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습지 18곳 추가 확인…탄소저장고 보고
2025.02.02 환경부
국립공원 습지 18곳 추가 확인…탄소저장고 보고
|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내륙습지 추가로 발견
|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송형근)은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내륙습지 18곳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간 국립공원에는 54곳의 내륙습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습지의 추가 확인으로 국립공원 내 습지는 총 72곳으로 늘어났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지난해(2024년) 한 해 동안 다양한 지형분석 자료(고도, 식생, 위치 등 6개)를 중첩하여 습지가 분포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을 추출하고, 그 중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거쳐 18곳의 신규 습지를 확인했다.
발견된 습지는 대부분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의 급경사지 또는 폐경지 주변에 위치했다.
습지는 야생동식물의 주요 서식지이자 오염 정화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 침엽수림 토양의 약 1.8배에 달하는 탄소를 비축하는 최고의 탄소저장고로 알려져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최근 발견된 습지를 포함한 전체 습지 72곳(총 면적 742,086㎡)에 대해 육화ㆍ건조화 진단 평가*를 올해 말까지 실시하여 소실이 우려되는 습지는 물막이 시설 설치 등 보호 조치를 추진한다.
* 육화·건조화 진단 평가: 수원, 지하수면 높이, 토양함수율, 천이 등의 지표를 활용하여 습지의 육화 건조화 상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안정, 양호, 위기, 심각 4단계로 구분하여 평가
또한 국립공원별로 생태적 가치가 높은 중요 습지를 선정하여 수위변화 자동 관측 장비를 활용해 수원을 측정(모니터링)하는 등 습지 보호를 위한 분석 자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탄소 저장량이 높은 소중한 자원인 습지를 지속적으로 찾아내고, 습지 상태의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 활동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국립공원 공원별 습지 현황(신규 습지 포함).
2. 국립공원 신규 습지 현황.
3. 국립공원 신규 습지 관련 사진.
4. 습지 육화·건조화 진단평가. 끝.
붙임 1
|
|
국립공원 공원별 습지 현황(신규 습지 포함)
|
![](https://blog.kakaocdn.net/dn/cf9vzI/btsL4Kwzu7s/ddYskgqBtXzSLQdsh3yZrK/img.png)
붙임 2
|
|
국립공원 신규 습지 현황
|
공원명
|
습지명
|
면적(㎡)
|
고도(m)
|
대분류
|
중분류
|
계
|
|
131,405
|
-
|
-
|
-
|
경주
|
경주_3
|
4,391
|
140
|
내륙습지
|
산지형
|
다도해해상
|
다도해_2
|
35,266
|
5
|
내륙습지
|
산지형
|
다도해_3
|
3,741
|
5
|
내륙습지
|
산지형
|
|
변산반도
|
변산_6
|
4,082
|
113
|
내륙습지
|
산지형
|
설악산
|
설악_6
|
3,123
|
251
|
내륙습지
|
산지형
|
속리산
|
속리_1
|
3,109
|
295
|
내륙습지
|
산지형
|
월악산
|
월악_1
|
7,176
|
418
|
내륙습지
|
산지형
|
월악_2
|
8,025
|
530
|
내륙습지
|
산지형
|
|
월출산
|
월출_2
|
10,652
|
135
|
내륙습지
|
산지형
|
주왕산
|
주왕_3
|
726
|
390
|
내륙습지
|
산지형
|
치악산
|
치악_2
|
6,160
|
543
|
내륙습지
|
산지형
|
한려해상
|
한려_3
|
2,244
|
69
|
내륙습지
|
산지형
|
팔공산
|
팔공_1
|
8,938
|
850
|
내륙습지
|
산지형
|
태안해안
|
태안_1
|
7,074
|
8
|
인공습지
|
내륙
|
태안_3
|
1,055
|
4
|
인공습지
|
내륙
|
|
태안_4
|
6,440
|
4
|
인공습지
|
내륙
|
|
계룡산
|
계룡_2
|
7,846
|
223
|
인공습지
|
내륙
|
가야산
|
가야_1
|
11,357
|
922
|
내륙습지
|
산지형
|
붙임 3
|
|
신규 습지 사진
|
|
가야산국립공원(가야_1)
|
|
치악산국립공원 (치악_2)
|
|
태안해안국립공원(태안_3)
|
|
월악산국립공원(월악_2)
|
붙임 4
|
|
습지 육화·건조화 진단평가
|
□ 지하수면 높이, 토양함수율, 천이과정 등 활용한 진단평가
![](https://blog.kakaocdn.net/dn/uEzgH/btsL3qy9fMz/sZiBkf6GAQxkgQxesaBeZ1/img.png)
□ 국립공원 내륙습지 육화ㆍ건조화 등급 판정표
등급
|
물순환
|
천이
|
주요 평가항목
|
안정
|
-높은 지하수면
-풍부한 수원
|
습생천이
|
-주기적으로 지표면이 포화되거나 침수상태 유지
-탄소수지(유기물 저장, 흡수 > 분해, 세탈)
-초본류 우점(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목본류 10% 이내)
|
양호
|
-높은 지하수면
-수원 고갈(계절)
|
일시적인
건생천이
|
-주기적으로 지표면이 포화되거나 침수상태 유지
-탄소수지(유기물 저장, 흡수 ≥ 분해, 세탈)
-초본류와 목본류(10~30% 이내) 혼재
|
위기
|
-유입·유출수량 변화
-지하수면 급감
|
건생천이
|
-물길세굴과 토사유입 등으로 지하수면 저하
-토양함수율 감소
-탄소수지(유기물 저장, 흡수 ≤ 분해, 세탈)
-초본류와 목본류 혼재(버드나무 와 오리나무 등 30% 이상)
-육상식물 침입
|
심각
|
-수원고갈(영구)
-지하수면 저하
|
육상천이
|
-수원 고갈 및 단절
-탄소수지(유기물 저장, 흡수 < 분해, 세탈)
-영구적으로 습생생태계 복원이 불가능
-산림식생 비율이 50% 이상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농촌진흥청 업무계획 (0) | 2025.02.02 |
---|---|
산업부,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통해 지방투자 활성화 앞장선다! (0) | 2025.02.02 |
인공지능(AI)으로 제조업 안전사고 예방한다 (0) | 2025.02.02 |
"위기가구 발굴·지원" 국민의 일상 속으로, 더 많은 국민에게 다가갑니다 (0) | 2025.02.02 |
인력채용에 어려움이 있으시다고요? 기업 인력애로센터를 활용해보세요 (0) | 2025.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