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술개발 1조 5,214억원 지원, 25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
-시장에 도전하는 혁신적 R&D, 생태계를 혁신하는 네트워크 R&D, 재정투입을 효율화하는 R&D 집중 추진
2024.12.30 중소벤처기업부
![](https://blog.kakaocdn.net/dn/df85TT/btsLB2qKRkc/FGjphdNnWXmatN95dAdZP1/img.png)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30일(월) 총 1조 5,214억원 규모(신규 과제 3,301억원) 기술개발(R&D) 사업에 대한 「2025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25년 중기부 R&D 사업은 지난 6월 4일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R&D 혁신방안」에 따라 ① 시장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R&D를 집중 지원하고, ② R&D 생태계를 혁신하는 네트워크형 R&D를 추진하며, ③ 정부 출연과 민간의 투자 · 융자 방식을 접목하는 등 재정투입의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R&D 지원사업에는 2024년 1월부터 4월까지 「중소벤처 R&D 미래전략 라운드테이블」에서 16명의 민간 자문위원이 집약적으로 논의하여 구상한 인증 · 실증달성형 R&D, 글로벌 협력형 R&D, 공동효과형 R&D, 기술이전 · 사업화 R&D 지원사업 등이 실제로 신설되어 반영되었다.
2025년 기술개발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의 도전성과 혁신성을 강화하는 기술개발에 1,223억원을 지원한다.
2025년 신규로 선정하는 연구개발과제는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 탄소중립분야 등 전략기술에 집중한다.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은 신규과제 예산의 50% 이상,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은 40% 이상을 전략기술 분야에 투입할 계획이다.
* ‘25년 신규과제 예산 : 중소기업 기술혁신 1,179억원, 창업성장기술개발 1,150억원
아울러, 시장전문가 · 기술전문가를 중심으로 기업이 제시한 목표에 대한 검증을 강화한 ‘인증 · 실증달성형 R&D’를 추진하고,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목표 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술개발지원사업 전반에 걸쳐 연구기간 2년, 총 정부출연금 5억원 기준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R&D를 매개로 실질적인 효과를 달성하는 네트워크 R&D에 386억원을 지원한다.
외국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과제를 기획하고 R&D를 진행하는 ‘글로벌 협력형 R&D’와 해외투자에 특화된 ‘글로벌 스케일업 팁스’를 신설하여 중소벤처기업 R&D의 글로벌화를 추진한다.
또한,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의 기술개발부터 수요 기업 대상 보급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공동효과형 R&D’, 테크브릿지 플랫폼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분야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에 후속 상용화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는 ‘기술이전· 사업화 R&D’를 통해 R&D를 진행하는 중소기업의 파급력 있는 협력을 촉진한다.
재정투입을 효율화하는 R&D에 848억원을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다양한 대학 연구기관과 협업하여 R&D 기획 역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산학연 Collabo R&D 사업에 컨소시엄형 과제 트랙을 신설한다. 아울러, 지역별 R&D 기획 워크숍, R&D 역량강화 교육 콘텐츠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자체 R&D 기획 역량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출연 R&D와 민간의 투자 및 융자를 연계한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정부 R&D 지원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전략기술 테마별 프로젝트를 개선하여 주요 기술분야의 도전적 과제 선정을 도모하고, R&D 성공사업화 융자 프로그램과 기술보증 연계 R&D 지원사업을 통해 R&D 지원사업으로 개발된 우수기술이 신속히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기부 김우순 기술혁신정책관은 “‘R&D 다운 R&D’로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민간의 지혜를 모아 중소벤처기업 R&D 혁신방안을 도출하였고, 2025년 중소기업 R&D 예산을 편성할 때부터 혁신방안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라면서,
“중소벤처기업이 R&D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춘 강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사업의 집행을 꼼꼼히 살피겠다.”라고 밝혔다.
중기부 향후 세부사업별 공고를 통해 지원대상, 지원내용, 조건 등을 상세히 공고할 예정이며(참고1), 1월에는 범부처 설명회 및 지역별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통합공고 및 후속 세부사업 공고 등의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www.mss.go.kr) 또는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www.smtech.go.kr),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누리집(www.ir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기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 통합콜센터(☎1357)에도 문의가 가능하다(참고2).
