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21.07.27 통계청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55~64세)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49.3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
* 가장 오래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제외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0.5%p 하락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1만원 증가
□ 장래 근로 희망자 비율은 68.1%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희망 근로 상한연령은 평균 73세로 전년동월대비 동일
첨부파일
편집-2021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보도자료)(최종).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2021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요약)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55~64세)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49.3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 * 가장 오래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제외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0.5%p 하락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1만원 증가 □ 장래 근로 희망자 비율은 68.1%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희망 근로 상한연령은 평균 73세로 전년동월대비 동일 |
□ 55~79세 고령층 인구는 1,476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9만 4천명(3.5%) 증가
◦ 경제활동참가율은 58.0%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하였고, 고용률은 56.0%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55~64세)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
◦ 남자는 18년 9.1개월로 6.1개월 감소, 여자는 11년 6.1개월로 3.7개월 감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연령은 49.3세(남 51.2세, 여 47.7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
◦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로는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이 33.0% 가장 높았음
□ 55~79세 고령층의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 주된 구직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36.9%), 친구, 친지 소개 및 부탁(32.3%) 순으로 높았음
□ 지난 1년간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전년동월대비 0.5%p 하락
◦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인 경우가 83.2%로 가장 많았음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714만 4천명)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원 증가
□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는 68.1%(1,005만 9천명)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으며, 희망 근로 상한연령은 평균 73세로 나타났음
◦ 장래 근로 희망자의 일자리 선택기준은 남자는 임금수준(23.4%), 여자는 일의 양과 시간대(36.5%)가 가장 높았음
◦희망 임금수준은 남자는 200~250만원 미만(22.3%), 여자는 100~150만원 미만(24.9%)이 가장 높았음
2021년 5월 고령층(55~79세) 부가조사 결과
1. 고령층 경제활동인구 개요
가. 고령층 경제활동상태
◦ 2021년 5월 55~79세 고령층 인구는 1,476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9만 4천명(3.5%) 증가하였으며, 15세 이상 인구(4,504만 9천명)의 32.8%를 차지하였음
- 고령층 중 경제활동인구는 856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5만 5천명 증가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는 620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만명 증가하였음
-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는 827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8만 1천명 증가하였으며, 실업자는 28만 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7천명 감소하였음
◦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8.0%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하였고, 고용률은 56.0%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음
