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2월 소비자물가 동향
2024.12.31 기획재정부
<‘24.12월 주요 물가 지표>
(전년동월비, %)
|
총지수
|
식료품·에너지제외
|
농산물·석유류제외
|
생활물가지수
|
신선식품지수
|
‘24.11월 → 12월
|
1.5 → 1.9
|
1.9 → 1.8
|
1.8 → 1.8
|
1.6 → 2.2
|
0.4 → 2.9
|
’24.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1.9%를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1%대를 유지하였다.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인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비 1.8%(11월 1.9%) 상승하면서 안정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며, 가계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는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2.2%(11월 1.6%) 상승하였다.
’25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상승세 둔화, 근원물가 안정 흐름 등 감안시 올해(2.3%)보다 둔화될 전망이나, 내년 1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기저효과 등으로 ’24.12월보다 상방압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동절기 유류비・난방비 부담 완화를 위해 유류세 인하 조치를 내년 2월 말까지 연장한 데 이어, 내년도 확고한 물가 안정세 정착을 위해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에너지・농식품 바우처 지원,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지원 등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별첨> ‘24.12월 소비자물가동향 주요 내용
별첨
|
|
'24.12월 소비자물가 동향 주요 내용
|
1. 주요 내용
|
1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1.9% 상승 (11월 1.5%)
(%)
|
‘23.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전년동월비
|
3.3
|
3.2
|
2.8
|
3.1
|
3.1
|
2.9
|
2.7
|
2.4
|
2.6
|
2.0
|
1.6
|
1.3
|
1.5
|
1.9
|
전월비
|
△0.5
|
0.0
|
0.4
|
0.5
|
0.1
|
0.1
|
0.1
|
△0.2
|
0.3
|
0.4
|
0.1
|
0.0
|
△0.3
|
0.4
|
ㅇ 농축수산물 물가는 채소류 가격 강세, 과일류 가격 하락폭 축소,
수산물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전년동월비 상승폭 확대(1.0→2.6%)
* 전년동월비 변화율(%) : <농산물> 2.6 (채소) 10.7 (과일) △2.5 <축산물> 2.1 <수산물> 3.1
ㅇ 석유류 물가는 환율 상승, 작년 기저영향(’23.12월 전월비 △4.7%) 등으로 전년동월비 상승 전환(△5.3→1.0%)
* 국제유가(두바이유, $/배럴) : (‘23.11)83.6 (12)77.3 / (’24.11)72.6 (12.1~27) 73.0
휘발유 가격(원/리터) : (‘23.11)1,684 (12)1,601 / (‘24.11)1,628 (12.1~29) 1,653
ㅇ 개인서비스 물가는 외식 및 외식제외 서비스 모두 전월과 유사한 상승률로 전년동월비 보합(2.9→2.9%)
* 개인서비스(%, 전년동월비) : (’24.1)3.5 (2)3.4 (3)3.1 (4)2.8 (5)2.8 (6)2.7 (7)2.9 (8)3.0 (9)2.9 (10)2.9 (11)2.9 (12)2.9
품목별 전년동월비 상승률 및 기여도
품목별 상승률(%)
|
전체
|
농 축
수산물
|
공업
제품
|
|
전기가스
수도
|
집세
|
공공
서비스
|
개인
서비스
|
|
|
|||
외식
|
외식
제외
|
||||||||||||
석유류
|
가공
식품
|
||||||||||||
11월
|
전년동월비
|
1.5
|
1.0
|
0.6
|
△5.3
|
1.3
|
3.0
|
0.5
|
0.9
|
2.9
|
2.9
|
2.9
|
|
(기여도, %p)
|
|
0.1
|
0.2
|
△0.2
|
0.1
|
0.1
|
0.0
|
0.1
|
1.0
|
0.4
|
0.6
|
||
12월
|
전년동월비
|
1.9
|
2.6
|
1.4
|
1.0
|
2.0
|
3.0
|
0.6
|
1.0
|
2.9
|
2.9
|
2.8
|
|
(기여도, %p)
|
|
0.2
|
0.5
|
0.0
|
0.2
|
0.1
|
0.1
|
0.1
|
1.0
|
0.4
|
0.6
|
2 (근원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되면서 전년동월비 1.8% 상승(11월 1.9%)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로서,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분을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458개 품목 중 식료품,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
2.9
|
2.8
|
2.5
|
2.5
|
2.4
|
2.3
|
2.2
|
2.2
|
2.2
|
2.1
|
2.0
|
1.8
|
1.9
|
1.8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
3.2
|
3.1
|
2.6
|
2.6
|
2.4
|
2.3
|
2.0
|
2.0
|
2.1
|
1.9
|
1.8
|
1.7
|
1.8
|
1.8
|
3 (생활물가*) 석유류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동월비 2.2% 상승(11월 1.6%)
* 전체 품목 중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에 민감한 144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생활물가지수
|
4.0
|
3.7
|
3.4
|
3.7
|
3.8
|
3.6
|
3.1
|
2.8
|
3.0
|
2.1
|
1.5
|
1.2
|
1.6
|
2.2
|
4 (신선식품*) 신선과실 하락세 둔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2.9% 상승(11월 0.4%)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
** 신선식품지수(전년동월비,%,’24.11→12월) : (신선과실)△8.6→△2.5 (신선채소)10.4→10.7 (신선어개)0.4→1.3
(전 월 비,%,’24.11→12월) : (신선과실)△7.2→14.5 (신선채소)△14.2→△2.9 (신선어개)0.8→2.1
(전년동월비, %)
|
11
|
12
|
‘24.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신선식품지수
|
13.7
|
14.5
|
14.4
|
20.0
|
19.5
|
19.1
|
17.3
|
11.7
|
7.7
|
3.2
|
3.4
|
1.6
|
0.4
|
2.9
|
2. 평가 및 대응
|
□ (평가) 12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석유류 가격이 전월보다 상승했으나, 4개월 연속 1%대 안정세 유지
ㅇ 추세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1.8%로 안정 흐름
< (참고) 주요국 소비자물가/근원물가 >
|
한국
|
미국
|
영국
|
일본
|
OECD
|
EU
|
|
’24.12월
|
’24.11월
|
’24.11월
|
’24.11월
|
’24.11월
|
’24.11월
|
’24.11월
|
|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
1.9
|
1.5
|
2.8
|
3.5
|
2.9
|
4.5
|
2.5
|
근원물가(%, 전년동월비)
|
1.8
|
1.9
|
3.5
|
4.4
|
1.7
|
4.9
|
2.9
|
□ (대응) 내년 1월에는 설 성수품 수요 등으로 상방압력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확고한 물가 안정기조 정착 노력 지속
ㅇ ’24.12월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 경유·CNG 유가 연동보조금을
내년 2월 말까지 연장하여 겨울철 유류비 및 난방비 부담 완화
ㅇ 주요 식품・사료원료(30종) 등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농축수산물 공급 확대・할인 지원 등을 통해 먹거리 물가안정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228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0) | 2025.01.01 |
---|---|
국내 첫 반려동물행동지도사 356명 배출 (0) | 2024.12.31 |
내년 소상공인 지원사업 통합 공고…8170억 원 규모 (0) | 2024.12.30 |
병무청, 내년 산업지원인력 6,500명 배정 (0) | 2024.12.30 |
2025년 기술개발 1조 5,214억원 지원, 25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 (0) | 2024.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