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4.6월말 기준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통계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11. 30.
반응형

’24.6월말 기준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통계

(토지) 외국인 보유토지 265,654천㎡, 전 국토의 0.26%

2024.11.29 국토교통부

‘24.6월말 기준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통계
- (토지) 외국인 보유토지 265,654천㎡, 전 국토의 0.26%
- (주택) 외국인 소유주택 95,058호, 전체 주택의 0.49%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4년 6월말 기준 외국인토지·주택 보유통계공표했다.

 

ㅇ (토지) 외국인보유국내 토지면적은 265,654천㎡로, 전체 국토면적(100,449,356천㎡)0.26% 수준이다.

 

- 국적별 비중은 미국(53.3%), 중국(7.9%), 유럽(7.1%) 등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경기(18.4%), 전남(14.7%), 경북(13.7%) 등으로 나타났다.

 

ㅇ (주택) 외국인 93,414명이 소유하고 있는 주택 수는 총 95,058호*로,

전체 주택 수('23년 주택총조사 기준 1,955만호)0.49% 수준이다.

 

* 외국인이 일부 지분이라도 보유한 주택의 경우 외국인 소유주택으로 간주

 

- 시·도별로는 경기(38.7%), 서울(24.3%), 인천(9.9%) 등으로 나타났으며, 시·군·구별로는 경기 부천(5.1%), 안산(4.8%), 수원(3.4%) 등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와 거래신고 정보연계하여 불법행위가 의심되는 이상거래조사하는 등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거래를 계속적으로 엄격하게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붙임 1

외국인 토지 보유현황 통계 상세 설명자료

 

□ (총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24년 상반기 기준 외국인보유국내 토지면적’23년 말 대비 0.4%(1,053천㎡) 증가한 265,654천㎡로,

전체 국토면적(100,449,356천㎡)0.26% 수준이라고 밝혔다.

 

외국인 보유 토지 공시지가는 33조 1,981억 원으로 ’23년 말 대비 0.5% 증가하였다.

 

< ’24년 상반기 기준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

구 분
’23년
’24년 상반기
증감
전년 대비 증감률
면적(천㎡)
264,601
265,654
1,053
0.4%
금액(억원)
330,288
331,981
1,693
0.5%

 

외국인 국내 토지보유 면적은 ’14년~’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16년부터 증가폭 둔화된 후 현재까지 완만한 증가세*유지하고 있다.

 

< 외국인 토지 보유 현황 추이 (면적: 천㎡) >

 

 

* (전년대비 토지면적 증가율) (’15) 9.6% → (’16) 2.3% → (’17) 2.3% → (’18) 1.0% → (’19) 3.0% → (’20) 1.9% → (’21) 2.4% → (’22) 1.8% → (’23) 0.2% (’24.上) 0.4%

 

□ (국적별) 미국은 ’23년 말 대비 0.3%(395천㎡) 증가하여 외국인 전체 보유면적의 53.3%(141,551천㎡)를 차지하고 있으며

 

ㅇ 그 외 중국7.9%(20,993천㎡), 유럽7.1%(18,840천㎡), 일본6.2% (16,351천㎡)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국적별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

 

(단위 : 천㎡, %)

구분
‘23년
‘24년 상반기
증감
면적
비중
면적
비중
면적
증감률
합계
264,601
100%
265,654
100%
1,053
0.4%
미국
141,156
53.3%
141,551
53.3%
395
0.3%
중국
20,804
7.9%
20,993
7.9%
190
0.9%
유럽
18,774
7.1%
18,840
7.1%
65
0.3%
일본
16,343
6.2%
16,351
6.2%
8
0.0%
기타
67,523
25.5%
67,918
25.6%
395
0.6%

 

□ (지역별) 경기가 전국 외국인 보유면적 중 18.4%(48,998천㎡)를 차지하였으며,

 

ㅇ 그 외 전남 14.7%(39,139천㎡), 경북 13.7%(36,331천㎡) 등으로 외국인 보유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

(단위 : 천㎡, %)

구분
‘23년
‘24년 상반기
증감
면적
비중
면적
비중
면적
증감률
전 국
264,601
100%
265,654
100%
1,053
0.4%
수도권
55,797
21.1%
56,279
21.2%
482
0.9%
서 울
3,181
1.2%
3,237
1.2%
55
1.7%
경 기
48,693
18.4%
48,998
18.4%
305
0.6%
전 남
39,052
14.8%
39,139
14.7%
87
0.2%
경 북
36,310
13.7%
36,331
13.7%
22
0.1%
강 원
24,721
9.3%
24,577
9.3%
△145
△0.6%
충 남
22,661
8.6%
22,791
8.6%
130
0.6%

 

□ (용도별) 외국인보유토지의 용도는 임야․농지 등 기타용지 보유가 67.5%(179,437천㎡)로 가장 많고,

 

ㅇ 그 외 공장용지 22.2%(58,914천㎡), 레저용지 4.5%(11,848천㎡), 주거용지 4.2% (11,090천㎡) 등으로 확인되었다.

