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정부업무평가 결과 보도자료
2025.01.21 국무조정실
□ 국무조정실(실장 방기선)은 1.21(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 국무회의에서 「2024년도 정부업무평가 결과」를 보고하고 이를 발표하였다.
□ 이번 평가는 46개 중앙행정기관의 2024년도 업무성과를 주요정책, 협업, 규제혁신, 정부혁신, 정책소통 5개 부문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ㅇ 평가의 객관성·공정성을 위해 전 부문에 걸쳐 민간 전문가(217명)가 참여․평가하였고, 일반국민(39,094명) 대상 국민만족도 조사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였다.
□ 특히, 이번 평가에서는 부처간 협업 강화를 통한 국민편의 증진을 위해 협업 부문이 신설되었으며,
ㅇ 지나친 기관 서열화를 지양하고 성과 창출에 집중하기 위해 기관 종합 등급을 폐지하고, 부문별 우수기관 및 우수과제를 중심으로 발표하기로 하였다.
□ 주요정책·규제혁신·정부혁신·정책소통 부문은 기관별 평가로, 협업 부문은 과제별 평가로 진행되었으며, 평가결과는 정부업무평가위원회(공동위원장 : 국무총리, 박광국 가톨릭대 명예교수)가 심의·의결(1.17) 하였다.
□ 주요정책, 협업, 규제혁신, 정부혁신, 정책소통 등 부문별 우수 기관 및 우수과제는 다음과 같다.
ㅇ 주요정책 부문 우수기관
* 직제순
장관급 기관
|
차관급 기관
|
과기정통부, 문체부, 농식품부,
고용부, 해수부, 공정위
|
조달청, 통계청, 방사청,
국가유산청, 농진청, 산림청
|
ㅇ 협업 부문 우수과제
* 과제명 가나다순
구분
|
과제명
|
소관기관
|
전략
|
국토-환경 이해관계에 대한 상호 이해
|
국토부, 환경부
|
농산물 생산·유통체계 안전관리 역량 강화
|
농식품부, 식약처
|
|
산업수요 맞춤형 직업계고 인재양성
|
교육부, 고용부
|
|
해양레저·국내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관광 경쟁력 강화
|
문체부, 해수부
|
|
일반
|
극한 호우 대비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맞춤형 예보·정보제공 체계 구축
|
환경부, 과기정통부, 기상청
|
금융 통신 통합 채무조정
|
금융위, 과기정통부
|
|
녹색투자 확대를 통한 저탄소 체계로의 전환 가속화
|
환경부, 금융위, 산업부, 중기부
|
|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과학적인 산림재난 예측·예방 체계 구축
|
산림청, 농진청, 행안부, 농식품부,
국토부, 기상청, 산업부
|
|
상호금융감독 협업체계 구축
|
금융위, 행안부, 농식품부, 해수부
산림청
|
|
서민·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을 위한 금융·고용 복합지원
|
금융위, 고용부, 복지부
|
|
선량한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불합리한 규제개선
|
중기부, 법제처, 식약처, 기재부,
여가부, 복지부, 문체부, 경찰청
|
|
혁신적 조달기업 성장지원 체계 마련
|
조달청, 중기부
|
ㅇ 규제혁신 부문 우수기관
* 직제순
장관급 기관
|
차관급 기관
|
과기정통부, 행안부, 농식품부,
산업부, 환경부, 국토부
|
식약처, 관세청, 조달청, 산림청
|
ㅇ 정부혁신 부문 우수기관
* 직제순
장관급 기관
|
차관급 기관
|
과기정통부, 농식품부, 환경부,
고용부, 국토부, 해수부
|
인사처, 식약처, 조달청,
농진청, 산림청, 해경청
|
ㅇ 정책소통 부문 우수기관
* 직제순
장관급 기관
|
차관급 기관
|
기재부, 행안부, 농식품부,
산업부, 고용부, 해수부
|
식약처, 조달청, 통계청,
농진청, 산림청, 기상청
|
□「2024년도 정부업무평가 결과」를 종합해보면,
ㅇ 역대 최고 농식품 수출실적을 달성하고 농지이용규제를 개선한 실적 등으로 농식품부가 기관평가 4개 부문(주요정책·규제혁신·정부혁신·정책소통)에서 모두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 혁신도전형 R&D 육성체계 마련 등 신성장동력 창출 기반을 마련한 과기부, 육아지원 강화 등 일 가정 양립 정책을 적극 추진한 고용부, 해양 수산업 수출산업화를 지원한 해수부 등이 3개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ㅇ 아울러, 차관급 기관에서는 공공조달길잡이 도입으로 초보 기업에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 