- 55~64세 고용률은 67.1%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고, 65~79세 고용률은 42.4%로 2.0%p 상승하였음
< 고령층 경제활동상태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고령층 인구 |
고령층 인구 |
|||||||||
55~64세 | 65~79세 | 55~64세 | 65~79세 | |||||||
증감 | ||||||||||
증감 | 증감 | |||||||||
<전 체> | 14,271 | 8,021 | 6,251 | 14,766 | 494 | 8,156 | 135 | 6,610 | 359 | |
◦경제활동인구 | 8,208 | 5,589 | 2,619 | 8,563 | 355 | 5,678 | 89 | 2,885 | 265 | |
- 취 업 자 | 7,895 | 5,370 | 2,525 | 8,276 | 381 | 5,473 | 104 | 2,803 | 278 | |
- 실 업 자 | 314 | 220 | 94 | 287 | -27 | 205 | -14 | 82 | -12 | |
◦비경제활동인구 | 6,063 | 2,432 | 3,632 | 6,203 | 140 | 2,477 | 46 | 3,725 | 94 | |
◦경제활동참가율 | 57.5 | 69.7 | 41.9 | 58.0 | 0.5 | 69.6 | -0.1 | 43.6 | 1.7 | |
◦고 용 률 | 55.3 | 66.9 | 40.4 | 56.0 | 0.7 | 67.1 | 0.2 | 42.4 | 2.0 | |
◦실 업 률 | 3.8 | 3.9 | 3.6 | 3.4 | -0.4 | 3.6 | -0.3 | 2.8 | -0.8 |
나. 산업 및 직업별 취업자 분포
◦ 고령층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8.1%로 가장 높았으며, 도소매·숙박음식업(17.6%), 농림어업(13.6%) 순으로 높았음
- 건설업 비중은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한 반면, 도소매·숙박음식업 비중은 1.6%p 하락하였음
- 15세 이상 취업자 전체 구성비와 비교해 보면, 농림어업 비중은 고령층(13.6%)이 8.0%p 더 높았음
< 산업별 취업자 분포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55~79세 취업자 |
55~79세 취업자 |
55~64세 | 65~79세 | 전체1) 취업자 |
||||||||
55~64세 | 65~79세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7,895 | 100.0 | 5,370 | 2,525 | 8,276 | 100.0 | - | 5,473 | 100.0 | 2,803 | 100.0 | 100.0 |
◦농림어업 | 1,084 | 13.7 | 458 | 626 | 1,122 | 13.6 | -0.1 | 459 | 8.4 | 663 | 23.7 | 5.6 |
◦광업‧제조업 | 954 | 12.1 | 796 | 158 | 931 | 11.3 | -0.8 | 769 | 14.0 | 163 | 5.8 | 16.0 |
- 제조업 | 950 | 12.0 | 792 | 158 | 924 | 11.2 | -0.8 | 762 | 13.9 | 162 | 5.8 | 16.0 |
◦사회간접자본및 기타서비스업 |
5,857 | 74.2 | 4,116 | 1,741 | 6,222 | 75.2 | 1.0 | 4,245 | 77.6 | 1,977 | 70.5 | 78.4 |
- 건설업 | 632 | 8.0 | 521 | 111 | 798 | 9.6 | 1.6 | 657 | 12.0 | 141 | 5.0 | 7.7 |
- 도소매· 숙박음식업 |
1,513 | 19.2 | 1,157 | 356 | 1,454 | 17.6 | -1.6 | 1,080 | 19.7 | 374 | 13.3 | 20.1 |
- 사업·개인· 공공서비스업 |
2,930 | 37.1 | 1,855 | 1,075 | 3,156 | 38.1 | 1.0 | 1,927 | 35.2 | 1,229 | 43.9 | 38.6 |
- 전기·운수 통신·금융업 |
782 | 9.9 | 584 | 199 | 815 | 9.8 | -0.1 | 582 | 10.6 | 233 | 8.3 | 12.1 |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산업별 구성비임
◦ 직업별 분포를 보면, 단순노무종사자(25.6%), 서비스‧판매종사자(22.3%), 기능·기계조작 종사자(22.3%) 순으로 높았음
- 단순노무종사자 비중은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한 반면, 관리자‧전문가 비중은 1.3%p 하락하였음
< 직업별 취업자 분포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55~79세 취업자 |
55~79세 취업자 |
55~64세 | 65~79세 | 전체1) 취업자 |
||||||||
55~64세 | 65~79세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7,895 | 100.0 | 5,370 | 2,525 | 8,276 | 100.0 | - | 5,473 | 100.0 | 2,803 | 100.0 | 100.0 |
◦관리자·전문가 | 860 | 10.9 | 711 | 149 | 793 | 9.6 | -1.3 | 658 | 12.0 | 135 | 4.8 | 21.6 |
◦사무종사자 | 589 | 7.5 | 499 | 91 | 587 | 7.1 | -0.4 | 489 | 8.9 | 99 | 3.5 | 17.3 |
◦서비스· 판매종사자 |
1,814 | 23.0 | 1,367 | 447 | 1,848 | 22.3 | -0.7 | 1,357 | 24.8 | 491 | 17.5 | 21.5 |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
1,050 | 13.3 | 448 | 602 | 1,082 | 13.1 | -0.2 | 439 | 8.0 | 643 | 22.9 | 5.4 |
◦기능·기계 조작 종사자 |
1,689 | 21.4 | 1,328 | 362 | 1,847 | 22.3 | 0.9 | 1,430 | 26.1 | 417 | 14.9 | 19.5 |
◦단순노무종사자 | 1,893 | 24.0 | 1,018 | 875 | 2,118 | 25.6 | 1.6 | 1,100 | 20.1 | 1,018 | 36.3 | 14.8 |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직업별 구성비임
