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4 결과 발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9. 10.
반응형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4 결과 발표

2024.09.10 교육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4」 결과 발표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5,858로 OECD 평균 상회
- 청년층(만 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 69.7%로 OECD 국가 중 1위
-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 격차 전년 대비 감소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영선)은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에서 9월 10일(화) 18:00(프랑스 현지 시각 11:00)에 공개하는 「OECD 교육지표 2024」의 주요 결과를 분석·발표한다.

OECD는 「OECD 교육지표」를 통해 교육 전반에 관한 국제 비교 자료를 매년 제공하여 회원국들이 교육정책 수립 및 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OECD 교육지표 2024」 개요



(추진근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관한 협약(1996.12.18., 조약 제1358호)
(조사대상) 49개국(OECD 회원국 38개국, 비회원국 11개국)
(조사내용) 교육 재정, 학생·교원 등 관련 현황, 교육 참여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사항
※ 일부 수치는 반올림한 값으로, 부분의 합이 전체와 다를 수 있음
$로 표시된 수치는 미국 달러에 대한 구매력 평가 지수(PPP: 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조사기준 연도) 교육 재정(2021년), 등록금(2022년), 학생·교원(2022~2023년), 교육 참여·성과 등(2022~2023년)
(참여기관)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통계청 등

 

「OECD 교육지표 2024」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에 투자된 재정적 자원

◈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2%로 OECD 평균 상회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2020년 대비 12% 증가한 $15,858로 OECD 평균 상회

➊ 국내총생산(이하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 2021년 기준

◦ 2021년 우리나라 초등~고등교육 전 단계의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2%로 2020년(5.1%)보다 0.1%p 상승했고, OECD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정부 재원 + 민간 재원 + 해외 재원 공교육비) / GDP } × 100

<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

(단위 : %)

기준
연도
구분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초등~고등교육
정부
민간
합계
정부
민간
합계
정부
민간
합계
2021년
한국
3.4
0.2
3.6
0.7
0.9
1.5
4.1
1.1
5.2
(초기 재원)
(3.5)
(0.2)
(3.6)
(0.9)
(0.6)
(1.5)
(4.4)
(0.8)
(5.2)
OECD 평균
3.2
0.3
3.4
1.0
0.5
1.5
4.2
0.8
4.9
(초기 재원)
(3.2)
(0.3)
(3.4)
(1.0)
(0.3)
(1.5)
(4.3)
(0.6)
(4.9)
※ 한국의 GDP : (2021년) 2,080.2조 원
※ OECD ‘합계’에는 해외 재원이 포함되어 정부, 민간의 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한국은 민간에 해외 재원 포함)
※ 동 수치는 반올림한 값으로 부분의 합이 전체와 다를 수 있음
※ 동 수치는 정부에서 민간으로의 이전 지출을 민간 재원으로 포함하는 최종 재원 기준이며, 이전 지출을 정부 재원으로 포함하는 초기 재원 기준 수치괄호()로 별도 표기

◦ 2021년 우리나라 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1%로 2020년(4.0%) 대비 0.1%p 상승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초기 재원 기준으로 4.4%로 2020년(4.3%) 대비 0.1%p 상승하였으며, OECD 평균 상회

- 초·중등교육 단계 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3.4%로 2020년(3.3%) 대비 0.1%p 상승하여, OECD 평균을 상회하였다.

※ 초기 재원 기준으로 3.5%로 2020년(3.4%) 대비 0.1%p 상승하였으며, OECD 평균 상회

- 한편, 고등교육 단계 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0.7%로 2020년(0.7%)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초기 재원 기준으로 0.9%로 2020년(0.9%)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OECD 평균과의 격차가 최종 재원 기준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➋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2021년 기준

◦ 2021년 우리나라의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15,858로 2020년보다 12%($1,745↑) 증가하였으며, OECD 평균을 상회하였다.

* {(정부 재원+민간 재원+해외 재원 공교육비) / 재적 학생(재학생+휴학생 등) 수 } / 구매력 평가 지수(PPP)

- 초·중등교육 단계의 경우, 초등 $14,873, 중등 $19,299로 2020년 대비 각각 12%($1,595↑), 13%($2,261↑) 증가하였으며, OECD 평균을 상회하였다.

