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4. 8.
반응형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2024.04.08 공정거래위원회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 안정적 성장 추세 지속 -
- 외식업을 중심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 큰 폭으로 상승,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등록한 정보공개서를 토대로 2023년도 가맹사업 현황을 분석·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 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전체 업종 현황>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전체 가맹본부 수 8,759개, 상표(브랜드) 12,429개, 가맹점 수 352,86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전년에 비해 가맹본부 수는 7.0%, 상표(이하 ‘브랜드’) 수는 4.9%, 가맹점 수는 5.2% 증가하였는데, 지난 ’21년 시행된 직영점 운영 의무화 제도 등이 시장에 안착됨에 따라 가맹산업이 안정적 성장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가맹사업 개시 전 직영점 운영 의무화 및 소규모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 제도를 처음 시행한 ’21년에는 제도 시행 직전 정보공개서 등록이 집중되어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가 예외적으로 급증하였다가 ’22년, ’23년에는 증가추세가 안정화 됨

 

업종별로 보면 브랜드 수 증가외식(5.2%) 서비스 업종(5.7%)이 주도했으며 가맹점 수 증가외식업종(7.4%)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외식(79.9%), 서비스(15.3%), 도소매(4.8%) 이며, 가맹점 수 비중 역시 외식(51.0%), 서비스(29.5%), 도소매(19.5%) 으로 집계됐다.

 

한편,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은 4.0%,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 비중은 23.7%,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 비중은 72.3%를 차지했다.

 

’22년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약 3.4억 원으로 ’21년에 비해 8.3% 가량 증가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19년 수준(약 3.3억 원) 회복하였다. 업종별로 보면 코로나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던 외식업종 12.7% 상승하여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을 견인하였고, 서비스업종과 도소매업종 매출액도 각각 10.7%, 1.8% 상승하였다.

 

<표> 업종별 가맹점 평균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2021년
279
12.7
161
10.7
527
1.8
311
8.3
2022년
314
178
537
337

 

<업종별 현황>

 

외식업종 브랜드 수 9,934개, 가맹점 수 179,923개로 전년 대비 각각 5.2%, 7.4% 증가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외식업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한식업종39,868개로 전체 외식 업종 가맹점의 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 커피업종13.0%로 가장 높았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 주요 세부 업종에서 모두 증가하였는데,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손실이 가장 심했던 주점업종 매출액 66.2% 증가하여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한식·피자·제과제빵·커피·치킨업종은 각각 17.2%, 11.6%, 8.1%, 7.4%, 6.5%의 매출액 상승을 보였다.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의 영향으로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28백만원으로 전년 보다 11백만원 상승했다.

 

서비스업종 브랜드 수1,900개, 가맹점 수104,134개로 전년 대비 각각 5.7%, 3.0% 증가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1) 1.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서비스업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운송업종이 27,523개(26.4%)로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은 이미용업종이 5.5%로 가장 높았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주요 세부업종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교과교육(34.7%), 세탁(17%), 외국어교육(16%), 이미용(5.9%)업종 순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업종 브랜드 수 595개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였고, 가맹점 수68,809개로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편의점 가맹점 수55,043개로 전년 대비 5.5% 증가하여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는데 반해, 화장품업종1,356개14.6% 감소하여 하락추세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업종 : (’19)45,555개 → (’20)48,738개 → (’21)52,168개 → (’22)55,043개

화장품업종 : (’19)2,876개 → (’20)2,018개 → (’21)1,588개 → (’22)1,356개

 

가맹점 평균 매출액편의점은 전년 대비 3.2% 상승한 데 반해, 화장품(△3.4%), 건강식품(△5.4%), 농수산물업종(△16.7%)은 전년에 비해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23년 가맹사업 현황을 종합하면,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으로 거의 모든 업종에서 브랜드 수, 가맹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등이 증가하는 등 전체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가맹점주의 경영여건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식업종에서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차액가맹금 비율’이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도 증가하는 등 가맹본부의 일방적인 필수품목 지정 과도한 차액가맹금(마진) 수취로 인한 갈등의 소지도 상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필수품목 거래조건을 불리하게 변경시 사전에 정한 절차에 따라 가맹점주와 협의하도록 하는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과 차액가맹금 수취로 인한 가맹점주의 고충이 경감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이번 통계 발표를 통해 가맹사업 시장 동향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가맹희망자의 합리적인 사업선택 및 가맹본부-점주 간 정보력 격차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붙임> 가맹사업 현황 통계 세부 내용