2. 고령층 취업 상태 및 경험 여부
◦ 고령층 중 현재 미취업자 비중은 44.0%(64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0.7%p 하락하였음
◦ 현재 미취업자 중 생애동안 취업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는 45만 8천명이며, 이 중 여자가 44만 2천명으로 나타났음
< 현재 취업상태 및 경험 여부>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100.0 | 6,788 | 7,484 | 14,766 | 100.0 | - | 7,060 | 100.0 | 7,706 | 100.0 |
◦취업자(고용률) | 7,895 | 55.3 | 4,491 | 3,404 | 8,276 | 56.0 | 0.7 | 4,691 | 66.4 | 3,585 | 46.5 |
◦미취업자 | 6,377 | 44.7 | 2,296 | 4,080 | 6,490 | 44.0 | -0.7 | 2,369 | 33.6 | 4,121 | 53.5 |
- 취업경험 있으나 현재 미취업 | 5,888 | 41.3 | 2,276 | 3,612 | 6,031 | 40.8 | -0.4 | 2,352 | 33.3 | 3,679 | 47.7 |
- 생애동안 취업경험 전혀 없음 |
489 | 3.4 | 20 | 469 | 458 | 3.1 | -0.3 | 17 | 0.2 | 442 | 5.7 |
3.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55~64세 고령층 대상)
가. 근속기간
◦ 55~64세 취업 유경험자의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18년 9.1개월)가 여자(11년 6.1개월)보다 평균 근속기간이 7년 3.0개월 더 길었으며, 전년동월대비 남자는 6.1개월, 여자는 3.7개월 감소하였음
- 근속기간별로 보면 10~20년 미만 근속 비중이 30.1%로 가장 컸으며, 30년 이상 근속 비중은 16.0%를 차지하였음
- 성별로 보면 여자의 경우 5년 미만 근속 비중이 22.6%인 반면, 남자의 경우 30년 이상 근속 비중이 23.6%를 차지하였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계1) | 계1)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7,843 | 100.0 | 3,967 | 3,876 | 7,993 | 100.0 | 4,041 | 100.0 | 3,953 | 100.0 | |
◦5년미만 | 1,222 | 15.6 | 328 | 894 | 1,287 | 16.1 | 394 | 9.7 | 894 | 22.6 | |
◦5~10년미만 | 1,390 | 17.7 | 394 | 996 | 1,509 | 18.9 | 437 | 10.8 | 1,071 | 27.1 | |
◦10~20년미만 | 2,353 | 30.0 | 1,204 | 1,150 | 2,407 | 30.1 | 1,207 | 29.9 | 1,200 | 30.3 | |
◦20~30년미만 | 1,544 | 19.7 | 1,067 | 477 | 1,511 | 18.9 | 1,050 | 26.0 | 461 | 11.7 | |
◦30년이상 | 1,335 | 17.0 | 975 | 360 | 1,280 | 16.0 | 952 | 23.6 | 327 | 8.3 | |
· 평균 근속기간 | 15년 7.0개월 |
19년 3.2개월 |
11년 9.8개월 |
15년 2.1개월 |
18년 9.1개월 |
11년 6.1개월 |
|||||
증감 | 1.3개월 | 1.0개월 | 1.7개월 | -4.9개월 | -6.1개월 | -3.7개월 |
1) 55~64세 인구 중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 산업별로는 농림어업이 25년 6.8개월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이 18년 2.4개월, 광업·제조업이 15년 3.8개월 순으로 길었음
< 산업별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계1) | 계1) | |||||
근속기간 | 근속기간 | |||||
구성비 | 구성비 | |||||
< 전 체 > | 7,843 | 100.0 | 15년 7.0개월 | 7,993 | 100.0 | 15년 2.1개월 |
◦농림어업 | 482 | 6.1 | 25년 8.5개월 | 433 | 5.4 | 25년 6.8개월 |
◦광업·제조업 | 1,578 | 20.1 | 15년 3.9개월 | 1,577 | 19.7 | 15년 3.8개월 |
◦건설업 | 708 | 9.0 | 12년 6.9개월 | 765 | 9.6 | 12년 3.3개월 |
◦도소매·숙박음식업 | 1,815 | 23.1 | 13년 0.8개월 | 1,832 | 22.9 | 12년 6.8개월 |
◦전기·운수·통신·금융업 | 855 | 10.9 | 18년 6.7개월 | 868 | 10.9 | 18년 2.4개월 |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 2,405 | 30.7 | 15년 5.5개월 | 2,518 | 31.5 | 15년 0.4개월 |
1) 55~64세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 직업별로는 농림어업숙련종사자가 26년 9.9개월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관리자·전문가(20년 0.1개월), 사무종사자(16년 6.6개월) 순으로 길었음
< 직업별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계1) | 계1) | |||||
근속기간 | 근속기간 | |||||
구성비 | 구성비 | |||||
< 전 체 > | 7,843 | 100.0 | 15년 7.0개월 | 7,993 | 100.0 | 15년2.1개월 |
◦관리자·전문가 | 1,224 | 15.6 | 20년 5.2개월 | 1,249 | 15.6 | 20년0.1개월 |
◦사무종사자 | 973 | 12.4 | 17년 1.3개월 | 978 | 12.2 | 16년6.6개월 |
◦서비스·판매종사자 | 2,218 | 28.3 | 12년 9.4개월 | 2,306 | 28.8 | 12년5.3개월 |
◦농림어업숙련종사자 | 446 | 5.7 | 26년 9.7개월 | 395 | 4.9 | 26년9.9개월 |
