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고용률 역대 최고 등 주요 고용지표는 양호한 모습이나, 기저효과 등으로 고용증가속도는 조정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11. 13.
반응형

고용률 역대 최고 등 주요 고용지표는 양호한 모습이나, 기저효과 등으로 고용증가속도는 조정

2024.11.13 고용노동부

고용률 역대 최고 등 주요 고용지표는 양호한 모습이나, 기저효과 등으로 고용증가속도는 조정
- 취업자 증가폭 축소지난해 10월 고용 큰 폭 증가했던 기저효과에 주로 기인
- 건설업·자영업 부문 및 청년고용취약계층어려움 지속
-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

 

1 '24.10월 15세 이상 고용률(63.3%, 0.0%p)· 경활률(64.7%, 0.0%p)역대 최고, 실업률(2.3%, +0.2%p)역대 최저 2위기록하였다.

 

* 10월 고용지표(‘23→’24년, %): <고용률> 63.3 → 63.3 <경활률> 64.7 → 64.7 <실업률> 2.1→ 2.3

 

취업자수지난해 10월 고용이 큰 폭 증가했던 기저효과 전월대비 축소(‘23.9월30.9 → 10월34.6만명) +8.3만명 증가하였고, 계절조정 취업자수4개월 연속 전월비 증가에 따른 일시조정으로 전월비 △2.0만명 감소하였다.

 

*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4.4)26.1 (5)8.0 (6)9.6 (7)17.2 (8)12.3 (9)14.4 (10)8.3

*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4.4)7.3 (5)△11.7 (6)0.2 (7)1.9 (8)1.4 (9)5.5 (10)△2.0

 

업종별로는 서비스업(34.5→27.8만명) 중심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제조업(△4.9→△3.3만명)건설업(△10.0→△9.3만명) 고용 감소폭축소되었다. 다만, 폭염에 따른 작황부진 및 10월 경활 조사주간 강수일수(2.4→4.1일) 증가 등으로 농림어업(△4.2→△6.7만명) 감소폭 확대되었다.

 

지위별로는 상용직(+7.9→+9.1만명) · 임시직(+20.6→+10.5만명) 취업자가

증가세지속하였고, 비임금근로자(△1.6→△1.3만명)자영업자(+2.2→+3.7만명)2개월 연속 증가하며 감소폭전월대비 축소되었다.

 

연령별로는 30대 · 40대 · 고령층에서 고용률이 상승하였다. 청년층 고용률(45.6%, △0.8%p)전년대비 하락하였으나 청년층 실업률(5.5%, +0.4%p)역대 최저 2위, 확장실업률(15.2%, 0.0%p)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 연령별 고용률 증감(전년비, %p): (청년)△0.8 (30대)0.5 (40대)0.6 (50대)△0.2 (60세 이상)0.2

 

고용률ㆍ경활률 역대 최고 주요 고용지표 양호한 모습을 이어갔으나, ’22~’23년 중 장기추세를 크게 상회하며 호조를 보였던 고용의 증가 속도가 조정받는 과정에서 건설업 · 자영업 부문 청년고용취약계층의 어려움지속되고 있다. 다만, 실질임금 증가 전환 민간소비 여건 점차 개선, 기저효과 등 감안시 11~12월에는 10월에 비해 고용 증가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업종별·계층별 고용여건면밀히 점검하고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노력과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별 첨

'24.10월 고용동향 및 평가

 

1. ‘24.10월 고용동향 특징

 

□ 고용률 63.3% (10월 역대 최고), 경제활동참가율 64.7% (10월 역대 최고),
실업률 2.3% (10월 역대 최저 2위), 취업자수 +8.3만명 증가
 

 

15세 이상 고용률(63.3%, 0.0%p)ㆍ15~64세 고용률(69.8%, +0.1%p)

모두 10월 기준 역대 최고(각각 ’82.7월~, ’89.1월~)

 

* 고용률(15세+, %) : (’24.1/4)61.6 (2/4)63.3 (7)63.3 (8)63.2 (9)63.3 (10)63.3

고용률(15-64세, %): (’24.1/4)68.8 (2/4)69.8 (7)69.8 (8)69.8 (9)69.9 (10)69.8

 

경제활동참가율(64.7%, 0.0%p) 10월 기준 역대 최고(’99.6월~)

 