조달청, 산불피해를 최소화하고 산사태 피해를 감소시킨 산림청이 4개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 건강기능식품 거래 관련 규제 등을 개선한 식약처, 가루쌀 신품종(전주695호)를 개발하고 구성원 의견을 바탕으로 조직문화를 개선한 농진청이 3개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ㅇ 협업 부문(과제 단위 평가)에서는 부처간 칸막이 해소를 통해 우호적 협업 분위기를 조성하고 실질적 성과를 도출한 과제들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 국무조정실은 이번 평가결과를 국민들에게 공개하고 향후 관련 정책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ㅇ 먼저, 부문별 실적과 개선·보완 필요사항을 정부업무평가위원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ㅇ 또한, 평가를 통해 나타난 개선ㆍ보완 필요사항은 소관 기관에 전달하여 각 기관이 신속하게 정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아울러, 평가결과가 우수한 기관에는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따라 포상금을 지급하는 한편, 업무 유공자 포상도 별도로 실시할 방침이다.
□ 이번 평가결과 나타난 부문별 주요성과와 보완 필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주요정책 부문
ㅇ 주요정책 부문에서는 미래 성장 동력 강화, K-콘텐츠·K-푸드 등 수출 지원 확대, 육아 지원·소비자 및 소상공인 권익 보호 등 민생과 밀접한 정책 성과를 창출한 기관들이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 ▴혁신산업 생태계 구축(과기정통부) ▴K-콘텐츠 확산(문체부) ▴농식품 역대 최고 수출(농식품부) ▴일‧가정 양립 활성화(고용부) ▴해양수산업 수출산업화(해수부) ▴플랫폼 공정거래질서 확립(공정위)
ㅇ 2024년 46개 중앙행정기관이 중점 추진한 주요 정책을 평가한 결과 나타난 경제, 사회, 일반행정, 외교안보 분야별 성과는 다음과 같다.
ㅇ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도 관계기관간 공조를 통해 주요 거시지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혁신산업 육성 등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민생과 밀접한 분야에서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 역대 최대 수출을 달성하고, 대외신인도를 유지하는 한편,
∙ ‘24년 수출액 6,838억달러(역대 최대 수출), 물가상승률 2.3%(4년만에 최저치)
∙ 주요 신용등급 : S&P AA, 무디스 Aa2, Fitch AA-
|
- 민관협력 강화로 경제영토를 확장하고, 혁신산업 성장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 체코 원전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24.7월), 사우디 파딜리 가스시설 수주(’24.4월)
· 26조 규모 반도체 산업 지원(’24.6월), 인공지능기본법 제정(‘24.12월), 혁신도전형 R&D 육성 체계 마련
|
- 주거‧교통 부담 완화 및 지방균형 발전으로 국민 삶의 질 제고에 주력하였다.
∙ 주택 공급기반 확대(재건축 패스트트랙 도입, 신규택지 후보지 5만호 지정 등), GTX-A노선 개통‧K-패스 도입
∙ 비수도권 기회발전특구 등 지역투자 촉진, 대경선 광역철도 개통(‘24.12월) 등 초광역권 구현
|
- 아울러, 플랫폼 시장 질서를 확립하고 농수산업 수출지원을 위해 힘썼다.
∙ 해외 온라인쇼핑몰(알리, 테무) 불공정약관 시정,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방안 마련(’24.11월)
∙ 판로 확대 지원으로 K-푸드(’24년 99.8억불)‧K-씨푸드(2년 연속 김 수출 1조원) 최대 수출 실적
|
ㅇ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안전망 강화, 노동‧교육 등 구조개혁 및 저출생 대응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기반을 마련하고, 문화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노력하였다.
