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창업, 첫해가 고비! 국세통계가 말해주는 생활업종 생존율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4. 29.
반응형

창업, 첫해가 고비! 국세통계가 말해주는 생활업종 생존율

2025.04.29 국세청

 

□ 국세청(청장 강민수)은 ’17년 11월부터 국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 통계를 생산·공개하고 있습니다.

○ 이번에는 최근 5년(’19년~’23년)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하여 창업 후 사업을 지속하는 비율(이하 “생존율”이라 함)작성하였습니다.

○ 특히, 창업자 수가 많은 생활업종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제시하여 창업 업종 선택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100대 생활업종] 생존율 추이

□ 100대 생활업종 1년 생존율’19년에서 ’22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3년 다소 하락하였습니다.

3년 생존율*’21년 51.4%, ’22년 54.7%, ’23년 53.8%이고, ’23년 기준 5년 생존율39.6%입니다.

* (예) ’21년 기준 3년 생존율은 ’18년에 창업한 사업자 중 ’21년까지 계속 사업한 자의 비율임

 

 

2. [창업 관심 생활업종] 1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창업 관심 생활업종)을 ’23년 기준 1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해 보면,

○ 생존율이 높은 업종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 순이며, 생존율이 낮은 업종통신판매업(69.8%), 화장품가게(74.2%), 식료품가게(77.3%) 순입니다.

○ 생존율이 낮은 통신판매업, 화장품가게, 식료품가게는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에 폐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붙임 2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참조



 

3. [창업 관심 생활업종]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창업 관심 생활업종)을 ’23년 기준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해 보면,

○ 생존율이 높은 업종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 교습학원(70.1%) 순이며, 생존율이 낮은 업종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패스트푸드점(46.8%) 순입니다.

미용실, 펜션·게스트하우스, 교습학원은 창업 후 3년까지 생존하는 비율이 70% 이상으로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 53.8% 보다 크게 높습니다.

붙임 2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참조

 


 

4. [창업 관심 생활업종] 연령대별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

각 연령대별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을 대상으로 ’23년 기준 3년 생존율 상위‧하위 업종으로 구분해 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 40세 이상 60세 미만 사업자는 펜션·게스트하우스(73.8%), 60세 이상 사업자도 펜션·게스트하우스(76.3%)가 가장 높고, 40세 미만에서는 분식점(41.9%)이, 4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호프주점이 가장 낮습니다.

붙임 3 [연령대별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참조

 

□ 보다 자세한 100대 생활업종 생존율 통계는 국세통계포털(TASIS)게시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라며, 향후 생활업종 생존율 통계의 정기적 공개와 함께 국세통계연보 수록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 앞으로도 국세청은 국민 실생활도움을 주는 통계를 지속적으로 발굴·공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붙임1

3년 생존율 업종간 비교(’23년 기준)
사례 1

편의점이냐? 식료품가게냐?

 

□ 편의점과 식료품가게는 동네 상권을 책임지는 대표적인 소매업입니다. 두 업종의 3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편의점69.1%, 식료품가게54.3%으로 두 업종 모두 생활업종 평균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식료품가게 : 편의점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는 소규모 소매 점포

 

사례 2

커피음료점 vs 치킨전문점 vs 피자·햄버거전문점 vs 제과점

 

□ 커피음료점, 패스트푸드점(피자·햄버거전문점, 치킨전문점), 제과점의 3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제과점(58.5%), 커피음료점(53.2%), 피자·햄버거전문점(51.0%), 치킨전문점(45.4%) 순입니다.



 

사례 3

옷가게냐? 화장품가게냐?
□ 옷가게와 화장품가게의 3년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옷가게54.3%로 생활업종 평균보다 높고, 화장품가게47.6%로 생활업종 평균보다 낮습니다.



