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
2024.11.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기술지원 사업을 추진한 결과 올해 나트륨·당류를 줄인 카스텔라 등 가공식품 12종과 떡볶이 등 조리식품 7종이 개발되었다고 밝혔다.
* (가공식품) 햄버거, 샌드위치, 샤베트, 카스텔라 등 12개 품목(나트륨 8개, 당류 4개)
(조리식품) 떡볶이, 돈가스, 순대국, 아이스티 등 7개 품목(나트륨 5개, 당 2개)
식약처는 ’21년부터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생산·유통 활성화하고 덜 짜고, 덜 단 식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가공식품 및 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저감 제품 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1인 가구를 중심으로 간편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가 증가하고 여자 어린이의 당류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것을 고려*하여 샌드위치·햄버거, 샤베트 등을 개발 지원 품목으로 선정했다.
* 6~11세 여자 어린이의 당류 급원식품 1위 빵류, 2위 아이스크림류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나트륨 함량이 낮은 두부 등 사용하여 나트륨을 30% 줄인 햄버거와 설탕 대신 알룰로스 등을 사용하여 당류의 함량을 35% 줄인 딸기 샤베트 등이며, 제품에는 소비자가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덜 짠’, ‘당류를 줄인’ 등과 같은 표시*를 할 수 있다.
*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기준」에 따라 ① 유통 제품 평균값 대비 10% 이상, ② 자사 유사제품 대비 25% 저감 시(단, 평균값 이하) 표시 가능
한편, 이번에 개발한 햄버거, 샤베트 등은 지난 20일부터 개최하고 있는 제19회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전시하여 소비자에게 선보이고 있다.
* 일시 및 장소 : 11월 20일(수) ~ 11월 23일(토), 코엑스 A홀
참고로 식약처는 가정에서도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나트륨·당류 저감 요리법을 소개하는 ‘우리 몸이 원하는 삼삼한 밥상’을 매년 발간하고 있으며, 올해는 ‘더 건강한 도시락 한 끼’를 주제로 열세 번째 삼삼한 밥상*을 발간했다.
* 식품안전나라, 인터넷 서점(교보문고, YES24, 알라딘)에서 전자책(e-book)으로 볼 수 있으며 식약처 유튜브 채널인 마이나슈TV에서 레시피 영상 확인 가능
식약처는 앞으로도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생산·유통을 활성화하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붙임 1
|
|
'24년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현황
|
□ 가공식품 12종(나트륨 8, 당류 4)
구분
|
제품
|
제조업체
(판매업체)
|
저감 비율 및
비교대상 대비 함량(100g당)
|
저감방법
|
사진
|
샌드
위치
(4)
|
100%피넛
애플샌드위치
|
㈜푸드플래닛,
㈜원푸드림/CU
|
나트륨 표준값 대비 45%↓
(522 → 250mg)
|
나트륨 함량 낮은 원재료 사용
|
|
통밀치킨
샌드
|
나트륨 표준값 대비 30%↓
(522 → 344mg)
|
|
|||
아삭오이
크림치즈
샌드위치
|
㈜델리캡, ㈜후레쉬퍼스트, ㈜삼영데리카후레쉬, ㈜가온에프에스, ㈜우리델리카, ㈜지에프에스, ㈜영진데리카후레쉬/GS25
|
나트륨 평균값 대비 20%↓
(452 → 347mg)
|
|
||
닭가슴살
햄듬뿍샌드
|
㈜그린키친
/세븐일레븐
|
나트륨 자사유사 제품 대비 25%↓
(503 → 364mg)
|
나트륨 함량 낮은 원재료 사용과 채소 구성비 증가
|
|
|
햄버거
(3)
|
두부치킨
스테이크
버거
|
㈜푸드플래닛,
㈜원푸드림/CU
|
나트륨 자사유사 제품 대비 30%↓
(727 → 486mg)
|
나트륨 함량 낮은 원재료 사용
|
|
스리라차마요
비프버거
|
㈜델리캡, ㈜후레쉬퍼스트, ㈜삼영데리카후레쉬, ㈜가온에프에스, ㈜우리델리카, ㈜지에프에스, ㈜영진데리카후레쉬/GS25
|