- 맞춤형 복지 확충 및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통해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 3년 연속 기준중위소득 인상(6.42%), 한부모가족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24.9월)‧노인 맞춤 돌봄서비스 확대
∙ 지역의료기반 확충 및 소아‧중증‧응급 등 필수 의료체계 지원 확대(‘24년 1조 2천억원 투자)
|
- 일·가정 양립 지원, 돌봄 공백 해소를 통한 저출생 극복에 힘쓰는 한편,
∙ 출산·양육기 경제적 부담 완화(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 기간 확대, 부모 급여‧첫만남이용권 지원 강화)
∙ 육아지원 3법 개정(’24.9월, 육아휴직 기간‧급여 확대 등), 돌봄 공백 해소 위한 늘봄학교 전국시행
|
- 안정적 노동시장 구축과 교육개혁을 통한 지속가능 사회 기반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
∙ 대화·타협의 노사관계 지원(노사분규건수 감소 ‘23년 223건→‘24년 131건), 상습체불근절법 통과(’24.9월)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기반 마련, 글로컬 대학 지정 확대(’23년 10개 → ’24년 20개)
|
- 또한, K-콘텐츠 확산 등 글로벌 문화강국 도약을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
∙ 역대 최대 규모 정책금융 지원(1조 7,400억원), 저작권보호 강화, 수출지원 확대 등 통해 K-콘텐츠 확산
· 국가 유산 관리체계 개편 및 데이터 무료 개방(‘24.5월)으로 민간 활용 촉진·미래자산으로 육성
|
ㅇ 디지털 공공서비스 확대, 부처간 협업 강화를 통해 정부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지방시대 실현 기반을 확충하고, 국가유공자 보상을 강화하였다.
- 디지털 정부혁신으로 국민 편의를 제고하고, 부처간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24.12월), 민원‧공공서비스 구비서류 제로화(421개 서비스)
∙ 국‧과장급 핵심인력 대상 전략적 인사교류 실시(24개 직위)로 부처간 협업 증진
|
- 지역맞춤형 지방분권을 강화하고,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였으며,
∙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출범(’24.3월) 등 대규모 지역투자 본격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24.1월)
∙ 보훈대상자 등록심사체계 개선(고엽제후유증 인정 질병 확대 등), 4년 연속 5%대 국가유공자 보상금 인상
|
- 주요 민생범죄를 엄단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보이스피싱, 전세사기 등 민생침해 범죄에 엄정 대응, 형사공탁제도 악용 방지 방안 마련(’24.9월)
∙ 과학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 관리체계 강화로 풍수해 인명피해 대폭 감소(최근 5년 연평균 30명 → ’24년 6명)
|
ㅇ 한미동맹‧한미일 협력, 첨단전력 확보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수호하고, 외교지평을 확장하였으며, 방위산업 육성 등 미래 안보 기반을 내실화하였다.
-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한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양·다자 외교를 확대하였으며,
∙ 한미 한반도 핵억제·핵작전 지침 공동성명 채택(’24.7월), 한미일 다영역 3자훈련 실시(’24.6월・11월)
∙ 한-아세안 포괄적전략동반자 관계 격상(’24.10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24.6월), 한-쿠바 수교(’24.2월)
|
- 첨단기술 중심 국방 태세를 공고화하고, 핵심 무기체계를 적기에 확보하였다.
∙ 전략사령부 창설(’24.10월), 국방 AI센터 개설(’24.4월) 등 AI 기반 유무인복합전투체계 추진
∙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L-SAM) 독자개발 완료(‘24.11월) 등 한국형 3축체계 핵심전력 확충
|
- 아울러, 방위산업을 수출 산업화하고 군복무 보상도 강화하였다.
