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통계청] 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49.3세,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1. 7. 27.
반응형

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21.07.27 통계청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55~64세)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49.3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

* 가장 오래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제외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0.5%p 하락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1만원 증가

장래 근로 희망자 비율은 68.1%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희망 근로 상한연령은 평균 73세로 전년동월대비 동일

첨부파일

편집-2021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보도자료)(최종).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2021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요약)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55~64세) 평균 근속기간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 49.3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
* 가장 오래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제외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취업경험자 비율 64.8%로 0.5%p 하락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 48.4%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월평균 연금 수령액 64만원으로 1만원 증가


장래 근로 희망자 비율은 68.1%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희망 근로 상한연령은 평균 73세로 전년동월대비 동일

 

□ 55~79세 고령층 인구 1,476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9만 4천명(3.5%) 증가

 

경제활동참가율은 58.0%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하였고, 고용률 56.0%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55~64세)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

 

◦ 남자는 18년 9.1개월로 6.1개월 감소, 여자는 11년 6.1개월로 3.7개월 감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연령은 49.3세(남 51.2세, 여 47.7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

 

◦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로는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이 33.0% 가장 높았음

 

□ 55~79세 고령층의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 주된 구직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36.9%), 친구, 친지 소개 및 부탁(32.3%) 순으로 높았음

 

□ 지난 1년간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전년동월대비 0.5%p 하락

 

◦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인 경우가 83.2%로 가장 많았음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714만 4천명)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원 증가

 

□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는 68.1%(1,005만 9천명)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으며, 희망 근로 상한연령은 평균 73세로 나타났음

 

◦ 장래 근로 희망자의 일자리 선택기준은 남자는 임금수준(23.4%), 여자는 일의 양과 시간대(36.5%)가 가장 높았음

 

◦희망 임금수준은 남자는 200~250만원 미만(22.3%), 여자는 100~150만원 미만(24.9%)이 가장 높았음

2021년 5월 고령층(55~79세) 부가조사 결과

1. 고령층 경제활동인구 개요

 

가. 고령층 경제활동상태

 

◦ 2021년 5월 55~79세 고령층 인구는 1,476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9만 4천명(3.5%) 증가하였으며, 15세 이상 인구(4,504만 9천명)의 32.8%를 차지하였음

 

- 고령층 중 경제활동인구는 856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5만 5천명 증가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는 620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만명 증가하였음

 

-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는 827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8만 1천명 증가하였으며, 실업자는 28만 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7천명 감소하였음

 

◦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8.0%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하였고, 고용률은 56.0%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음

 

- 55~64세 고용률은 67.1%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하였고, 65~79세 고용률은 42.4%로 2.0%p 상승하였음

 

 

< 고령층 경제활동상태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고령층
인구

고령층
인구


55~64세 65~79세 55~64세
65~79세
증감
증감 증감
<전 체> 14,271 8,021 6,251 14,766 494 8,156 135 6,610 359

◦경제활동인구 8,208 5,589 2,619 8,563 355 5,678 89 2,885 265

- 취 업 자 7,895 5,370 2,525 8,276 381 5,473 104 2,803 278

- 실 업 자 314 220 94 287 -27 205 -14 82 -12

◦비경제활동인구 6,063 2,432 3,632 6,203 140 2,477 46 3,725 94
◦경제활동참가율 57.5 69.7 41.9 58.0 0.5 69.6 -0.1 43.6 1.7
◦고 용 률 55.3 66.9 40.4 56.0 0.7 67.1 0.2 42.4 2.0
◦실 업 률 3.8 3.9 3.6 3.4 -0.4 3.6 -0.3 2.8 -0.8

 

 

나. 산업 및 직업별 취업자 분포

 

◦ 고령층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8.1%로 가장 높았으며, 도소매·숙박음식업(17.6%), 농림어업(13.6%) 순으로 높았음

 

- 건설업 비중은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한 반면, 도소매·숙박음식업 비중은 1.6%p 하락하였음

 

- 15세 이상 취업자 전체 구성비와 비교해 보면, 농림어업 비중은 고령층(13.6%)이 8.0%p 더 높았음

 

 

