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4. 11.
반응형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

2024.04.11 통계청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

 

내·외국인 인구추계(2022~2042년) 결과(요약)

 

총인구*20225,167만 명에서 20424,963만 명으로 감소
총인구 중 내국인 구성비는 202296.8%에서 204294.3%로 감소하고, 외국인은 20223.2%에서 20425.7%로 증가할 전망
* 대한민국에 3개월 이상 거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합

 

ㅇ 2042년 총인구는 4,963만 명으로 감소, 내국인 구성비는 94.3%(4,677만 명)로 감소, 외국인은 5.7%(285만 명)로 2022년 대비 외국인의 구성비는 1.8배 높아질 전망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23,527만 명에서 20422,573만 명으로 감소, 외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2147만 명에서 2042236만 명으로 증가

 

(내국인 연령구조) 2022년과 2042년의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감소(70.5%→55.0%),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증가(17.8%→36.9%),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은 감소(11.7%→8.1%)할 전망

 

(외국인 연령구조) 2022년과 2042년의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감소(89.2%→82.6%),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증가(5.8%→12.1%),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은 증가(5.1%→5.3%)할 전망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2022~2042년
[내국인]
[외국인]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2022889만 명에서 20421,725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1.9배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25년 1,000만 명을 넘고, 2036년 1,500만 명을 넘어설 전망

 

ㅇ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 구성비는 2022년 17.8%에서 2025년 20%를 넘고, 2035년 30%를 넘어설 전망

 

내국인 고령인구, 2022~2042년


 

내국인 총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202241.8명에서 204281.8명으로 증가할 전망
* 총부양비 = 유소년부양비 + 노년부양비

 

ㅇ 2022~2042년 기간 동안 내국인 유소년부양비는 12~17명 수준이나, 내국인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2022년 25.2명에서 2042년 67.0명으로 증가할 전망

 

내국인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22~2042년



* 노령화지수: 유소년인구 1백 명당 고령인구

 

이주배경인구*2022220만 명에서 2042404만 명으로 증가,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24.3%에서 20428.1%로 증가할 전망
* 본인 또는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출생 시 또는 현재 외국 국적인 사람, 내국인(귀화), 내국인(이민자2세), 외국인의 합으로 산출

 

ㅇ 이주배경인구 중 내국인(귀화)은 2022년 22만 명에서 2042년 52만 명으로,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2년 33만 명에서 2042년 67만 명으로 각각 2배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 중 내국인(귀화) 구성비는 2022년 0.4%에서 2042년 1.0%로,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2년 0.6%에서 2042년 1.4%로 늘어날 전망

 

이주배경인구, 2022~2042년


 

이주배경인구 중 학령인구(6-21)202233만 명에서 204250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1.5배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 중 유소년인구(0-14세)는 2022년 34만 명에서 2042년 47만 명으로 1.4배 늘어날 전망

 

이주배경인구 유소년인구 및 학령인구, 2022~2042년
[유소년인구]
[학령인구]


 

내·외국인 인구추계(2022~2042년) 결과

 

. 총괄

1. 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

총인구는 20225,167만 명에서 20424,963만 명으로 감소하고, 총인구 중 내국인 구성비는 96.8%에서 94.3%로 감소, 외국인은 3.2%에서 5.7%로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는 2022년 5,167만 명에서 2042년 4,963만 명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 2022년 내국인은 5,002만 명으로 총인구의 96.8%, 외국인은 165만 명으로 총인구의 3.2%를 차지

 

- 2042년 내국인은 4,677만 명으로 총인구의 94.3%, 외국인은 285만 명으로 총인구의 5.7%를 차지, 2022년 대비 외국인의 구성비는 1.8배 높아질 전망

 

[표 1] 내․외국인 인구 및 구성비, 2022-2042년 (단위: 만 명, %)


’22
’23
’24
’25
’30
’35
’40
’42
총인구
5,167
5,171
5,175
5,168
5,131
5,082
5,006
4,963
내국인
5,002
4,985
4,973
4,962
4,899
4,828
4,729
4,677