 

붙임1

가맹사업현황 통계 세부 내용

 

1

전체 등록 현황

 

◆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가맹본부 수는 8,759개, 브랜드 수는 12,429개, 가맹점 수는 352,88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 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이하 같다)

 

□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가맹본부 수는 8,759개, 브랜드 수는 12,429개, 가맹점 수는 352,88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 가맹본부 : (‘22)8,183→(’23)8,759, 브랜드 : (‘22)11,844→(’23)12,429, 가맹점 : (‘21)335,298→(‘22)352,886

 

가맹본부 는 전년 대비 7.0% 증가하였고 가맹점 수 브랜드 수도 전년 대비 각각 5.2%,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 증가율은 예년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지난 ’21년 가맹사업 개시 전 직영점 운영을 의무화하고 소규모 가맹본부에게도 정보공개서 등록의무를 부여한 가맹사업법 개정안 시행으로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 증가율이 일시적으로 크게 상승한 바 있으나,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됨에 따라 ’22년부터 증가율은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표 1> 연도별 가맹본부ㆍ브랜드ㆍ가맹점 수 및 증감률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가맹본부
5,175
6.0%
5,602
8.3%
7,342
31.1%
8,183
11.5%
8,759
7.0%
브랜드
6,353
5.0%
7,094
11.7%
11,218
58.1%
11,844
5.6%
12,429
4.9%
가맹점
258,889
1.9%
270,485
4.5%
335,298
24.0%
352,886
5.2%
-
-

 

2

전체 업종 현황

 

1. 업종별 가맹본부, 브랜드 수 (23년 말 기준)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 증가외식 및 서비스 업종이 주도했으며,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은 외식 업종(80%)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 증가외식 및 서비스 업종에서 두드러졌으며, 도소매 업종은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은 전년과 크게 차이가 없으며 외식업종(79.9%), 서비스업종(15.3%), 도소매업종(4.8%) 순으로 나타났다.

 

<표 2> 업종별 가맹본부, 브랜드 수 및 증감률

 

구 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가맹
본부
2021년
5,661
77.1%
34.5%
1,346
18.3%
20.8%
502
6.8%
52.1%
7,509
2022년
6,308
75.7%
11.4%
1,475
17.7%
9.6%
554
6.6%
10.4%
8,337
2023년
6,822
76.2%
8.1%
1,571
17.6%
6.5%
550
6.2%
△0.7%
8,943
브랜드
2021년
8,999
80.2%
66.5%
1,662
14.8%
24.0%
557
5.0%
59.1%
11,218
2022년
9,442
79.7%
4.9%
1,797
15.2%
8.1%
605
5.1%
8.6%
11,844
2023년
9,934
79.9%
5.2%
1,900
15.3%
5.7%
595
4.8%
△1.7%
12,429

 

※ 하나의 가맹본부가 2개 이상 업종의 가맹사업을 영위하는 경우가 존재하여 업종별 가맹본부 수의 합이 전체 가맹본부 수와 상이

 

 

2. 업종별 가맹점 수 (22년 말 기준)

 

가맹점 수전 업종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외식업종에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에 이어 업종별 가맹점 수 비중외식업종의 비중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맹점 수전 업종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외식업종에서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대비 외식업종 7.4% 서비스업종 3.0% 도소매업종 3.1% 증가

 

브랜드당 가맹점 수는 도소매업종(115.6개), 서비스업종(54.8개), 외식업종(18.1개) 순으로 도소매 가맹브랜드는 대형화 되어있는 반면, 외식 가맹브랜드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다만, 외식업과 도소매업브랜드당 가맹점 수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서비스업은 브랜드당 가맹점 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 외식: 17.7 → 18.1개(2.2%), 서비스: 56.3 → 54.8개(△2.7%), 도소매: 110.3 → 115.6개(4.8%)

 

업종별 가맹점 수 비중외식업종이 51.0%로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업종(29.5%), 도소매업종(19.5%)이 그 뒤를 이었다.