나트륨 평균값 대비 10%↓
(538 → 484mg)
|
|
||
케이준치킨
통닭가슴살
버거
|
㈜그린키친
/세븐일레븐
|
나트륨 자사유사 제품 대비 30%↓
(611 → 340mg)
|
나트륨 함량 낮은 원재료 사용과 채소 구성비 증가
|
|
|
국·탕
(1)
|
한우
소고기무국
|
㈜한사랑푸드
|
나트륨 평균값 대비 10%↓
(246 → 219mg)
|
나트륨 함량 높은 원재료 배합비율 조정 및 소금대체제 사용
|
|
샤베트
(1)
|
라이스잇 딸기우유
|
㈜제나
|
당류 평균값 대비 35%↓
(16.2 → 10g)
|
원재료 당함량 조절 및
알룰로스 사용
|
|
빙과
(1)
|
라이스잇 딸기
|
당류 평균값 대비 50%↓
(16.1 → 7g)
|
|
||
빵류
(2)
|
카스텔라
|
㈜미나미제과
|
당류 평균값 대비 20%↓
(29.2 → 21.3g)
|
원재료의 설탕 함량 조절
|
|
바닐라
케익시트
미니
|
당류 평균값 대비 10%↓
(29.2 → 25g)
|
|
* 저감 표시 대상 품목 확대를 위한 고시 개정 전에 제품이 출시되어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른 영양강조표시 적용
□ 외식메뉴 7종(나트륨 5, 당류 2)
제품
|
판매업체
|
저감비율
(저감 전·후 나트륨·당류 함량, 100g당)
|
저감방법
|
사진
|
얼큰순대국
|
전통맛집
할매순대국
|
나트륨 35.7%↓
(270.7 → 174.0mg)
|
양념 배합 비율 조정 및 허브·향신료 첨가
|
|
눈꽃내장
순대볶음
|
나트륨 22.1%↓
(403.8 → 314.5mg)
|
|
||
부엉이돈가스
|
부엉이돈가스
|
나트륨 17.3%↓
(160.7 → 132.9mg)
|
염지제 조정 및 허브·향신료 첨가
|
|
순한맛
국물 떡볶이
|
선비꼬마김밥
|
나트륨 9.7%↓
(493.7 → 445.9mg)
|
분말스프 배합 비율 조정 및 원료 변경
|
|
매운맛
국물 떡볶이
|
나트륨 13.8%↓
(543.2 → 468.4mg)
|
|
||
라이트
복숭아
아이스티
|
몬스터커피
|
당류 47.7%↓
(9.0 → 4.7g)
|
설탕 함량 조정 및 원료 변경(나한과 등)
|
|
라이트
망고쏙쏙
아이스티
|
당류 18.2%↓
(7.4 → 6.0g)
|
|
* 제품의 분석값으로 영양성분 표시 시 달라질 수 있음
* 최종 제품 출시는 업체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 가능
붙임 2
|
|
주요 질의 응답
|
Q1.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사업의 추진 배경은?
|
☞ 「나트륨・당류 저감화 종합계획(’21~’25)」 목표* 달성과 저감 제품 생산·유통을 활성화하여 소비자에게 나트륨·당류를 줄인 제품의 선택권을 확대하고자 저감 제품 개발 지원을 추진하였습니다.
* (나트륨) 1일 섭취량을 ’25년까지 3,000mg 이하로 감소('22년, 3,074mg) (당류) 가공식품 통한 섭취량을 1일 열량의 10% 이내(50g)로 관리('22년, 7.6%)
|
Q2. `24년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사업의 추진 절차는?
|
☞ 저감 제품 개발 지원사업은 가공식품, 외식분야 용역사업(`24.2.~`24.11.)을 통해 추진하였고, 참여 업체는 공모로 선정하였습니다.
* 추진 절차 : 용역사업자 선정 → 참여업체 모집(신청, 서류검토, 대상업체 선정・통보) → 일정 협의 → 기술지원 컨설팅 → 상품화 지원(관능평가, 표시사항 검토 등) → 제품 출시
|
Q3. 연도별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사업 추진 품목은?
|
||
☞
|
||
연도
|
가공식품
|
외식
|
`21년
|
즉석섭취식품(도시락)
|
피자, 치킨, 순대국
|
`22년
|
즉석섭취식품(삼각김밥), 음료류
|
샐러드 드레싱, 김밥, 떡볶이
|
`23년
|
즉석섭취식품(김밥), 냉동밥, 음료류
|
치킨, 막창볶음, 음료류
|
`24년
|
즉석섭취식품(샌드위치, 햄버거), 즉석조리식품(국·탕), 샤베트, 빙과, 빵류
|
순대국, 순대볶음, 돈가스, 떡볶이, 아이스티
|
Q4. 가공식품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 사업에 샌드위치, 햄버거, 빵류, 아이스크림류 등이 포함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
☞ 나트륨은 1인 가구 등의 간편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가 높음을 고려하였고, 당류는 여자 어린이 등의 섭취량이 권고기준을 초과*하여 주요 급원 식품을 고려하였습니다.