구성비
96.8
96.4
96.1
96.0
95.5
95.0
94.5
94.3
외국인
165
187
202
207
231
255
277
285

구성비
3.2
3.6
3.9
4.0
4.5
5.0
5.5
5.7

 

[그림 1] 내․외국인 인구 및 구성비, 2022-2042년



 

내국인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0.26% 수준, 2042-0.57%로 전망, 외국인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2.15% 수준, 20421.46%로 전망

 

총인구 인구성장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8만 1천 명 감소, 이후 2042년까지 연평균 16만 4천 명 감소로 감소폭이 확대될 전망

 

ㅇ 총인구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0.16% 수준, 이후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42년까지 연평균 -0.33% 수준으로 전망

 

- 내국인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0.26% 수준, 이후 2042년까지 연평균 -0.44% 수준으로 감소세가 확대될 전망

 

- 외국인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2.15% 수준, 이후 2042년까지 연평균 1.64% 증가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표 2] 내․외국인 인구성장률, 2022-2042년 (단위: 만 명, %)


구분
’22
’23
’24
’25
’30
’35
’40
’42
인구성장1)
총인구
-9.7
4.0
3.8
-6.7
-7.8
-11.3
-18.8
-22.6
내국인
-11.4
-17.4
-11.4
-11.6
-12.7
-15.9
-23.1
-26.8
외국인
1.7
21.4
15.2
4.9
4.8
4.6
4.3
4.1
인구성장률2)
총인구
-0.19
0.08
0.07
-0.13
-0.15
-0.22
-0.38
-0.45
내국인
-0.23
-0.35
-0.23
-0.23
-0.26
-0.33
-0.49
-0.57
외국인
1.02
12.16
7.84
2.40
2.11
1.82
1.56
1.46

주1) 인구성장 =

(단,

년도 인구)

주2) 인구성장률 =

 

[그림 2] 인구성장률, 2022-2042년



 

2.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국제이동)

내국인 자연증가(출생아수-사망자수)2022-12만 명 수준에서 2042-31만 명 수준으로 감소폭이 확대되고, 외국인은 2036년에 자연감소가 시작될 전망
 

ㅇ 내국인 출생아수는 2022~2025년 연평균 22만 명 수준에서 2042년까지 연평균 25만 명 수준으로 전망되고, 외국인 출생아수는 2022~2042년 연평균 8천 명 수준으로 전망

 

ㅇ 내국인 사망자수는 2022년 36만 명 수준에서 2030년 40만 명을 넘고 2042년 55만 명 수준으로 전망, 외국인 사망자수는 2022년 5천 명 수준에서 2042년 1만 1천 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내국인 국제순이동자수는 2022년 -6만 1천 명 수준에서 2024년 이후 연평균 1만 1천 명 수준, 외국인 국제순이동자수는 2022년 21만 5천 명 수준에서 2024년 이후 연평균 5만 5천 명 수준으로 전망

[표 3] 인구변동요인별 인구, 2022-2042년 (단위: 만 명)


구분
’22
’23
’24
’25
’30
’35
’40
’42
자연증가
총인구
-11.4
-11.6
-13.0
-14.0
-14.8
-18.9
-27.4
-31.1
내국인
-11.7
-11.9
-13.2
-14.3
-15.0
-18.9
-27.2
-30.9
외국인
0.2
0.3
0.3
0.3
0.2
0.0
-0.2
-0.2

출생
총인구
24.6
23.0
21.8
21.8
26.3
27.9
25.9
25.2
내국인
23.9
22.2
21.0
21.0
25.5
27.1
25.1
24.3
외국인
0.7
0.8
0.8
0.8
0.8
0.9
0.9
0.9

사망
총인구
36.0
34.7
34.8
35.8
41.1
46.8
53.3
56.3
내국인
35.6
34.2
34.3
35.3
40.5
46.0
52.3
55.2
외국인
0.5
0.5
0.5
0.5
0.7
0.8
1.0
1.1
국제순이동
총인구
15.5
15.5
6.3
6.5
6.5
6.5
6.6
6.7
내국인
-6.1
0.0
1.1
1.1
1.1
1.0
1.2
1.2
외국인
21.5
15.5
5.3
5.3
5.5
5.5
5.5
5.5