∙ 방산 분야 세제지원 신설(자체투자 법인세의 6~18% 세제지원), 방산 협력 MOU 체결(사우디, 캐나다)
∙ 병사 급여를 단계적으로 개선(‘23년 월 100만원 → ‘24년 월 125만원 → ‘25년 월 150만원(병장기준))
|
ㅇ 다만, 민생경제 회복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속적 성장동력 확보,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한 보완대책 마련, 딥페이크 등 허위조작정보 대응 관련 가시적 성과 창출, 공공기관 개인정보의 철저한 관리 등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② 협업 부문
ㅇ 협업 부문은 올해 신설된 과제 단위의 평가로 38개 부처가 참여하여 47개 협업 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였다.
- 협업 부문은 중앙부처 국・과장급 전략적 인사교류(24개 직위)에 따라 과제를 선정・추진한 전략 협업 분야(12개 과제)와 국민 체감 성과 창출을 위해 기관 간 협업이 긴요한 핵심과제 중심으로 선정・추진한 일반 협업 분야(35개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 협업 부문 평가 도입으로 상호 배치되는 정책 가치 등으로 협력이 어려웠던 기관간 우호적 협업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며, 개별부처의 한계를 넘어 보다 종합적인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
ㅇ 부처간 인사교류를 기반으로 한 칸막이 해소를 통해 행정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국민편의를 제고하는 등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였다.
∙ 국토부-환경부용인 반도체 산단 관련 사전 컨설팅 등을 통해 환경영향평가 기간 단축(통상 1년→4개월)
∙ 농식품부-식약처생산-유통단계 합동 조사 등으로 농약성분 부적합 건수 감소(‘23.11월 362건 →’24.11월 261건)
∙ 교육부-고용부직무능력은행-NEIS 연계 서비스 제공(‘24.6월) 등 직업계고 학생 생애 경력관리 지원
∙ 문체부-해수부맞춤형 관광상품 개발・홍보 강화 통해 크루즈 관광객수 급증(81만명, 전년比 3배↑)
|
ㅇ 아울러, 상호 정책 기반 활용 및 관계기관간 정보·역량결집 등을 통해 서민·취약계층을 지원하고, 국민 안전 확보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민생을 지원하였다.
∙ 환경부-과기정통부·기상청홍수 특보지점 대폭 확대(75곳→223곳), 인공지능(AI) 기반 홍수예보 시스템 구축(’24.5월) 및 홍수 위험 내비게이션 안내(6개社, ‘24.7월~) 등 극한 호우 대비 안전 확보 체계 마련
∙ 금융위-과기부금융-통신 통합 채무조정을 통해 취약계층 부담 경감(‘24.6월~12월, 약 2.4만명 지원)
∙ 환경부-금융위·산업부·중기부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적용한 녹색자산유동화증권 발행 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이자비용 등)로 중소·중견 기업 녹색투자 확대 유도 (‘23년 74개社, 1,555억원 → 139개社, 3,228억원 채권 발행)
∙ 산림청-농진청·행안부·국토부·농식품부·산업부·기상청각 부처의 위험사면정보(206만건)를 연계하여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 도입, 재해 경감 기여(산사태 피해 면적 감소 ’23년 459ha→’24년 179ha)
∙ 금융위-행안부·농식품부·해수부·산림청범부처 협업조직인 ‘상호금융팀’ 신설, 외형·실질에 맞는 상호금융권 규제 정비 및 새마을금고 관리·감동 강화 통해 상호금융권에 대한 국민 신뢰 회복 노력
∙ 금융위-고용부·복지부금융·고용·복지 복합 지원 기반 강화, 지원대상 확대로 수혜자 증가(’23년4.7만명→’24년7.9만명)
∙ 중기부-법제처·기재부·문체부·복지부·여가부·식약처·경찰청청소년 나이 확인 법령(11개) 일괄 개정 통해 행정 처분 근거 마련 및 처벌기준 완화 등으로 선량한 소상공인 적극 보호
∙ 조달청-중기부미래 핵심 산업 분야 R&D개발 제품(50여개) 실증 지원 등 혁신적 조달기업 성장 뒷받침
|
ㅇ 다만, 이러한 협업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부처간 더 많은 소통·협력 노력이 필요하며, 대규모·장기 프로젝트의 경우 지속적인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홍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접근이 요구된다.
