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식약처, '24년 식품위생교육기관 평가 결과 발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1. 25.
반응형

식약처, '24년 식품위생교육기관 평가 결과 발표

2025.01.2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내실있는 식품위생교육 운영품질 제고를 위해 10개 식품위생교육기관*(이하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2024년 식품위생교육기관 평가’실시했다고 밝혔다.

 

* 식품위생(전문)교육기관(10개) : 「식품위생법」 제41조에 따라 식품 업종별(제조가공업, 식품접객업 등) 영업자 대상 위생교육 실시

 

교육기관 평가는 전문성객관성·공정성강화하기 위해 전문 평가기관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실시(’24년 4월 ~ 12월)하였으며, 평가항목은 교육기관별 전년도 교육 운영 적정성 및 성과, 회계 관리 현황 전반**에 대해 평가했다.

 

* 식품 및 회계분야 전문가를 평가단으로 구성

** (주요 평가항목) 교육계획 수립 및 집합·온라인 교육 운영 적정성, 회계 관리 적정성, 전년도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 여부 등 교육기관 운영 전반

 

평가결과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외식업중앙회 온라인 교육 환경, 업종별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교육기관은 강사 선정 체계 및 평가시스템 등 교육 운영 개선 회계 운영의 전산 관리 등 회계 집행 개선필요 사항이 확인되어 해당 교육기관조치하도록 요청했다.

 

식약처는 각 교육기관교육 운영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운영 원칙, 유의사항 등을 담은 「식품위생교육기관 운영 표준매뉴얼(가이드라인)」을 마련제공*한다.

 

* 식약처 대표누리집(www.mfds.go.kr) > 법령/자료 > 자료실 > 안내서/지침

 

이와 더불어 올해에도 외부 전문 평가기관을 통해 평가객관성을 확보하고 회계 관리 강사에 대한 교육도 강화교육의 품질을 제고하는 한편 업종별 다양한 교육 서비스제공토록 해 피 교육생교육 선택권확대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전문적이고 내실 있는 식품위생교육으로 120만 식품 영업자가 식품위생중요성깊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제조·가공·유통 단계 모든 분야에서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먹거리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교육기관 현황 및 운영 가이드라인

붙임

교육기관 현황 및 운영 가이드라인

□ 식품위생 교육기관 (지정연도순)

 
교육기관명
교육 대상
지정 연도
한국식품산업협회
식품제조업·판매업 등 16개 업종
1987
동업자
조합
대한제과협회
제과점
1993
한국외식업중앙회
일반음식점
1987
한국단란주점업중앙회
단란주점업
1993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유흥주점업
1993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
휴게음식점, 식품자동판매기
1993
한국식용유지고추가공업협회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중 압착식용유업
2011
한국추출가공식품업중앙회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중 추출가공업
2011
한국떡류식품가공협회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중 떡류가공업
2011
식품위생교육
전문기관
한국외식산업협회
일반음식점, 집단급식소, 위탁급식영업
2014

□ 교육기관 운영 가이드라인

항목
교육기관 운영 가이드라인(요약)
집합
교육
교육계획 및 기획 체계 마련
교육평가/결과의 즉각적 반영
표준교재 및 강의 교안 제작
▪교육계획 수립의 절차 마련
▪교육기획 회의 등 기획점검 체계
▪강사선정 위원회 등 강사선정 체계
▪개선 사항의 즉각적 반영을 위한 체계 마련
▪개선 사항 환류 활동 활성화
▪결과 보고 일이 초과되지 않도록 관리 필요
▪표준교재 활용도 향상을 위한 교과목별 표준강의 교안 제작
▪강사는 사례 중심의 강의 내용 추가 활용
온라인
교육
시스템 필수 기능 점검/개선
콘텐츠진단/관리 철저
온라인 평가 개선
▪본인 학습 확인 (인증, 대리 수강 방지)
▪움직임 감지 기능 (이석 시 로그아웃)
▪동시학습 불가 기능 (부정 수강 방지)
▪학습집중 향상 기능 (돌발퀴즈, 사례 영상 등)
▪주기적인 교육내용 모니터링
▪실효성 있는 온라인교육 고도화
▪맞춤형 콘텐츠개발 (맞춤형, 사례, 흥미)
▪문제 은행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POOL 확보
▪학습을 독려할 수 있는 평가기능 추가/개선
회계
관리
교육비 검토
회계운영의 전산화
회계관련 운영가이드
▪교육비의 기관 간 차이 개선을 위한 개편
▪전문기관 위탁을 통한 교육비 적정성 검토
▪회계 투명성/객관성/통일성 확보를 위한 통합회계시스템 구축
▪동일한 기준에서 장기적 회계 관리 필요
▪위생교육의 공통 사항에 대한 운영가이드 필요
▪회계담당자 위생교육 관련 회계 교육 지속 실시
기관
평가
운영
표준규정 제공
정기적인 모니터링 체계구축 필요
위생교육 평가 시행일 검토
▪위생 교육기관 운영 관련 공통 사항 도출
▪위생교육의 객관적 기준 마련 및 통일화
▪분기별 미 이행 사항에 대한 결과 제출
▪전년도 지적 사항에 대한 이행 관리 필요
▪상반기 시행 시 나온 개선 사항을 하반기에 조기 반영
▪평가 시행 기간 검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