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4. 8.
반응형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2024.04.08 공정거래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등록한 정보공개서를 토대로 2023년도 가맹사업 현황을 분석·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 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전체 업종 현황>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전체 가맹본부 수 8,759개, 상표(브랜드) 12,429개, 가맹점 수 352,86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전년에 비해 가맹본부 수는 7.0%, 상표(이하 ‘브랜드’) 수는 4.9%, 가맹점 수는 5.2% 증가하였는데, 지난 ’21년 시행된 직영점 운영 의무화 제도 등이 시장에 안착됨에 따라 가맹산업이 안정적 성장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가맹사업 개시 전 직영점 운영 의무화 및 소규모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 제도를 처음 시행한 ’21년에는 제도 시행 직전 정보공개서 등록이 집중되어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가 예외적으로 급증하였다가 ’22년, ’23년에는 증가추세가 안정화 됨

 

업종별로 보면 브랜드 수 증가외식(5.2%) 서비스 업종(5.7%)이 주도했으며 가맹점 수 증가외식업종(7.4%)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외식(79.9%), 서비스(15.3%), 도소매(4.8%) 이며, 가맹점 수 비중 역시 외식(51.0%), 서비스(29.5%), 도소매(19.5%) 으로 집계됐다.

 

한편,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은 4.0%,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 비중은 23.7%,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 비중은 72.3%를 차지했다.

 

’22년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약 3.4억 원으로 ’21년에 비해 8.3% 가량 증가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19년 수준(약 3.3억 원) 회복하였다. 업종별로 보면 코로나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던 외식업종 12.7% 상승하여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을 견인하였고, 서비스업종과 도소매업종 매출액도 각각 10.7%, 1.8% 상승하였다.

 

<표> 업종별 가맹점 평균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2021년
279
12.7
161
10.7
527
1.8
311
8.3
2022년
314
178
537
337
 

 

<업종별 현황>

 

외식업종 브랜드 수 9,934개, 가맹점 수 179,923개로 전년 대비 각각 5.2%, 7.4% 증가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외식업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한식업종39,868개로 전체 외식 업종 가맹점의 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 커피업종13.0%로 가장 높았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 주요 세부 업종에서 모두 증가하였는데,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손실이 가장 심했던 주점업종 매출액 66.2% 증가하여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한식·피자·제과제빵·커피·치킨업종은 각각 17.2%, 11.6%, 8.1%, 7.4%, 6.5%의 매출액 상승을 보였다.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의 영향으로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28백만원으로 전년 보다 11백만원 상승했다.

 

서비스업종 브랜드 수1,900개, 가맹점 수104,134개로 전년 대비 각각 5.7%, 3.0% 증가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1) 1.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서비스업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운송업종이 27,523개(26.4%)로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은 이미용업종이 5.5%로 가장 높았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주요 세부업종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교과교육(34.7%), 세탁(17%), 외국어교육(16%), 이미용(5.9%)업종 순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업종 브랜드 수 595개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였고, 가맹점 수68,809개로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편의점 가맹점 수55,043개로 전년 대비 5.5% 증가하여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는데 반해, 화장품업종1,356개14.6% 감소하여 하락추세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업종 : (’19)45,555개 → (’20)48,738개 → (’21)52,168개 → (’22)55,043개

화장품업종 : (’19)2,876개 → (’20)2,018개 → (’21)1,588개 → (’22)1,356개

 

가맹점 평균 매출액편의점은 전년 대비 3.2% 상승한 데 반해, 화장품(△3.4%), 건강식품(△5.4%), 농수산물업종(△16.7%)은 전년에 비해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23년 가맹사업 현황을 종합하면,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으로 거의 모든 업종에서 브랜드 수, 가맹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등이 증가하는 등 전체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가맹점주의 경영여건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식업종에서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차액가맹금 비율’이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도 증가하는 등 가맹본부의 일방적인 필수품목 지정 과도한 차액가맹금(마진) 수취로 인한 갈등의 소지도 상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필수품목 거래조건을 불리하게 변경시 사전에 정한 절차에 따라 가맹점주와 협의하도록 하는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과 차액가맹금 수취로 인한 가맹점주의 고충이 경감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이번 통계 발표를 통해 가맹사업 시장 동향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가맹희망자의 합리적인 사업선택 및 가맹본부-점주 간 정보력 격차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붙임2

2023년 가맹사업 세부 업종별 주요 현황

 

[표 1] 프랜차이즈 업종 구분

업종
세부업종
외식업
(15개)
한식, 분식, 중식, 일식, 서양식, 기타 외국식, 치킨, 피자, 커피, 음료(커피 외), 아이스크림/빙수, 패스트푸드, 제과제빵, 주점, 기타 외식
도소매업(7개)
편의점, 의류·패션, 화장품, 농수산물, 건강식품, 종합소매점, 기타 도소매
서비스업
(21개)
교육(교과), 교육(외국어), 기타 교육, 유아 관련(교육 외), 스포츠 관련, 이미용, 자동차 관련, PC방, 부동산 중개, 임대, 숙박, 오락, 배달, 안경, 세탁, 이사, 운송, 반려동물 관련, 약국, 인력파견, 기타 서비스