< 산업별 취업자 분포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55~79세
취업자


55~79세
취업자

55~64세
65~79세
전체1)
취업자
55~64세 65~79세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7,895 100.0 5,370 2,525 8,276 100.0 - 5,473 100.0 2,803 100.0 100.0
◦농림어업 1,084 13.7 458 626 1,122 13.6 -0.1 459 8.4 663 23.7 5.6
◦광업‧제조업 954 12.1 796 158 931 11.3 -0.8 769 14.0 163 5.8 16.0
- 제조업 950 12.0 792 158 924 11.2 -0.8 762 13.9 162 5.8 16.0
◦사회간접자본및
기타서비스업
5,857 74.2 4,116 1,741 6,222 75.2 1.0 4,245 77.6 1,977 70.5 78.4
- 건설업 632 8.0 521 111 798 9.6 1.6 657 12.0 141 5.0 7.7
- 도소매·
숙박음식업
1,513 19.2 1,157 356 1,454 17.6 -1.6 1,080 19.7 374 13.3 20.1
- 사업·개인·
공공서비스업
2,930 37.1 1,855 1,075 3,156 38.1 1.0 1,927 35.2 1,229 43.9 38.6
- 전기·운수
통신·금융업
782 9.9 584 199 815 9.8 -0.1 582 10.6 233 8.3 12.1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산업별 구성비임

 

 직업별 분포를 보면, 단순노무종사자(25.6%), 서비스‧판매종사자(22.3%), 기능·기계조작 종사자(22.3%) 순으로 높았음

 

- 단순노무종사자 비중은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한 반면, 관리자‧전문가 비중은 1.3%p 하락하였음

 

< 직업별 취업자 분포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55~79세
취업자


55~79세
취업자

55~64세
65~79세
전체1)
취업자
55~64세 65~79세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7,895 100.0 5,370 2,525 8,276 100.0 - 5,473 100.0 2,803 100.0 100.0
◦관리자·전문가 860 10.9 711 149 793 9.6 -1.3 658 12.0 135 4.8 21.6
◦사무종사자 589 7.5 499 91 587 7.1 -0.4 489 8.9 99 3.5 17.3
◦서비스·
판매종사자
1,814 23.0 1,367 447 1,848 22.3 -0.7 1,357 24.8 491 17.5 21.5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1,050 13.3 448 602 1,082 13.1 -0.2 439 8.0 643 22.9 5.4
◦기능·기계
조작 종사자
1,689 21.4 1,328 362 1,847 22.3 0.9 1,430 26.1 417 14.9 19.5
◦단순노무종사자 1,893 24.0 1,018 875 2,118 25.6 1.6 1,100 20.1 1,018 36.3 14.8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직업별 구성비임

 

2. 고령층 취업 상태 및 경험 여부

 

◦ 고령층 중 현재 미취업자 비중은 44.0%(649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0.7%p 하락하였음

 

◦ 현재 미취업자 중 생애동안 취업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는 45만 8천명이며, 이 중 여자가 44만 2천명으로 나타났음

 

 

< 현재 취업상태 및 경험 여부>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100.0 6,788 7,484 14,766 100.0 - 7,060 100.0 7,706 100.0
◦취업자(고용률) 7,895 55.3 4,491 3,404 8,276 56.0 0.7 4,691 66.4 3,585 46.5
◦미취업자 6,377 44.7 2,296 4,080 6,490 44.0 -0.7 2,369 33.6 4,121 53.5
- 취업경험 있으나 현재 미취업 5,888 41.3 2,276 3,612 6,031 40.8 -0.4 2,352 33.3 3,679 47.7
- 생애동안 취업경험
전혀 없음
489 3.4 20 469 458 3.1 -0.3 17 0.2 442 5.7

 

 

3.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55~64세 고령층 대상)

 

가. 근속기간

 

◦ 55~64세 취업 유경험자의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4.9개월 감소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18년 9.1개월)가 여자(11년 6.1개월)보다 평균 근속기간이 7년 3.0개월 더 길었으며, 전년동월대비 남자는 6.1개월, 여자는 3.7개월 감소하였음

 

- 근속기간별로 보면 10~20년 미만 근속 비중이 30.1%로 가장 컸으며, 30년 이상 근속 비중은 16.0%를 차지하였음

 

- 성별로 보면 여자의 경우 5년 미만 근속 비중이 22.6%인 반면, 남자의 경우 30년 이상 근속 비중이 23.6%를 차지하였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2020.5 2021.5
계1)