참고1
|
|
2025년 기술개발 지원사업(통합공고) 개요
|
(단위 : 억원 등)
세부사업명
|
내역사업명
|
지원
규모
|
개발
기간
|
지원
한도
|
지원
비율
|
추진 일정
|
||||
구분
|
공고
|
접수
|
선정
|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
수출지향형
|
176
|
4년
|
20
|
65%
|
상반기
|
1월
|
2월
|
4월
|
|
하반기
|
5월
|
6월
|
9월
|
|||||||
시장확대형
|
732
|
3년
|
36
|
75%
|
상반기
|
1월
|
2월
|
4월
|
||
하반기
|
5월
|
6월
|
9월
|
|||||||
시장대응형
|
271
|
2년
|
5
|
75%
|
상반기
|
1월
|
2월
|
4월
|
||
하반기
|
5월
|
6월
|
9월
|
|||||||
창업성장
기술개발
|
디딤돌
|
231
|
1.5년
|
2
|
75%
|
1차
|
4월
|
4월
|
6월
|
|
2차
|
6월
|
6월
|
8월
|
|||||||
TIPS
|
일반형
|
568
|
2년
|
5
|
75%
|
상반기
|
3월
|
세부사업
공고 참조
|
||
하반기
|
||||||||||
딥테크
|
210
|
3년
|
15
|
75%
|
상반기
|
|||||
하반기
|
||||||||||
글로벌
|
140
|
3년
|
12
|
75%
|
상반기
|
|||||
하반기
|
||||||||||
디지털기반
중소제조산재예방
기술개발
|
디지털기반
중소제조산재예방기술개발
|
16.5
|
2년
|
6.6
|
75%
|
-
|
7월
|
7월
|
9월
|
|
산학연
Collabo R&D
|
산학협력
기술개발
|
예비연구
|
214
|
8개월
|
0.5
|
75%
|
상반기
|
1월
|
2월
|
5월
|
사업화R&D
|
102
|
2년
|
2.6
|
75%
|
상반기
|
1월
|
2월
|
4월
|
||
산연협력
기술개발
|
예비연구
|
92
|
8개월
|
0.5
|
75%
|
상반기
|
1월
|
2월
|
5월
|
|
사업화R&D
|
42
|
2년
|
2.6
|
75%
|
상반기
|
1월
|
2월
|
4월
|
||
지역혁신
선도기업육성
|
주력산업생태계구축
|
137
|
2년
|
7.0
|
75%
|
상반기
|
1월
|
1월
|
3월
|
|
지역기업역량강화
|
78
|
2년
|
2.0
|
75%
|
상반기
|
1월
|
1월
|
3월
|
||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
|
신진연구인력채용지원
|
52
|
3년
|
기준연봉
50%
|
50%
|
상반기
|
1월
|
1월
|
5월
|
|
고경력연구인력채용지원
|
42
|
3년
|
연봉
50%
|
50%
|
상반기
|
1월
|
1월
|
5월
|
||
공공연 연구인력 파견지원
|
20
|
3년
|
연봉
50%
|
50%
|
상반기
|
1월
|
상시
|
상시
|
||
중소기업연구인력
현장맞춤형양성지원
|
48
|
1년
|
최대
0.14
|
100%
|
상반기
|
1월
|
상시
|
상시
|
1) 지원규모 : 각 사업별 신규과제 지원금액(계속과제 지원금액 및 기획평가비 제외)
2) 개발기간ㆍ지원한도ㆍ출연금 비율 : 지원 가능한 '최대' 수준을 의미함
3) 지원비율 및 추진일정 : 세부사업 공고 시 변경될 수 있음
※ 공고는 세부 또는 내역사업 단위로 진행, 정확한 지원 내용은 사업별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 바람
참고2
|
|
사업별 문의처
|
세부사업명
|
내역사업명
|
중소벤처기업부
|
전문(관리)기관
|
연락처
|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
수출지향형
|
기술개발과
|
중소기업
기술정보진흥원
(기술혁신사업실)
|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
|
|
시장확대형
|
|||||
시장대응형
|
|||||
창업성장
기술개발
|
디딤돌
|
기술개발과
|
(창업성장사업실)
|
||
TIPS
|
신산업기술창업과
|
한국엔젤투자협회
|
02-3440-7421
|
||
디지털기반
중소제조
산재예방기술개발
|
디지털기반
중소제조
산재예방기술개발
|
디지털혁신과
|
(창업성장사업실)
|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
|
|
산학연
Collabo R&D
|
산학협력
|
예비연구
|
기술개발과
|
(전략협력사업실)
|
|
사업화R&D
|
|||||
산연협력
|
예비연구
|
||||
사업화R&D
|
|||||
지역혁신선도
기업육성R&D
|
주력산업생태계구축
|
지역혁신정책과
|
(지역특화사업실)
|
||
지역기업역량강화
|
|||||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
|
신진연구인력
채용지원
|
인력정책과
|
(지역정책기획실)
|
||
고경력연구인력
채용지원
|
|||||
공공연 연구인력 파견지원
|
|||||
중소기업 연구인력
현장맞춤형 양성지원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소상공인 지원사업 통합 공고…8170억 원 규모 (0) | 2024.12.30 |
---|---|
병무청, 내년 산업지원인력 6,500명 배정 (0) | 2024.12.30 |
빠르고 안전한 미래형 고속도로, 안성-구리 고속도로 새해 첫날 개통 (0) | 2024.12.30 |
(시험출제과) 시도 교육청 공무원 필기시험, 2027년까지 계속 출제 (0) | 2024.12.30 |
수도권 서남권 광명·시흥에 6.7만호 공급 추진 (0) | 2024.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