 

□ (주체별)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을 주체별로 분석한 결과, 외국 국적 교포55.5%(147,450천㎡)가장 많은 비중 차지하였고,

 

ㅇ 그 외 합작법인 등 외국법인 33.9%(90,035천㎡), 순수외국인 10.4% (27,618천㎡), 정부・단체 0.2%(551천㎡) 등으로 보유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인포그래픽
참고 1-1
 

 

 

 

 
시·도별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
참고 1-2
 

 

 

(단위: 천㎡, 억 원, %)

구 분
’23년
’24년 상반기
증감
증감률(%)
면적
금액
면적
금액
면적
금액
면적
금액
전 국
264,601
330,288
265,654
331,981
1,053
1,693
0.4%
0.5%
수도권
55,797
202,880
56,279
203,659
482
780
0.9%
0.4%
서 울
3,181
121,321
3,237
121,853
55
532
1.7%
0.4%
인 천
3,922
26,524
4,045
26,867
122
343
3.1%
1.3%
경 기
48,693
55,035
48,998
54,939
305
△96
0.6%
△0.2%
부 산
4,833
21,931
4,880
22,231
47
300
1.0%
1.4%
대 구
2,356
3,736
2,377
3,901
21
165
0.9%
4.4%
광 주
2,587
3,082
2,589
3,090
2
9
0.1%
0.3%
대 전
1,411
3,211
1,432
3,186
21
△25
1.5%
△0.8%
울 산
7,244
13,313
7,247
13,340
3
27
0.0%
0.2%
세 종
2,490
792
2,501
819
11
27
0.4%
3.4%
강 원
24,721
3,013
24,577
2,908
△145
△106
△0.6%
△3.5%
충 북
14,156
3,761
14,374
3,797
219
36
1.5%
0.9%
충 남
22,661
10,010
22,791
10,131
130
122
0.6%
1.2%
전 북
8,750
2,843
8,810
2,859
60
15
0.7%
0.5%
전 남
39,052
25,291
39,139
25,381
87
90
0.2%
0.4%
경 북
36,310
17,693
36,331
17,774
22
81
0.1%
0.5%
경 남
20,538
12,959
20,492
13,015
△46
56
△0.2%
0.4%
제 주
21,694
5,773
21,833
5,891
139
118
0.6%
2.0%

 

 
연도별 외국인 토지보유 현황(국적·취득용도·주체별)
참고 1-3
 

 

【국적별】

(단위 : 천㎡, %)

구 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상반기
면적
비중
전년대비
증감
합계
248,666
253,347
259,409
264,010
264,601
265,654
100%
1,053
미국
129,807
133,270
137,904
140,953
141,156
141,551
53.3%
395
중국
19,303
19,996
20,556
20,663
20,804
20,993
7.9%
190
유럽
18,019
18,172
18,695
19,030
18,774
18,840
7.1%
65
일본
18,581
17,759
16,794
16,715
16,343
16,351
6.2%
8
기타
62,957
64,149
65,461
66,649
67,523
67,918
25.6%
395

 

【취득용도별】

(단위 : 천㎡, %)

구 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상반기
면적
비중
전년대비
증감
합계
248,666
253,347
259,409
264,010
264,601
265,654
100%
1,053
기타용지
163,649
167,846
173,761
177,964
178,866
179,437
67.5%
571
공장용지
58,773
58,781
58,718
59,043
58,864
58,914
22.2%
49
레저용지
11,896
11,905
11,820
11,824
11,810
11,848
4.5%
38
주거용지
10,300
10,722
10,943
11,018
10,897
11,090
4.2%
193
상업용지
4,048
4,093
4,168
4,160
4,164
4,366
1.6%
202

 

 

【주체별】

(단위 : 천㎡, %)

구 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상반기
면적
비중
전년대비
증감
합계
248,666
253,347
259,409
264,010
264,601
265,654
100%
1,053
외국국적교포
138,323
141,397
145,261
147,318
147,320
147,450
55.5%
130
외국법인
89,942
90,043
90,187
89,960
89,714
90,035
33.9%
321
순수외국인
19,853
21,358
23,411
26,182
27,016
27,618
10.4%
602
정부‧단체 등
549
549
550
550
550
551
0.2%
0

 

붙임 2

외국인 주택소유통계 주요 현황

 

□ (주택수) ’24년도 6월 말 기준 외국인소유주택수는 95,058호*로,

이는 전체 주택수(1,955만호, ’23년 주택총조사 기준) 대비 0.49%** 수준이다.

 

* 외국인이 주택의 일부 지분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외국인 소유주택으로 간주한 주택수

 

** [참고] 인구수(내외국인 5,177만명) 대비 장기체류 외국인 수(198만명) 비중은 3.82%

 

ㅇ (소유자수) 주택 소유 외국인 수93,414명이며, 국내 장기체류 외국인(198만명) 대비 비율은 4.72%*로, 비율이 지속 감소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참고] 주택 소유 내국인 수(1,562만명)는 전체 내국인 수(4,984만명) 대비 31.3% 수준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22.12~’24.6.)

