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식약처, '25년 주요 식중독 예방 대책 발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1. 27.
반응형

식약처, '25년 주요 식중독 예방 대책 발표

2025.01.2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4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현황 통계를 확인한 결과 자외선차단제 심사가 가장 많았으며, 염모제 심사 건수가 ’23년 대비 대폭 증가*했다고 1월 24일 밝혔다.

 

* ’23년 52건 → ’24년 166건

 

24년 기능성화장품 심사964건(제조 760건, 수입 204건)으로 ’23년(944건) 대비 20건(2.1%) 증가했으며, 자외선차단제(321건), 염모제(166건), 삼중기능성(미백·주름·자외선차단)(158건), 탈모증상 완화도움을 주는 화장품(72건) 이었다.

 

’23년에 이어 ’24년에도 자외선차단제 심사가 단일 기능성 제품 중 약 46.9%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도 꾸준히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사 품목제형을 살펴보면, 액상, 로션, 크림 외에도 하이드로겔, 쿠션, 이층상(다층상)* 다양한 제품출시되고 있었다.

 

* 한 제품에 유상이나 수상 성분 등이 함께 있어 2개 이상으로 층이 분리된 제형

 

참고로 2024년 기능성화장품신규 주성분*피부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염모제 등이었다.

 

* 신규 주성분 (’22년) 15건 → (’23년) 13건 → (’24년) 12건

 

식약처는 기능성화장품 심사 통계제품 개발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기능성화장품 심사 현황을 분석하여 발표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www.mfds.go.kr) → 화장품 정책정보 → 화장품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24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현황

 

붙임

2024년 기능성화장품 심사 현황

 

기능성화장품 심사 품목 건수

구분
제조
수입
총 계
품목수
760
204
964

 

기능성 효능별 심사 비율

 
구분
기능성
심사 건수
22년
23년
24년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단일
기능성
미백
17
13
20
17
21
10
주름개선
20
13
16
10
19
16
자외선차단
176
190
192
150
169
152
염모(탈염·탈색 포함)
39
29
29
23
143
23
제모(체모의 제거)
0
1
0
0
0
0
탈모증상의 완화에 도움
17
46
72
59
32
40
여드름성 피부 완화에 도움
26
30
24
24
23
20
피부장벽
3
6
11
12
5
10
튼살로 인한 붉은 선을
엷게 하는 데 도움
1
1
2
3
1
1
소 계
299
329
366
298
413
272
이중
기능성
미백+주름개선
76
46
36
24
31
34
미백+자외선
14
12
18
12
12
9
주름개선+자외선
15
18
12
14
16
5
자외선+피부장벽
-
-
-
-
-
1
소 계
105
76
66
50
59
49
삼중
기능성
미백+주름개선+자외선
81
84
92
67
93
65
미백+주름개선+피부장벽
-
-
-
2
-
1
소계
81
84
92
69
93
66
사중
기능성
미백+주름개선+자외선+피부장벽
-
-
-
3
7
5
총 계
485
489
524
420
572
39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