③ 규제혁신 부문
ㅇ 규제혁신 전략회의 등 규제혁신 추진체계를 통한 범정부 규제혁신 노력으로 국민과 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핵심규제를 신속히 개선하였고
∙ 단통법‧R&D 예타 폐지 등 규제 개선(과기부), 상수원보호구역 입지규제 등 환경규제 개선(환경부), 자투리농지 활용 등 농지규제 개선(농식품부), 폐교재산 무상 양여 등 지역규제 개선(행안부)
|
- 민간 주도 규제심판, 규제혁신추진단 등을 통해 이해관계자 간 갈등, 부처간 이견 등으로 장기간 미해결된 갈등규제를 적극 조정하였으며,
∙ (규제심판) 건강기능식품 개인간 재판매 허용(식약처), 렌터카 차량등록‧사용가능기한 연장(국토부)
∙ (추진단) 인증규제 개선(산업부), 공공SW사업 대기업 참여제한규제 개선(과기부) 등
|
- 경제단체‧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현장 중심으로 국민 불편·부담 규제, 중기·소상공인 영업부담규제 등 민생규제를 적극적으로 혁파하였다.
∙ 농어촌도로‧하천 점용료 감면(농식품부‧환경부) 청소년 신분증 위‧변조에 속은 선량한 영업자 행정처분 완화(복지부‧문체부), 온누리상품권 사용가능한 골목형 상점가 지자체 자율 지정(중기부) 등
|
ㅇ 이와 함께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전면 개편하여 신산업 규제혁신제도를 내실화하고, 신산업 기업‧전문가 등과 소통하며 현장의 규제애로사항을 속도감있게 개선하였다.
∙ (규제샌드박스) 378건 신규 승인, 행정규제기본법 개정* 등 제도 내실화
* 규제개혁위원회의 규제특례 관련 이견조정 강화, 표준업무지침 적용 근거 마련 등
∙ (기업애로)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기간 확대(국토부), 주유소 내 ESS 설치 허용(산업부)
|
ㅇ 국민‧기업의 규제부담 완화를 위해 신설‧강화 규제 및 재검토기한 도래 규제 심사를 강화하여 불합리한 규제 생성을 억제하였고,
- 규제비용감축제를 적극 운영하여 규제순비용 약 8,800억원을 감축하였으며, OECD의 규제정책 평가에서도 최초로 1위를 달성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 (재검토규제) ’24년 재검토 기한이 도래한 규제중 191건 정비
∙ (신설․강화규제)▴중요규제 비율: (’23) 13.1% → (‘24) 14.0% ▴개선권고율 : (’23) 81.3% → (‘24) 82.6%
|
ㅇ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정부 출범 후 2,900건의 규제 개선을 완료하였으며, 약 148조원의 경제효과가 예상된다.
ㅇ 앞으로도 국민과 기업의 규제혁신 성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현장 소통을 강화하고, 규제혁신 법률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위해 국회 등과의 지속적인 소통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
④ 정부혁신 부문
ㅇ 정책 고객과의 현장 소통 강화 및 정책 수요 예측‧분석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사각지대를 발굴하여 국민 불편을 해소하였다.
∙ 지역특화산업 기업을 방문하여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현장소통 시리즈’ 운영(조달청)
∙ 섬‧어촌주민에 의료‧생활‧행정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찾아가는 어복버스 운영(해수부)
|
ㅇ 일하는 방식 및 조직문화 개선, 적극 행정을 통해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고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 항공기‧위성 등 적용한 해양감시 업무체계 개선, 소속기관별 조직문화개선 실천방안 마련(해경청)
∙ 적극적 법령해석으로 이상고온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에 대해 재난지원금 최초 지급(농식품부)
|
ㅇ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방문민원 온라인화, 디지털 행정서비스 창구 일원화 등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켜 국민 편의성을 증진하였다.
