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3/4분기 「생활인구」 산정결과
2025.03.27 통계청

통계청(청장 이형일)과 행정안전부는 89개의 전체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3/4분기 「생활인구*」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였다.
*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으로서 ‘주민등록인구’, ‘외국인등록인구(재외동포거소신고자 포함)’ 및 ‘등록지 이외의 시군구에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날이 월 1일 이상인 사람(이하 체류인구)’ 모두를 말함
이번 산정에 활용된 자료는 행정안전부, 법무부의 주민등록·외국인등록 자료와 통신 3개사(SKT, KT, LG U+)와 카드 4개사(신한, BC, 삼성, 하나) 및 신용정보사(KCB) 등 10개 기관의 자료를 가명결합한 것으로서 통계청은 고시에 따른 지역별 생활인구, 체류인구의 규모를 포함하여 각 인구감소지역의 활동 특성, 소비 특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감소지역 전체의 생활인구는 ’24.8월 약 3,362만명으로 지난 6월보다 약 514만명 증가하였으며, 이 중 체류인구는 약 2,872만명으로 등록인구 약 489만명의 5.9배를 보여 지난 6월의 4.8배보다 커졌다.
등록인구 중 내국인은 매월 감소하는 반면 외국인은 늘어 등록인구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체류인구는 여름 휴가철과 추석 명절을 맞아 3/4분기 중 전반적으로 늘었으며, 특히 8월은 휴가철의 영향으로 체류인구가 가장 많았다.
관광형 체류인구는 30세 미만 또는 비인접 시도에 거주하는 사람의 비중이 높고 8월에 크게 증가한 반면, 통근·통학형 체류인구는 50대 또는 동일 시도에 거주하는 사람의 비중이 높고 8월과 9월에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두 개 유형이 대비되는 특징이 있었다.
인구감소지역의 체류인구 1인당 평균 카드 사용액은 ’24.7월 11만9천원으로 3/4분기 중 가장 많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평균 사용액이 큰 경향이 있었다. 체류인구의 카드 사용 합계액은 전체 카드 사용액의 절반 가까이(8월 49.7%)를 차지해 지역 경제에 적잖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전반적으로 음식, 소매에서의 카드 사용이 많은 가운데, 강원은 문화·여가, 숙박, 광역은 보건의료에서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등 지역 특성이 나타났다.
외국인은 내국인보다 타 지역으로 이동이 많지 않았으며, 평균 카드 사용 금액도 내국인보다 적고 생활을 위한 필수 업종 위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통계청이 산정하는 생활인구를 통하여 소멸 위기에 처한 인구감소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다양한 지원정책이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통계청은 디지털플랫폼 정부의 데이터 기반 정책을 충실히 지원하기 위해 생활인구와 같은 유용한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 힘을 쏟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민관 데이터 가명결합 기반 ’24년 3/4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
|
- 민관 데이터 가명결합 기반 -
’24년 3/4분기『생활인구』산정 결과
|
|
2025. 3.
|
통계청
빅데이터통계과
|
|
|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제도과
|
|
일 러 두 기
|
|
|
|
|
||
|
|
|
|
□ 생활인구는 국가승인통계가 아니며, 통계작성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실험적통계* 2024-002호임
*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실험적으로 작성하는 통계로서 작성 이후 신뢰성 및 타당성의 확인‧점검이 필요하며, 개선 과정에 있으므로 공표 시점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음
□ 작성개요
○ (작성목적) 인구감소지역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지역 맞춤형 정책 발굴을 지원하기 위함
○ (작성방법) 민관데이터 가명결합 기반
○ (활용자료) 주민자료행안부, 외국인등록·국내거소신고자료법무부, 통신 모바일SKT,KT,LGU+, 신용카드 사용액신한,삼성,BC,하나, 직업KCB 등
○ (산정주기 및 공표주기) 월별 산정, 분기 공표
○ (공표방법) 보도자료 배포 및 통계표 게시(통계청 홈페이지)
□ 주요 용어 정의(부록1 참고)
○ (인구감소지역)「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제2조제12호에 따라 지정된 89개 자치 시군구
○ (생활인구)「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제2조제2호에 따라 정의된 인구로서, 정주인구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체류하며 지역의 실질적인 활력을 높이는 사람까지 포함된 인구(등록인구와 체류인구의 합)
○ (체류인구) 통근, 통학, 관광 등의 목적으로 방문하여 체류하는 사람으로서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날이 월 1일 이상인 사람
○ (등록인구) 주민등록인구, 외국인등록인구 및 국내거소신고자의 합