주) 해당연도 7월에서 다음연도 6월까지 추계치

[그림 3] 출생·사망·자연증가, 2022-2042년

[내국인]
[외국인]


 

3.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23,527만 명에서 20422,573만 명으로 감소, 외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2147만 명에서 2042236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

 

ㅇ 2022년부터 향후 10년간 총인구 중 생산연령인구는 332만 명 감소, 유소년인구는 207만 명 감소, 고령인구는 485만 명 증가할 전망

 

ㅇ 2022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70.5%(3,527만 명), 고령인구는 17.8%(889만 명), 유소년인구는 11.7%(586만 명)

 

- 2042년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55.0%(2,573만 명)로 감소, 고령인구는 36.9%(1,725만 명)로 증가, 유소년인구는 8.1%(379만 명)로 감소할 전망

 

ㅇ 2022년 외국인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89.2%(147만 명), 고령인구는 5.8%(10만 명), 유소년인구는 5.1%(8만 명)

 

- 2042년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82.6%(236만 명)로 감소, 고령인구는 12.1%(34만 명), 유소년인구는 5.3%(15만 명)로 각각 증가할 전망

 

[그림 4]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2022-2042년

[내국인]
[외국인]




 

[표 4]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및 구성비, 2022-2042년 (단위: 만 명, %)


’22
’23
’24
’25
’30
’35
’40
’42
인구
5,167
5,171
5,175
5,168
5,131
5,082
5,006
4,963
0-14
595
571
549
526
416
374
388
394
15-64
3,674
3,657
3,633
3,591
3,417
3,188
2,903
2,809
65+
898
944
994
1,051
1,298
1,521
1,715
1,759
구성비
0-14
11.5
11.0
10.6
10.2
8.1
7.4
7.7
7.9
15-64
71.1
70.7
70.2
69.5
66.6
62.7
58.0
56.6
65+
17.4
18.2
19.2
20.3
25.3
29.9
34.3
35.5
인구
5,002
4,985
4,973
4,962
4,899
4,828
4,729
4,677
0-14
586
561
538
515
403
360
373
379
15-64
3,527
3,491
3,454
3,410
3,219
2,974
2,673
2,573
65+
889
932
981
1,037
1,278
1,495
1,683
1,725
구성비
0-14
11.7
11.3
10.8
10.4
8.2
7.4
7.9
8.1
15-64
70.5
70.0
69.5
68.7
65.7
61.6
56.5
55.0
65+
17.8
18.7
19.7
20.9
26.1
31.0
35.6
36.9
인구
165
187
202
207
231
255
277
285
0-14
8
10
11
11
13
14
15
15
15-64
147
166
178
181
197
214
230
236
65+
10
11
13
14
20
26
32
34
구성비
0-14
5.1
5.1
5.3
5.5
5.8
5.6
5.4
5.3
15-64
89.2
88.9
88.5
87.8
85.4
84.1
83.0
82.6
65+
5.8
6.0
6.3
6.7
8.8
10.3
11.6
12.1

 

 

Ⅱ. 내국인

1. 내국인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23,527만 명(70.5%)에서 20422,573만 명(55.0%)으로 감소, 2042년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대비 73.0% 수준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베이비붐 세대(’55-’63년생)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9만 명 감소, 2030년대에는 연평균 53만 명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중 15~24세 비중은 2022년 14.8%에서 2042년 9.7%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중 25~49세 비중은 2022년 50.0%에서 2033년 47.8%로 감소 후 증가하여 2042년 50.6% 수준일 것으로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중 50~64세 비중은 2022년 35.2%에서 2042년 39.7%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표 5]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및 구성비, 2022-2042년 (단위: 만 명, %)


