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따른 통신 등 피해·복구현황(3.29. 11시 기준)
2025.03.2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조치 경과
ㅇ 전국 동시다발 산불로 인한 통신시설·유료방송 등 피해 실시간 대응
※ 디지털기반안전과장 주재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 “주의” 단계 발령(3.25 19:19),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주재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경계‘ 단계 상향(3.27 22:00)
ㅇ 주요 사업자의 통신시설 피해 현황을 24시간, 4시간 간격 보고 받는 등 모니터링 강화
※ 매일 03시, 07시, 11시, 15시, 19시, 23시 보고
ㅇ 청송, 영덕 등 산불 추가 확산 지역의 통신 복구를 위해 가용 자원 집중 투입
※ 이동기지국 14대, 간이기지국 1개소, 발전차 38대, 휴대용 발전기 211대, 현장 복구인력 809명 등(3.28. 기준)
ㅇ 방송통신 분야 피해 복구 현장의 밀착 지원을 위한 현장지원반 운영(3.28~)
ㅇ (장관 현장점검) 안동 통신망 복구, 대피소 통신 지원, 현장지원반 운영 점검(3.28.)
※ (2차관 현장지휘) 안동 지역 현장 방문을 통해 통신망 점검 및 복구 지휘(3.26)
□ 피해 및 복구상황(3.29일 11시 기준, 누적)
ㅇ (무선통신) 3개 이동통신사업자 기지국 2,885개소(전일 대비 +6) 피해 및 2,485개소(전일 대비 +101) 복구(86.1% 복구)
ㅇ (유선통신) 인터넷·인터넷전화 등 유선통신 20,027회선(전일 동) 피해 및 19,709회선(전일 대비 +873) 복구(98.4% 복구)
ㅇ (유료방송) 유료방송 19,249회선 장애(전일 동) 피해 및 19,016회선(전일 대비 +1,166) 복구(98.8% 복구)
ㅇ (주 원인) 산불로 인한 한전 정전 및 케이블 단선
ㅇ (대상 지역)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안동시, 영덕군 등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Z 평화의 길' 10개 테마노선, 4월 18일 전면 개방 (0) | 2025.03.30 |
---|---|
'24년 3/4분기 「생활인구」 산정결과 (0) | 2025.03.30 |
'고품질'로 '오래' 저장, 고구마 저장 기술 표준화 박차 (0) | 2025.03.30 |
보훈부, 산불 피해 국가유공자 위로금과 주택우선공급 등 신속 지원 (0) | 2025.03.28 |
국산 두릅, '면역력 증진' 돕는 사포닌 풍부 (0)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