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22-2052년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5. 28.
반응형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22-2052년

2024.05.28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결과(요약)

 

2022년 대비 2052년 서울, 부산 등 15개 시도의 총인구는 감소

 

(총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시도별 총인구는 세종과 경기는 증가하고, 나머지 15개 시도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시도별 총인구 증감, 2022년 대비 2052년 >

 

(인구성장률) 2022년 서울, 부산, 대구 등 11개 시도에서 마이너스 인구성장, 2039년부터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마이너스 인구성장을 보일 전망

 

 

(자연증가) 2022년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출생아수보다 사망자수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 2045년부터는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연감소를 보일 전망

 

 

 

 

2052년 중위연령은 전남, 경북, 경남, 강원 등 9개 시도에서 60세를 넘어설 전망

 

(중위연령) 2022년 중위연령은 전남(50.1세)이 가장 높고, 세종(38.8세)이 가장 낮음

 

ㅇ 2052년 중위연령은 전남(64.7세), 경북(64.6세), 경남(63.5세) 순으로 높고, 세종(52.1세), 서울(56.1세), 대전(56.4세) 순으로 낮음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감소

 

(생산연령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울산(-49.9%)과 경남(-47.8%), 낮은 지역은 경기(-25.6%)와 인천(-27.8%)임

 

ㅇ 세종의 생산연령인구는 2052년까지 16.7%(5만명) 증가할 전망

 

(고령인구) 205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전남(49.6%), 경북(49.4%), 경남(47.8%) 순으로 높고, 세종(29.3%), 서울(37.2%), 경기(37.5%) 순으로 낮음

 

(유소년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유소년인구(0~14세)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고, 울산, 경남, 전남, 경북 등 4개 시도에서는 50% 이상 감소할 전망

 

(학령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학령인구(6~21세)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고, 울산, 경남, 경북, 전북, 전남, 대구, 부산 등 7개 시도에서는 50% 이상 감소할 전망

 

(총부양비) 2022년 총부양비는 전남이 55.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2052년에는 전남, 경북, 경남, 강원, 전북 등 10개 시도에서 100명을 넘어설 전망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결과
 

 

1. 시도별 총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서울, 부산 등 15개 시도의 총인구는 감소

(전국)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이하 전국추계)의 중위 추계에 따르면 2022년 총인구는 5,167만명에서 2024년까지 5,175만명 수준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여 2052년 4,627만명에 이를 전망

 

(시도별) 최근의 시도별 인구변동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2년 대비 2052년 세종과 경기의 총인구는 증가, 서울, 부산 등 15개 시도의 총인구는 감소할 전망

 

ㅇ 세종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 대비 2052년 41.1%(16만명) 증가

 

ㅇ 경기인구는 2022년 1,369만명에서 늘어 2038년 1,452만명 수준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52년에는 1,381만명으로 2022년 대비 0.9%(12만명) 증가할 전망

 

- 강원(-9만명), 충북(-8만명), 제주(-3만명), 인천(-1만명), 충남(-2천명) 등은 2030년대까지 인구성장을 보이다가 이후 감소하여 2022년 대비 2052년 시도 인구가 5% 내외 감소할 전망

 

ㅇ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2022년 대비 2052년 부산(-85만명), 경남(-69만명), 대구(-58만명), 울산(-29만명) 등의 인구는 20% 이상 감소

 

- 서울(-149만명)을 포함한 경북(-46만명), 전북(-33만명), 광주(-29만명), 전남(-28만명), 대전(-22만명) 등의 인구는 15% 내외 감소할 전망

 

인구정점: 부산(1995년), 서울(2009년), 대구(2011년), 대전(2014년), 광주(2015년), 전북‧전남‧울산‧경북(2016년), 경남(2018년), 제주(2032년), 충북(2034년), 강원(2036년), 인천(2037년), 경기‧충남(2038년)

 

(권역별) 2022년 대비 2052년 영남권 286만명(-22.5%), 수도권 138만명(-5.3%), 호남권 93만명(-16.3%), 중부권 24만명(-3.3%) 순으로 4개 권역 모두 인구가 감소할 전망

 

ㅇ 수도권 인구는 2022년 2,609만명(총인구의 50.5%)에서 늘어 2033년 2,651만명(51.9%)을 정점으로 감소, 2052년 2,471만명(53.4%)에 이를 전망

 