∙ 인감증명서 온라인 발급, 민간 앱을 통한 여권 재발급 등 11종 서비스 개방(행안부)
∙ 국민이 민생 바우처를 한곳에서 발급‧이용할 수 있게 통합플랫폼 구축(과기정통부)
∙ 생성형 AI 플랫폼 및 빅데이터를 연계한 AI 농업기술 상담 서비스 도입(농진청)
|
ㅇ 인구감소‧기후 위기 등 미래 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선제적으로 발굴·추진하여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에 기여하였다.
∙ 부모 공동 육아 촉진을 위한 육아휴직수당 지원 기간 확대 및 지원 금액 인상(고용부)
∙ 미세먼지 저감, 열섬 현상 완화 등을 위한 도시 숲 신규‧확대 조성 사업 추진(산림청)
|
ㅇ 아울러, 각 기관별로 국민 생활과 밀접한 민생 정책을 기관 대표 혁신 과제로 선정‧추진하여 다수의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였다.
∙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운영‧확대로 국민 대출 이자 부담 경감(금융위)
∙ 부담금 32개 전면 정비로 연간 2.0조원 수준의 국민‧기업 비용 절감(기재부)
∙ 식품 정보 확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푸드 QR시스템 구축으로 식품 안전 강화(식약처)
|
ㅇ 다만, 앞으로는 공직사회도 세대 변화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조직문화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⑤ 정책소통 부문
ㅇ 주요정책의 브랜드 네이밍 홍보 및 국민 친화적인 소통채널 다각화로 정책성과 체감도를 제고하고 국민 공감대를 강화하였다.
∙ ‘모바일 신분증’, ‘구비서류 제로화’ 등 직관적 네이밍 홍보로 디지털 정부구현 이해확산(행안부)
∙ ‘체코 원전 수주 등 원전 르네상스 선도’로 전년 대비 원전정책 지지도 8%p 상승(산업부)
∙ ‘호우 긴급 재난문자’, ‘폭염 자녀경보’ 등 국민 눈높이 홍보로 정책 참여도 제고(기상청)
∙ 유튜브 채널 ‘농러와 TV’가 구독자 수 25만명 돌파, ‘농터뷰’ 등 MZ 세대 취향 저격(농식품부)
|
ㅇ 다부처 연관 정책의 부처 간 협업 홍보 및 현장 중심 소통활동 강화로 정책효과 시너지를 제고하고 대국민 정책이해도를 증진시켰다.
∙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 자립화 관련 현장 설명회 개최로 ‘원팀 정부’ 강화(기재부/산업부)
∙ 기관장 합동점검으로 김장재료 수급 안정 및 먹거리 위생 강화(농식품부/식약처)
∙ 산불, 산사태 대비 정책현장 수시 안전점검(월 평균 30.9회)으로 산림재난 예방(산림청)
|
ㅇ 정책여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 온라인 정책 소통을 확대하고, 고객 맞춤형 디지털 소통으로 대내외 정책 수용도를 높였다.
∙ ‘어촌소멸’ 관련 빅데이터 분석 후, 귀어·귀촌 다큐멘터리, 토크 콘서트 및 어촌 체험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어촌에 대한 긍정 이미지 조성(해수부)
∙ 예산안 쇼츠 시리즈를 추석 명절 잔소리처럼 유머있게 표현, 흥미 유발 및 국민 관심 유도(기재부)
∙ 농산물을 흑백요리사 형식의 쇼츠로 제작·홍보, MZ 세대 타깃 홍보 강화(농진청)
|
ㅇ 다만, 데이터를 활용한 정교한 정책 수요 파악 및 핵심과제 도출 등 부처별 특성에 맞는 빅데이터 활용의 차별화·고도화가 필요하다.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교학점제, 미리 경험하고 상담까지 받아요" 교육부, 진로·학업 설계 지원 서비스 1월 23일 개통 (0) | 2025.01.22 |
---|---|
2024년 11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0) | 2025.01.22 |
청년의 미래와 농촌의 희망을 잇다, 청년 농촌보금자리조성 1차 공모에 6개지구 선정 (0) | 2025.01.21 |
1월 22일, 수도권 등 9개 시도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 비상저감조치 시행 (0) | 2025.01.21 |
특허청, 소상공인 지원사업으로 전통시장에 새바람 (0) | 2025.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