계1)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7,843 100.0 3,967 3,876 7,993 100.0 4,041 100.0 3,953 100.0
◦5년미만 1,222 15.6 328 894 1,287 16.1 394 9.7 894 22.6
◦5~10년미만 1,390 17.7 394 996 1,509 18.9 437 10.8 1,071 27.1
◦10~20년미만 2,353 30.0 1,204 1,150 2,407 30.1 1,207 29.9 1,200 30.3
◦20~30년미만 1,544 19.7 1,067 477 1,511 18.9 1,050 26.0 461 11.7
◦30년이상 1,335 17.0 975 360 1,280 16.0 952 23.6 327 8.3
· 평균 근속기간 15년
7.0개월
19년
3.2개월
11년
9.8개월
15년
2.1개월
18년
9.1개월
11년
6.1개월

증감 1.3개월 1.0개월 1.7개월 -4.9개월 -6.1개월 -3.7개월

1) 55~64세 인구 중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 산업별로는 농림어업이 25년 6.8개월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이 18년 2.4개월, 광업·제조업이 15년 3.8개월 순으로 길었음

 

< 산업별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2020.5 2021.5
계1)

계1)

근속기간 근속기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7,843 100.0 15년 7.0개월 7,993 100.0 15년 2.1개월
◦농림어업 482 6.1 25년 8.5개월 433 5.4 25년 6.8개월
◦광업·제조업 1,578 20.1 15년 3.9개월 1,577 19.7 15년 3.8개월
◦건설업 708 9.0 12년 6.9개월 765 9.6 12년 3.3개월
◦도소매·숙박음식업 1,815 23.1 13년 0.8개월 1,832 22.9 12년 6.8개월
◦전기·운수·통신·금융업 855 10.9 18년 6.7개월 868 10.9 18년 2.4개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2,405 30.7 15년 5.5개월 2,518 31.5 15년 0.4개월

1) 55~64세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 직업별로는 농림어업숙련종사자가 26년 9.9개월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관리자·전문가(20년 0.1개월), 사무종사자(16년 6.6개월) 순으로 길었음

 

 

< 직업별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2020.5 2021.5
계1)

계1)

근속기간 근속기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7,843 100.0 15년 7.0개월 7,993 100.0 15년2.1개월
◦관리자·전문가 1,224 15.6 20년 5.2개월 1,249 15.6 20년0.1개월
◦사무종사자 973 12.4 17년 1.3개월 978 12.2 16년6.6개월
◦서비스·판매종사자 2,218 28.3 12년 9.4개월 2,306 28.8 12년5.3개월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46 5.7 26년 9.7개월 395 4.9 26년9.9개월
◦기능·기계 조작종사자 1,818 23.2 16년 7.8개월 1,866 23.3 16년4.6개월
◦단순노무종사자 1,164 14.8 8년 7.0개월 1,200 15.0 8년6.5개월

1) 55~64세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나. 그만둔 연령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연령은 49.3세로 전년동월대비 0.1세 감소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51.2세, 여자는 47.7세에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었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524만 5천명) 중 현재 취업 중인 자(272만 5천명)는 52.0%임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연령 >


(단위: 천명, %)

2020.5 2021.5
계1)

계1)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4,997 100.0 2,353 2,644 5,245 100.0 2,471 100.0 2,775 100.0
◦30세 미만 341 6.8 25 317 353 6.7 22 0.9 331 11.9
◦30~39세 386 7.7 156 230 455 8.7 200 8.1 255 9.2
◦40~49세 1,100 22.0 608 492 1,110 21.2 586 23.7 524 18.9
◦50~59세 2,558 51.2 1,223 1,335 2,669 50.9 1,273 51.5 1,396 50.3
◦60~64세 611 12.2 340 270 659 12.6 390 15.8 269 9.7
평균 이직연령 49.4세 51.2세 47.9세 49.3세 51.2세 47.7세

1) 55~64세 인구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현재도 다니는 경우는 제외)

 

 

 

다. 그만둔 이유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33.0%), 건강이 좋지 않아서(18.8%), 가족을 돌보기 위해서(14.1%) 순으로 높았음

 

 

<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 >


(단위: %)

2020.5 2021.5
계1)

계1)