- 고등교육 단계의 경우 $13,573로 2020년 대비 11%($1,347↑) 증가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교육 단계별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단위 : $(PPP))

기준 연도
구분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초등~고등교육
2021년
한국
14,873
19,299
13,573
15,858
OECD 평균
11,902
13,324
20,499
14,209
※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구매력평가지수(PPP) : (2021년) 827.27원/$

➌ 대학 등록금(학부 수업료 기준, 3년마다 조사) : 2022년 기준

◦ 2022년 국·공립대학연평균 등록금은 $5,171로 2019년 대비 6.9%($357↑), 사립대학(독립형)은 $9,279로 7.1%($658↑) 증가하였다.

- 국·공립대학은 자료 제출 국가(24개국) 중 6번째로 높았으며, 사립대학(독립형)은 자료 제출 국가(13개국) 중 5번째로 높았다.

 

 

2 교사, 학습환경 및 학교조직

◈ 초·중·고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2021년 대비 감소
◈ 학급당 학생 수는 감소 추세이나, OECD 평균보다 높음

➊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 : 2022년 기준

◦ 2022년 우리나라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5.8명, 중학교 13.1명, 고등학교 10.5명으로 2021년* 대비 초등학교 0.3명, 중학교 0.2명, 고등학교 0.2명 감소하였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초등학교 : 16.1명, 중학교 : 13.3명, 고등학교 : 10.7명

◦ 2022년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2.0명, 중학교 26.0명으로 2019년* 대비 초등학교 1.0명, 중학교 0.1명 감소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 높았다.

* 초등학교 : 23.0명, 중학교 : 26.1명

<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 >

(단위 : 명)

기준
연도
구분
교사 1인당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2022년
한국
15.8
13.1
10.5
22.0
26.0
OECD 평균
14.0
12.8
12.7
20.6
22.8
※ OECD 기준상 ‘교사’는 기간제 교사 및 휴직 교사를 포함한 수업 교사(수석교사, 보직교사, 실기교사 등)를 대상으로 산출(관리직 교원, 상담·사서·보건·영양 등 주 업무가 수업이 아닌 교사 제외)
※ OECD는 고등학교 단계의 학급당 학생 수를 미산출

 

➋ 국·공립학교 교사의 법정 급여 : 2023년 기준

◦ 2023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초임교사법정 급여는 $36,639로 2022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초등학교 : $33,615, 중·고등학교 : $33,675

◦ 2023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15년차 및 최고호봉 교사법정 급여는 $64,699 및 $103,014로 2022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OECD 평균보다 높았다.

* 초등학교 : $59,346, $94,489, 중·고등학교 : $59,406, $94,549

< 국·공립학교 교사의 법정 급여 >

(단위 : $(PPP))

기준
연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임
15년차
최고호봉
초임
15년차
최고호봉
초임
15년차
최고호봉
2023년
한국
36,639
64,699
103,014
36,639
64,699
103,014
36,639
64,699
103,014
OECD 평균
42,060
56,753
68,924
43,484
58,596
71,334
44,831
60,803
73,930
※ 연간 급여(1인 기준) = 봉급 + 수당(정근수당 등 포함, 초과근무수당 등 추가수당 제외) + 복리후생비(명절휴가비 등) + 교원연구비
※ 사적소비에 대한 구매력평가지수(PPP) : (2022년) 995.28원/$ → (2023년) 927.74원/$
※ 최고호봉까지 일반적 소요기간(퇴직연령 62세 기준) : 한국 37년, OECD 평균 26년
 

 

➌ 초·중등교사의 연간 수업 주수 및 일수 : 2023년 기준

◦ 2023년 우리나라 초·중등 교사의 연간 수업 주수는 38주로 일반계 고등학교를 제외하고 OECD 평균과 같았고, 법정 수업 일수*는 190일로 OECD 평균보다 다소 많았다.

* 「초·중등교육법」 및 동법 시행령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수업 일수(190일)

< 초·중등 교사의 연간 수업 주수 및 법정 수업 일수 >

(단위 : 주, 일)

기준
연도
구분
연간 수업 주수
연간 법정 수업 일수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계
직업계
일반계
직업계
2023년
한국
38
38
38
38
190
190
190
190
OECD
평균
38
38
37
38
183
183
182
185

 

3 교육에의 접근·참여와 진학

◈ 우리나라의 취학률은 모든 연령대에서 OECD 평균 상회
◈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학생 비율 2021년 대비 증가

➊ 연령별 취학률 : 2022년 기준

◦ 2022년 우리나라의 연령별 취학률은 만 3세 95.7%, 만 4세 95.2%, 만 5세 96.8%, 만 6~14세 98.7%, 만 15~19세 84.9%로 각각 OECD 평균보다 높았다.