◦기능·기계 조작종사자 | 1,818 | 23.2 | 16년 7.8개월 | 1,866 | 23.3 | 16년4.6개월 |
◦단순노무종사자 | 1,164 | 14.8 | 8년 7.0개월 | 1,200 | 15.0 | 8년6.5개월 |
1) 55~64세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나. 그만둔 연령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연령은 49.3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51.2세, 여자는 47.7세에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었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524만 5천명) 중 현재 취업 중인 자(272만 5천명)는 52.0%임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연령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계1) | 계1)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4,997 | 100.0 | 2,353 | 2,644 | 5,245 | 100.0 | 2,471 | 100.0 | 2,775 | 100.0 | ||||||||
◦30세 미만 | 341 | 6.8 | 25 | 317 | 353 | 6.7 | 22 | 0.9 | 331 | 11.9 | ||||||||
◦30~39세 | 386 | 7.7 | 156 | 230 | 455 | 8.7 | 200 | 8.1 | 255 | 9.2 | ||||||||
◦40~49세 | 1,100 | 22.0 | 608 | 492 | 1,110 | 21.2 | 586 | 23.7 | 524 | 18.9 | ||||||||
◦50~59세 | 2,558 | 51.2 | 1,223 | 1,335 | 2,669 | 50.9 | 1,273 | 51.5 | 1,396 | 50.3 | ||||||||
◦60~64세 | 611 | 12.2 | 340 | 270 | 659 | 12.6 | 390 | 15.8 | 269 | 9.7 | ||||||||
평균 이직연령 | 49.4세 | 51.2세 | 47.9세 | 49.3세 | 51.2세 | 47.7세 |
1) 55~64세 인구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현재도 다니는 경우는 제외)
다. 그만둔 이유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33.0%), 건강이 좋지 않아서(18.8%), 가족을 돌보기 위해서(14.1%) 순으로 높았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 > (단위: %) |
||||||||
2020.5 | 2021.5 | |||||||
계1) | 계1) | |||||||
남자 | 여자 | |||||||
이직연령 | 이직연령 | 남자 | 여자 | |||||
< 전 체 > | 4,997 | 49.4세 | 2,353 | 2,644 | 5,245 | 49.3세 | 2,471 | 2,775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정년퇴직 | 7.8 | 58.8세 | 13.1 | 3.2 | 7.5 | 59.1세 | 12.2 | 3.3 |
◦권고사직, 명예퇴직, 정리해고 | 12.5 | 51.8세 | 18.6 | 7.0 | 12.2 | 51.7세 | 18.1 | 7.0 |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 | 33.2 | 51.0세 | 38.6 | 28.3 | 33.0 | 51.3세 | 38.6 | 28.1 |
◦가족을 돌보기 위해 | 14.0 | 38.1세 | 1.4 | 25.2 | 14.1 | 38.1세 | 1.8 | 25.0 |
◦건강이 좋지 않아서 | 19.3 | 51.2세 | 14.1 | 24.0 | 18.8 | 50.5세 | 13.5 | 23.6 |
◦일을 그만둘 나이가 되었다고 생각해서 | 2.2 | 50.8세 | 1.4 | 3.0 | 2.4 | 51.1세 | 1.7 | 3.1 |
◦그 외 | 11.0 | 46.3세 | 12.9 | 9.3 | 11.9 | 46.2세 | 14.2 | 10.0 |
1) 55~64세 인구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
4.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가. 구직활동 경험여부
◦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22.3%)가 여자(19.9%)보다 2.4%p 높았음
<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경험여부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100.0 | 6,788 | 7,484 | 14,766 | 100.0 | - | 7,060 | 100.0 | 7,706 | 100.0 |
◦지난 1년간 구직경험 있음 |
2,729 | 19.1 | 1,379 | 1,351 | 3,110 | 21.1 | 2.0 | 1,577 | 22.3 | 1,533 | 19.9 |
◦지난 1년간 구직경험 없음 |
11,542 | 80.9 | 5,409 | 6,134 | 11,656 | 78.9 | -2.0 | 5,483 | 77.7 | 6,173 | 80.1 |
◦ 현재 취업상태별로 보면, 취업자 중 25.9%, 미취업자 중 14.9%가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지난 1년간 취업상태별 구직활동 경험여부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취업자 | 미취업자1) | |||||||
취업자 | 미취업자1)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100.0 | 7,895 | 6,377 | 14,766 | 100.0 | 8,276 | 100.0 | 6,490 | 100.0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있음 |
2,729 | 19.1 | 1,782 | 947 | 3,110 | 21.1 | 2,142 | 25.9 | 968 | 14.9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없음 |