남자 여자
이직연령 이직연령 남자 여자
< 전 체 > 4,997 49.4세  2,353 2,644 5,245 49.3세 2,471 2,77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정년퇴직 7.8 58.8세 13.1 3.2 7.5 59.1세 12.2 3.3
◦권고사직, 명예퇴직, 정리해고 12.5 51.8세 18.6 7.0 12.2 51.7세 18.1 7.0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 33.2 51.0세 38.6 28.3 33.0 51.3세 38.6 28.1
◦가족을 돌보기 위해 14.0 38.1세 1.4 25.2 14.1 38.1세 1.8 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 19.3 51.2세 14.1 24.0 18.8 50.5세 13.5 23.6
◦일을 그만둘 나이가 되었다고 생각해서 2.2 50.8세 1.4 3.0 2.4 51.1세 1.7 3.1
◦그 외 11.0 46.3세 12.9 9.3 11.9 46.2세 14.2 10.0

1) 55~64세 인구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

 

 

4.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가. 구직활동 경험여부

 

◦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 비율은 21.1%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22.3%)가 여자(19.9%)보다 2.4%p 높았음

 

<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경험여부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100.0 6,788 7,484 14,766 100.0 - 7,060 100.0 7,706 100.0
◦지난 1년간
구직경험 있음
2,729 19.1 1,379 1,351 3,110 21.1 2.0 1,577 22.3 1,533 19.9
◦지난 1년간
구직경험 없음
11,542 80.9 5,409 6,134 11,656 78.9 -2.0 5,483 77.7 6,173 80.1

 

 

◦ 현재 취업상태별로 보면, 취업자 중 25.9%, 미취업자 중 14.9%가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지난 1년간 취업상태별 구직활동 경험여부 >


(단위: 천명, %)

2020.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취업자
미취업자1)
취업자 미취업자1)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100.0 7,895 6,377 14,766 100.0 8,276 100.0 6,490 100.0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있음
2,729 19.1 1,782 947 3,110 21.1 2,142 25.9 968 14.9
◦지난 1년간
구직경험없음
11,542 80.9 6,113 5,430 11,656 78.9 6,134 74.1 5,522 85.1

1) 생애 취업 무경험자도 포함

 

 

나. 구직경로

 

◦ 주된 구직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36.9%), 친구, 친지 소개 및 부탁(32.3%), 민간취업알선기관(10.7%) 순으로 높았음

 

 

< 지난 1년간 구직경험자의 구직경로 >


(단위: 천명, %)

2020.5 2021.5
구직
경험자


구직 경험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2,729 100.0 1,379 1,351 3,110 100.0 1,577 100.0 1,533 100.0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
912 33.4 366 546 1,146 36.9 441 27.9 706 46.0
◦민간 취업알선기관 270 9.9 150 120 332 10.7 214 13.6 118 7.7
◦신문, 잡지,인터넷 등 271 9.9 132 139 299 9.6 153 9.7 146 9.5
◦사업체 문의 및 방문 244 8.9 150 94 265 8.5 159 10.1 106 6.9
◦친구, 친지소개 및 부탁 978 35.8 550 427 1,006 32.3 572 36.3 434 28.3
◦그 외1) 55 2.0 31 24 62 2.0 38 2.4 24 1.6

1) 자영업 준비, 기타

 

다. 미취업자의 비구직 사유

 

◦구직경험이 없는 미취업자의 비구직 사유는 건강상의 이유로(41.5%), 가사, 가족 반대로(22.2%), 나이가 많아서(18.4%) 순으로 높았음

 

 

< 미취업자의 비구직 사유 >
3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비구직1)
미취업자


비구직1)
미취업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5,430 100.0 1,813 3,616 5,522 100.0 - 1,873 100.0 3,649 100.0
◦적당한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
554 10.2 305 249 550 10.0 -0.2 292 15.6 258 7.1
◦가사, 가족반대로 1,255 23.1 15 1,240 1,229 22.2 -0.9 27 1.4 1,202 32.9
◦건강상의 이유로 2,165 39.9 833 1,332 2,294 41.5 1.6 887 47.4 1,407 38.6
◦일을 하고 싶지 않아서 312 5.7 157 154 329 6.0 0.3 157 8.4 171 4.7
◦나이가 많아서 1,048 19.3 458 590 1,016 18.4 -0.9 463 24.7 552 15.1
◦기 타 96 1.8 45 51 105 1.9 0.1 47 2.5 58 1.6

1)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이 없는 미취업자(생애 취업 무경험자도 포함)

 

5. 지난 1년간 취업경험

 

가. 취업경험 여부

 

◦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취업경험자 비율은 64.8%로 전년동월대비 0.5%p 하락하였음

 

- 지난 1년간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인 경우가 83.2%로 가장 많았음

 