< 연령대별 취학률 >

(단위 : %)

기준연도
구분
만 3세
만 4세
만 5세
만 6~14세
만 15~19세
2022년
한국
95.7
95.2
96.8
98.7
84.9
OECD 평균
74.5
89.1
96.5
98.4
84.1
※ 만 3세는 영유아교육·보육단계, 만 4~5세는 영유아교육·보육단계 및 초등교육단계, 만 6~19세는 전체 교육단계에 해당함
※ 한국의 6~14세 연령 구간 취학률은 조정된 인구 값을 사용함

➋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 : 2022년 기준

◦ 2022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은 4.4%로 2021년(4.1%) 대비 0.3%p 증가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대학교의 경우 3.5%로 2021년(3.5%)동일 수준이며, 대학원(석사) 11.1%, 대학원(박사) 19.9%로 2021년* 대비 각각 가하였다.

* 대학원(석사) : 10.5%, 대학원(박사) : 17.4%

<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 >

(단위 : %)

기준 연도
구분
전문대학
대학교
대학원(석사)
대학원(박사)
전체
2022년
한국
-
3.5
11.1
19.9
4.4
OECD 평균
-
5.1
14.9
24.8
6.5
※ ‘외국인 유학생’ 정의 방식에는 ‘국제이동학생’과 ‘외국인학생’이 있음. ‘국제이동학생(international students)’은 학업을 목적으로 사전교육(후기중등교육)을 받은 국가나 거주지를 떠난 학생으로, 졸업한 후기중등교육 기관 소재 국가를 기준으로 정의됨. ‘외국인학생(foreign students)’은 고등교육과정을 등록한 국가의 시민이 아닌 학생으로, 국적에 따라 외국인유학생으로 정의됨
※ 한국 포함 8개국은 ‘외국인학생’ 정의를 사용, 영국, 프랑스 등 30개국은 ‘국제이동학생’ 정의를 사용함
※ 어학연수·교환학생 등 단기 프로그램에 등록된 외국인 학생 제외
※ 2022년 전문대 재학 외국인학생 비율은 자료 미수록으로 '-' 표기

 

4 교육기관의 산출 및 학습 효과

◈ 청년층(만 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 69.7%로 OECD 국가 중 1위
◈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 격차 2021년 대비 감소

➊ 고등교육 이수율 : 2023년 기준

◦ 2023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고등교육 이수율은 54.5%로 OECD 평균보다 높고, 특히 청년층(만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9.7%로 OECD 국가 중 1위

* 2위 캐나다(66.88%), 3위 일본(65.47%) 등

< 연령대별 고등교육 이수율 >

(단위 : %)

 

기준연도
구분
만 25~64세
만 25~34세
2023년
한국
54.5
69.7
OECD 평균
40.7
47.4

➋ 교육단계별 고용률 : 2023년 기준

◦ 2023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전체 교육단계 고용률은 75.7%로 2022년(74.8%)보다 0.9%p 상승하였으나, OECD 평균보다 낮았다.

< 교육 단계별 고용률 >

(단위 : %)

기준연도
구분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전체 교육단계*
2023년
한국
72.5
78.2
79.7
75.7
OECD 평균
76.9
81.9
86.0
78.5
※ 전체 교육단계는 초등교육 이수 미만부터 대학원(석·박사) 졸업까지 모두 포함

 

➌ 교육단계별 상대적 임금 : 2022년 기준

◦ 2022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고졸자 임금=100 기준)은 전문대학 졸업자 109.2%, 대학 졸업자 132.5%, 대학원 졸업자 176.0%로, 2021년*보다 상대적 임금 격차가 감소했다.

* 전문대학 : 111.2%, 대학 : 134.9%, 대학원(석박사) : 176.6%

<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 >

(단위 : %)

기준연도
구분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석·박사)
2022년
한국
109.2
132.5
176.0
OECD 평균
120.4
141.6
189.8
※ 고등학교 졸업자 임금=100 기준

이번 조사 결과는 OECD 누리집(www.oecd.org)에 9월 중 탑재될 예정이며,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OECD 교육지표 2024」 번역본을 12월 중 발간하여 교육통계서비스 누리집(https://www.kess.kedi.re.kr)에 공개할 계획이다.