 

[표 2] 주요 외식업종 현황

구분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주점
가맹점 수
29,423
39,868
26,217
8,918
8,403
9,379
브랜드 수
669
3,556
886
294
240
485
개점률
14.4%
29.9%
22.7%
12.0%
13.5%
21.7%
폐점률
14.2%
18.2%
9.2%
9.8%
12.3%
13.1%
가맹점 평균 매출액
297백만원
325백만원
225백만원
490백만원
284백만원
298백만원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 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표 3] 주요 서비스업종 현황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가맹점 수
16,429
10,532
5,262
3,944
27,523
브랜드 수
142
87
274
30
20
개점률
13.9%
17.0%
16.5%
7.5%
35.3%
폐점률
10.9%
18.1%
10.4%
7.0%
20.0%
가맹점 평균 매출액
102백만원
84백만원
345백만원
98백만원
-

 

[표 4] 주요 도소매업종 현황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가맹점 수
55,043
1,356
969
313
브랜드 수
41
16
29
39
개점률
13.2%
3.2%
7.7%
24.9%
폐점률
7.9%
22.2%
3.3%
15.3%
가맹점 평균 매출액
560백만원
193백만원
516백만원
306백만원

 

붙임3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평균 매출액 상위 5개 업체

 

* 공정위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franchise.ftc.go.kr)을 통해 자료 추가 확인 가능

 

1. 서비스업종

(단위 : 개, 천원), 22년 말 기준

 
구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업종
순위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교육
(교과)
1
스마트해법수학
2,553
스마트해법수학
379
지트(JEET)
2,890,346
2
셀파우등생교실
1,453
기탄사고력교실
365
종로학원
2,636,898
3
미래엔수학
1,335
아이북랜드
246
생각하는황소
615,699
4
기탄사고력교실
864
미래엔수학
213
와이즈만영재교육
613,030
5
아이북랜드
711
셀파우등생교실
210
아담리즈수학
345,241
교육
(외국어)
1
스마트해법영어
1,942
링키영어
328
폴리어학원
2,790,360
2
뮤엠영어
1,899
삼성영어셀레나
245
엠폴리어학원
2,077,062
3
삼성영어셀레나
1,581
스마트해법영어
227
메이플베어
1,731,745
4
잉글리시아이
1,196
잉글리시아이
198
에스엘피
영어학당
1,572,066
5
미래엔영어
1,104
뮤엠영어
179
힐사이드컬리지잇 주니어
1,362,370
이미용
1
리안
428
에이바헤어
95
차홍룸(CHA
HONG ROOM)
1,907,757
2
세이프존
335
세이프존
83
리챠드프로헤어
1,785,445
3
블루클럽
313
로이드밤
44
준오헤어
1,312,759
4
나이스가이
217
리안
41
아이벨르
1,218,182
5
로이드밤
210
잇츠탠
30
아이디헤어
1,193,620
세탁
1
크린토피아
2,761
크린토피아
125
하얀크리닝
740,615
2
월드크리닝
459
크린에이드
52
크린토피아
110,046
3
크린에이드
306
월드크리닝
31
최정민과함께하는 크리닝마스터
104,977
4
크린위드
119
런드리익스프레스샵바이비디에스
27
베베드클린
102,607
5
위니아24크린샵
109
위니아24크린샵
12
월드크리닝
89,289
운송6)
1
카카오T블루7)
(케이엠솔루션)
17,516
카카오T블루
(케이엠솔루션)
5,563
-
-
2
우버택시
5,619
우버택시
2,537
-
-
3
카카오T블루
(DGT모빌리티)
2,758
카카오T블루
(DGT모빌리티)
1,559
-
-
4
인천콜
1,354
다트
13
-
-
5
반반택시
214
왕창이사
10
-
-

 

2. 외식업종

 