<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여부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100.0 6,788 7,484 14,766 100.0 - 7,060 100.0 7,706 100.0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없음
4,948 34.7 1,635 3,314 5,204 35.2 0.5 1,766 25.0 3,438 44.6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있음
9,323 65.3 5,153 4,171 9,562 64.8 -0.5 5,294 75.0 4,268 55.4
횟수1) - 한 번 7,763 83.3 4,270 3,493 7,952 83.2 -0.1 4,378 82.7 3,574 83.7
- 두 번 857 9.2 422 435 943 9.9 0.7 450 8.5 493 11.6
- 세 번 이상 704 7.5 462 242 667 7.0 -0.5 466 8.8 201 4.7

1) 취업경험 횟수의 구성비는 지난 1년간 취업경험 있음을 기준으로 산출함

 

 

나. 최근 일자리와 생애 주된 일자리의 관련성

 

◦ 지난 1년간 경험한 일자리가 생애 주된 일자리와 관련된 비율은 71.4%로 전년동월대비 1.2%p 하락하였음

 

 

< 최근 일자리와 생애 주된 일자리의 관련성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지난1년간취업경험자

지난1년간취업경험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9,323 100.0 5,153 4,171 9,562 100.0 - 5,294 100.0 4,268 100.0
◦전혀관련없음 1,658 17.8 898 760 1,834 19.2 1.4 951 18.0 883 20.7
◦별로관련없음 898 9.6 452 446 900 9.4 -0.2 451 8.5 448 10.5
◦약간관련있음 1,057 11.3 564 493 1,069 11.2 -0.1 606 11.4 463 10.9
◦매우관련있음 5,711 61.3 3,239 2,472 5,759 60.2 -1.1 3,286 62.1 2,473 57.9

 

 

6. 지난 1년간 직업능력개발훈련 경험

 

◦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자 비율은 12.8%(189만 7천명)로 전년동월대비 3.1%p 하락하였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15.4%, 여자는 10.5%가 참여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참여경로는 사업주 제공훈련이 75.4%, 개인훈련이 19.0%로 나타났음

 

< 1년간 직업능력개발훈련 경험 여부 및 참여 경로 >


(단위: 천명,%)

2020.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100.0 6,788 7,484 14,766 100.0 7,060 100.0 7,706 100.0
◦참여 경험 없음 11,997 84.1 5,447 6,549 12,868 87.2 5,971 84.6 6,898 89.5
◦참여 경험 있음 2,275 15.9 1,340 935 1,897 12.8 1,089 15.4 809 10.5
참여
경로
- 사업주 제공훈련 1,711 75.2 979 732 1,431 75.4 818 75.1 614 75.9
- 개인훈련 429 18.9 274 156 360 19.0 203 18.6 158 19.5
- 사업주 제공훈련
및 개인훈련
135 5.9 88 47 106 5.6 68 6.3 37 4.6

 

7. 연금 수령 여부

 

◦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48.4%(714만 4천명)로 전년동월대비 1.3%p 상승

 

- 60~79세 연금 수령자 비율은 64.9%(690만 3천명)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4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원 증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는 83만원, 여자는 43만원으로 각각 1만원 증가하였음

 

- 연금 수령액은 25~50만원 미만 수령자 비중이 38.1%로 가장 높았으며, 150만원 이상 수령자 비중은 9.5%를 차지하였음

 

< 연금 수령 여부(55~79세) >


(단위: 천명, %, %p)

2020. 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 6,788 7,484 14,766 - - 7,060 - 7,706 -
연금수령자(55~79세) 6,716 100.0 3,452 3,264 7,144 100.0 - 3,670 100.0 3,475 100.0
(47.1)
(50.9) (43.6) (48.4)
(1.3) (52.0)
(45.1)







액1)
10만원 미만 15 0.2 5 10 15 0.2 0.0 6 0.2 10 0.3
10~25만원 미만 1,543 23.0 465 1,078 1,571 22.0 -1.0 434 11.8 1,137 32.7
25~50만원 미만 2,728 40.6 1,158 1,570 2,719 38.1 -2.5 1,141 31.1 1,579 45.4
50~100만원 미만 1,440 21.4 1,020 421 1,778 24.9 3.5 1,220 33.2 558 16.1
100~150만원 미만 345 5.1 289 56 383 5.4 0.3 315 8.6 68 2.0
150만원 이상 644 9.6 514 129 677 9.5 -0.1 554 15.1 123 3.5
평균 수령액(만원) 63 82 42 64 83 43