11,542 | 80.9 | 6,113 | 5,430 | 11,656 | 78.9 | 6,134 | 74.1 | 5,522 | 85.1 |
1) 생애 취업 무경험자도 포함
나. 구직경로
◦ 주된 구직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36.9%), 친구, 친지 소개 및 부탁(32.3%), 민간취업알선기관(10.7%) 순으로 높았음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의 구직경로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구직 경험자 |
구직 경험자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2,729 | 100.0 | 1,379 | 1,351 | 3,110 | 100.0 | 1,577 | 100.0 | 1,533 | 100.0 |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 |
912 | 33.4 | 366 | 546 | 1,146 | 36.9 | 441 | 27.9 | 706 | 46.0 |
◦민간 취업알선기관 | 270 | 9.9 | 150 | 120 | 332 | 10.7 | 214 | 13.6 | 118 | 7.7 |
◦신문, 잡지,인터넷 등 | 271 | 9.9 | 132 | 139 | 299 | 9.6 | 153 | 9.7 | 146 | 9.5 |
◦사업체 문의 및 방문 | 244 | 8.9 | 150 | 94 | 265 | 8.5 | 159 | 10.1 | 106 | 6.9 |
◦친구, 친지소개 및 부탁 | 978 | 35.8 | 550 | 427 | 1,006 | 32.3 | 572 | 36.3 | 434 | 28.3 |
◦그 외1) | 55 | 2.0 | 31 | 24 | 62 | 2.0 | 38 | 2.4 | 24 | 1.6 |
1) 자영업 준비, 기타
다. 미취업자의 비구직 사유
◦구직경험이 없는 미취업자의 비구직 사유는 건강상의 이유로(41.5%), 가사, 가족 반대로(22.2%), 나이가 많아서(18.4%) 순으로 높았음
< 미취업자의 비구직 사유 > 3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비구직1) 미취업자 |
비구직1) 미취업자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5,430 | 100.0 | 1,813 | 3,616 | 5,522 | 100.0 | - | 1,873 | 100.0 | 3,649 | 100.0 |
◦적당한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 |
554 | 10.2 | 305 | 249 | 550 | 10.0 | -0.2 | 292 | 15.6 | 258 | 7.1 |
◦가사, 가족반대로 | 1,255 | 23.1 | 15 | 1,240 | 1,229 | 22.2 | -0.9 | 27 | 1.4 | 1,202 | 32.9 |
◦건강상의 이유로 | 2,165 | 39.9 | 833 | 1,332 | 2,294 | 41.5 | 1.6 | 887 | 47.4 | 1,407 | 38.6 |
◦일을 하고 싶지 않아서 | 312 | 5.7 | 157 | 154 | 329 | 6.0 | 0.3 | 157 | 8.4 | 171 | 4.7 |
◦나이가 많아서 | 1,048 | 19.3 | 458 | 590 | 1,016 | 18.4 | -0.9 | 463 | 24.7 | 552 | 15.1 |
◦기 타 | 96 | 1.8 | 45 | 51 | 105 | 1.9 | 0.1 | 47 | 2.5 | 58 | 1.6 |
1)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이 없는 미취업자(생애 취업 무경험자도 포함)
5. 지난 1년간 취업경험
가. 취업경험 여부
◦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전년동월대비 0.5%p 하락하였음
- 지난 1년간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인 경우가 83.2%로 가장 많았음
<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여부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100.0 | 6,788 | 7,484 | 14,766 | 100.0 | - | 7,060 | 100.0 | 7,706 | 100.0 | |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없음 |
4,948 | 34.7 | 1,635 | 3,314 | 5,204 | 35.2 | 0.5 | 1,766 | 25.0 | 3,438 | 44.6 | |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있음 |
9,323 | 65.3 | 5,153 | 4,171 | 9,562 | 64.8 | -0.5 | 5,294 | 75.0 | 4,268 | 55.4 | |
횟수1) | - 한 번 | 7,763 | 83.3 | 4,270 | 3,493 | 7,952 | 83.2 | -0.1 | 4,378 | 82.7 | 3,574 | 83.7 |
- 두 번 | 857 | 9.2 | 422 | 435 | 943 | 9.9 | 0.7 | 450 | 8.5 | 493 | 11.6 | |
- 세 번 이상 | 704 | 7.5 | 462 | 242 | 667 | 7.0 | -0.5 | 466 | 8.8 | 201 | 4.7 |
1) 취업경험 횟수의 구성비는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있음을 기준으로 산출함
나. 최근 일자리와 생애 주된 일자리의 관련성
◦ 지난 1년간 경험한 일자리가 생애 주된 일자리와 관련된 비율은 71.4%로 전년동월대비 1.2%p 하락하였음
< 최근 일자리와 생애 주된 일자리의 관련성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지난1년간취업경험자 | 지난1년간취업경험자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9,323 | 100.0 | 5,153 | 4,171 | 9,562 | 100.0 | - | 5,294 | 100.0 | 4,268 | 100.0 |