【붙임】「OECD 교육지표 2024」주요 결과

 

 


자료 이용 시 유의 사항



◦ 지표별 조사 기준연도는 학생·교원 2022년~2023년, 교육재정 2021년, 등록금 2022년, 교육 참여·성과 등 2022년~2023년임
◦ 일부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부분의 합계가 전체의 수치와 다를 수 있음
◦ 교육기관은 교육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직접 교육기관(유치원, 학교 등)’과 학생, 직접 교육기관에 교육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지원 교육기관(교육청, 교육 관련 공공기관 등)’으로 구분됨
◦ 학교급별 직접 교육기관은 다음과 같음
- 유아 : 유치원 및 어린이집, 특수학교(유치원 과정)
- 초등학교 : 초등학교, 특수학교 및 각종학교(초등학교 과정), 공민학교
- 중학교 : 중학교, 특수학교 및 각종학교(중학교 과정), 고등공민학교
- 고등학교 : 고등학교, 특수학교 및 각종학교(고등학교 과정), 고등기술학교
- 고등교육 :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사이버‧원격‧방송통신대학은 제외)
◦ OECD 기준상 ‘교사’는 기간제·휴직교사 포함 수업교사(교장·교감, 전문상담·사서·보건·영양교사 등 주 업무가 수업이 아닌 교사 제외)
◦ $로 표시된 수치는 국제비교를 위하여 각국의 물가 차이를 고려한 미국 달러의 구매력평가지수(Purchasing Power Parity : PPP)를 반영한 수치임

 

 

붙임

「OECD 교육지표 2024」 주요 결과

1 교육에 투자된 재정적 자원

1.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단위 : %, %p)

기준
연도
구분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초등교육~고등교육
정부
민간
합계
정부
민간
합계
정부
민간
합계
2021년
한국
3.4
0.2
3.6
0.7
0.9
1.5
4.1
1.1
5.2
(초기재원)
(3.5)
(0.2)
(3.6)
(0.9)
(0.6)
(1.5)
(4.4)
(0.8)
(5.2)
(변화)
0.1
0.0
0.1
0.0
△0.0
△0.0
0.1
△0.0
0.1
OECD 평균
3.2
0.3
3.4
1.0
0.5
1.5
4.2
0.8
4.9
(초기재원)
(3.2)
(0.3)
(3.4)
(1.0)
(0.3)
(1.5)
(4.3)
(0.6)
(4.9)
2020년
한국
3.3
0.2
3.5
0.7
0.9
1.6
4.0
1.1
5.1
(초기재원)
(3.4)
(0.1)
(3.5)
(0.9)
(0.6)
(1.6)
(4.3)
(0.8)
(5.1)
OECD 평균
3.3
0.3
3.6
1.0
0.5
1.5
4.3
0.8
5.1
(초기재원)
(3.4)
(0.3)
(3.6)
(1.1)
(0.3)
(1.5)
(4.4)
(0.6)
(5.1)
※ 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 { (정부재원 + 민간재원 + 해외재원 공교육비) / GDP* } × 100
* 한국의 연도별 GDP : (2020년) 1,940.7조 원 → (2021년) 2,080.2조 원
※ 우리나라는 해외재원을 민간재원에 포함하여 산출하나 OECD 기준상 민간재원과 해외재원을 별도 산출하므로, OECD ‘합계’에는 해외재원이 포함되어 정부재원, 민간재원의 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동 수치는 반올림한 값으로 부분의 합이 전체와 다를 수 있음
※ 동 수치는 정부에서 민간으로의 이전지출*(예 : 장학금, 학자금대출 등)을 민간재원으로 포함하는 ‘최종재원’ 기준으로, 정부에서 민간으로의 이전지출을 정부재원으로 포함하는 ‘초기재원’ 기준 수치는 괄호()로 별도 표기
* 정부에서 민간으로의 이전지출 : (초·중등교육) 0.02% / (고등교육) 0.22%

2.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단위 : $(PPP), %, %p)