|
□ 자료 이용 시 유의사항
○ 생활인구, 체류인구의 정의는「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및 동법 시행령에 따른 정의로서 일반적인 거주지 중심의 인구 정의와 차이가 있음
○ 체류인구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에 기록된 이동정보를 사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통신3사의 통신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고객 및 가명결합 과정의 결합 실패 등으로 정보의 누락이 발생하여 이를 보정*하였으나, 해당 시군구의 실제 체류인구수와 차이 날 수 있음
* 체류인구 보정계수: 분석에 활용된 지역별 등록인구수 대비 전체 등록인구수의 배수(성별/연령별/내·외국인별로 세분하여 적용)
○ 신용카드 사용액(체크카드 포함)은 승인액 기준으로 입수한 자료로서, 4개 카드사를 사용하지 않는 고객 및 가명결합 과정의 결합 실패 등으로 정보의 누락이 발생하여 해당 시군구의 실제 신용카드 사용액과 차이가 날 수 있음
○ 활용된 자료의 항목별 기준시점, 작성기준 등을 고려하여 결과를 해석할 필요가 있음
< 활용자료별 기준시점 >
|
||
자료명
|
입수 항목
|
기준시점
|
주민등록자료(행안부)
|
인구정보(연령, 성별, 등록지역 등)
|
매월 말일
|
외국인등록자료(법무부)
|
인구정보(연령, 성별, 등록지역 등)
|
|
직업 정보(KCB)
|
직업정보(직장 소재지, 직업 구분 등)
|
최근 신고일
|
통신 모바일 자료(통신사)
|
체류정보(체류지역, 체류일, 체류시간 등)
|
매월 1일~말일
|
카드 사용 정보(카드사)
|
신용카드 사용 정보(사용 지역/업종 등)
|
|
○ 통계표에 수록된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표내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본 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kostat.go.kr) 및 통계청 빅데이터 활용(https://data.kostat.go.kr/nowcast) 포털에 게시 예정임
|

2024년 3/4분기 생활인구 요약
|
|||||||||||
□ 생활인구 현황
○ 89개 인구감소지역 전체의 생활인구는 ’24.8월 여름 휴가철을 맞아 약 3,362만명(5.9배)으로 ’24.1월~9월 중 최고값
- 8월 강원의 체류인구 배수는 11.8배, 그중 양양군은 28.2배로 전체 인구감소지역 중 가장 높았음(강원 고성24.6배, 경기 가평22.4배, 강원 평창17.5배)
|
|||||||||||
(단위: 천명, 배)
|
|||||||||||
|
’24.7월
|
’24.8월
|
’24.9월
|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생활인구
|
26,863
|
-1,614
|
-5.7%
|
33,618
|
6,756
|
25.1%
|
30,932
|
-2,686
|
-8.0%
|
||
|
등록인구(A)
|
4,900
|
-2
|
0.0%
|
4,894
|
-6
|
-0.1%
|
4,890
|
-4
|
-0.1%
|
|
|
|
주민등록
|
4,752
|
-7
|
-0.1%
|
4,745
|
-7
|
-0.2%
|
4,740
|
-5
|
-0.1%
|
|
|
외국인
|
148
|
5
|
3.2%
|
149
|
1
|
0.8%
|
150
|
1
|
0.6%
|
|
체류인구(B)
|
21,963
|
-1,612
|
-6.8%
|
28,724
|
6,762
|
30.8%
|
26,042
|
-2,682
|
-9.3%
|
|
배수(B/A)
|
4.5
|
-0.3
|
-6.8%
|
5.9
|
1.4
|
30.9%
|
5.3
|
-0.5
|
-9.3%
|
||
□ 체류인구 특성
○ 평균 체류일수는 약 3.2일(3.4일7월, 3.0일8월, 3.1일9월), 평균 체류시간은 약 12.1시간(12.1시간7월, 12.1시간8월, 12시간9월), 평균 숙박일수는 약 3.2일(3.5일7월, 3.0일8월, 3.1일9월)
- 타시도 거주자 비중은 약 70.0%이며, 강원은 타시도 거주자 비중이, 광역은 동일시도 비중이 가장 높음
○ 외국인의 체류인구 배수는 약 3.0배(2.6배7월, 3.5배8월, 3.0배9월), 평균 체류일수 약 4.1일(4.4일7월, 3.8일8월, 4.0일9월), 평균 체류시간 약 13.8시간(14.0시간7월, 13.7시간8월, 13.8시간9월)으로 내국인에 비해 이동은 적은 경향
○ 체류인구 유형 중 단기숙박형(관광‧휴양)은 여성, 30세 미만, 비인접 시도 거주자의 비중이 전체 체류인구 비중보다 높고,
- 통근‧통학형은 남자, 40~50대의 비중이 체류인구 비중보다 높음
□ 소비 특성
○ 인구감소지역 전체의 인당 평균 카드 사용 금액은 약 112천원(119천원7월, 111천원8월, 107천원9월)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임
- (체류유형별) 단기숙박은 문화‧여가에서, 통근‧통학은 운송·교통에서, 장기 실거주는 음식, 교육 등에서 평균 사용 금액이 크게 나타남
○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의 카드 사용액 비중은 45% 이상이며, 특히 강원과 광역은 50% 이상을 차지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구장 32개 규모 '평택·당진항 항만배후단지 개발사업' 착공 (0) | 2025.03.30 |
---|---|
'DMZ 평화의 길' 10개 테마노선, 4월 18일 전면 개방 (0) | 2025.03.30 |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따른 통신 등 피해·복구현황(3.29. 11시 기준) (0) | 2025.03.30 |
'고품질'로 '오래' 저장, 고구마 저장 기술 표준화 박차 (0) | 2025.03.30 |
보훈부, 산불 피해 국가유공자 위로금과 주택우선공급 등 신속 지원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