* 경활률(15세+, %): (’24.1/4)63.7 (2/4)65.2 (7)64.9 (8)64.4 (9)64.6 (10)64.7

 

실업률(2.3%)+0.2%p 상승, 10월 기준 역대 최저 2위(’99.6월~)

 

* 실업률(15세+, %): (’24.1/4)3.3 (2/4)2.9 (7)2.5 (8)1.9 (9)2.1 (10)2.3

 

취업자수 전년대비 +8.3만명 증가(44개월 연속)

 

*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4.1/4)29.4 (2/4)14.6 (7)17.2 (8)12.3 (9)14.4 (10)8.3

 

 

□ (산업) 서비스업 증가, 제조업 · 건설업 · 농림어업 감소

 

(서비스) 45개월 연속 증가 지속(+34.5 → +27.8만명)

 

* 서비스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23.7 (2/4)14.6 (7)28.6 (8)28.6 (9)34.5 (10)27.8

 

- 보건복지업(+9.7만명)교육서비스업(+8.4만명)은 돌봄수요 지속 및

늘봄학교 확대(1학기2,963개 → 2학기6,363개) 영향 등으로 증가폭 확대

 

* 보건복지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 7.5 (2/4) 10.2 (7)11.7 (8)6.3 (9)7.5 (10)9.7

* 교육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2.3 (2/4)△5.2 (7) 0.2 (8)0.9 (9)1.2 (10)8.4

 

- 전문과학(+7.7만명)정보통신(+6.8만명)운수창고업(+5.2만명) 증가 지속

 

* 전문과학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8.3 (2/4)2.7 (7)3.6 (8) 9.4 (9)8.3 (10)7.7

* 정보통신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6.5 (2/4) 6.4 (7) 8.2 (8)10.1 (9)10.5 (10)6.8

* 운수창고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6.0 (2/4)4.9 (7)6.5 (8) 9.4 (9)7.9 (10)5.2

 

- 개인서비스업(+2.3만명)혼인 증가 등으로 웨딩 유관업종 중심 증가

 

* 개인서비스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0.8 (2/4)0.1 (7)0.7 (8△3.1 (9)1.7 (10)2.3

 

- 도소매업(△14.8만명)소매업 중심으로 감소 지속

 

* 도소매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0.4 (2/4)△5.4 (7)△6.4 (8)△5.5 (9)△10.4 (10)△14.8

 

- 사업시설(△6.2만명)은 건설현장 인력알선업 중심 감소 지속

 

* 사업시설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3.9 (2/4)△6.4 (7)△3.7 (8)△3.0 (9)△4.2 (10)△6.2

 

(제조) 수출 증가 등으로 고용 감소폭 축소(△3.3만명)

 

* 제조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3.6 (2/4)4.9 (7)△1.1 (8)△3.5 (9)△4.9 (10)△3.3

* 수출 증감(전년비, %): (’24.4)13.6 (5)11.4 (6)5.6 (7)13.5 (8)11.0 (9)7.5 (10)4.6

 

(건설) 건설수주 둔화 등 영향으로 고용 감소 지속(△9.3만명)

 

* 건설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4.4 (2/4)△3.6 (7)△8.1 (8)△8.4 (9)△10.0 (10)△9.3

 

(농림) 폭염에 따른 작황부진 및 10월 경활 조사주간 중 강수일수 증가 등 영향으로 고용 감소폭 확대(△6.7만명)

 

* 농림어업 취업자(전년비, 만명): (’24.1/4)△3.0 (2/4)△2.0 (7)△2.6 (8)△4.0 (9)△4.2 (10)△6.7

* 10월 경활 조사주간 기상(‘23년→’24년): (강수일(일)) 2.4 → 4.1 (강수량(mm)) 1.0 → 8.5

 

□ (지위·연령) 상용직 56.6%(10월 역대 최고), 30·40대 및 고령층 고용률 상승
 

 

(지위) 상용직 증가 지속(+9.1만명)하며 상용직 비중 역대 최고

 

* 상용직 비중(10월, %): (’00)30.0 (‘05)34.6 (‘10)42.5 (’15)48.7 (‘20)53.3 (’23)56.5 (’24)56.6

임금근로자 증감(9→10월, 전년비, 만명): <상용>7.9→9.1 <임시>20.6→10.5 <일용>△12.5→△10.0

 

