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2. 28.
반응형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2024.02.20 통계청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요약

취업자 및 고용률

9개 도 시지역의 취업자는 1,400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7만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2.5%로 0.6%p 상승하였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72.2%), 충청남도 당진시(71.1%), 경상북도 영천시(68.5%) 등에서 높았음

9개 도 군지역의 취업자는 210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4천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8.9%로 0.9%p 상승하였음

-경상북도 울릉군(82.4%), 전라남도 신안군(80.0%), 전라북도 장수군(78.2%) 등에서 높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취업자는 1,153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2만 3천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58.7%로 0.9%p 상승하였음

-인천광역시 옹진군(73.9%), 대구광역시 군위군(73.7%), 부산광역시 강서구(67.8%) 등에서 높았음

실업자 및 실업률

9개 도 시지역의 실업자는 39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5천명 감소하였고, 실업률은 2.7%로 0.2%p 하락하였음

-경상남도 통영시(4.6%), 경기도 시흥시(4.5%), 경상북도 구미시(3.7%) 등에서 높았음

9개 도 군지역의 실업자는 2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천명 감소하였고, 실업률은 1.2%로 0.2%p 하락하였음

-충청북도 증평군(3.5%), 경상남도 고성군(2.9%), 충청남도 홍성군(2.9%)등에서 높았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실업자는 43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천명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3.6%로 동일하였음

-인천광역시 동구(6.2%), 서울특별시 관악구(5.3%), 부산광역시 연제구(4.9%) 등에서 높았음

 

근무지기준 취업 현황

9개 도 시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1,330만 5천명으로 거주지기준 취업자에 비해 70만 1천명 적었음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 취업자보다 적은 지역은 경기도 수원시(-15만 9천명), 전라북도 전주시(-5만명) 등으로 나타남

9개 도 군지역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241만 2천명으로 거주지기준 취업자에 비해 30만 9천명 많았음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 취업자보다 많은 지역은 충청북도 음성군(2만 3천명), 전라남도 영암군(1만 9천명) 등으로 나타남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1,195만 3천명으로 거주지기준 취업자에 비해 41만 7천명 많았음

-근무지기준 취업자가 거주지기준 취업자보다 많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64만 7천명), 부산광역시 강서구(9만명) 등으로 나타남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9개 도 시지역의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 여수시(98.7%), 경상남도 거제시(97.4%) 등으로 나타남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은 경기도 과천시(22.7%), 전라남도 목포시(70.2%) 등으로 나타났음

9개 도 군지역의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은 경상북도 울릉군(100.0%), 전라남도 완도군(99.3%) 등으로 나타남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은 경상북도 칠곡군(60.7%), 전라남도 무안군(65.8%) 등으로 나타났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비중이 높은 지역은 인천광역시 옹진군(97.3%), 대구광역시 군위군(93.9%) 등으로 나타남

-거주지내 통근 취업자 비중이 낮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26.3%), 부산광역시 수영구(31.6%) 등으로 나타났음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

 

. 시·군·구지역 고용현황

 

1. 15세이상인구

2023년 하반기 9개 도 시지역의 15세이상인구는 2,241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5만 8천명 증가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119만 5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만 6천명, 여자는 1,121만 7천명으로 2만 2천명 증가하였음

9개 도 군지역의 15세이상인구는 305만 1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9천명 감소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53만 5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천명, 여자는 151만 5천명으로 1만 7천명 감소하였음

7개 특광역시 구지역의 15세이상인구는 1,966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0만 2천명 증가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949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5만 5천명, 여자는 1,017만명으로 4만 7천명 증가하였음

 

< 15세이상인구 >

(단위: 천명, %, %p)

2022년 하반기
2023년 하반기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시지역
(77개)
‣15세이상인구
22,354
(100.0)
22,412
(100.0)
58
(-)
⬩남 자
11,159
(49.9)
11,195
(50.0)
36
(0.1)
⬩여 자
11,195
(50.1)
11,217
(50.0)
22
(-0.1)
군지역
(76개)
‣15세이상인구
3,070
(100.0)
3,051
(100.0)
-19
(-)
⬩남 자
1,538
(50.1)
1,535
(50.3)
-2
(0.2)
⬩여 자
1,532
(49.9)
1,515
(49.7)
-17
(-0.2)
구지역
(75개)
‣15세이상인구
19,564
(100.0)
19,666
(100.0)
102
(-)
⬩남 자
9,441
(48.3)
9,496
(48.3)
55
(0.0)
⬩여 자
10,123
(51.7)
10,170
(51.7)
47
(0.0)
* 군위군(기존 군지역)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특광역시 구지역으로 변경하여 집계

 

2.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시지역의 경제활동인구는 1,439만 8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5만 5천명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4.2%로 0.5%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829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1천명, 여자는 610만 2천명으로 13만 4천명 증가하였음

