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들의 직업건강 관리 지원을 확대합니다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11. 18.
반응형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들의 직업건강 관리 지원을 확대합니다

2024.11.15 고용노동부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들의 직업건강 관리 지원을 확대합니다
- 전국 대비 업무상 질병 만인율이 높은 보령지역에 근로자건강센터 개소
- 서울, 부산 등 8개 지역 근로자건강센터(9개소)에서도 직업트라우마 상담 시작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소규모 사업장근로자의 업무상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충남 보령지역에 근로자건강센터를 설치하고, 서울·부산 등 전국 8개** 지역의 근로자건강센터에서도 직업트라우마 상담을 한다고 밝혔다.

* 서울(금천, 강서), 부산, 수원, 원주, 경산, 구미, 여수, 청주

 

이번에 근로자건강센터가 설치되는 보령지역 소규모 사업장의 최근 3년간(’21~‘23년) 업무상 질병 만인율(근로자 1만명 당 발생하는 업무상 질병자 수)은 41.5‱로 근로자들의 직업건강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는 오늘 오후 2시 개소식을 시작으로 보령뿐 아니라 서산, 태안 등 충남서부 지역 근로자의 건강지킴이 역할을 한다.

 

근로자건강센터는 2011년 인천 남동공단에서 처음 개소한 이후 현재 전국의 23개 산업단지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센터에는 직업환경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산업위생사, 심리상담사320여 명의 산업보건 전문인력이 일하고 있다. 매년 20여 만명의 근로자들이 직무스트레스 해소, 근골격계 및 뇌심혈관 질환 예방 등을 위한 건강진단 및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급성 중독 사고 예방 등을 위한 작업환경 개선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리운전기사 등이 모여있는 이동노동자 쉼터를 새벽에 방문하거나, 혹서기에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을 찾아 혈압·당뇨 등을 검사하고 건강상담을 하는 등 “찾아가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한편, 서울·부산·경산·여수 등 8개 지역의 근로자건강센터(9개소)에서는 직업트라우마센터도 운영한다. 괴롭힘, 재해, 동료 자살 등의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여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겪고 있는 근로자에게 심리상담을 제공하여 신속한 일상으로의 복귀를 돕고 있다. 매년 5천여 명의 근로자들이 직업트라우마 상담을 받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현장의 근로자와 특수고용형태종사자들의 업무상 질병 예방을 위해 근로자건강센터를 지속해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붙임1: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 개요

2: 근로자건강센터 주요업무

3: 근로자건강센터 운영 우수사례

4: 근로자건강센터 설치 현황

 

 

붙임 1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 개요

1 개소식 개요

(일 시) 2024.11.15.(금) 14:00~15:35(95분)

(장 소)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충남 보령시 터미널길8, 2층)

(참석자)

-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장, 산재예방지도과장 등

- (안전보건공단) 산업보건실장, 대전세종광역본부장 등

- (외부) 보령시 부시장, 보령시의회 의장 등

2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 개요

(운영기관) ㈜미래보건환경연구소(대표이사 윤여건, 김준섭)

(소 재 지) 충남 보령시 터미널길8, 보령종합터미널 2층

(전문인력) 9명

* 가정의 1명, 간호사 4명, 산업위생사 1명, 물리치료사 2명, 심리상담사 1명

조직도





충남서부근로자건강센터



















운영위원회






협력기관





































종합상담

뇌심예방

근골예방

작업환경 관리

직무스트레스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산업위생사

심리상담사

 