ㅇ 중부권은 2022년 719만명(총인구의 13.9%)에서 계속 증가하다 2037년 730만명(14.4%)을 정점으로 감소, 2052년 695만명(15.0%)에 이를 전망

 

ㅇ 반면, 호남권과 영남권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호남권이 2022년 570만명(총인구의 11.0%)에서 2052년 477만명(10.3%), 영남권이 2022년 1,270만명(총인구의 24.6%)에서 984만명(21.3%)에 이를 전망

 

[표 1-1] 시도별 총인구 및 구성비, 2022~2052년

지역
총인구(만 명)

2022년
2025년
2030년
2035년
2040년
2045년
2052년
`22년 대비 `52년
증감
증감률(%)
전국
5,167
5,168
5,131
5,082
5,006
4,884
4,627
-541
-10.5
서울
942
934
910
890
871
844
793
-149
-15.8
부산
330
324
311
299
285
269
245
-85
-25.8
대구
237
233
224
216
206
196
180
-58
-24.3
인천
298
306
310
312
312
308
296
-1
-0.4
광주
147
145
140
136
132
127
118
-29
-19.7
대전
147
147
143
140
137
133
125
-22
-15.1
울산
111
109
105
101
96
91
83
-29
-25.7
세종
38
40
44
47
49
51
54
16
41.1
경기
1,369
1,395
1,428
1,448
1,451
1,435
1,381
12
0.9
강원
153
152
152
152
152
150
144
-9
-5.8
충북
162
163
164
164
163
161
154
-8
-5.0
충남
219
223
225
227
227
226
218
-0
-0.1
전북
178
175
169
165
160
155
145
-33
-18.4
전남
178
175
171
167
163
158
149
-28
-15.8
경북
263
258
252
247
240
232
217
-46
-17.4
경남
329
323
314
304
293
281
260
-69
-21.0
제주
67
68
68
68
67
67
64
-3
-4.7
수도권
2,609
2,635
2,648
2,650
2,634
2,587
2,471
-138
-5.3
중부권
719
724
727
730
729
721
695
-24
-3.3
호남권
570
562
548
536
522
506
477
-93
-16.3
영남권
1,270
1,248
1,207
1,167
1,121
1,069
984
-286
-22.5
구성비, 증감(%, %p)

전국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0

서울
18.2
18.1
17.7
17.5
17.4
17.3
17.1
-1.1

부산
6.4
6.3
6.1
5.9
5.7
5.5
5.3
-1.1

대구
4.6
4.5
4.4
4.2
4.1
4.0
3.9
-0.7

인천
5.8
5.9
6.0
6.1
6.2
6.3
6.4
0.6

광주
2.8
2.8
2.7
2.7
2.6
2.6
2.6
-0.3

대전
2.8
2.8
2.8
2.8
2.7
2.7
2.7
-0.1

울산
2.2
2.1
2.1
2.0
1.9
1.9
1.8
-0.4

세종
0.7
0.8
0.9
0.9
1.0
1.1
1.2
0.4

경기
26.5
27.0
27.8
28.5
29.0
29.4
29.9
3.4

강원
3.0
2.9
3.0
3.0
3.0
3.1
3.1
0.2

충북
3.1
3.2
3.2
3.2
3.3
3.3
3.3
0.2

충남
4.2
4.3
4.4
4.5
4.5
4.6
4.7
0.5

전북
3.4
3.4
3.3
3.2
3.2
3.2
3.1
-0.3

전남
3.4
3.4
3.3
3.3
3.3
3.2
3.2
-0.2

경북
5.1
5.0
4.9
4.9
4.8
4.7
4.7
-0.4

경남
6.4
6.3
6.1
6.0
5.9
5.8
5.6
-0.7

제주
1.3
1.3
1.3
1.3
1.3
1.4
1.4
0.1

수도권
50.5
51.0
51.6
52.1
52.6
53.0
53.4
2.9

중부권
13.9
14.0
14.2
14.4
14.6
14.8
15.0
1.1

호남권
11.0
10.9
10.7
10.5
10.4
10.4
10.3
-0.7

영남권
24.6
24.1
23.5
23.0
22.4
21.9
21.3
-3.3

2. 시도별 인구성장률 및 자연증가율

 

2022년 서울, 부산, 대구, 울산 등 11개 시도에서 마이너스 인구성장

 