이들 품목 중 업계의 요구, 제품 출시 가능성, 저감 제품 개발 후 저감 표시를 할 수 있는 품목 등으로 선정했습니다.
* 6~29세 섭취량이 WHO 권고수준 초과(여자 어린이(6~11세) 10.3%, 청소년(12~18세) 10.9%, 청년(19~29세) 10.5%), 6~11세 당류 급원식품 순위(빵류>아이스크림)
|
Q5. 개발된 제품에는 모두 저감 표시가 되어 있나요?
|
☞ 가공식품 저감 제품은 ‘나트륨’과 ‘당류’ 함량을 시중 유통되는 평균값 대비 10% 이상 줄였거나 자사 유사제품 대비 25% 이상 저감하여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기준」의 기준에 적합하므로 이를 표시하여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외식 제품은 저감 표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표시할 수는 없으나, 매장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저감 제품임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
Q6. 가공식품과 외식 각 제품별 나트륨, 당류의 구체적인 저감 방법은 무엇이며 얼마나 저감되었나요?
|
☞ (가공식품) 샌드위치, 햄버거는 두부 등 나트륨 함량이 낮은 원재료를 사용하고 채소 구성비를 높이는 등 재료 비율을 조정하였고, 국·탕은 나트륨 함량이 높은 원재료 비율 조정, 소금대체제 등을 통해 시중 유통 제품*보다 나트륨 함량을 최소 10% 이상 낮추었습니다.
당류를 낮춘 샤베트, 빙과, 빵류는 설탕 사용을 줄이고 알룰로스 등을 사용해 시중 유통 제품** 대비 최소 10% 이상 낮추었습니다.
* 시중 유통 제품의 100g당 나트륨 평균값: 샌드위치(452mg), 햄버거(538mg), 국·탕(국물형)(246mg)
** 시중 유통 제품의 100g당 당류 평균값: 샤베트(16.2g), 빙과(16.1g), 빵류(카스텔라)(29.2g)
(외식) 순대국, 내장볶음, 떡볶이는 나트륨 함량이 높은 양념 배합비 조절과 허브·향신료 첨가, 원료 변경 등을 통해 기존보다 나트륨 함량을 줄였으며, 돈가스는 조리 전 염지제의 나트륨 비율 조절 및 허브·향신료 등 첨가를 통해 나트륨 함량을 낮추었습니다.
아이스티는 설탕 사용을 줄이고 나한과 등을 사용해 당류 함량을 낮추었습니다.
|
Q7. 향후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사업 추진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
☞ 내년에도 가공식품, 외식 분야 각각의 용역사업을 통해 저감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참여 업체는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입니다.
지원 품목은 연령별 섭취 주요 급원 및 섭취 경향을 고려하여 업계의 제품 출시 가능성, 인체 유익한 성분(유단백질·칼슘 등)이 함유된 품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후 확정할 예정입니다.
|
붙임 3
|
|
『삼삼한 밥상 vol. 13』 카드뉴스
|
|
|
|
|
|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기술 이전으로 탄소저감 이끈다! 친환경 스타트업의 현장 목소리 청취 (0) | 2024.11.25 |
---|---|
‘글로벌 3대 산업기술 강국’ 목표, 초격차·공급망 안정 등에 집중 투자 (0) | 2024.11.24 |
「양곡관리법」 등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4개 법률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야당 단독 의결에 대한 정부 입장 (0) | 2024.11.24 |
생활에 큰 도움, 내년 더 오른다고 하니 마음이 든든해요 (0) | 2024.11.24 |
공공 보건분야 첫 초거대 AI,‘금연길라잡이 AI검색요약 서비스’ 선보여 (0) | 2024.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