 

 
붙임2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1 개요

’23년 중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을 선정한 후, 각 업종 사업자의 ’23년 기준 1년 생존율 및 3년 생존율 산정

 

2 창업 관심 생활업종 생존율

업 종 명

업 종 명

1년 생존율
3년 생존율
미용실
91.1%
미용실
73.4%
펜션ㆍ게스트하우스
90.8%
펜션ㆍ게스트하우스
73.1%
편의점
90.3%
교습학원
70.1%
교습학원
90.0%
스포츠교육기관
69.9%
교습소ㆍ공부방
87.8%
교습소ㆍ공부방
69.3%
스포츠교육기관
87.6%
편의점
69.1%
피부관리업
86.0%
피부관리업
67.3%
일식음식점
85.3%
실내장식가게
66.8%
실내장식가게
83.7%
부동산중개업
60.1%
커피음료점
83.5%
옷가게
54.3%
패스트푸드점
82.1%
식료품가게
54.3%

치킨전문점
(80.7%)
일식음식점
53.8%

피자·햄버거전문점
(84.1%)
커피음료점
53.2%
기타외국식음식점
81.8%
기타외국식음식점
51.1%
중식음식점
81.0%
한식음식점
50.1%
부동산중개업
80.7%

일반한식점
(50.1%)
분식점
80.4%

고깃집
(50.5%)
한식음식점
80.3%

면요리점
(52.9%)

일반한식점
(80.2%)

해산물요리점
(50.9%)

고깃집
(81.3%)
중식음식점
49.4%

면요리점
(83.9%)
화장품가게
47.6%

해산물요리점
(79.5%)
패스트푸드점
46.8%
옷가게
78.6%

치킨전문점
(45.4%)
식료품가게
77.3%

피자·햄버거전문점
(51.0%)
화장품가게
74.2%
분식점
46.6%
통신판매업
69.8%
통신판매업
45.7%

* 업종명 앞 “◯n” 은 ’23년 신규 사업자 수 순위

 

붙임3

[연령대별 창업 관심 생활업종] 선호 업종 및 생존율

 

1 개요

’23년 중 연령대별(40세 미만, 4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 100대 생활업종 신규 사업자수가 많은 상위 20개 업종을 선정한 후, 연령대별·업종별 사업자의 ’23년 기준 3년 생존율 산정

 

2 창업 관심 생활업종 생존율

40세 미만
4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
업종명
3년 생존율
업종명
3년 생존율
업종명
3년 생존율
미용실
73.9%
펜션ㆍ게스트하우스
73.8%
펜션ㆍ게스트하우스
76.3%
스포츠교육기관
70.7%
미용실
72.9%
편의점
68.6%
피부관리업
70.6%
편의점
71.2%
채소가게
63.9%
교습학원
70.2%
교습소ㆍ공부방
71.1%
옷가게
59.7%
교습소ㆍ공부방
67.1%
교습학원
70.9%
실내장식가게
58.6%
실내장식가게
67.0%
실내장식가게
68.3%
부동산중개업
57.8%
사진촬영업
66.0%
기술ㆍ직업훈련학원
65.9%
노래방
57.3%
편의점
65.3%
피부관리업
62.4%
식료품가게
54.9%
제과점
57.5%
부동산중개업
62.1%
주차장운영업
54.7%
부동산중개업
55.4%
옷가게
57.3%
당구장
53.8%
일식음식점
53.2%
식료품가게
55.7%
커피음료점
53.7%
커피음료점
51.8%
커피음료점
54.8%
여관ㆍ모텔
53.3%
기타외국식음식점
50.8%
한식음식점
52.4%
슈퍼마켓
53.1%
중식음식점
50.4%
기타외국식음식점
52.1%
한식음식점
52.1%
옷가게
49.6%
통신판매업
51.6%
분식점
51.0%
화장품가게
46.8%
패스트푸드점
49.7%
중식음식점
45.5%
한식음식점
46.1%
중식음식점
49.3%
화장품가게
45.0%
패스트푸드점
44.4%
분식점
49.0%
패스트푸드점
44.1%
통신판매업
43.5%
화장품가게
48.8%
통신판매업
44.0%
분식점
41.9%
호프주점
46.7%
호프주점
44.0%

* 업종명에 밑줄 표기된 업종은 전체 신규 사업자 수 기준 상위 20개 업종에 포함되지 않은 업종

** 업종명 앞 “◯n” 은 ’23년 신규 사업자 수 순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