◦전혀관련없음 | 1,658 | 17.8 | 898 | 760 | 1,834 | 19.2 | 1.4 | 951 | 18.0 | 883 | 20.7 |
◦별로관련없음 | 898 | 9.6 | 452 | 446 | 900 | 9.4 | -0.2 | 451 | 8.5 | 448 | 10.5 |
◦약간관련있음 | 1,057 | 11.3 | 564 | 493 | 1,069 | 11.2 | -0.1 | 606 | 11.4 | 463 | 10.9 |
◦매우관련있음 | 5,711 | 61.3 | 3,239 | 2,472 | 5,759 | 60.2 | -1.1 | 3,286 | 62.1 | 2,473 | 57.9 |
6. 지난 1년간 직업능력개발훈련 경험
◦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자 비율은 12.8%(189만 7천명)로 전년동월대비 3.1%p 하락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15.4%, 여자는 10.5%가 참여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참여경로는 사업주 제공훈련이 75.4%, 개인훈련이 19.0%로 나타났음
< 1년간 직업능력개발훈련 경험 여부 및 참여 경로 > (단위: 천명,%) |
|||||||||||
2020.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100.0 | 6,788 | 7,484 | 14,766 | 100.0 | 7,060 | 100.0 | 7,706 | 100.0 | |
◦참여 경험 없음 | 11,997 | 84.1 | 5,447 | 6,549 | 12,868 | 87.2 | 5,971 | 84.6 | 6,898 | 89.5 | |
◦참여 경험 있음 | 2,275 | 15.9 | 1,340 | 935 | 1,897 | 12.8 | 1,089 | 15.4 | 809 | 10.5 | |
참여 경로 |
- 사업주 제공훈련 | 1,711 | 75.2 | 979 | 732 | 1,431 | 75.4 | 818 | 75.1 | 614 | 75.9 |
- 개인훈련 | 429 | 18.9 | 274 | 156 | 360 | 19.0 | 203 | 18.6 | 158 | 19.5 | |
- 사업주 제공훈련 및 개인훈련 |
135 | 5.9 | 88 | 47 | 106 | 5.6 | 68 | 6.3 | 37 | 4.6 |
7. 연금 수령 여부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714만 4천명)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 60~79세 연금 수령자 비율은 64.9%(690만 3천명)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원 증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는 83만원, 여자는 43만원으로 각각 1만원 증가하였음
- 연금 수령액은 25~50만원 미만 수령자 비중이 38.1%로 가장 높았으며, 150만원 이상 수령자 비중은 9.5%를 차지하였음
< 연금 수령 여부(55~79세) > (단위: 천명, %, %p) |
|||||||||||||
2020. 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 | 6,788 | 7,484 | 14,766 | - | - | 7,060 | - | 7,706 | - | ||
연금수령자(55~79세) | 6,716 | 100.0 | 3,452 | 3,264 | 7,144 | 100.0 | - | 3,670 | 100.0 | 3,475 | 100.0 | ||
(47.1) | (50.9) | (43.6) | (48.4) | (1.3) | (52.0) | (45.1) | |||||||
월 평 균 연 금 수 령 액1) |
10만원 미만 | 15 | 0.2 | 5 | 10 | 15 | 0.2 | 0.0 | 6 | 0.2 | 10 | 0.3 | |
10~25만원 미만 | 1,543 | 23.0 | 465 | 1,078 | 1,571 | 22.0 | -1.0 | 434 | 11.8 | 1,137 | 32.7 | ||
25~50만원 미만 | 2,728 | 40.6 | 1,158 | 1,570 | 2,719 | 38.1 | -2.5 | 1,141 | 31.1 | 1,579 | 45.4 | ||
50~100만원 미만 | 1,440 | 21.4 | 1,020 | 421 | 1,778 | 24.9 | 3.5 | 1,220 | 33.2 | 558 | 16.1 | ||
100~150만원 미만 | 345 | 5.1 | 289 | 56 | 383 | 5.4 | 0.3 | 315 | 8.6 | 68 | 2.0 | ||
150만원 이상 | 644 | 9.6 | 514 | 129 | 677 | 9.5 | -0.1 | 554 | 15.1 | 123 | 3.5 | ||
평균 수령액(만원) | 63 | 82 | 42 | 64 | 83 | 43 | |||||||
증감 | 2 | 3 | 1 | 1 | 1 | 1 |
1) 공적연금(국민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기초연금), 개인연금 등 노후생활의 안정을 위해 정부 또는 개인에 의해 조성되어 수령한 금액
< 연금 수령 여부(60~79세)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전체 | 연금수령자 | 수령자비율 | 전체 | 연금수령자 | 수령자비율 | ||
증감 | |||||||
60~79세 | 10,033 | 6,481 | (64.6) | 10,631 | 6,903 | (64.9) | 0.3 |
8. 장래 근로에 대한 희망
가. 향후 취업의사, 취업동기 및 근로 희망 연령
◦ 고령층 중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비율은 68.1%(1,005만 9천명)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음
-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58.7%), 일하는 즐거움·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33.2%) 순으로 많았음
- 성별로 보면, 남자(77.4%)가 여자(59.6%)보다 장래에 일하기를 더 원했으며, 근로 희망 사유는 남녀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가장 많았음