’22
’23
’24
’25
’30
’35
’40
’42
내국인 인구
5,002
4,985
4,973
4,962
4,899
4,828
4,729
4,677
생산연령인구
(15-64)
3,527
3,491
3,454
3,410
3,219
2,974
2,673
2,573
(구성비)
(70.5)
(70.0)
(69.5)
(68.7)
(65.7)
(61.6)
(56.5)
(55.0)
15-24
522
503
486
468
443
392
286
250
25-49
1,764
1,738
1,714
1,698
1,575
1,434
1,356
1,303
50-64
1,242
1,250
1,255
1,244
1,201
1,147
1,032
1,021
구성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5-24
14.8
14.4
14.1
13.7
13.8
13.2
10.7
9.7
25-49
50.0
49.8
49.6
49.8
48.9
48.2
50.7
50.6
50-64
35.2
35.8
36.3
36.5
37.3
38.6
38.6
39.7

 

[그림 5] 내국인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와 베이비붐 세대, 2022 / 2042년

[2022년]

[2042년]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2022889만 명에서 20421,725만 명으로 2022년부터 향후 20년간 1.9배 증가할 전망
※ 내국인 고령인구는 2025년 1,000만 명을 넘고, 2036년 1,5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

 

ㅇ 내국인 65세 이상 고령인구 구성비는 2022년 17.8%에서 증가하여 2025년 20%를 넘어서고 2042년 36.9%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내국인 70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2년 588만 명(11.7%)에서 2042년 1,345만 명(28.8%)으로 증가할 전망

 

내국인 8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2년 91만 명(1.8%)에서 2042년 275만 명(5.9%)으로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65세 이상 고령인구 성비는 2022년 77.6명에서 2042년 84.9명으로 증가할 전망

[표 6] 내국인 고령인구, 구성비 및 성비, 2022-2042년 (단위: 만 명, %, 여자인구 1백 명당 명)

구분
’22
’23
’24
’25
’30
’35
’40
’42
내국인 인구
5,002
4,985
4,973
4,962
4,899
4,828
4,729
4,677
고령
인구
65+
889
932
981
1,037
1,278
1,495
1,683
1,725
70+
588
611
637
676
883
1,091
1,275
1,345
75+
374
391
408
427
536
711
884
938
85+
91
97
106
113
151
187
242
275
구성비
65+
17.8
18.7
19.7
20.9
26.1
31.0
35.6
36.9
70+
11.7
12.3
12.8
13.6
18.0
22.6
27.0
28.8
75+
7.5
7.8
8.2
8.6
10.9
14.7
18.7
20.1
85+
1.8
2.0
2.1
2.3
3.1
3.9
5.1
5.9
성비
65+
77.6
78.4
79.1
79.7
82.4
83.9
84.8
84.9
70+
70.6
71.2
71.9
72.8
76.9
79.7
80.9
81.4
75+
61.9
63.0
63.9
64.8
68.9
73.2
75.8
76.4
85+
39.8
40.6
41.6
42.5
47.3
52.6
56.9
58.6

[그림 6] 내국인 고령인구 및 구성비, 2022-2042년



 

내국인 유소년인구(0-14)2022586만 명에서 2042379만 명으로 2022년부터 향후 20년간 207만 명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유소년인구(0-14세)는 2022년 586만 명에서 2042년 379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207만 명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영유아인구(0-5세)는 2022년 184만 명에서 2042년 153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30만 명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학령인구(6-21세)는 2022년 738만 명에서 2042년 384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354만 명 감소할 전망

 

ㅇ 내국인 청년인구(19-34세)는 2022년 998만 명에서 2042년 602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397만 명 감소할 전망

[표 7] 내국인 유소년인구,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2022-2042년 (단위: 만 명, %)

 

’22
’23
’24
’25
’30
’35
’40
’42
내국인 인구
5,002
4,985
4,973
4,962
4,899
4,828
4,729
4,677
유소년인구
(0-14)
인구
586
561
538
515
403
360
373
379
구성비
11.7
11.3
10.8
10.4
8.2
7.4
7.9
8.1
영유아인구
(0-5)
인구
184
169
157
146
134
154
158
153
구성비
3.7
3.4
3.2
3.0
2.7
3.2
3.3
3.3
학령
인구
(6-21)
738
715
697
680
578
461
391
384
초(6-11)
267
257
244
230
156
131
150
155
중(12-14)
136
135
137
139
113
75
65
71
고(15-17)
131
135
136
135
130
93
66
63
대(18-21)
204
188
180
177
180
163
110
96
대학진학대상(18)
47
44
43
45
46
37
25
22
아동청소년인구(0-24)
1,108
1,064
1,023
982
846
752
659
629
청소년인구(9-24)
796
772
753
733
641
530
424
397
청년인구(19-34)
998
982
965
946
834
731
640
602
[그림 7] 내국인 유소년인구, 2022-2042년
[그림 8] 내국인 학령인구, 2022-2042년


