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한국에서 최초 시작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5. 29.
반응형

양자기술 국제표준화 한국에서 최초 시작

2024.05.28 산업통상자원부

 

 

미래 산업의 판도를 바꿀 차세대 양자기술의 국제표준 개발 위원회가 한국에서 공식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5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간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미국·영국·독일·중국 등 22개국 100여 명의 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양자기술 공동기술위원회(IEC/ISO JTC3, 이하 JTC3)」창립 총회를 개최한다.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국제표준화기구(ISO)는 미래 첨단산업의 핵심인 양자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표준화를 통해 연구 개발과 양자컴퓨팅·통신·소재·센싱 등 관련 분야의 산업화를 촉진하고자 작년 12월 JTC3를 공동으로 설립하였다. 이는 1987년 인공지능, 정보보안과 같은 정보기술(IT) 공동기술위원회(JTC1)를 설립한 이후 37년 만의 신설이다. 우리나라는 양자기술 표준백서 발간 등 JTC3 설립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2월 초대 의장을 수임하고 첫 번째 JTC3 총회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이번 창립 총회에서는 IBM, 마이크로소프트, LG전자, 화웨이 등 기업과 영국 물리학연구소(NPL),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 등 연구기관, 일본 경산성(METI),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등 정부기관이 참여하였다. 총회에서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등 양자기술 표준개발 조직 구성과 양자기술의 기반이 되는 용어, 기술분류 등에 대한 표준안 논의를 진행한다. 둘째 날에는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영국·미국·프랑스·한국 등 주요국의 양자기술 개발 현황과 표준전략을 국내외 참석자들과 공유한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한국에서 양자기술 국제표준 개발 위원회를 공식 출범한 것은 우리나라의 양자기술 개발과 표준화 역량에 대한 높아진 위상을 보여준다”면서,“미국·영국 등 양자기술 주요 선도국과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민·관이 공조하여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양자센싱, 양자통신 등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참고 1

JTC 3(양자기술) 창립 총회 개요 및 세부 일정

 

□ 총회 개요

 

ㅇ (행사명) ‘양자기술 공동기술위원회(IEC/ISO JTC 3)’ 창립 총회

 

ㅇ (일시/장소) ’24.5.28.(화) ~ 5.30.(목) / 서울 플라자 호텔(메이플홀, 4F)

 

ㅇ (주최/주관) 국가기술표준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기계연구원(KIMM),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주대학교, 한림대학교

 

ㅇ (후원기관) 파스칼코리아(주)

 

ㅇ (참석자) 22개국 대표단 100여명*

* 국가: 한국(14), 영국(5), 미국(10), 중국(17), 독일(4), 프랑스 (9), 호주(4), 일본(9) 등

- 기업: IBM, 마이크로소프트, LG전자, 화웨이, 후지쯔, 파스칼코리아 등

- 기관: 英표준협회(BSI), 英물리학연구소(NPL), 美표준협회(ANSI), 美표준기술연구소

(NIST), 中공업정보화부(MIIT), 中전자기술표준연구원(CESI), 日경산성(METI), 韓전자기술연구원(KETI), 韓표준과학연구원(KRISS), 韓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 총회 일정

 

구 분
5.28 (화)
5.29 (수)
5.30 (목)
오전 (08:30~12:00)

총회(계속)
총회(계속)
오후 (13:00~18:00)
총회 opening
국제심포지엄*
총회 closing

 

* (일시/장소) ’24.5.29.(수) / 서울 플라자 호텔(메이플홀, 4F)

(참석자) JTC 3 참가자 및 국내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명

(주요내용) 영국, 미국, 프랑스, 한국의 양자기술 개발 및 표준화 동향

 

 
시간
내용
연사
15:40~16:00
등록
-
16:00~16:15
영국의 양자기술 기술 현황
英물리학연구소 (John)
16:15~16:30
미국의 양자센서와 표준의 현황
美표준기술연구소 (Barbara)
16:30~16:45
프랑스의 양자컴퓨팅 생태계
佛원자력 및 대체에너지 위원회 (Florent)
16:45~17:00
한국의 양자기술 기술 현황
韓표준과학연구원 (이재훈)
17:00~17:30
질의 & 응답
-

 

참고 2

양자기술 및 JTC 3 개요

 

□ 양자기술 개요


< 양자기술 (Quantum Technology) >



에너지의 최소 단위인 양자(Quantum)의 물리학적 특성(중첩, 얽힘, 불확정성, 파동성, 입자성 등)을 이용한 차세대 기술로 초고속 대용량 연산 및 암호통신, 초정밀 센싱 및 계측이 가능

 

(양자컴퓨팅) 최적화, 암호해독, 시뮬레이션과 같은 대량의 데이터 또는 복잡한 계산에 있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처리가 가능

 

(양자통신) 암호키를 포함하는 단일 광자(photon)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중간에서 광자 측정을 시도하는 순간 암호키가 깨져 도청이 불가능

 

(양자센싱) 양자가 자기장, 전기장, 중력 등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 센싱/계측 기술보다 정밀하고 광범위한 측정이 가능

 

(양자소재) 양자중첩, 양자얽힘 등 양자현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로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싱 등에 활용

 

□ IEC/ISO JTC 3 개요

 

ㅇ 설립년도 : 2023년 12월

 

ㅇ 작업범위 : 양자정보기술(컴퓨팅 & 시뮬레이션), 양자계측, 양자소스, 양자검출기, 양자통신, 양자기반기술 등

 

ㅇ 의장/간사 : 한국 전주대 이해성 교수 / 영국 Petar Luzajic

 

ㅇ 회원국 현황

 

- 32개국 : 한국, 영국, 미국, 중국, 독일, 일본, 캐나다, 프랑스 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