 

 

<표 3> 업종별 가맹점 수, 브랜드당 가맹점 수

구 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
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가맹점 수
2020년
135,113
50.8%
4.6%
74,364
28.0%
4.0%
61,008
23.0%
4.7%
270,485
2021년
167,455
49.9%
23.9%
101,124
30.2%
36.0%
66,719
19.9%
9.4%
335,298
2022년
179,923
51.0%
7.4%
104,134
29.5%
3.0%
68,809
19.5%
3.1%
352,866
브랜드당 가맹점수
2021년
17.7개(18.0%)
56.3개(26.0%)
110.3개(0.7%)
28.3개
2022년
18.1개(2.2%)
54.8개(△2.7%)
115.6개(4.8%)
28.4개

 

3. 업종별 브랜드 가맹점 수 분포 (22년 말 기준)

 

◆ 전체 브랜드 중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4.0%, 10개 미만 가맹점을 가진 소규모 브랜드의 비중72.3%를 차지했다.

 

□ 전체 브랜드 중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 4.0%,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 23.7%,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 72.3%를 차지했다.

 

ㅇ 규모별 브랜드의 비중은 전년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업종별 브랜드 가맹점 수 분포 현황

 

가맹점 수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22년
22년
22년
22년
100개 이상
310
3.1%
3.1%
144
7.6%
7.8%
42
7.1%
6.3%
496
4.0%
4.0%
10개 ~ 99개
2,228
22.4%
21.7%
560
29.5%
29.7%
157
26.4%
23.5%
2,945
23.7%
23.0%
10개 미만
7,396
74.5%
75.2%
1,196
62.9%
62.5%
396
66.6%
70.2%
8,988
72.3%
73.0%
9,934
100%
1,900
100%
595
100%
12,429
100%

 

<그림 5> 업종별 가맹점 수 기준 브랜드 규모 분포 비율

 

 

 

4.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22년 말 기준)

 

◆ ’22년 기준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4억 원으로 전년 대비 8.3% 가량 증가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3.3억 원) 회복하였다.

 

□ ’22년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3.4억 원으로 작년 대비 0.3억원(8.3%) 증가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19년) 보다도 소폭 높은 수준이다.

 

*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 추이(원) : (`19년) 3.3억 → (`21년) 3.1억 → (`22년) 3.4억

 

□ 업종별로는 외식, 서비스, 도소매업종 모두 전년 대비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오프라인 영업비중이 높은 외식업종코로나19 종식 영향으로 매출액 증가 견인하였다.

 

<표 5> 업종별 가맹점 연간 평균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식
서비스2)
도소매
전체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2021년
279
12.7
161
10.7
527
1.8
311
8.3
2022년
314
178
537
337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 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그림 6>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백만원)

 

3

세부 업종별 주요 현황

 

1. 외식업종

 

◆ 외식업종 가맹본부 수6,822개, 브랜드 수는 9,934개, 가맹점 수는 179,923개로 전년 대비 각각 8.1%, 5.2%, 7.4%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한식업종 39,868개로 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가맹점 수 증가율은 커피업종 13.0%로 가장 높았다.

◆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의 경우 치킨·한식·피자·커피 등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주점이 66.2%로 크게 늘었다.

◆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평균 차액금 지급 비율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가. 업종 현황

 

(가맹본부 수) ’23년 외식업종의 전체 가맹본부 수는 9,934개로 전년 대비 8.1% 증가하였으며, 가맹본부 당 브랜드 수는 약 1.5개로 작년과 유사하였다.

 

(브랜드 수) ’23년 외식업종의 전체 브랜드 수는 9,934개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한식업종의 브랜드 수가 3,556개로 가장 많았으며, 커피(886개), 치킨(669개), 주점(485개), 제과제빵(294개)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제과제빵 브랜드 수가장 크게 증가(8.9%)하였고, 치킨 브랜드 수다소 감소(△2.0%)하였다.