군지역의 경제활동인구는 212만 9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1천명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9.8%로 0.8%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18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5천명 증가하였고, 여자는 94만 7천명으로 4천명 감소하였음

특광역시 구지역의 경제활동인구는 1,196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2만 4천명 증가하였고, 경제활동참가율은 60.8%로 0.8%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664만 5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9천명, 여자는 532만 1천명으로 19만 5천명 증가하였음

 

<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

(단위: 천명, %, %p)

2022년 하반기
2023년 하반기
증감

(참가율)

(참가율)

(참가율)
시지역
(77개)
‣경제활동인구
14,242
(63.7)
14,398
(64.2)
155
(0.5)
⬩남 자
8,275
(74.2)
8,296
(74.1)
21
(-0.1)
⬩여 자
5,968
(53.3)
6,102
(54.4)
134
(1.1)
군지역
(76개)
‣경제활동인구
2,118
(69.0)
2,129
(69.8)
11
(0.8)
⬩남 자
1,167
(75.9)
1,182
(77.0)
15
(1.1)
⬩여 자
950
(62.0)
947
(62.5)
-4
(0.5)
구지역
(75개)
‣경제활동인구
11,742
(60.0)
11,966
(60.8)
224
(0.8)
⬩남 자
6,617
(70.1)
6,645
(70.0)
29
(-0.1)
⬩여 자
5,125
(50.6)
5,321
(52.3)
195
(1.7)

* 군위군(기존 군지역)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특광역시 구지역으로 변경하여 집계

 

3. 취업자 및 고용률

시지역의 취업자는 1,400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7만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2.5%로 0.6%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807만 4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3천명, 여자는 593만 2천명으로 15만 7천명 증가하였음

군지역의 취업자는 210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4천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8.9%로 0.9%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16만 7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7천명 증가하였고, 여자는 93만 6천명으로 3천명 감소하였음

특광역시 구지역의 취업자는 1,153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2만 3천명 증가하였고, 고용률은 58.7%로 0.9%p 상승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640만 4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7천명, 여자는 513만 2천명으로 19만 5천명 증가하였음

 

< 취업자 및 고용률 >

(단위: 천명, %, %p)

2022년 하반기
2023년 하반기
증감

(고용률)

(고용률)

(고용률)
시지역
(77개)
‣취 업 자
13,836
(61.9)
14,006
(62.5)
170
(0.6)
⬩남 자
8,061
(72.2)
8,074
(72.1)
13
(-0.1)
⬩여 자
5,775
(51.6)
5,932
(52.9)
157
(1.3)
군지역
(76개)
‣취 업 자
2,089
(68.0)
2,103
(68.9)
14
(0.9)
⬩남 자
1,150
(74.8)
1,167
(76.0)
17
(1.2)
⬩여 자
939
(61.3)
936
(61.8)
-3
(0.5)
구지역
(75개)
‣취 업 자
11,313
(57.8)
11,536
(58.7)
223
(0.9)
⬩남 자
6,377
(67.5)
6,404
(67.4)
27
(-0.1)
⬩여 자
4,937
(48.8)
5,132
(50.5)
195
(1.7)
* 군위군(기존 군지역)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특광역시 구지역으로 변경하여 집계

 

 

 

4. 실업자 및 실업률

시지역의 실업자는 39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5천명 감소하였고, 실업률은 2.7%로 0.2%p 하락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22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천명 증가하였고, 여자는 17만명으로 2만 3천명 감소하였음

군지역의 실업자는 2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천명 감소하였고, 실업률은 1.2%로 0.2%p 하락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1만 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천명, 여자는 1만 1천명으로 1천명 감소하였음

특광역시 구지역의 실업자는 43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천명 증가하였고, 실업률은 3.6%로 동일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24만 1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천명 증가하였고, 여자는 18만 8천명으로 동일하였음

 
< 실업자 및 실업률 >

(단위: 천명, %, %p)

2022년 하반기
2023년 하반기
증감

(실업률)

(실업률)

(실업률)
시지역
(77개)
‣실 업 자
407
(2.9)
392
(2.7)
-15
(-0.2)
⬩남 자
214
(2.6)
222
(2.7)
8
(0.1)
⬩여 자
193
(3.2)
170
(2.8)
-23
(-0.4)
군지역
(76개)
‣실 업 자
29
(1.4)
26
(1.2)
-3
(-0.2)
⬩남 자
18
(1.5)
16
(1.3)
-2
(-0.2)
⬩여 자
11
(1.2)
11
(1.1)
-1
(-0.1)
구지역
(75개)
‣실 업 자
429
(3.6)
430
(3.6)
1
(0.0)
⬩남 자
240
(3.6)
241
(3.6)
1
(0.0)
⬩여 자
189
(3.7)
188
(3.5)
0
(-0.2)
* 군위군(기존 군지역)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특광역시 구지역으로 변경하여 집계