붙임 2

근로자건강센터 주요 업무
업무유형
업무내용
종합상담
직업성 질환 예방상담: 현재 나의 질병이 업무와 관련성이 있는지, 내 건강상태에서 지금 일을 계속하는 것이 적합한지, 업무환경에서 개선해야할 부문은 있는지
건강검진 결과표 상담: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상담, 생활습관 교정과 앞으로의 치료 및 검진계획 등
일반건강 상담: 최근 겪고 있는 신체증상 등에 대한 상담
뇌심혈관계질환 예방
기초간이검사: 혈압 측정, 체성분(인바디) 검사, 혈당검사, 콜레스테롤 검사(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발병위험도 평가: 기초간이검사, 개인적요인 문진(생활습관, 가족력 등) 등을 종합조사
개선활동 지원: 교육 및 생활습관 등 개선 지원
근골격계질환 예방
수준평가: 관절가동 범위, 체형분석 및 기능 평가 등으로 증상 수준별 분류
증상 수준별 프로그램 지원: 신체부위, 증상, 질환에 따라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지원
작업환경 관리
작업환경 컨설팅: 유해인자(화학물질, 소음, 분진 등) 등관리방안(점검표) 및 개선대책 지원
국소배기장치 점검: 작업특성에 맞는 사양, 안전검사 대상인지 여부, 적정 제어 유속 등 점검
ㅇ 청력손실 예방,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위험성평가 자문, 개인보호구 착용 지원
직무스트레스 예방
심리검사: MBTI, TCI(기질, 성격유형), 주호소 문제 등
심박변이도 검사: 스트레스에 대한 조절력 정도 파악
심리상담 및 직무스트레스 이해 교육: 직무스트레스 상담 및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건강진단 사후관리
ㅇ 건강진단 결과 요관찰자(C1, C2) 및 유소견자(D1, D2)에 대한 작업장소 변경, 작업전환, 근로시간 단축, 야간근로 제한, 작업환경 측정 또는 시설의 개선 등 지원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자들의 직업건강 관리 지원을 확대합니다
- 전국 대비 업무상 질병 만인율이 높은 보령지역에 근로자건강센터 개소
- 서울, 부산 등 8개 지역 근로자건강센터(9개소)에서도 직업트라우마 상담 시작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소규모 사업장근로자의 업무상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충남 보령지역에 근로자건강센터를 설치하고, 서울·부산 등 전국 8개** 지역의 근로자건강센터에서도 직업트라우마 상담을 한다고 밝혔다.

* 서울(금천, 강서), 부산, 수원, 원주, 경산, 구미, 여수, 청주

 

이번에 근로자건강센터가 설치되는 보령지역 소규모 사업장의 최근 3년간(’21~‘23년) 업무상 질병 만인율(근로자 1만명 당 발생하는 업무상 질병자 수)은 41.5‱로 근로자들의 직업건강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는 오늘 오후 2시 개소식을 시작으로 보령뿐 아니라 서산, 태안 등 충남서부 지역 근로자의 건강지킴이 역할을 한다.

 

근로자건강센터는 2011년 인천 남동공단에서 처음 개소한 이후 현재 전국의 23개 산업단지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센터에는 직업환경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산업위생사, 심리상담사320여 명의 산업보건 전문인력이 일하고 있다. 매년 20여 만명의 근로자들이 직무스트레스 해소, 근골격계 및 뇌심혈관 질환 예방 등을 위한 건강진단 및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급성 중독 사고 예방 등을 위한 작업환경 개선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리운전기사 등이 모여있는 이동노동자 쉼터를 새벽에 방문하거나, 혹서기에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을 찾아 혈압·당뇨 등을 검사하고 건강상담을 하는 등 “찾아가는 건강관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한편, 서울·부산·경산·여수 등 8개 지역의 근로자건강센터(9개소)에서는 직업트라우마센터도 운영한다. 괴롭힘, 재해, 동료 자살 등의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여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을 겪고 있는 근로자에게 심리상담을 제공하여 신속한 일상으로의 복귀를 돕고 있다. 매년 5천여 명의 근로자들이 직업트라우마 상담을 받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현장의 근로자와 특수고용형태종사자들의 업무상 질병 예방을 위해 근로자건강센터를 지속해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붙임1: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 개요

2: 근로자건강센터 주요업무

3: 근로자건강센터 운영 우수사례

4: 근로자건강센터 설치 현황

 

 

붙임 1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 개소식 개요

1 개소식 개요

(일 시) 2024.11.15.(금) 14:00~15:35(95분)

(장 소)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충남 보령시 터미널길8, 2층)

(참석자)

-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장, 산재예방지도과장 등

- (안전보건공단) 산업보건실장, 대전세종광역본부장 등

- (외부) 보령시 부시장, 보령시의회 의장 등

2 충남서부 근로자건강센터 개요

(운영기관) ㈜미래보건환경연구소(대표이사 윤여건, 김준섭)

(소 재 지) 충남 보령시 터미널길8, 보령종합터미널 2층

(전문인력) 9명

* 가정의 1명, 간호사 4명, 산업위생사 1명, 물리치료사 2명, 심리상담사 1명

조직도





충남서부근로자건강센터



















운영위원회






협력기관





































종합상담

뇌심예방

근골예방

작업환경 관리

직무스트레스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산업위생사

심리상담사

 