 

<표 6>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 점
외식업 전체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2021년
701
47.0%
3,047
72.3%
736
88.7%
254
63.9%
240
53.8%
429
46.0%
8,999
66.5%
2022년
683
△2.6%
3,269
7.3%
852
15.8%
270
6.3%
243
1.3%
450
4.9%
9,442
4.9%
2023년
669
△2.0%
3,556
8.8%
886
4.0%
294
8.9%
240
△1.2%
485
7.8%
9,934
5.2%

 

(가맹점 수) ’22년 외식업종의 가맹점 수는 총 179,923개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한식업종의 가맹점 수가 39,868개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치킨(29,423개, 16.4%), 커피(26,217개, 14.6%), 주점(9,379개, 5.2%), 제과제빵(8,918개, 5.0%)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모두 가맹점 수가 증가한 가운데, 특히 커피업종과 한식업종에서 가맹점 수가 각각 13.0%, 10.7% 증가해 외식업종 가맹점 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표 7>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점
외식업 전체
2020년
25,867
25,758
17,856
8,325
7,023
7,989
135,113
2021년
29,373
36,015
23,204
8,779
8,053
8,638
167,455
2022년
29,423
39,868
26,217
8,918
8,403
9,379
179,923
증감률
21년
13.6%
39.8%
30.0%
5.5%
14.7%
8.1%
23.9%
22년
0.2%
10.7%
13.0%
5.0%
4.7%
8.6%
7.4%

 

<그림 7> 주요 세부 업종 가맹점 수 전년 대비 증가율

 

 

(개·폐점률) 전체 외식업종의 개점률은 22.4%, 폐점률은 14.5%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업종 중에서는 한식의 개점률이 29.9%로 가장 높았으며, 폐점률 역시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8> 주요 세부 업종별 개·폐점률

(단위 : %, %p)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 점
외식업 전체
개점률
2021년
17.3
35.1
25.1
13.4
20.3
21.9
26.2
2022년
14.4
29.9
22.7
12.0
13.5
21.7
22.4
증감(%p)
△2.9
△5.2
△2.4
△1.4
△6.8
△0.2
△3.8
폐점률
2021년
13.7
14.5
7.8
8.9
8.5
19.1
12.6
2022년
14.2
18.2
9.2
9.8
12.3
13.1
14.5
증감(%p)
0.5
3.7
1.4
0.9
3.8
△6.0
1.8

※ 개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신규개점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 수

폐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 수

 

(분포) 외식업종 전체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대규모 브랜드의 비중은 3.1%,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의 비중 22.4%,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의 비중은 74.5%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치킨, 피자 업종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운영하는 브랜드 비중이 각각 7.8%, 7.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표 9> 가맹점 수 기준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수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외식업 전체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수
비 중

개수

개 수
비 중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100개 이상
52
7.8
7.8
72
2.0
1.9
42
4.7
4.5
8
2.7
3.3
19
7.9
7.4
310
3.1
3.1
10개 ~99개
178
26.6
27.1
706
19.9
19.6
173
19.5
17.5
63
21.4
20.7
77
32.1
28.8
2,228
22.4
21.7
10개 미만
439
65.6
65.2
2,778
78.1
78.5
671
75.7
78.1
223
75.9
75.9
144
60.0
63.8
7,396
74.5
75.2
669
100
3,556
100
886
100
294
100
240
100
9,934
100

 

나. 가맹점 평균 매출액

 

(현황) ’22년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을 크게 받은 주점 66.2%나 매출 상승하였다.

 

<표 10>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 점
외식업 전체
2021년
279
277
209
453
255
179
279
2022년
297
325
225
490
284
298
314
증감률
6.5%
17.2%
7.4%
8.1%
11.6%
66.2%
12.7%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 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분포)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억 원 이상인 브랜드 비중은 36.8%로 전년 대비 9.6%p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브랜드 비중은 16.9%로 전년 대비 2.3%p 감소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로 보면 한식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큰 브랜드의 비중이 전체 외식업종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커피 및 치킨 업종은 상대적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낮은 브랜드의 비중이 높았다.