 

 

5. 비경제활동인구

시지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801만 5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9만 7천명 감소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289만 9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5천명 증가하였고, 여자는 511만 5천명으로 11만 2천명 감소하였음

군지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92만 2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만명 감소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35만 3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 7천명, 여자는 56만 8천명으로 1만 3천명 감소하였음

특광역시 구지역의 비경제활동인구는 770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2만 2천명 감소하였음

❍성별로 보면 남자는 285만 1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만 6천명 증가하였고, 여자는 485만명으로 14만 8천명 감소하였음

 

 

<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p)

2022년 하반기
2023년 하반기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시지역
(77개)
‣전 체
8,112
(100.0)
8,015
(100.0)
-97
(-)
⬩남 자
2,884
(35.6)
2,899
(36.2)
15
(0.6)
⬩여 자
5,228
(64.4)
5,115
(63.8)
-112
(-0.6)
군지역
(76개)
‣전 체
952
(100.0)
922
(100.0)
-30
(-)
⬩남 자
370
(38.9)
353
(38.3)
-17
(-0.6)
⬩여 자
582
(61.1)
568
(61.7)
-13
(0.6)
구지역
(75개)
‣전 체
7,822
(100.0)
7,700
(100.0)
-122
(-)
⬩남 자
2,824
(36.1)
2,851
(37.0)
26
(0.9)
⬩여 자
4,998
(63.9)
4,850
(63.0)
-148
(-0.9)
* 군위군(기존 군지역)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특광역시 구지역으로 변경하여 집계

 

 

시지역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338만명), 재학·진학준비(176만 2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육아·가사에서 전년동기대비 3만 4천명 감소하였으나, 연로에서 2만 2천명 증가하였음

군지역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35만 6천명), 연로(19만 9천명) 순으로 많았으며,

❍육아·가사에서 전년동기대비 1만명 감소하였으나, 재학·진학준비에서 2천명 증가하였음

구지역의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가사(325만 9천명), 재학·진학준비(158만 2천명) 순으로 많았음

❍육아·가사에서 전년동기대비 9만 3천명 감소하였으나, 연로에서 1천명 증가하였음

 

<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

(단위: 천명, %, %p)

2022년 하반기
2023년 하반기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시지역
(77개)
‣전 체
8,112
(100.0)
8,015
(100.0)
-97
(-)
⬩재학·진학준비
1,772
(21.8)
1,762
(22.0)
-10
(0.2)
⬩연로
1,075
(13.3)
1,097
(13.7)
22
(0.4)
⬩육아·가사
3,414
(42.1)
3,380
(42.2)
-34
(0.1)
⬩기타1)
1,850
(22.8)
1,775
(22.1)
-76
(-0.7)
군지역
(76개)
‣전 체
952
(100.0)
922
(100.0)
-30
(-)
⬩재학·진학준비
154
(16.1)
156
(16.9)
2
(0.8)
⬩연로
198
(20.8)
199
(21.5)
0
(0.7)
⬩육아·가사
366
(38.4)
356
(38.6)
-10
(0.2)
⬩기타1)
235
(24.6)
212
(23.0)
-23
(-1.6)
구지역
(75개)
‣전 체
7,822
(100.0)
7,700
(100.0)
-122
(-)
⬩재학·진학준비
1,589
(20.3)
1,582
(20.5)
-8
(0.2)
⬩연로
1,089
(13.9)
1,090
(14.2)
1
(0.3)
⬩육아·가사
3,351
(42.8)
3,259
(42.3)
-93
(-0.5)
⬩기타1)
1,792
(22.9)
1,770
(23.0)
-22
(0.1)
* 군위군(기존 군지역)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특광역시 구지역으로 변경하여 집계
1) 기타는 취업준비, 심신장애, 군입대대기, 쉬었음 등이 포함됨

 

. 시군구별 고용특성

 

1. 고용률

가. 고용률 상·하위 지역

 

도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을 살펴보면,

❍경상북도 울릉군(82.4%), 전라남도 신안군(80.0%)이 높았고, 경기도 양평군(56.5%), 경상북도 경산시(57.6%)가 낮았음

< 도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고용률
고용률
경기 (31)
화성시
67.3
양평군
56.5
10.8
강원 (18)
화천군
74.1
강릉시
60.7
13.4
충북 (11)
진천군
70.8
제천시
63.8
7.0
충남 (15)
청양군
73.3
공주시
62.1
11.2
전북 (14)
장수군
78.2
군산시
58.8
19.4
전남 (22)
신안군
80.0
목포시
61.3
18.7
경북 (22)
울릉군
82.4
경산시
57.6
24.8
경남 (18)
하동군
74.6
통영시
57.9
16.7
제주 (2)
서귀포시
72.2
제주시
68.1
4.1