< 향후 취업의사 및 취업동기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55~79세 인구 |
55~79세 인구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14,271 | 100.0 | 6,788 | 7,484 | 14,766 | 100.0 | - | 7,060 | 100.0 | 7,706 | 100.0 | |
◦장래근로 원하지 않음 |
4,651 | 32.6 | 1,527 | 3,125 | 4,707 | 31.9 | -0.7 | 1,595 | 22.6 | 3,112 | 40.4 | |
◦장래근로 원함 | 9,620 | 67.4 | 5,261 | 4,359 | 10,059 | 68.1 | 0.7 | 5,464 | 77.4 | 4,595 | 59.6 | |
취 업 희 망 동 기1) |
일하는 즐거움 | 3,254 | 33.8 | 1,910 | 1,344 | 3,336 | 33.2 | -0.6 | 1,924 | 35.2 | 1,412 | 30.7 |
생활비에 보탬 | 5,658 | 58.8 | 2,951 | 2,707 | 5,909 | 58.7 | -0.1 | 3,088 | 56.5 | 2,820 | 61.4 | |
사회가 필요로 함 | 225 | 2.3 | 177 | 47 | 228 | 2.3 | 0.0 | 175 | 3.2 | 53 | 1.1 | |
건강유지 | 164 | 1.7 | 90 | 75 | 202 | 2.0 | 0.3 | 109 | 2.0 | 93 | 2.0 | |
무료해서 | 316 | 3.3 | 131 | 185 | 384 | 3.8 | 0.5 | 168 | 3.1 | 216 | 4.7 | |
기 타 | 4 | 0.0 | 2 | 2 | 1 | 0.0 | 0.0 | 1 | 0.0 | 1 | 0.0 |
1) 취업희망동기의 구성비는 장래근로 원함을 기준으로 산출함
◦ 취업상태별로 보면, 현재 취업자의 93.1%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였으며, 취업경험이 있는 미취업자는 38.4%, 생애 취업경험이 없는 자는 7.7%가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였음
< 취업상태별 향후 취업의사 >
(단위 : 천명, %)
55~79세 | ||||||
현재 취업자 |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 생애 취업 무경험자 | ||||
2020. 5 | < 전 체 > | 14,271 | 7,895 | 5,888 | 489 | |
◦장래 근로 원함 | 9,620 | 7,370 | 2,217 | 33 | ||
(67.4) | (93.4) | (37.7) | (6.7) | |||
2021. 5 | < 전 체 > | 14,766 | 8,276 | 6,031 | 458 | |
◦장래 근로 원함 | 10,059 | 7,706 | 2,318 | 36 | ||
(68.1) | (93.1) | (38.4) | (7.7) |
◦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가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3세까지임
< 연령구간별 평균 근로 희망 연령 >
(단위 : 천명, %)
55~79세 | |||||||
55~59세 | 60~64세 | 65~69세 | 70~74세 | 75~79세 | |||
2020. 5 | 장래 근로 희망자 | 9,620 | 3,495 | 2,850 | 1,684 | 970 | 622 |
(100.0) | (36.3) | (29.6) | (17.5) | (10.1) | (6.5) | ||
근로희망연령 | 73세 | 70세 | 72세 | 75세 | 78세 | 82세 | |
2021. 5 | 장래 근로 희망자 | 10,059 | 3,409 | 3,047 | 1,868 | 1,083 | 653 |
(100.0) | (33.9) | (30.3) | (18.6) | (10.8) | (6.5) | ||
근로희망연령 | 73세 | 70세 | 72세 | 75세 | 79세 | 82세 |
나. 일자리 선택 기준
◦ 장래 근로 희망자의 일자리 선택 기준은 일의 양과 시간대(28.4%), 임금수준(21.4%), 계속근로 가능성(17.6%) 순이었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임금수준(23.4%), 여자는 일의 양과 시간대(36.5%)가 가장 많았음
< 일자리 선택기준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장래근로 희망자 |
장래근로 희망자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9,620 | 100.0 | 5,261 | 4,359 | 10,059 | 100.0 | 5,464 | 100.0 | 4,595 | 100.0 |
◦임금수준 | 2,124 | 22.1 | 1,250 | 874 | 2,157 | 21.4 | 1,281 | 23.4 | 876 | 19.1 |
◦일의 양과 시간대 | 2,630 | 27.3 | 1,088 | 1,542 | 2,854 | 28.4 | 1,177 | 21.5 | 1,677 | 36.5 |
◦일의 내용 | 1,319 | 13.7 | 783 | 536 | 1,332 | 13.2 | 781 | 14.3 | 551 | 12.0 |
◦출퇴근거리 등 편리성 |
697 | 7.2 | 263 | 433 | 791 | 7.9 | 293 | 5.4 | 498 | 10.8 |
◦계속근로가능성 | 1,689 | 17.6 | 1,083 | 606 | 1,770 | 17.6 | 1,147 | 21.0 | 624 | 13.6 |
◦과거취업경험 연관성 |
1,005 | 10.4 | 675 | 330 | 1,010 | 10.0 | 679 | 12.4 | 331 | 7.2 |
◦그 외1) | 156 | 1.6 | 118 | 38 | 145 | 1.4 | 107 | 2.0 | 39 | 0.8 |
1) 사업장 규모, 사회적 지위 유지 가능성, 기타
◦ 교육정도별로 보면, 중졸이하, 고졸, 대졸이상 모두 일의 양과 시간대가 우선적인 일자리 선택 기준이었음
< 교육정도별 일자리 선택기준 > (단위: 천명, %) |
|||||||||||||
2020.5 | 2021.5 | ||||||||||||
장래 근로 희망자 |
장래 근로 희망자 |
중졸 이하 |
고졸 | 대졸 이상 |
|||||||||
중졸 이하 |
