이 백신 미접종자였다.
○ 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위중증 및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 국민들께 8월에 시행되는 60∼74세 사전예약을 통해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고, 60세 이상 고령층 중 미접종자 및 50대 미만 청장년층도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에 참여해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에도 불구하고, 휴가철 이동량 증가, 유흥시설·다중이용시설 이용이 증가하면서, 금주 국내발생 일평균 확진자가 발생 이후 처음으로 주간 일평균 1,500명을 넘는 등 4차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 이에, 정부는 ▲유행지역 거리두기 격상(대전시, 경남 김해시, 강원 양양군 4단계), ▲지역별 고위험집단·고위험 시설 이용제한 및 집합금지, 종사사 선제·주기검사 강화, ▲주요 관광지·해수욕장의 방역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 다만, 지금의 4차 유행 상황을 감소세로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참여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면서, 거리두기와 함께,
- ▲지역 간 이동, 모임, 외출 등 최대한 자제하기, ▲불요불급한 약속과 집단행사 취소하기,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 ▲조금이라도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검사받기 등 방역수칙 준수를 거듭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첨부파일
[8.2.보도참고자료] 60~74세 연령층 중 미접종자 사전예약 실시(정례브리핑).hwp
(별첨) 코로나19 관련 홍보자료 16종(7.28.기준).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한진·CJ대한통운 등 6개사 국내 첫 ‘스마트물류센터’ 인증(파스토, 한진, CJ대한통운, 로지스밸리SLK, 로지스밸리천마, 하나로TNS) (0) | 2021.08.03 |
---|---|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2021년 상반기 생활안정자금 융자를 통해 근로자 14,509명(특고 2,877명 포함), 845억원 지원 (0) | 2021.08.02 |
[중소벤처기업부] 집합금지업종 임차 소상공인 대출한도 2,000만원으로 상향(기존 임차료 융자 소상공인은 1,000만원까지 추가 대출 가능) (0) | 2021.08.02 |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2개 제품 리콜명령 (0) | 2021.08.02 |
RE100 기업 등을 위한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장 개설 (0) | 2021.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