증감 2 3 1 1 1 1

1) 공적연금(국민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기초연금), 개인연금 등 노후생활의 안정을 위해 정부 또는 개인에 의해 조성되어 수령한 금액

 

 

< 연금 수령 여부(60~79세)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전체 연금수령자 수령자비율 전체 연금수령자 수령자비율
증감
60~79세 10,033 6,481 (64.6) 10,631 6,903 (64.9) 0.3

8. 장래 근로에 대한 희망

 

가. 향후 취업의사, 취업동기 및 근로 희망 연령

 

◦ 고령층 중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비율은 68.1%(1,005만 9천명)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하였음

 

-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58.7%), 일하는 즐거움·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33.2%) 순으로 많았음

 

- 성별로 보면, 남자(77.4%)가 여자(59.6%)보다 장래에 일하기를 더 원했으며, 근로 희망 사유는 남녀 모두 생활비에 보탬이 가장 많았음

 

 

< 향후 취업의사 및 취업동기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55~79세
인구


55~79세
인구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14,271 100.0 6,788 7,484 14,766 100.0 - 7,060 100.0 7,706 100.0
◦장래근로
원하지 않음
4,651 32.6 1,527 3,125 4,707 31.9 -0.7 1,595 22.6 3,112 40.4
◦장래근로 원함 9,620 67.4 5,261 4,359 10,059 68.1 0.7 5,464 77.4 4,595 59.6





기1)
일하는 즐거움 3,254 33.8 1,910 1,344 3,336 33.2 -0.6 1,924 35.2 1,412 30.7
생활비에 보탬 5,658 58.8 2,951 2,707 5,909 58.7 -0.1 3,088 56.5 2,820 61.4
사회가 필요로 함 225 2.3 177 47 228 2.3 0.0 175 3.2 53 1.1
건강유지 164 1.7 90 75 202 2.0 0.3 109 2.0 93 2.0
무료해서 316 3.3 131 185 384 3.8 0.5 168 3.1 216 4.7
기 타 4 0.0 2 2 1 0.0 0.0 1 0.0 1 0.0

1) 취업희망동기의 구성비는 장래근로 원함을 기준으로 산출함

 

 

◦ 취업상태별로 보면, 현재 취업자의 93.1%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였으며, 취업경험이 있는 미취업자는 38.4%, 생애 취업경험이 없는 자는 7.7%가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였음

 

 

< 취업상태별 향후 취업의사 >

 

(단위 : 천명, %)


55~79세
현재 취업자 취업경험 있는 미취업자 생애 취업 무경험자
2020. 5 < 전 체 > 14,271 7,895 5,888 489

◦장래 근로 원함 9,620 7,370 2,217 33
(67.4) (93.4) (37.7) (6.7)
2021. 5 < 전 체 > 14,766 8,276 6,031 458

◦장래 근로 원함 10,059 7,706 2,318 36
(68.1) (93.1) (38.4) (7.7)

 

◦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가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3세까지임

 

 

< 연령구간별 평균 근로 희망 연령 >

 

(단위 : 천명, %)


55~79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2020. 5 장래 근로 희망자 9,620 3,495 2,850 1,684 970 622
(100.0) (36.3) (29.6) (17.5) (10.1) (6.5)
근로희망연령 73세 70세 72세 75세 78세 82세
2021. 5 장래 근로 희망자 10,059 3,409 3,047 1,868 1,083 653
(100.0) (33.9) (30.3) (18.6) (10.8) (6.5)
근로희망연령 73세 70세 72세 75세 79세 82세

 

 

나. 일자리 선택 기준

 

 

◦ 장래 근로 희망자의 일자리 선택 기준은 일의 양과 시간대(28.4%), 임금수준(21.4%), 계속근로 가능성(17.6%) 순이었음

 

- 성별로 보면, 남자는 임금수준(23.4%), 여자는 일의 양과 시간대(36.5%)가 가장 많았음

< 일자리 선택기준 >


(단위: 천명, %)