 
구 분
‘22.12.
‘23.6.
’23.12.
’24.6.
외국인 소유 주택수(A)
83,512호
87,223호
91,453호
95,058호
주택소유 외국인수(B)
81,626명
85,358명
89,784명
93,414명
장기체류 외국인수*(C)
1,699,834명
1,798,520명
1,889,643명
1,978,999명
외국인 주택소유 비율(B/C)
4.80%
4.75%
4.75%
4.72%

* 출처: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 (지역별)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 95,058호 중 수도권에 위치한 주택은 69,247호(72.8%)이며, 지방25,811호(27.2%)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별로는 경기 36,755호(38.7%), 서울 23,085호(24.3%), 인천 9,407호(9.9%), 충남 5,741호(6.0%), 부산 3,007호(3.2%) 충북 2,614호(2.7%) 순이며,

 

지자체별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경기
서울
인천
충남
부산
충북
36,755호(38.7%)
23,085호(24.3%)
9,407호(9.9%)
5,741호(6.0%)
3,007호(3.2%)
2,614호(2.7%)
경남
경북
제주
강원
대구
전북
2,609호(2.7%)
1,799호(1.9%)
1,722호(1.8%)
1,611호(1.7%)
1,323호(1.4%)
1,262호(1.3%)

 

기초별로는 경기 부천 4,844호(5.1%), 안산 4,581호(4.8%), 수원 3,251호(3.4%), 시흥 2,924호(3.1%), 평택 2,804호(2.9%), 인천 부평 2,580호(2.7%) 순이다.

 

□ (국적별) 국적별로는 중국 52,798호(55.5%), 미국 21,360호(22.5%), 캐나다 6,225호(6.5%), 대만 3,307호(3.5%), 호주 1,894호(2.0%)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별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구 분
중국
미국
캐나다
대만
호주
외국인 소유 주택수
52,798호
21,360호
6,225호
3,307호
1,894호
주택소유 외국인수
55,898명
18,943명
5,113명
2,984명
1,611명
장기체류 외국인수
840,143명
70,909명
21,760명
17,542명
7,162명

 

ㅇ 참고로 중국인소유한 주택의 지역별 분포경기도 부천시, 안산시, 시흥시, 수원시인천시 부평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주택유형별)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 95,058호 중 공동주택86,695호(아파트 57,467호, 연립·다세대 29,228호), 단독주택8,363호로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구분
주택




공동주택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다세대
주택수
95,058호(100%)
86,695호(91.2%)
57,467호(60.5%)
29,228호(30.7%)
8,363호(8.8%)
소유자수
93,414명
85,944명
58,838명
28,219명
8,516명

*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등

 

□ (주택수별) 1채 소유자87,291명(93.4%)으로 가장 많았고, 2채 소유자4,881명(5.2%), 3채 이상 소유자1,242명(1.3%)으로 나타났다.

 

주택수별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구분
전체
1호
2호
3호
4호
5호 이상
소유자수
93,414명
(100%)
87,291명
(93.4%)
4,881명
(5.2%)
586명
(0.6%)
204명
(0.2%)
452명
(0.5%)

 

□ (소유인수별) 외국인이 단독으로 소유하고 있는 주택이 70,108호(73.8%), 공동소유자 외국인 포함된 주택이 24,950호(26.2%)이며,

 

공동소유자외국인1인인 주택이 15,617호(16.4%), 2인인 주택이

8,773호(9.2%), 3인 이상인 주택이 560호(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주택소유 현황 인포그래픽
참고 2-1
 

 

 

 
외국인 공동주택 지역별 소유현황 ('24년 6월 말 기준)
참고 2-2
 

 

(단위 : 호, 명)

구 분
주택수
지분반영 주택수
소유자수
전국
86,695
79,384
85,944
서울
21,392
18,399
20,405
인천
9,079
8,619
9,269
경기
34,678
32,321
36,743
부산
2,722
2,458
2,464
대구
1,127
1,020
1,152
광주
538
485
552
대전
864
770
855
울산
876
806
914
세종
266
230
268
강원
1,117
1,046
1,068
충북
2,261
2,181
2,150
충남
5,194
4,956
5,138
전북
982
918
966
전남
871
810
822
경북
1,420
1,324
1,385
경남
2,129
1,962
2,185
제주
1,179
1,080
1,036

 

 
외국인 단독주택 지역별 소유현황 ('24년 6월 말 기준)
참고 2-3
 

 

(단위 : 동, 명)

구 분
주택수
지분반영 주택수
소유자수
전 국
8,363
6,947
8,516
서울
1,693
1,144
1,909
인천
328
295
331
경기
2,077
1,776
2,145
부산
285
227
277
대구
196
169
206
광주
93
74
98
대전
131
107
139
울산
68
54
68
세종
28
25
29
강원
494
430
488
충북
353
314
356
충남
547
489
548
전북
280
251
296
전남
388
343
377
경북
379
338
374
경남
480
417
462
제주
543
495
492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