붙임 2

근로자건강센터 주요 업무
업무유형
업무내용
종합상담
직업성 질환 예방상담: 현재 나의 질병이 업무와 관련성이 있는지, 내 건강상태에서 지금 일을 계속하는 것이 적합한지, 업무환경에서 개선해야할 부문은 있는지
건강검진 결과표 상담: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상담, 생활습관 교정과 앞으로의 치료 및 검진계획 등
일반건강 상담: 최근 겪고 있는 신체증상 등에 대한 상담
뇌심혈관계질환 예방
기초간이검사: 혈압 측정, 체성분(인바디) 검사, 혈당검사, 콜레스테롤 검사(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발병위험도 평가: 기초간이검사, 개인적요인 문진(생활습관, 가족력 등) 등을 종합조사
개선활동 지원: 교육 및 생활습관 등 개선 지원
근골격계질환 예방
수준평가: 관절가동 범위, 체형분석 및 기능 평가 등으로 증상 수준별 분류
증상 수준별 프로그램 지원: 신체부위, 증상, 질환에 따라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지원
작업환경 관리
작업환경 컨설팅: 유해인자(화학물질, 소음, 분진 등) 등관리방안(점검표) 및 개선대책 지원
국소배기장치 점검: 작업특성에 맞는 사양, 안전검사 대상인지 여부, 적정 제어 유속 등 점검
ㅇ 청력손실 예방,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위험성평가 자문, 개인보호구 착용 지원
직무스트레스 예방
심리검사: MBTI, TCI(기질, 성격유형), 주호소 문제 등
심박변이도 검사: 스트레스에 대한 조절력 정도 파악
심리상담 및 직무스트레스 이해 교육: 직무스트레스 상담 및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건강진단 사후관리
ㅇ 건강진단 결과 요관찰자(C1, C2) 및 유소견자(D1, D2)에 대한 작업장소 변경, 작업전환, 근로시간 단축, 야간근로 제한, 작업환경 측정 또는 시설의 개선 등 지원

 

 

붙임 3

근로자건강센터 운영 우수사례

1 대리운전기사 대상 찾아가는 건강서비스 지원(경기동부건강센터)

(지원내용) 대리운전기사 등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노동자 쉼터(성남, 하남, 경기광주)를 17회 직접 방문(새벽 7회 포함), 132명에게 건강상담(‘22년~)

(지원결과) 뇌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던 11명 중 건강관리 서비스 후 10명이 개선, 근골격계질환 위험군 6명도 통증 호전

* 특히, 건강상담자 중 혈당이 높은 1명(310mmHg)과 고혈압(수축기)인 2명(180mg/dL이상)을조기에 발견하여 병원의 약물치료로 연계하면서 건강관리 지원

☞ (현장목소리) “혈당이 이렇게 높은 줄 몰랐다. 바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보겠다.” 이후 지속적으로 상담에 참여하여 기초질환관리하고 있다.(양○○)

“우리의 건강관리를 위해 새벽 시간에 찾아오는 기관은 처음이었다”(천○○)

2 돌봄종사자 건강관리를 위한 트리플 심신케어(경산건강센터)

ㅇ (지원내용) 돌봄종사자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질환 및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하여 691명에게 건강상담 및 관리 지원(’23년~)

ㅇ (지원결과) 근골격계 통증 호전(86명중 60명, 69.8%), 뇌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완화(106명중 60명, 56.6%), 직무스트레스 호전(126명 중 82명, 65.1%)




 