(시도별 인구성장) 2022년 세종(5.2%)은 높은 인구성장률을 보인 반면, 울산, 대구, 부산, 서울 등 11개 시도는 마이너스 인구성장을 보임

 

ㅇ 2035년부터 충북(2035년), 강원(2037년), 인천(2038년), 경기(2039년), 충남(2039년) 순으로 인구감소가 시작될 전망

 

ㅇ 2039년 이후에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

 

(권역별 인구성장) 2017년 영남권에서 마이너스 인구성장을 시작, 2019년 호남권, 2034년 수도권, 2038년 중부권까지 모든 권역으로 확대될 전망

 

(수도권) 2022년 인구성장률은 0.07%에서 2034년 마이너스로 인구성장으로 전환된 후 2052년에는 -0.82%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중부권) 2022년 인구성장률은 0.34%에서 2038년 마이너스 인구성장으로 전환되어 2052년에는 -0.67%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호남권) 1970년대 이후 지속적인 인구감소에서 2010년 전후 증가로 전환되었으나, 2019년 이후 다시 감소하여 2052년에는 -1.01%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영남권) 2017년부터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52년에는 -1.34% 수준으로 4개 권역 중 인구성장률이 가장 낮을 것으로 전망

 

 

 

 

(시도별 자연증가) 2022년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출생아수 보다 사망자수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

 

ㅇ 2045년부터는 세종을 포함한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연감소를 보일 전망

 

(권역별 자연증가) 2022년 모든 권역에서 인구 자연감소를 보이고, 2052년에는 자연감소 규모가 더 확대될 전망

 

[그림 1-3] 시도별 자연증가율, 2022년 및 2052년

 

 

* 자연증가율: 출생아수에서 사망자수를 뺀 자연증가를 특정연도 인구로 나눈 비율

 

 

 

3. 시도별 중위연령 및 인구피라미드

2052년 중위연령은 전남, 경북, 경남, 강원 등 9개 시도에서 60세를 넘어설 전망

(전국 중위연령) 출생아수 감소와 기대수명 증가로 전국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52년 58.8세로 높아질 전망

 

(시도별 중위연령) 2022년 시도별 중위연령은 전남이 50.1세로 가장 높고, 세종이 38.8세로 가장 낮음

 

ㅇ 2052년에는 전남, 경북, 경남, 강원 등 9개 시도의 중위연령이 60세를 넘어서고, 가장 낮은 세종도 2052년 52.1세로 높아질 전망

 

 

(인구피라미드) 시도별 인구피라미드는 2022년 중간 연령층이 많은 항아리형 구조에서 2052년 점차 아랫부분이 좁아지고 윗부분이 넓어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화될 전망

 

 

 

4.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감소

(전국)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3,674만명(71.1%)에서 2052년 2,380만명(51.4%)으로 향후 30년간 1,295만명(-35.2%) 감소할 전망

 

(시도별) 시도별 생산연령인구는 점차 감소하여 2022년 대비 2052년 울산, 경남, 부산, 대구, 경북 등 8개 시도에서 40% 이상 감소할 전망

 

ㅇ 2022년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73.3%)과 경기(73.1%) 이고,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64.5%)과 경북(66.6%)임

 

ㅇ 2052년 생산연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58.8%)과 서울(55.3%) 이고,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44.0%)과 경북(44.4%)으로 전망됨

 

ㅇ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 감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49.9%)과 경남(-47.8%)이고, 감소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25.6%)와 인천(-27.8%)임

 

ㅇ 반면, 세종의 생산연령인구는 2052년까지 16.7%(5만명) 증가할 전망

 

(권역별) 향후 30년간 생산연령인구는 수도권이 569만명(-29.8%), 영남권 414만명(-47.1%), 호남권 159만명(-41.1%), 중부권 153만명(-30.6%) 감소할 전망

 

 

 

5. 시도별 고령인구

2052년 전남, 경북, 경남 등 11개 시도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40%를 넘어

(전국)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2년 898만명(17.4%)에서 2025년에 1,000만명을 넘어, 2050년 1,891만명(40.1%)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52년 1,886만명(40.8%)에 이를 전망

 

ㅇ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가 65세 이상 고령인구에 진입하는 2020년부터 고령인구가 급증하여 2022년 대비 2052년 고령인구는 2배 이상 증가

 

(시도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점차 증가하여 2022년 대비 2052년 세종, 경기, 인천, 제주 등 11개 시도는 2배 이상 증가할 전망