(단위 : 개, 천원), 22년 말 기준

구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업종
순위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치킨
1
비비큐(bbq)
2,041
비에이치씨(BHC)
443
치르치르
983,231
2
비에이치씨(BHC)
1,991
비비큐(bbq)
219
치맥킹
877,877
3
교촌치킨
1,365
순살몬스터
202
교촌치킨
749,040
4
처갓집양념치킨
1,221
순살만공격
153
구도로통닭
677,880
5
굽네치킨
1,124
맥시칸치킨
144
청년치킨
651,270
한식
1
본죽&비빔밥
836
열정국밥
251
하누소
4,204,269
2
한솥
767
본죽&비빔밥
181
형제닭발&오돌뼈
4,111,212
3
본죽
748
대박삼겹김치찜&초대박등갈비김치찜
170
어가반상
3,733,862
4
두찜
586
아구듬뿍&알곤마
110
일산생갈비
3,576,080
5
땅스부대찌개
551
오복오봉집
108
2,880,000
커피
1
이디야커피
3,005
컴포즈커피
626
브런치빈
1,158,718
2
메가엠지씨커피
2,156
메가엠지씨커피
572
밀화당
1,095,689
3
컴포즈커피
1,901
빽다방
278
드립앤더치
741,742
4
투썸플레이스
1,412
더벤티
266
스컹크웍스
617,354
5
빽다방
1,228
이디야커피
196
모쿠816
594,295
제과제빵
1
파리바게뜨
3,419
뚜레쥬르
89
RANDY'S DONUTS
2,632,906
2
뚜레쥬르
1,302
파리바게뜨
76
WOO'Z
1,645,008
3
던킨/던킨도너츠
633
던킨/던킨도너츠
73
올드페리도넛
1,436,760
4
명랑시대쌀핫도그
563
복호두
52
윤쉐프 정직한제빵소
1,330,514
5
앤티앤스
220
GLOER
31
타타스베이글
1,143,506
피자
1
피자스쿨
610
빽보이피자
97
피자는 여기
1,338,094
2
피자마루
571
프레드피자
75
잭슨피자
942,171
3
피자나라치킨공주
485
피자먹다
39
이유피자&파스타
744,965
4
오구쌀피자
448
청년피자
37
도미노피자
743,591
5
도미노피자
369
고피자
36
서오릉피자
708,661
주점
1
투다리
1,378
투다리
138
오비베어
2,064,480
2
역전할머니맥주1982
859
고래맥주창고
97
서울주막
1,639,288
3
크라운호프보리장인
413
역전할머니맥주1982
77
용용선생
1,364,991
4
간이역
383
금별맥주
74
몽담
1,236,177
5
펀비어킹
349
김복남맥주
71
코키펍
1,118,974

 

3. 도소매업종

 

(단위 : 개, 천원), 22년 말 기준

구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업종
순위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편의점
1
씨유(CU)
16,615
세븐일레븐
2,458
지에스25(GS25)
639,729
2
지에스25(GS25)
16,337
씨유(CU)
1,704
씨유(CU)
621,795
3
세븐일레븐
12,553
지에스25(GS25)
1,655
미니스톱
543,661
4
이마트24
(emart24)
6,176
이마트24
(emart24)
1,065
세븐일레븐
489,042
5
미니스톱
1,508
이마트24 스마트(emart24 SMART)
104
이마트24
(emart24)
437,638
화장품
1
아리따움
522
홀리카홀리카
11
투쿨포스쿨
(too cool for school)
788,709
2
이니스프리
324
마음에점을찍다
8
세레니끄
328,829
3
토니모리
122
애드코스메틱
5
홀리카홀리카
255,763
4
미샤
104
더샘
5
이니스프리
246,521
5
네이처리퍼블릭
76
토니모리
4
아리따움
194,032
(건강)
식품
1
정관장
755
시즌글라스(SEASONGLASS)
29
정관장
597,786
2
한삼인
73
도시곳간
26
도시곳간
510,299
3
도시곳간
35
얌키트
8
시즌글라스
(SEASONGLASS)
258,835
4
시즌글라스
(SEASONGLASS)
35
셰프인하우스
4
해콩
215,782
5
스타곱스
25
정관장
4
한삼인
119,330
농수산물
1
바닷물만난콩이:두부야
93
화월청과
21
총각네야채가게
720,994
2
총각네야채가게
50
바닷물만난콩이:두부야
19
광이네과일가게
568,417
3
에코한마음
38
껀어네방앗간
13
아지야과일가게
486,975
4
아지야과일가게
21
광이네과일가게
6
다름과일
383,597
5
껀어네방앗간
20
비타민 팡팡
4
로즈애플(ROSE APPLE)
361,656

1)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매출액 산정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인 바, 집계에서 제외

2)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매출액 산정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인바, 집계에서 제외,

3) 일정 규모 이상의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통계를 추출하기 위해 가맹점 평균매출액이 2억원 이상인 가맹점을 대상으로만 집계

4)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 매출액 산정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인바, 집계에서 제외,

5) ’22년 농수산물업종 최대 가맹점 보유 브랜드인 “꽃누리”가 정보공개서를 자진 등록 취소함에 따라 전체 가맹점 수 크게 감소

6)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 매출액 비교에 적합하지 않아 집계 대상에서 제외,

7) 카카오T블루의 경우 지역에 따라 운영하는 가맹본부가 달라 구분하여 표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