 
기준 연도
구분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초등교육~고등교육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국민
1인당
GDP 대비 비율
2021년
한국
14,873
30.6
19,299
39.7
13,573
27.9
15,858
32.6
(변화)
1,595
0.9
2,261
1.6
1,347
0.6
1,745
1.1
OECD 평균
11,902
22.2
13,324
24.6
20,499
38.0
14,209
26.4
2020년
한국
13,278
29.7
17,038
38.1
12,225
27.4
14,113
31.6
OECD 평균
10,658
23.2
11,942
25.3
18,105
38.4
12,647
27.2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 (정부재원 + 민간재원 + 해외재원 공교육비) / 재적학생(재학생+휴학생 등) 수 } / PPP*
*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구매력평가지수(PPP) : (2020년) 837.67원/$ → (2021년) 827.27원/$
※ 우리나라 국민 1인당 GDP : (2020년) $44,695 → (2021년) $48,595
※ 한국의 연도별 GDP : (2020년) 1,940.7조 원 → (2021년) 2,080.2조 원
※ 동 수치는 반올림한 값임

 

3. 대학 등록금(학부 수업료 기준, 3년마다 조사)

(단위 : $, 미국달러의 구매력지수(ppp) 환산액)

구분
국공립
사립(독립형)
’19~’20학년도
’22~’23학년도
’19~’20학년도
’22~’23학년도
영국(잉글랜드)4
12,255
13,135
m
m
미국
9,212
9,596
31,875
34,041
일본
5,144
5,645
8,741
10,104
캐나다
4,924
5,590
a
a
리투아니아
4,020
5,458
3,747
5,141
한국
4,814
5,171
8,621
9,279
호주2
5,031
5,108
9,239
10,978
뉴질랜드
4,621
4,748
4,411
m
이스라엘
2,604
3,088
8,516
9,040
네덜란드
2,622
3,041
m
m
이탈리아
1,985
2,570
7,237
6,463
루마니아
-
2,163
-
2,642
스페인
1,768
1,708
10,344
12,693
크로아티아
-
1,660
-
m
스위스
-
1,427
-
m
벨기에(네덜란드어권)
1,224
1,410
a
m
오스트리아
943
1,043
m
m
벨기에(프랑스어권)
189
433
a
a
프랑스
230
252
m
m
독일2
148
157
5,195
5,509
덴마크
0
0
m
m
핀란드3
0
0
0
0
노르웨이
0
0
5,620
5,538
스웨덴3
0
0
0
0
칠레
8,131
-
7,203
-
에스토니아
0
-
9,281
-
헝가리
3,783
-
4,228
-
아일랜드
8,363
-
m
-
라트비아
4,715
-
5,185
-
터키
0
-
0
-

주 1) 기준연도는 국가별로 다름. 호주, 독일은 2021년, 한국 뉴질랜드, 핀란드는 2022년, 이스라엘, 네덜란드, 스웨덴은 2023년, 영국, 미국, 스페인은 2021/22학년도, 나머지 국가는 2022/23학년도 기준임

2) 호주, 독일은 정부 의존형 사립 교육기관이 독립형 사립 교육기관에 포함됨

3) 핀란드, 스웨덴은 독립형 사립 교육기관 대신 정부 의존형 사립 교육기관 데이터가 수록됨

4) 영국(잉글랜드)은 국공립 교육기관 대신 정부 의존형 사립 교육기관 데이터가 수록됨

5) 등록금을 받지 않는 교육기관의 경우 등록금을 0으로 표기, 이번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로 표기함.

6) a : 해당사항 없음, m : 자료 미제출

7) 한국의 PPP 환율 : (2019년) 864.63원/$ → (2022년) 810.43원/$

8) 2019/2020년 등록금 조사에 대한「OECD 교육지표 2022」는 2019년 PPP(864.63원/$)를 적용했고, 2022/2023년 등록금 조사에 대한「OECD 교육지표 2024」는 2022년 PPP(810.43원/$)를 적용함

 

2 교사, 학습환경 및 학교조직

1.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

(단위 : 명)