붙임 4

근로자건강센터 설치현황

‘24년에 직업트라우마센터가 신설된 건강센터

직업트라우마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건강센터
 
지역
센터명
소재지
연락처
서울
서울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BYC하이시티 2층
(서울중구분소) 서울 중구 퇴계로 197 충무빌딩 302호
02-6947-5700
02-2268-6497
서울서부
서울 강서구 양천로 583 우림블루나인 A-1406호
(서울성동분소)서울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A타워 308호
02-2093-2650
02-6077-7500
부산
부산
부산 사상구 대동로 303 벽산디지털밸리 1층
(양산분소)경남 양산시 대평들3길 2 1층
051-329-7300
055-385-7301
대구
대구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로 217 대구비지니스센터 7층
(서대구분소) 대구 서구 평리로21길 33
(대구달성분소) 대구 달성군 논공읍 논공중앙로34길 1
053-585-5501
053-584-2406
053-617-9701
인천
인천
인천 남동구 남동대로 215번길30 4층
(인천부평분소)인천 부평구 부평대로 283 지하1층 116호
032-260-3661
032-528-1155
광주
광주
광주 광산구 하남산단 3번로 133-8 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 2층
(광주광산분소)광주 광산구 평동산단로 184-1 5층
062-955-6497
062-941-6497
대전
대전
대전 유성구 테크노3로 65 (한신에스메카 1층)
042-936-9571
울산
울산
울산 울주군 온산읍 덕남로 90
(울산북구분소)울산 북구 산업로 1020(오토밸리복지센터) 4층
052-201-9960
052-288-7772
경기
경기동부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457번길8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12층
(성남분소)성남 분당구 판교역로240 삼한하이펙스 A동 127호
031-739-9301
031-698-2990
경기서부
경기 시흥시 공단1대로 247 KT시화지점 3층
(군포분소)경기 군포시 고산로 148번길 17, 군포아이티밸리 동 1202호
031-364-7680
031-8086-7195
경기남부
경기 수원시 영통구 덕영대로1556번길16 디지털엠파이어빌딩 C동2층
(평택분소)경기 평택시 모곡동 산단로 58 성은상가 1층
031-205-8960
031-663-8953
경기북부
경기 양주시 남면 검준길 82 검준공단지원센터 4층
(남양주분소) 경기 남양주시 진관산단로70번길 6, 2층
031-858-9030
031-572-9032
부천
경기 부천시 오정구 삼작로 22 부천테크노파크1단지 관리동 3층
(김포양촌분소)김포시 양촌읍 황금로117 메카존 나동243호
(김포고촌분소)김포시 고촌읍 아라육로58번길 105-1유호빌딩 204호
032-329-9161
031-999-7602
031-998-9165
경남
경북
경남
경남 창원시 성산구 완암로50 창원SK테크노파크테크동 11층
(창원분소)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18번길 46
055-713-2400
070-4270-0240
경산
경북 경산시 진량읍 공단7로 126 근로자복지회관 2층
(영천분소) 경북 영천시 금완로 63 영천상공회의소 1층
053-853-8579
054-338-8541
경북북부
경북 구미시 해마루공원로 24 구미근로자문화센터 1층
(구미분소)구미시 구미대로 350-27 비지니스지원센터 213호
054-475-2511
054-465-2511
(직업트라우마센터) 경상북도 구미시 여헌로 30(미래로병원 4층)
054-716-0009
거제
(분소)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중앙로 1865, 서호빌딩 5층
055-636-0386
전남
전북
전남동부
전남 여수시 무선중앙로 23 YM빌딩 3층
061-692-9640
전남서부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나불로 163, 리팩토리대불 관리동 2층
061-462-2900
전북
전북 전주시 덕진구 유상로 47 KT팔복지사 2층
(완주분소) 완주군 봉동읍 과학로850-15 전북근로자종합복지관 1층
063-211-9988
063-262-7733
충남
충북
충남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3로 35 YJ빌딩 2층
(아산분소)아산시 둔포면 아산밸리중앙로 82 G-플레이스 405호
041-522-8993
041-547-7993
충북
충북 청주시 오창읍 양청송대길 10, 청주미래누리터 5층
043-218-9415
충남서부
충청남도 보령시 터미널길8, 보령버스종합터미널 2층
041-402-8880
강원
강원
강원 원주시 호저로 47 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604호
(춘천분소) 강원 춘천시 퇴계공단길 24 퇴계농공단지
033-745-7289
033-262-2788
제주
제주
제주도 제주시 중앙로 165 고용복지플러스센터 3층
(연동분소) 제주시 수목원길 9 제주근로자종합복지관1층
064-752-8961
064-745-8961
붙임 3

근로자건강센터 운영 우수사례

1 대리운전기사 대상 찾아가는 건강서비스 지원(경기동부건강센터)

(지원내용) 대리운전기사 등이 주로 이용하는 이동노동자 쉼터(성남, 하남, 경기광주)를 17회 직접 방문(새벽 7회 포함), 132명에게 건강상담(‘22년~)

(지원결과) 뇌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던 11명 중 건강관리 서비스 후 10명이 개선, 근골격계질환 위험군 6명도 통증 호전

* 특히, 건강상담자 중 혈당이 높은 1명(310mmHg)과 고혈압(수축기)인 2명(180mg/dL이상)을조기에 발견하여 병원의 약물치료로 연계하면서 건강관리 지원

☞ (현장목소리) “혈당이 이렇게 높은 줄 몰랐다. 바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보겠다.” 이후 지속적으로 상담에 참여하여 기초질환관리하고 있다.(양○○)

“우리의 건강관리를 위해 새벽 시간에 찾아오는 기관은 처음이었다”(천○○)

2 돌봄종사자 건강관리를 위한 트리플 심신케어(경산건강센터)

ㅇ (지원내용) 돌봄종사자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질환 및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하여 691명에게 건강상담 및 관리 지원(’23년~)

ㅇ (지원결과) 근골격계 통증 호전(86명중 60명, 69.8%), 뇌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완화(106명중 60명, 56.6%), 직무스트레스 호전(126명 중 82명, 65.1%)

 