 

<표 11> 가맹점 평균 매출액 기준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
평 균 매출액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외식업 전체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수
비 중

개수
비 중

개 수
비 중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3억 이상
38
12.7
8.1
589
48.3
37.8
36
10.4
6.4
36
31.6
24.4
35
27.8
20.8
1,401
36.8
27.2
2억
~ 3억
70
23.3
16.6
231
18.9
22.6
67
19.4
21.9
19
16.7
18.3
36
28.6
28.7
765
20.1
21.4
1억
~ 2억
120
40.0
45.2
215
17.6
23.7
151
43.8
43.0
35
30.7
36.6
39
31.0
36.6
1,002
26.3
32.1
1억 미만
72
24.0
30.0
184
15.1
15.8
91
26.4
28.7
24
21.1
20.7
16
12.7
13.9
644
16.9
19.2
300
100%
1,219
100%
345
100%
114
100%
126
100%
3,812
100%

 

다.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참고) 차액가맹금이란?

ㅇ 차액가맹금은 가맹점사업자가 가맹본부로부터 공급받는 상품ㆍ원재료ㆍ부재료ㆍ정착물ㆍ설비 및 원자재의 가격 또는 부동산의 임차료에 대하여 가맹본부에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대가 중 적정한 도매가격을 넘는 대가로 일종의 유통마진

 

□ ’22년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28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백만원 높아졌다.

 

ㅇ 다만, 이는 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에 기인한 것이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피자업종이 52백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킨(35백만원), 제과제빵(34백만원), 커피(23백만원), 한식(20백만원)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은 치킨업종이 8.2%로 가장 높았으며, 커피(6.8%), 제과제빵(5.5%), 피자(4.2%), 한식(2.7%)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표 12>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3)

(단위 : 백만원, %)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외식업 전체
지급금액
21년
21
16
9
17
17
17
22년
35
20
23
34
52
28
지급비율
21년
7.0
4.2
3.6
6.0
5.0
4.3
22년
8.2
2.7
6.8
5.5
4.2
4.4

 

2. 서비스업종

 

◆ 전체 서비스업종의 가맹본부 수1,571개, 브랜드 수는 1,900개, 가맹점 수는 104,134개로 전년 대비 각각 6.5%, 5.7%, 3.0%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1.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운송업종이 27,523개로 26.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이미용 업종5.5%로 가장 높았다.

◆ 서비스업종은 모든 주요 세부 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그 중 교과교육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4.7%가장 많이 증가했다.

 

가. 업종 현황

 

(가맹본부 수) ’23년 서비스업종의 전체 가맹본부 수는 1,571개로 전년 대비 6.5% 증가하였으며, 가맹본부 당 브랜드 수는 약 1.2개로 작년과 유사하였다.

 

(브랜드 수) ’23년 서비스업종의 전체 브랜드 수는 1,900개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이미용업종의 브랜드 수가 274개로 가장 많았으며, 외국어교육(142개), 교과교육(87개), 세탁(30개), 운송(20개)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브랜드 수 증가율은 세탁업종이 20.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운송(17.6%), 이미용(7.9%) 업종 순으로 나타났다.

 

<표 13>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단위 : 개, %)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2021년
119
7.2
79
8.2
223
21.9
27
△12.9
14
7.7
1,662
24.0
2022년
136
14.3
88
11.4
254
13.9
25
△7.4
17
21.4
1,797
8.1
2023년
142
4.4
87
△1.1
274
7.9
30
20.0
20
17.6
1,900
5.7

 

(가맹점 수) ’22년 서비스업종의 가맹점 수는 총 104,134개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ㅇ 특히 운송업종의 가맹점 수가 27,523개로 26.4%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외국어교육(16,429개, 15.8%), 교과교육(10,532개, 10.1%), 이미용(5,262개, 5.1%), 세탁(3,944개, 3.8%)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이미용, 운송, 세탁 업종은 가맹점 수가 증가하였으나, 외국어교육 및 교과교육 업종은 가맹점 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표 14>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단위 : 개, %)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
2020년
14,714
9,121
4,070
4,489
11,303
74,364
2021년
17,232
10,674
4,986
3,927
26,402
101,124
2022년
16,429
10,532
5,262
3,944
27,523
104,134
증감률
21년
17.1
17.0
22.5
△12.5
133.6
36.0
22년
△4.7
△1.3
5.5
0.4
4.2
3.0

 

<그림 9>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 가맹점 수 전년 대비 증감률

 

 

(개·폐점률) 전체 서비스업종의 개점률은 20.3%, 폐점률은 12.7%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가맹택시사업의 활성화 영향으로 운송업종의 개점률이 전년도에 이어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15>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개·폐점률