 

ㅇ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24.4%)과 경북(22.7%),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9.9%)과 울산(14.2%)임

 

ㅇ 205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49.6%)과 경북(49.4%),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29.3%)과 서울(37.2%)임

 

- 2052년 전남, 경북 등 11개 시도의 고령인구 비중은 40%를 넘어서고, 2022년 고령인구 비중이 낮았던 울산도 2052년 43.7%로 향후 30년간 29.5%p 증가

 

(권역별) 2022년 호남권(20.4%)을 제외한 3개 권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 미만이나, 향후 3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52년에는 수도권(37.6%)을 제외한 3개 권역의 고령인구 비중은 40%를 넘어설 전망

 

 

6. 시도별 유소년인구 및 학령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유소년인구는 울산, 경남, 전남, 경북 등 4개 시도에서 50% 이상 감소

(유소년인구) 전국의 유소년인구(0~14세)는 2022년 595만명(11.5%)에서 2035년 374만명(7.4%)으로 감소, 2052년에는 361만명(7.8%)에 이를 전망

 

(시도별) 2022년 시도별 유소년인구 비중은 세종이 19.1%로 가장 높고, 서울이 9.6%로 가장 낮았음

 

- 2052년 유소년인구 비중은 세종이 12.0%로 가장 높고, 경북이 6.2%로 가장 낮았으며 대부분의 시도가 10% 미만으로 낮아질 전망

 

- 2022년 대비 2052년 유소년인구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였고, 울산(-58.8%), 경남(-57.8%), 전남(-52.0%), 경북(-51.8%) 등 4개 시도는 50% 이상 감소할 전망

 

(학령인구) 전국의 학령인구(6~21세)는 2022년 750만명에서 2035년 482만명으로 268만명이 급감한 후 2052년 424만명까지 감소할 전망

 

(시도별) 2022년 대비 2052년 학령인구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였고, 울산(-59.3%), 경남(-58.7%), 경북(-54.8%) 등 7개 시도는 50% 이상 감소할 전망

 

(권역별) 향후 30년간 학령인구는 수도권 137만명(-36.9%), 영남권 99만명(-54.6%), 중부권 46만명(-41.3%), 호남권 44만명(-51.2%) 순으로 감소할 전망

 

7. 시도별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52년 총부양비는 전남, 경북, 경남, 강원 등 10개 시도에서 100명 넘어

(총부양비) 생산연령인구 1백명이 부양하는 유소년 및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22년 전국 평균 40.6명(유소년 16.2명, 고령자 24.4명)에서, 2052년 94.4명(유소년 15.2명, 고령자 79.3명)으로 증가할 전망

 

(시도별) 2022년 시도별 총부양비는 서울(36.4명)이 가장 낮고, 전남(55.0명)이 가장 높음

 

- 2052년 총부양비는 세종(70.1명)이 가장 낮고, 전남(127.0명), 경북(125.4명), 경남(118.9명) 등 10개 시도는 100명을 넘어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더 많아질 전망

 

- 향후 30년간 총부양비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시도는 울산으로 2022년 대비 약 2.8배 증가, 가장 낮은 증가를 보이는 세종도 약 1.7배 증가할 전망

 

(유소년부양비) 유소년부양비는 2022년 세종(26.8명)과 제주(19.8명)가 가장 높고, 서울(13.1명)이 가장 낮은데, 이러한 추세는 2052년까지 유지될 전망

 

(노년부양비) 2022년 특·광역시(부산,대구제외) 및 경기, 제주의 노년부양비는 전국(24.4명)보다 낮고, 전남(37.8명), 경북(34.1명), 전북(33.3명) 등 도지역은 모두 높았음

 

ㅇ 2046년 전남(100.7명)을 시작으로 2047년 경북(103.0명), 2049년 경남(100.5명), 2050년 강원(100.9명) 순으로 노년부양비가 100명을 넘어설 전망

 

(노령화지수) 유소년인구 1백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22년 151.0명에서 2052년에는 522.4명으로 2022년 대비 약 3.5배 증가할 전망

 

ㅇ 2022년 세종(51.7명)을 제외한 16개 시도는 노령화지수가 100명을 초과해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았음

 

- 2052년에는 경기와 제주를 제외한 7개 도지역과 부산, 대구, 울산은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5배 이상 많아질 전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