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신(新)정부 출범 대비 반도체·조선산업 영향 점검
2024.11.20 산업통상자원부
![](https://blog.kakaocdn.net/dn/bwnQts/btsKPESK0ow/8f8ZAAJkBFTAezMnMi2f50/img.png)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안덕근 장관은 11월 20일(수) 서울에서 반도체와 조선 산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산업부는 미 대선 이후, 업종별 릴레이 간담회를 개최하여 미국의 신정부 출범 이후, 세계 경제ㆍ산업 환경변화가 우리 주력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산업별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 간담회 개요: (반도체) 14:00, 소공동 롯데호텔 버클리스위트룸(36층)
(조 선) 16:00, 소공동 롯데호텔 칼튼스위트룸(36층)
반도체
|
우선, 반도체 업계간담회에서 발제를 맡은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엔비디아 등 미국 설계기업의 제품이 대만 등 해외에서 제조되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반도체 공급망 구조를 고려할 때, 관세는 미국 기업ㆍ산업에도 부담”이라고 진단하며, “관세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부작용 등을 미국 신정부에 적극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업계는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불확실성 확대, 투자 여건 변화 등이 우려된다며, 한-미 정부간 돈독한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우리 기업이 대미(對美) 투자ㆍ수출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 줄 것을 건의하였다.
안 장관은 미국은 주요 반도체 시장으로 우리 기업들의 핵심 투자처인 만큼, 미국의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산업부는 다양한 채널을 가동하여 미국 신정부와 긴밀히 소통하며 불확실성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양국이 반도체 동맹으로서 상호보완적인 협력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조 선
|
조선산업은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11월 7일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미 양국 간의 협력을 강조한 바 있어, 앞으로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이다.
간담회에서 안 장관은 조선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등 한-미 양국이 활발히 협력해 온 다른 분야와 달리 새롭게 개척되는 분야로, 양국의 법령, 규제 등 산업환경이 다른 만큼 더 빠르고 더 치밀하게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K-조선 신시장 개척”이라는 기회를 잡기 위해 업계도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업계도 미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비롯한 한-미 간 조선협력 확대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또한 한-미 간 협력을 위해서는 미 국내법 규제 완화, 인력양성, 안정적 일감 확보 등이 필요한바, 우리 정부의 지원도 요청했다.
산업부는 릴레이 업계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우리 업계가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글로벌 통상전략회의 등을 통해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산업별 영향을 지속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참고1
|
|
반도체 업계 간담회 개요
|
□ 일시 : ’24.11.20(수) 14:00~15:00
□ 장소 : 소공동 롯데호텔 버클리스위트룸(36F)
□ 참석자
ㅇ (정부) 장관, 산업정책실장, 통상차관보, 대변인, 첨단산업정책관
기재부 정책조정국장,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장
ㅇ (업계)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사장, 동진쎄미켐 대표(對美투자 기업)
원익IPS 대표, PSK 대표(장비 기업)
ㅇ (협회ㆍ기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 무역안보관리원장
□ 논의 내용 : 美 대선 이후 반도체산업 영향 점검 및 대응방향 논의
□ 세부 일정 * 언론공개 범위 : 모두발언까지 / 사회 : 반도체과장
시간
|
주요 내용
|
비고
|
|
14:00~14:05
|
(5분)
|
모두 발언
|
장관
|
14:05~14:20
|
(15분)
|
발제➊ : 미 대선 이후
반도체산업 전망 및 대응
|
반도체협회 부회장
|
발제➋ : 반도체 분야
무역안보정책 전망 및 대응
|
무역안보관리원장
|
||
14:20~15:00
|
(40분)
|
자유토론 및 질의응답
|
참석자 전원
|
참고2
|
|
조선 업계 간담회 개요
|
□ 일시 : '24.11.20일(수) 16:00~17:00
□ 장소 : 소공동 롯데호텔 칼튼스위트룸(36F)
□ 참석자
ㅇ (정부) 산업부장관, 산업정책실장, 통상차관보, 대변인,
제조산업정책관, 기재부 정책조정국장,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 심의관, 해수부 해운정책과장
ㅇ (업계) 최성안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김성준 HD한국조선해양 대표이사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유상철 HJ중공업 대표이사
최규종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ㅇ (전문가) 이은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세부 일정 * 언론공개 범위: 모두 발언까지 / 사회 : 조선해양플랜트과장
시 간
|
주요 내용
|
비고
|
|
16:00-16:03
|
(‘03)
|
모두발언
|
장관님
|
16:03-16:08
|
(‘05)
|
미국 대선 결과 및 조선 주요 이슈
|
산업연구원
|
16:08-16:23
|
(‘15)
|
업계 영향 및 대응방향
|
업계 참석자
|
16:23-17:00
|
(‘37)
|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
참석자 전원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한국 5세대 이동통신 기반시설 1위, 이용자 수 2위 (0) | 2024.11.20 |
---|---|
혁신제품지정 A~Z까지 맞춤형 설명회 개최 (0) | 2024.11.20 |
개인정보위, 민간과 공동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 방법 찾는다 (0) | 2024.11.20 |
정부가 인증한 수산물, 김장철 할인받고 더 저렴하게 구입하세요 (0) | 2024.11.19 |
세대를 이어 존경받는 명문장수기업 10개사 선정 (0) | 2024.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