(단위 : %, %p)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
개점률
2021년
12.7
19.4
16.0
6.6
69.7
30.0
2022년
13.9
17.0
16.5
7.5
35.3
20.3
증감(%p)
0.8
△2.4
0.5
0.9
△34.4
△9.7
폐점률
2021년
10.5
18.6
7.4
7.4
3.8
8.7
2022년
10.9
18.1
10.4
7.0
20.0
12.7
증감(%p)
0.4
△0.5
3.0
△0.4
16.2
4.0

※ 개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신규개점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 수

폐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 수

 

(분포) 서비스업종 전체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브랜드의 비중 7.6%,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 29.5%,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 62.9%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로 보면 운송(25.0%), 외국어교육(19.0%), 세탁(16.7%), 교과교육(17.2%) 업종의 경우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브랜드의 비중이 평균(7.6%) 보다 크게 높았으나 이미용업종은 5.1%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표 16> 가맹점 수 기준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수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수
비 중

개수
비 중

개 수
비 중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100개 이상
27
19.0
21.3
15
17.2
18.2
14
5.1
5.1
5
16.7
20.0
5
25.0
35.3
144
7.6
7.8
10개 ~ 99개
49
34.5
31.6
37
42.5
38.6
86
31.4
30.7
7
23.3
36.0
4
20.0
5.9
560
29.5
29.7
10개 미만
66
46.5
47.1
35
40.2
43.2
174
63.5
64.2
18
60.0
44.0
11
55.0
58.8
1,196
62.9
62.5
142
100%
87
100%
274
100%
30
100%
20
100%
1,900
100%

 

나. 가맹점 평균 매출액

 

(현황) ’22년 서비스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1.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ㅇ 서비스업종의 경우 모든 주요 세부 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교과교육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4.7% 증가해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했다.

 

<표 17>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4)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전체 서비스업
2021년
88
62
326
84
161
2022년
102
84
345
98
178
증감률
16.0
34.7
5.9
17.0
10.7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 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분포)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억 원 이상브랜드 비중은 24.9%로 전년 대비 2.0%p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브랜드 비중38.5%전년 대비 0.7%p 감소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로 보면 이미용, 외국어교육 업종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높은 브랜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세탁 업종대부분의 브랜드가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표 18> 가맹점 평균 매출액 기준 주요 세부 업종 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
평 균 매출액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전체 서비스업
개 수
비중

개 수
비중

개 수
비중

개수
비중

개수
비중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3억 이상
27
34.2
30.4
8
17.0
20.0
52
40.9
45.5
1
5.9
0
203
24.9
22.9
2억 ~ 3억
9
11.4
14.5
9
19.1
5.0
26
20.5
19.3
0
0.0
0
122
15.0
14.8
1억 ~ 2억
11
13.9
11.6
6
12.8
22.5
18
142
15.9
3
17.6
7.1
176
21.6
23.1
1억 미만
32
40.5
43.5
24
51.1
52.5
31
24.4
19.3
13
76.5
92.9
313
38.5
39.2
79
100.0%
47
100.0%
127
100.0%
17
100.0%
814
100.0%

 

3. 도소매업종

 

◆ 전체 도소매업종의 가맹본부 수는 550개, 브랜드 수는 595개로 전년 대비 각각 0.7%, 1.7% 감소한데 반해 가맹점 수는 66,809개3.1%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5.4억 원으로 1.8% 증가했다.

◆ 주요 세부 업종 중 편의점업종의 경우 가맹점 수가 지속 증가하는 반면 화장품업종의 가맹점 수는 지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업종 : (‘19년)45,555개 → (‘20년)48,738개 → (‘21년)52,168개→(‘22년)55,043개(5.5%)
화장품업종 : (‘19년)2,876개 → (‘20년)2,018개 → (‘21년)1,588개→‘22년)1,356개(△14.6%)

◆ 주요 세부업종 중 편의점 업종가맹점 평균 매출액 증가(3.2%)하였으나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등 다른 업종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가. 업종 현황

 

(가맹본부 수) ’23년 도소매업종의 전체 가맹본부 수는 550개로 전년 대비 0.7% 감소하였으며, 가맹본부 당 브랜드 수는 약 1.1개로 작년과 유사하였다.