고졸 | 대졸 이상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 전 체 > | 9,620 | 100.0 | 3,885 | 3,716 | 2,019 | 10,059 | 100.0 | 3,901 | 100.0 | 4,028 | 100.0 | 2,131 | 100.0 |
◦임금수준 | 2,124 | 22.1 | 863 | 898 | 363 | 2,157 | 21.4 | 827 | 21.2 | 924 | 22.9 | 405 | 19.0 |
◦일의 양과 시간대 | 2,630 | 27.3 | 1,254 | 949 | 427 | 2,854 | 28.4 | 1,275 | 32.7 | 1,102 | 27.4 | 478 | 22.4 |
◦일의 내용 | 1,319 | 13.7 | 397 | 463 | 459 | 1,332 | 13.2 | 430 | 11.0 | 464 | 11.5 | 438 | 20.5 |
◦출퇴근거리 등 편리성 |
697 | 7.2 | 336 | 275 | 85 | 791 | 7.9 | 340 | 8.7 | 341 | 8.5 | 110 | 5.2 |
◦계속근로가능성 | 1,689 | 17.6 | 662 | 726 | 302 | 1,770 | 17.6 | 667 | 17.1 | 781 | 19.4 | 322 | 15.1 |
◦과거취업경험 연관성 |
1,005 | 10.4 | 355 | 361 | 289 | 1,010 | 10.0 | 333 | 8.5 | 375 | 9.3 | 302 | 14.2 |
◦그 외1) | 156 | 1.6 | 18 | 44 | 93 | 145 | 1.4 | 28 | 0.7 | 42 | 1.0 | 76 | 3.5 |
1) 사업장 규모, 사회적 지위 유지 가능성, 기타
다. 희망 일자리 형태 및 임금수준
◦ 장래 근로 희망자의 희망 일자리 형태는 전일제가 54.7%, 시간제 45.3%로 나타났음
◦ 장래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수준은 150~200만원 미만(22.0%), 100~150만원 미만(18.4%), 200~250만원 미만(17.8%) 순이었음
< 희망 일자리 형태 및 임금수준 > (단위: 천명, %, %p) |
||||||||||||
2020.5 | 2021.5 | |||||||||||
장래근로 희망자 |
장래근로 희망자 |
남자 | 여자 | |||||||||
남자 | 여자 | 구성비 | 증감 | 구성비 | 구성비 | |||||||
구성비 | ||||||||||||
<전체> | 9,620 | 100.0 | 5,261 | 4,359 | 10,059 | 100.0 | - | 5,464 | 100.0 | 4,595 | 100.0 | |
희망 일자리 형태 |
◦전일제 | 5,459 | 56.7 | 3,672 | 1,786 | 5,500 | 54.7 | -2.0 | 3,730 | 68.3 | 1,771 | 38.5 |
◦시간제 | 4,161 | 43.3 | 1,589 | 2,573 | 4,559 | 45.3 | 2.0 | 1,735 | 31.7 | 2,824 | 61.5 | |
희망 월평균 임금 |
◦50만원미만 | 514 | 5.3 | 122 | 392 | 543 | 5.4 | 0.1 | 133 | 2.4 | 410 | 8.9 |
◦50~100만원미만 | 1,263 | 13.1 | 347 | 917 | 1,376 | 13.7 | 0.6 | 376 | 6.9 | 1,000 | 21.8 | |
◦100~150만원미만 | 1,878 | 19.5 | 733 | 1,145 | 1,852 | 18.4 | -1.1 | 709 | 13.0 | 1,143 | 24.9 | |
◦150~200만원미만 | 2,187 | 22.7 | 1,135 | 1,052 | 2,215 | 22.0 | -0.7 | 1,128 | 20.6 | 1,087 | 23.7 | |
◦200~250만원미만 | 1,722 | 17.9 | 1,215 | 507 | 1,790 | 17.8 | -0.1 | 1,218 | 22.3 | 573 | 12.5 | |
◦250~300만원미만 | 895 | 9.3 | 725 | 170 | 958 | 9.5 | 0.2 | 761 | 13.9 | 197 | 4.3 | |
◦300만원이상 | 1,161 | 12.1 | 985 | 176 | 1,325 | 13.2 | 1.1 | 1,140 | 20.9 | 185 | 4.0 |
◦ 연령계층별로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전일제 희망 비중이 줄어들고, 시간제 희망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음
< 연령계층별 희망 일자리 형태 > (단위: %) |
||||||||||||
2020.5 | 2021.5 | |||||||||||
55~79세 | 55~79세 | |||||||||||
55~59세 | 60~64세 | 65~69세 | 70~74세 | 75~79세 | 55~59세 | 60~64세 | 65~69세 | 70~74세 | 75~79세 | |||
<전체>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전일제 | 56.7 | 68.0 | 61.8 | 50.3 | 36.6 | 19.4 | 54.7 | 67.9 | 59.8 | 48.1 | 32.8 | 17.2 |
◦시간제 | 43.3 | 32.0 | 38.2 | 49.7 | 63.4 | 80.6 | 45.3 | 32.1 | 40.2 | 51.9 | 67.2 | 82.8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노동부] 네이버 특별감독 결과, 직장 내 괴롭힘등 노동관계법 위반 확인 (0) | 2021.07.28 |
---|---|
[보건복지부] 비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오늘부터(7.27일) 시행 (0) | 2021.07.27 |
[산업통상자원부] 처치 곤란 아이스팩,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0) | 2021.07.27 |
[정부] 코로나19 피해지원 3종 패키지, 누가 얼마나 받나(1인당 25만원 국민지원금(맞벌이),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최대 2000만원,상생소비지원금) (0) | 2021.07.27 |
[기획재정부] 국가전략기술 R&D 1조1000억 세금감면…기부금 20% 돌려준다(청년희망적금 비과세…비수도권 기업 청년채용 1인당 최대 1300만원 세액공제) (0) | 2021.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