기준 연도
구분
교사 1인당 학생 수
기준 연도
구분
학급당 학생 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2022년
한국
15.8
13.1
10.5
2022년
한국
22.0
26.0
(변화)
△0.3
△0.2
△0.2
(변화)
△1.0
△0.1
OECD 평균
14.0
12.8
12.7
OECD 평균
20.6
22.8
2021년
한국
16.1
13.3
10.7
2019년
한국
23.0
26.1
OECD 평균
14.6
13.2
13.3
OECD 평균
21.1
23.3
2019년
한국
16.6
13.0
11.4
2018년
한국
23.1
26.7
OECD 평균
14.5
13.1
13.0
OECD 평균
21.1
23.3
※ 교사 1인당 학생 수 = 전일제 환산치 학생 수 / 전일제 환산치 교사 수
※ 교사 1인당 학생 수 : ‘교사’는 기간제 포함 수업교사(주 업무가 수업이 아닌 교사 제외, 휴직교사 포함)
※ OECD 기준에 따르면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학생과 교사가 포함되지만, 우리나라는 특수학교 교사의 학교급을 구분하기 어려워 특수학교의 학생 및 교사가 포함되지 않음. 단, 일반학교의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단계는 구분 가능하여 해당 교사 및 학생은 포함
※ 교사 1인당 학생 수 : 우리나라는 전일제 교사를 대상으로 하며, OECD는 전일제·비전일제 모두를 포함
※ 교사 1인당 학생 수 지표는 「OECD 교육지표 2022」에 포함되지 않아 2020년 자료 미표시
※ 학급당 학생 수 = 학생 수 / 학급 수
※ 학급당 학생 수 : 고등학교 단계의 학급당 학생 수는 미산출
※ 학급당 학생 수 : OECD 기준상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 제외
※ 학급당 학생 수 지표는 「OECD 교육지표 2022」,「OECD 교육지표 2023」에 포함되지 않아 2020년, 2021년 자료 미표시

 

 

2. 국·공립학교 교사의 법정 급여

(단위 : $(PPP))

기준
연도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임
15년차
최고호봉
초임
15년차
최고호봉
초임
15년차
최고호봉
2023년
한국
36,639
64,699
103,014
36,639
64,699
103,014
36,639
64,699
103,014
(변화)
3,024
5,353
8,525
2,964
5,293
8,465
2,964
5,293
8,465
OECD 평균
42,060
56,753
68,924
43,484
58,596
71,334
44,831
60,803
73,930
2022년
한국
33,615
59,346
94,489
33,675
59,406
94,549
33,675
59,406
94,549
OECD 평균
36,367
49,968
61,075
37,628
51,613
63,332
39,274
53,456
65,658
※ 연간 급여(1인 기준) = 봉급 + 수당(정근수당 등 포함, 초과근무수당 등 추가수당 제외) + 복리후생비(명절휴가비 등) + 교원연구비
※ 사적소비에 대한 구매력평가지수(PPP) : (2022년) 995.28원/$ → (2023년) 927.74원/$
※ 최고호봉까지 일반적 소요기간(퇴직연령 62세 기준) : 한국 37년, OECD 평균 26년

3. 초·중등 교사의 수업 주수·일수·시간

(단위 : 주, 일, 시간)

기준
연도
구분
연간 총 수업 주수
연간 총 법정
수업 일수
연간 교사 1인당
순 수업시간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
학교
(일반)
고등
학교
(직업)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
학교
(일반)
고등
학교
(직업)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
학교
(일반)
고등
학교
(직업)
2023년
한국
38
38
38
38
190
190
190
190
671
517
539
526
(변화)
-
-
-
-
-
-
-
-
△1
-
△5
△15
OECD 평균
38
38
37
38
183
183
182
185
773
706
679
695
2021년
한국
38
38
38
38
190
190
190
190
672
517
544
541
OECD 평균
38
38
37
38
184
183
182
185
784
711
684
684
※ 수업 주수와 수업 일수는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45조 제1항에 기초하여 산출
※ 순 수업시간은 교육통계조사에 기초하여 산출되며 점심시간과 중간 휴식시간, 공휴일(국경일 및 정규방학) 등을 제외한 정규수업, 특별활동, 재량활동 수업시간 포함(수업준비활동, 생활지도 등은 미포함). 단, OECD 기준상 초등 담임교사에 한해 쉬는시간(10분)을 학생 지도시간으로 간주하여 순 수업시간에 포함
※ 국제비교를 위해 수업시간은 수업시수를 시간(60분, 1시간)으로 환산
(예: 초등학교 수업시간 = {(1시간 수업시수 = 40분) ÷ 60분 } → 1시간 수업시수가 2/3시간으로 환산됨
※ 교사의 수업시간 지표는 격년으로 발표되어 「OECD 교육지표 2023」에 포함되지 않아 2022년 자료 미표시