 

(브랜드 수) ’23년 도소매업종의 전체 브랜드 수는 595개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편의점의 브랜드 수가 41개로 가장 많았으며, 농수산물(39개), 건강식품(29개), 화장품(16개)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브랜드 수 감소율은 화장품(△20.0%)과 건강식품업종(△14.7%) 순으로 나타났다.

 

<표 19>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2021년
47
42.4%
20
5.3%
33
65.0%
36
80.0%
557
59.1%
2022년
41
△12.8%
20
0.0%
34
3.0%
38
5.6%
605
8.6%
2023년
41
0.0%
16
△20.0%
29
△14.7%
39
2.6%
595
△1.7%

 

(가맹점 수) ’22년 도소매업종의 가맹점 수는 총 68,809개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편의점업종의 가맹점 수가 55,043개80.0%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화장품(1,356개, 2.0%), 건강식품(969개, 1.4%), 농수산물(313개, 0.5%)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편의점업종의 가맹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화장품업종의 가맹점 수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0>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단위 : 개, %)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
2020년
48,738
2,018
1,210
844
61,008
2021년
52,168
1,588
953
893
66,719
2022년
55,043
1,356
969
313
68,809
증감률
21년
7.0%
△21.3%
△21.2%
5.8%
9.4%
22년
5.5%
△14.6%
1.7%
△64.9%5)
3.1%

 

<그림 10>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 가맹점 수 전년 대비 증감률

 

 

(개·폐점률) 전체 도소매업종의 개점률은 14.2%, 폐점률은 8.3%로 나타났다.

 

ㅇ 그 중 화장품업종의 경우 개점률은 3.2%로 주요 도소매업종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폐점률은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21>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개·폐점률

(단위 : %, %p)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
개점률
2021년
12.6
1.0
6.0
13.5
13.8
2022년
13.2
3.2
7.7
24.9
14.2
증감(%p)
1.4
2.2
1.7
△10.6
0.4
폐점률
2021년
6.3
28.1
2.4
6.3
7.2
2022년
7.9
22.2
3.3
15.3
8.3
증감(%p)
1.6
△5.9
0.9
9.0
1.1

 

※ 개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신규개점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 수

폐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 수

 

(분포) 도소매업종 전체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브랜드의 비중 7.1%,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 26.4%,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 66.6%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업종 별로 보면 편의점(24.4%), 화장품(25.0%) 업종의 경우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브랜드의 비중평균(7.1%) 보다 크게 높았고, 건강식품(3.4%), 농수산물(0%)의 경우 그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표 22> 가맹점 수 기준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 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
점수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
개 수

개 수

개 수


개 수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100개 이상
10
24.4
24.4
4
25.0
20.0
1
3.4
2.9
0
0.0
2.6
42
7.1
6.3
10개~ 99개
14
34.1
31.7
6
37.5
30.0
5
17.2
11.8
8
20.5
21.1
157
26.4
23.5
10개 미만
17
41.5
43.9
6
37.5
90.0
23
79.3
85.3
31
79.5
77.8
396
66.6
70.2
41
100%
14
100%
29
100%
39
100%
595
100%

 

나. 가맹점 평균 매출액

 

(현황) ’22년 도소매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ㅇ 다만, 이는 편의점 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3.2%)에 기인한 것으로 화장품(△3.4%), 건강식품(△5.4%), 농수산물(△16.7%) 다른 업종 모두 가맹점 평균매출액이 감소하였다.

 

<표 23>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
2020년
543
230
597
439
534
2021년
543
200
546
367
527
2022년
560
193
516
306
537
증감률
21년
△0.1%
△13.0%
△8.5%
△16.4%
△1.4%
22년
3.2%
△3.4%
△5.4%
△16.7%
1.8%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 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분포)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억 원 이상인 브랜드 비중은 34.3%로 전년 대비 4.2%p 감소했으며, 가맹점 평균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브랜드 비중은 27.1%로 4.5%p 증가했다.