 

2. 내국인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부양 인구는 202241.8명에서 204281.8명 수준으로 향후 20년간 2.0배 증가할 전망

 

ㅇ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부양할 인구(유소년․고령인구)인 총부양비는 2022년 41.8명에서 2029년에 50명을 넘어서고 2042년에는 81.8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유소년부양비는 2022년 16.6명에서 2033년 11.9명까지 낮아졌다가 증가하여 2042년 14.7명 수준으로 전망

 

ㅇ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2022년 25.2명에서 2042년 67.0명 수준으로 2022년 대비 2.7배로 증가할 전망

 

ㅇ 유소년인구 1백 명당 고령인구인 노령화지수는 2022년 151.5명에서 2030년 317.4명으로 높아져 2030년부터는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3배 이상 많아질 전망

 

[표 8] 내국인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22-2042년

 

(단위: 생산연령인구·유소년인구 1백 명당 명)

구분
’22
’23
’24
’25
’30
’35
’40
’42
총부양비
41.8
42.8
44.0
45.5
52.2
62.4
76.9
81.8
유소년부양비
16.6
16.1
15.6
15.1
12.5
12.1
13.9
14.7
노년부양비
25.2
26.7
28.4
30.4
39.7
50.3
63.0
67.0
노령화지수
151.5
166.2
182.4
201.6
317.4
415.7
451.4
454.8

 

[그림 9] 내국인 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2022-2042년



 

Ⅲ. 이주배경인구

1. 이주배경인구 추이

이주배경인구는 2022220만 명(총인구의 4.3%)에서 2042404만 명(총인구의 8.1%)으로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는 2022년 220만 명에서 2030년 300만 명을 넘어서고, 2042년 404만 명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 이주배경인구 = 내국인(귀화) + 내국인(이민자2세) + 외국인

 

- 내국인(귀화)은 2022년 22만 명에서 2042년 52만 명으로 2.4배 증가,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2년 33만 명에서 2042년 67만 명으로 2.1배 증가할 전망

 

- 외국인은 2022년 165만 명에서 2042년 285만 명으로 1.7배 증가할 전망

 

[표 9] 이주배경인구, 2022-2042년 (단위: 만 명)


’22
’23
’24
’25
’30
’35
’40
’42
총인구
5,167
5,171
5,175
5,168
5,131
5,082
5,006
4,963
이주배경인구
220
243
261
268
306
346
388
404

내국인(귀화)
22
23
24
26
33
41
49
52

내국인(이민자2세)
33
34
35
36
42
51
63
67

외국인
165
187
202
207
231
255
277
285

 

[그림 10] 이주배경인구, 2022-2042년


 

ㅇ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2년 4.3%에서 2042년 8.1%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총인구 중 내국인(귀화) 인구 구성비는 2022년 0.4%에서 2042년 1.0%로 증가,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2년 0.6%에서 2042년 1.4%로 증가할 전망

 

- 총인구 중 외국인 인구 구성비는 2022년 3.2%에서 2042년 5.7%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

 

[표 10]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 2022-2042년 (단위: %)


’22
’23
’24
’25
’30
’35
’40
’42
총인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이주배경인구
4.3
4.7
5.0
5.2
6.0
6.8
7.8
8.1

내국인(귀화)
0.4
0.4
0.5
0.5
0.6
0.8
1.0
1.0

내국인(이민자2세)
0.6
0.7
0.7
0.7
0.8
1.0
1.2
1.4

외국인
3.2
3.6
3.9
4.0
4.5
5.0
5.5
5.7

 

 