붙임 4

근로자건강센터 설치현황

‘24년에 직업트라우마센터가 신설된 건강센터

직업트라우마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건강센터
지역
센터명
소재지
연락처
서울
서울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BYC하이시티 2층
(서울중구분소) 서울 중구 퇴계로 197 충무빌딩 302호
02-6947-5700
02-2268-6497
서울서부
서울 강서구 양천로 583 우림블루나인 A-1406호
(서울성동분소)서울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A타워 308호
02-2093-2650
02-6077-7500
부산
부산
부산 사상구 대동로 303 벽산디지털밸리 1층
(양산분소)경남 양산시 대평들3길 2 1층
051-329-7300
055-385-7301
대구
대구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로 217 대구비지니스센터 7층
(서대구분소) 대구 서구 평리로21길 33
(대구달성분소) 대구 달성군 논공읍 논공중앙로34길 1
053-585-5501
053-584-2406
053-617-9701
인천
인천
인천 남동구 남동대로 215번길30 4층
(인천부평분소)인천 부평구 부평대로 283 지하1층 116호
032-260-3661
032-528-1155
광주
광주
광주 광산구 하남산단 3번로 133-8 하남근로자종합복지관 2층
(광주광산분소)광주 광산구 평동산단로 184-1 5층
062-955-6497
062-941-6497
대전
대전
대전 유성구 테크노3로 65 (한신에스메카 1층)
042-936-9571
울산
울산
울산 울주군 온산읍 덕남로 90
(울산북구분소)울산 북구 산업로 1020(오토밸리복지센터) 4층
052-201-9960
052-288-7772
경기
경기동부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457번길8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12층
(성남분소)성남 분당구 판교역로240 삼한하이펙스 A동 127호
031-739-9301
031-698-2990
경기서부
경기 시흥시 공단1대로 247 KT시화지점 3층
(군포분소)경기 군포시 고산로 148번길 17, 군포아이티밸리 동 1202호
031-364-7680
031-8086-7195
경기남부
경기 수원시 영통구 덕영대로1556번길16 디지털엠파이어빌딩 C동2층
(평택분소)경기 평택시 모곡동 산단로 58 성은상가 1층
031-205-8960
031-663-8953
경기북부
경기 양주시 남면 검준길 82 검준공단지원센터 4층
(남양주분소) 경기 남양주시 진관산단로70번길 6, 2층
031-858-9030
031-572-9032
부천
경기 부천시 오정구 삼작로 22 부천테크노파크1단지 관리동 3층
(김포양촌분소)김포시 양촌읍 황금로117 메카존 나동243호
(김포고촌분소)김포시 고촌읍 아라육로58번길 105-1유호빌딩 204호
032-329-9161
031-999-7602
031-998-9165
경남
경북
경남
경남 창원시 성산구 완암로50 창원SK테크노파크테크동 11층
(창원분소)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18번길 46
055-713-2400
070-4270-0240
경산
경북 경산시 진량읍 공단7로 126 근로자복지회관 2층
(영천분소) 경북 영천시 금완로 63 영천상공회의소 1층
053-853-8579
054-338-8541
경북북부
경북 구미시 해마루공원로 24 구미근로자문화센터 1층
(구미분소)구미시 구미대로 350-27 비지니스지원센터 213호
054-475-2511
054-465-2511
(직업트라우마센터) 경상북도 구미시 여헌로 30(미래로병원 4층)
054-716-0009
거제
(분소)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중앙로 1865, 서호빌딩 5층
055-636-0386
전남
전북
전남동부
전남 여수시 무선중앙로 23 YM빌딩 3층
061-692-9640
전남서부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나불로 163, 리팩토리대불 관리동 2층
061-462-2900
전북
전북 전주시 덕진구 유상로 47 KT팔복지사 2층
(완주분소) 완주군 봉동읍 과학로850-15 전북근로자종합복지관 1층
063-211-9988
063-262-7733
충남
충북
충남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3로 35 YJ빌딩 2층
(아산분소)아산시 둔포면 아산밸리중앙로 82 G-플레이스 405호
041-522-8993
041-547-7993
충북
충북 청주시 오창읍 양청송대길 10, 청주미래누리터 5층
043-218-9415
충남서부
충청남도 보령시 터미널길8, 보령버스종합터미널 2층
041-402-8880
강원
강원
강원 원주시 호저로 47 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604호
(춘천분소) 강원 춘천시 퇴계공단길 24 퇴계농공단지
033-745-7289
033-262-2788
제주
제주
제주도 제주시 중앙로 165 고용복지플러스센터 3층
(연동분소) 제주시 수목원길 9 제주근로자종합복지관1층
064-752-8961
064-745-8961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