 

<표 24>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
평 균 매출액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
개 수

개 수

개 수


개 수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3억 이상
7
28.0
31.8
2
15.4
18.2
2
22.2
22.2
5
33.3
55.6
86
34.3
38.5
2억 ~ 3억
3
12.0
22.7
2
15.4
36.4
2
22.2
22.2
2
13.3
11.1
35
13.9
14.9
1억 ~ 2억
8
32.0
40.9
7
53.8
36.4
1
11.1
11.1
4
26.7
11.1
62
24.7
24.1
1억 미만
7
28.0
4.5
2
15.4
9.1
4
44.4
44.4
4
26.7
22.2
68
27.1
22.6
25
100.0%
13
100.0%
9
100.0%
15
100.0%
251
100.0%

 

4

시사점 및 기대 효과

 

’23년 가맹사업 시장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직영점 운영을 의무화개정 가맹사업법 시행(’21.11.19)으로 지난 ’21년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가 일시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제도가 시장에 안착됨에 따라 ’22년에 이어 ’23년에도 가맹사업은 안정적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 가맹본부 : (‘20년)5,602개 → (‘21년)7,342개(31.1%)(‘22년)8,183개(11.5%)(‘23년)8,759개(7.0%)

브랜드 : (‘20년)7,094개 → (‘21년)11,218개(58.1%)(‘22년)11,844개(5.6%)(‘23년)12,429개(4.9%)

가맹점 : (‘19년)258,485개 →(‘20년)270,485(4.5%)개 → (‘21년)335,298개(24.0%)(‘22년)352,886개(5.2%)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전년 대비 8.3%로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외식 업종가장 큰 폭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12.7%)을 보였다.

 

➌ 다만, 외식업종에서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4.4%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고,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도 28백만원으로 전년 보다 11백만원 높아졌다.

 

❹ 즉, 산업의 안정적 성장으로 가맹점주의 경영 상황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맹본부의 일방적인 필수품목 지정과도한 차액가맹금(마진) 수취로 인한 본부-점주 간 갈등의 소지도 상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에 공정위는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과 차액가맹금 수취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가맹본부가 필수품목 거래조건을 불리하게 변경시 사전에 정한 절차에 따라 가맹점주와 협의하도록 하는 내용의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이번 통계발표를 통해 가맹사업 전반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시장에 공개됨으로써 가맹희망자의 합리적인 사업선택 및 가맹본부 – 점주 간 정보력 격차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붙임2

2023년 가맹사업 세부 업종별 주요 현황

 

[표 1] 프랜차이즈 업종 구분

업종
세부업종
외식업
(15개)
한식, 분식, 중식, 일식, 서양식, 기타 외국식, 치킨, 피자, 커피, 음료(커피 외), 아이스크림/빙수, 패스트푸드, 제과제빵, 주점, 기타 외식
도소매업(7개)
편의점, 의류·패션, 화장품, 농수산물, 건강식품, 종합소매점, 기타 도소매
서비스업
(21개)
교육(교과), 교육(외국어), 기타 교육, 유아 관련(교육 외), 스포츠 관련, 이미용, 자동차 관련, PC방, 부동산 중개, 임대, 숙박, 오락, 배달, 안경, 세탁, 이사, 운송, 반려동물 관련, 약국, 인력파견, 기타 서비스

 

[표 2] 주요 외식업종 현황

구분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주점
가맹점 수
29,423
39,868
26,217
8,918
8,403
9,379
브랜드 수
669
3,556
886
294
240
485
개점률
14.4%
29.9%
22.7%
12.0%
13.5%
21.7%
폐점률
14.2%
18.2%
9.2%
9.8%
12.3%
13.1%
가맹점 평균 매출액
297백만원
325백만원
225백만원
490백만원
284백만원
298백만원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 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표 3] 주요 서비스업종 현황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가맹점 수
16,429
10,532
5,262
3,944
27,523
브랜드 수
142
87
274
30
20
개점률
13.9%
17.0%
16.5%
7.5%
35.3%
폐점률
10.9%
18.1%
10.4%
7.0%
20.0%
가맹점 평균 매출액
102백만원
84백만원
345백만원
98백만원
-

 

[표 4] 주요 도소매업종 현황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가맹점 수
55,043
1,356
969
313
브랜드 수
41
16
29
39
개점률
13.2%
3.2%
7.7%
24.9%
폐점률
7.9%
22.2%
3.3%
15.3%
가맹점 평균 매출액
560백만원
193백만원
516백만원
306백만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