2020.5 2021.5
장래근로
희망자


장래근로
희망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9,620 100.0 5,261 4,359 10,059 100.0 5,464 100.0 4,595 100.0
◦임금수준 2,124 22.1 1,250 874 2,157 21.4 1,281 23.4 876 19.1
◦일의 양과 시간대 2,630 27.3 1,088 1,542 2,854 28.4 1,177 21.5 1,677 36.5
◦일의 내용 1,319 13.7 783 536 1,332 13.2 781 14.3 551 12.0
◦출퇴근거리 등
편리성
697 7.2 263 433 791 7.9 293 5.4 498 10.8
◦계속근로가능성 1,689 17.6 1,083 606 1,770 17.6 1,147 21.0 624 13.6
◦과거취업경험
연관성
1,005 10.4 675 330 1,010 10.0 679 12.4 331 7.2
◦그 외1) 156 1.6 118 38 145 1.4 107 2.0 39 0.8

1) 사업장 규모, 사회적 지위 유지 가능성, 기타

 

 

 

◦ 교육정도별로 보면, 중졸이하, 고졸, 대졸이상 모두 일의 양과 시간대가 우선적인 일자리 선택 기준이었음

 

< 교육정도별 일자리 선택기준 >


(단위: 천명, %)

2020.5 2021.5
장래
근로
희망자


장래
근로
희망자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 전 체 > 9,620 100.0 3,885 3,716 2,019 10,059 100.0 3,901 100.0 4,028 100.0 2,131 100.0
◦임금수준 2,124 22.1 863 898 363 2,157 21.4 827 21.2 924 22.9 405 19.0
◦일의 양과 시간대 2,630 27.3 1,254 949 427 2,854 28.4 1,275 32.7 1,102 27.4 478 22.4
◦일의 내용 1,319 13.7 397 463 459 1,332 13.2 430 11.0 464 11.5 438 20.5
◦출퇴근거리 등
편리성
697 7.2 336 275 85 791 7.9 340 8.7 341 8.5 110 5.2
◦계속근로가능성 1,689 17.6 662 726 302 1,770 17.6 667 17.1 781 19.4 322 15.1
◦과거취업경험
연관성
1,005 10.4 355 361 289 1,010 10.0 333 8.5 375 9.3 302 14.2
◦그 외1) 156 1.6 18 44 93 145 1.4 28 0.7 42 1.0 76 3.5

1) 사업장 규모, 사회적 지위 유지 가능성, 기타

다. 희망 일자리 형태 및 임금수준

 

◦ 장래 근로 희망자의 희망 일자리 형태는 전일제가 54.7%, 시간제 45.3%로 나타났음

 

◦ 장래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수준은 150~200만원 미만(22.0%), 100~150만원 미만(18.4%), 200~250만원 미만(17.8%) 순이었음

< 희망 일자리 형태 및 임금수준 >


(단위: 천명, %, %p)

2020.5 2021.5
장래근로
희망자


장래근로
희망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구성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전체> 9,620 100.0 5,261 4,359 10,059 100.0 -   5,464 100.0 4,595 100.0
희망
일자리
형태
◦전일제 5,459 56.7 3,672 1,786 5,500 54.7 -2.0 3,730 68.3 1,771 38.5
◦시간제 4,161 43.3 1,589 2,573 4,559 45.3 2.0 1,735 31.7 2,824 61.5
희망
월평균
임금
◦50만원미만 514 5.3 122 392 543 5.4 0.1 133 2.4 410 8.9
◦50~100만원미만 1,263 13.1 347 917 1,376 13.7 0.6 376 6.9 1,000 21.8
◦100~150만원미만 1,878 19.5 733 1,145 1,852 18.4 -1.1 709 13.0 1,143 24.9
◦150~200만원미만 2,187 22.7 1,135 1,052 2,215 22.0 -0.7 1,128 20.6 1,087 23.7
◦200~250만원미만 1,722 17.9 1,215 507 1,790 17.8 -0.1 1,218 22.3 573 12.5
◦250~300만원미만 895 9.3 725 170 958 9.5 0.2 761 13.9 197 4.3
◦300만원이상 1,161 12.1 985 176 1,325 13.2 1.1 1,140 20.9 185 4.0

 

◦ 연령계층별로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전일제 희망 비중이 줄어들고, 시간제 희망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음

 

< 연령계층별 희망 일자리 형태 >


(단위: %)

2020.5 2021.5
55~79세
55~79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55~59세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일제 56.7 68.0 61.8 50.3 36.6 19.4 54.7 67.9 59.8 48.1 32.8 17.2
◦시간제 43.3 32.0 38.2 49.7 63.4 80.6 45.3 32.1 40.2 51.9 67.2 82.8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