-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증가 지속(9월+0.5 → 10월+4.4만명)하며 비임금근로자감소폭 축소(9월△1.6→10월△1.3만명)

 

* 비임금 증감(전년비, 9→10월, 만명): <고용有> 1.7→△0.7 <고용無> 0.5→4.4 <무급> △3.8→△4.9

 

(연령) 30대 · 40대 · 고령층에서 고용률 상승

 


전체
청년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인구(전년비, 만명)
+15.5
△24.9
+3.4
△15.3
+4.7
+47.6
취업자수(전년비, 만명)
+8.3
△18.2
+6.7
△7.2
+1.2
+25.7
고용률(%, %p)
63.3 (0.0)
45.6 (△0.8)
80.5 (+0.5)
79.5 (+0.6)
77.7 (△0.2)
47.4 (+0.2)

 

- 청년고용률(45.6%, △0.8%p) 하락하였으나, 실업률(5.5%, 0.4%p)역대 최저 2위, 20대 후반 고용률(72.2%, △0.5%p)역대 2위높은 수준

 

 

 

- 30대는 인구증가 대비 취업자수 큰 폭 증가하며 고용률 상승, 40대도 인구감소 비해 취업자수 소폭 감소하며 고용률 상승

 

* 30대 고용률 증감(전년비, %p): (’24.1/4)1.3 (2/4)1.3 (7)1.4 (8)1.2 (9)0.8 (10)0.5 【80.5%】

40대 고용률 증감(전년비, %p): (’24.1/4)0.6 (2/4)0.2 (7)0.3 (8)0.7 (9)0.8 (10)0.6 【79.5%】

 

- 50대고용률 하락하였으나 역대 2위로 높은 수준, 60세 이상은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으로 취업자 증가고용률 상승 지속

 

* 50대 고용률 증감(전년비, %p): (’24.1/4)0.3 (2/4)△0.6 (7)△0.5 (8)△0.6 (9)△0.3 (10)△0.2 【77.7%】

60세+ 고용률 증감(전년비, %p): (’24.1/4)0.6 (2/4) 0.4 (7) 0.5 (8) 0.1 (9) 0.4 (10) 0.2 【47.4%】

 

2. 평가 및 대응

 

고용률 · 경활률 역대 최고주요 고용지표 양호한 모습을 이어갔으나,
건설근로자 감소청년 고용취약계층 어려움 지속

 

지난해 10월 고용증가세가 확대되었던 기저효과(9월30.9→10월34.6만명)취업자 증가폭전월대비 축소(9월14.4만명→10월8.3만명)

 

- 경활 조사주간(10.13~19일) 강수일수 증가(‘23년2.4→’24년4.1일)농림어업 고용 감소폭 확대 등에 영향

 

ㅇ 고용이 장기추세크게 상회하였던 ’22~‘23년 대비 고용증가 속도 조정받는 가운데, 건설업자영업자청년 어려움 지속

 

- 다만, 건설업 취업자 계절조정 기준 3개월 연속 전월비 증가하며 전년비 감소폭 전월대비 축소

 

* 건설업 계절조정 취업자수 증감(전월비, 만명): (’24.6)△2.1 (7)△1.9 (8)2.3 (9)0.6 (10)0.2

 

기저효과(‘23.10월34.6→11월27.7만명), 실질임금 (+) 전환소비여건* 점차 개선 등 감안시 11~12월고용 증가폭 확대 가능성

 

* 소비여건 개선(2Q→3Q, 전년비, %): [민간소비]0.9→1.3 [실질임금]0.9→7~8월3.1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

 

투자활성화 대책경제 역동성 제고 + 내수보강 노력 강화

 

- 하반기에 계획된 62조원 규모 설비투자 이행 밀착 관리하고, 전국의 현장대기 프로젝트 가동 위한 3차 투자대책 연내 발표

 

공공투자 8조원 보강공공 공사비 현실화 방안 연내 마련건설일자리 지원 노력

 

소상공인 종합대책 차질없이 추진하고, 금융지원ㆍ온누리상품권 활성화추가 지원방안 연내 마련

 

청년ㆍ여성ㆍ중장년 등 맞춤형 경제활동촉진 방안 포함한 사회이동성 개선방안(2차) 마련추진

 

범부처 일자리TF 중심으로 업종별 · 계층별 고용 여건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방안 적극 강구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