 

 

3 교육에의 접근·참여와 진학

1. 연령별 취학률

 

(단위 : %, %p)

기준연도
구분
만 3세
만 4세
만 5세
만 6~14세
만 15~19세
만 20~24세
만 25~29세
2022년
한국
95.7
95.2
96.8
98.7
84.9
-
-
(변화)
△0.5
△2.3
3.4
△0.0
△0.9
-
-
OECD 평균
74.5
89.1
96.5
98.4
84.1
-
-
2021년
한국
96.1
97.5
93.3
98.7
85.8
50.7
7.9
OECD 평균
73.7
88.0
95.1
98.4
83.9
42.4
16.2
※ 연령대별 취학률 : ( 연령대별 학생 수 / 연령대별 인구 수 ) × 100
※ 만 3세는 영유아교육·보육단계, 만 4~5세는 영유아교육·보육단계 및 초등교육단계, 만 6~19세는 전체 교육단계에 해당함
※ 「OECD 교육지표 2024」 '20~24세'와 '25~29세' 취학률은 자료 미수록으로 '-'으로 표기함
※ 한국의 6~14세 연령구간 취학률은 조정된 인구 값을 사용함

2.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

(단위 : %, %p)

기준 연도
구분
전문대학
대학교
대학원(석사)
대학원(박사)
전체
2022년
한국
-
3.5
11.1
19.9
4.4
(전년대비)
-
0.0
0.6
2.4
0.3
OECD 평균
-
5.1
14.9
24.8
6.5
2021년
한국
1.5
3.5
10.5
17.4
4.1
OECD 평균
3.4
4.9
13.6
23.6
6.4
※ ‘외국인 유학생’ 정의 방식에는 ‘국제이동학생’과 ‘외국인학생’이 있음. ‘국제이동학생(international students)’은 학업을 목적으로 사전교육(후기중등교육)을 받은 국가나 거주지를 떠난 학생으로, 졸업한 후기중등교육 기관 소재 국가를 기준으로 정의됨. ‘외국인학생(foreign students)’은 고등교육과정을 등록한 국가의 시민이 아닌 학생으로, 국적에 따라 외국인유학생으로 정의됨
※ 한국 포함 8개국은 ‘외국인학생’ 정의를 사용, 영국, 프랑스 등 30개국은 ‘국제이동학생’ 정의를 사용함
※ 어학연수·교환학생 등 단기 프로그램에 등록된 외국인 학생 제외
※ 2022년 전문대 재학 외국인학생 비율은 자료 미수록으로 '-' 표기

 

4 교육기관의 산출 및 학습

1. 고등교육 이수율

(단위 : %, %p)

기준연도
구분
만 25~64세
만 25~34세
2023년
한국
54.5
69.7
(변화)
1.7
0.1
OECD 평균
40.7
47.4
2022년
한국
52.8
69.6
OECD 평균
40.4
47.2
※ 고등교육 이수율 : ( 연령대별 고등교육 단계 학력 소지자 수 / 해당 연령대 전체 인구 수 ) × 100
※ 원자료 출처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 교육단계별 고용률

(단위 : %, %p)

기준연도
구분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전체 교육단계
2023년
한국
72.5
78.2
79.7
75.7
(변화)
0.7
0.9
0.8
0.9
OECD 평균
76.9
81.9
86.0
78.5
2022년
한국
71.7
77.3
78.9
74.8
OECD 평균
76.5
81.9
85.2
77.9
※ 교육단계별 고용률 : ( 교육단계별 취업자 수 / 생산가능인구(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 수 ) × 100
※ OECD 기준상 만 25~64세 인구 대상으로 산출
※ 전체 교육단계는 초등교육 이수 미만부터 대학원(석·박사) 졸업까지 모두 포함
※ 원자료 출처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3. 교육단계별 상대적 임금

 

(단위 : %, %p)

기준연도
구분
중학교 이하
고등학교
(기준)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석박사)
2022년
한국
82.0
100
109.2
132.5
176.0
(변화)
△0.1

△2.0
△2.4
△0.6
OECD 평균
82.1
100
120.4
141.6
189.8
2021년
한국
82.1
100
111.2
134.9
176.6
OECD 평균
81.9
100
122.3
142.6
187.7
※ 고등학교 졸업자 임금=100 기준
※ 원자료 출처 :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