[표 11] 이주배경인구 유형별 구성비, 2022-2042년 (단위: %)


’22
’23
’24
’25
’30
’35
’40
’42
이주배경인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내국인(귀화)
10.0
9.5
9.3
9.6
10.7
11.7
12.6
12.9

내국인(이민자2세)
14.8
13.8
13.3
13.4
13.8
14.8
16.1
16.6

외국인
75.2
76.7
77.4
77.1
75.5
73.5
71.3
70.5

 

[그림 11] 이주배경인구 유형별 구성비, 2022-2042년


 

2. 이주배경인구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2022년부터 향후 20년간 이주배경인구 생산연령인구는 136만 명, 고령인구는 36만 명, 유소년인구는 13만 명 각각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 생산연령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2년 4.8%에서 2042년 11.1%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 유소년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2년 5.7%에서 2042년 11.8%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ㅇ 총인구 고령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2년 1.2%에서 2042년 2.7%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

 

[표 12] 이주배경인구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2022-2042년 (단위: 만 명, %)


’22
’23
’24
’25
’30
’35
’40
’42
이주배경인구
220
243
261
268
306
346
388
404
0-14
34
35
35
35
36
38
44
47
15-64
175
196
211
216
245
275
301
311
65+
11
13
15
17
25
34
43
47

내국인
(귀화)
22
23
24
26
33
41
49
52
0-14
1
1
1
1
2
2
2
2
15-64
19
20
21
22
26
31
36
38
65+
2
2
2
3
5
8
11
12

내국인
(이민자2세)
33
34
35
36
42
51
63
67
0-14
24
24
23
23
21
22
27
30
15-64
8
10
11
13
22
29
35
37
65+
0
0
0
0
0
0
0
0

외국인
165
187
202
207
231
255
277
285
0-14
8
10
11
11
13
14
15
15
15-64
147
166
178
181
197
214
230
236
65+
10
11
13
14
20
26
32
34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
4.3
4.7
5.0
5.2
6.0
6.8
7.8
8.1
0-14
5.7
6.1
6.4
6.7
8.6
10.1
11.4
11.8
15-64
4.8
5.3
5.8
6.0
7.2
8.6
10.4
11.1
65+
1.2
1.4
1.5
1.6
1.9
2.2
2.5
2.7

[그림 12] 이주배경인구 주요 연령계층별 인구, 2022-2042년


 

3. 이주배경인구 유소년인구,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이주배경인구 학령인구(6-21)202233만 명에서 204250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1.5배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 유소년인구(0-14세)는 2022년 34만 명에서 2042년 47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13만 명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 영유아인구(0-5세)는 2022년 13만 명에서 2042년 20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7만 명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 학령인구(6-21세)는 2022년 33만 명에서 2042년 50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16만 명 증가할 전망

 

 

ㅇ 이주배경인구 청년인구(19-34세)는 2022년 71만 명에서 2042년 114만 명으로 향후 20년간 43만 명 증가할 전망

 

[표 13] 이주배경인구 유소년, 학령인구 및 청년인구, 2022-2042년 (단위: 만 명)


’22
’23
’24
’25
’30
’35
’40
’42
이주배경인구
220
243
261
268
306
346
388
404
유소년인구(0-14)
34
35
35
35
36
38
44
47
영유아인구(0-5)
13
13
13
13
14
17
20
20
학령
인구
(6-21)
33
38
42
43
46
46
48
50
초(6-11)
14
15
15
15
14
14
17
18
중(12-14)
6
7
7
7
8
7
7
8
고(15-17)
4
5
6
7
8
8
7
7
대(18-21)
9
11
13
13
16
17
17
16
아동청소년인구(0-24)
59
66
70
72
77
83
88
90
청소년인구(9-24)
38
45
50
51
57
58
59
60
청년인구(19-34)
71
82
88
89
99
108
113
114

 

[그림 13] 이주배경인구 유소년인구, 2022-2042년
[그림 14] 이주배경인구 학령인구, 2022-2042년


 

. 인구피라미드 (2022-2042년)

[총인구]
[내국인]
2022년
2022년


2030년
2030년


2042년
2042년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