특광역시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을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옹진군(73.9%), 대구광역시 군위군(73.7%)이 높았고, 부산광역시 영도구(49.3%), 대구광역시 수성구(51.7%)가 낮았음

 

< 특광역시별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고용률
고용률
서울 (25)
영등포구
66.2
동대문구
52.9
13.3
부산 (16)
강서구
67.8
영도구
49.3
18.5
대구 (9)
군위군
73.7
수성구
51.7
22.0
인천 (10)
옹진군
73.9
동구
58.4
15.5
광주 (5)
광산구
62.5
동구
57.3
5.2
대전 (5)
유성구
63.3
동구
54.3
9.0
울산 (5)
남구
61.0
동구
56.8
4.2

 

나. 15~29세 고용률

도별 15~29세 고용률을 살펴보면,

❍경상북도 울릉군(77.0%), 전라남도 신안군(64.8%)이 높았고, 전라북도 순창군(17.3%), 전라남도 무안군(23.2%)이 낮았음

 

< 도별 15~29세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고용률
고용률
경기 (31)
안성시
55.0
양평군
32.2

22.8
강원 (18)
속초시
49.9
철원군
28.2

21.7
충북 (11)
진천군
49.9
영동군
35.8

14.1
충남 (15)
예산군
47.5
홍성군
28.7

18.8
전북 (14)
부안군
46.2
순창군
17.3
*
28.9
전남 (22)
신안군
64.8
무안군
23.2

41.6
경북 (22)
울릉군
77.0
상주시
29.1
*
47.9
경남 (18)
합천군
50.6
거창군
27.2

23.4
제주 (2)
서귀포시
45.9
제주시
43.6

2.3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 시 유의하여야 함

특광역시별 15~29세 고용률을 살펴보면,

❍서울특별시 금천구(64.7%), 부산광역시 중구(60.3%)가 높았고, 대구광역시 수성구(24.8%), 울산광역시 울주군(31.4%)이 낮았음

 

< 특광역시별 15~29세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고용률
고용률
서울 (25)
금천구
64.7
종로구
33.5
31.2
부산 (16)
중구
60.3
금정구
33.9
26.4
대구 (9)
중구
46.7
수성구
24.8
21.9
인천 (10)
중구
47.4
연수구
38.5
8.9
광주 (5)
서구
44.5
남구
32.0
12.5
대전 (5)
서구
46.8
동구
34.9
11.9
울산 (5)
남구
41.0
울주군
31.4
9.6

 

 

다. 65세이상 고용률

도별 65세이상 고용률을 살펴보면,

❍전라북도 장수군(80.0%), 경상북도 청송군(78.5%)이 높았고, 경기도 과천시(24.8%), 경상남도 양산시(31.3%)가 낮았음

 

 
< 도별 65세이상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고용률
고용률
경기 (31)
가평군
46.2
과천시
24.8
21.4
강원 (18)
화천군
73.2
원주시
39.0
34.2
충북 (11)
영동군
62.2
청주시
39.3
22.9
충남 (15)
태안군
66.4
천안시
33.1
33.3
전북 (14)
장수군
80.0
전주시
33.4
46.6
전남 (22)
진도군
73.6
목포시
36.9
36.7
경북 (22)
청송군
78.5
포항시
36.5
42.0
경남 (18)
산청군
69.4
양산시
31.3
38.1
제주 (2)
서귀포시
57.5
제주시
47.4
10.1

특광역시별 65세이상 고용률을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옹진군(71.0%), 대구광역시 군위군(65.9%)이 높았고, 서울특별시 용산구(20.6%), 부산광역시 수영구(21.9%)가 낮았음

 

< 특광역시별 65세이상 고용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고용률
고용률
서울 (25)
영등포구
33.2
용산구
20.6
12.6
부산 (16)
강서구
46.2
수영구
21.9
24.3
대구 (9)
군위군
65.9
수성구
22.5
43.4
인천 (10)
옹진군
71.0
부평구
30.7
40.3
광주 (5)
광산구
39.0
서구
29.0
10.0
대전 (5)
유성구
36.1
서구
29.6
6.5
울산 (5)
울주군
37.3
동구
22.1
15.2

 

2. 취업자

가.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

도별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을 살펴보면,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은 전라남도 신안군(59.0%), 광‧제조업은 충청북도 진천군(38.1%), 건설업은 경기도 평택시(13.7%)에서 높았음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비중은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30.4%),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경기도 광주시(18.2%),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56.5%)에서 높았음

 

< 도별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1) >
(단위: %)
지역
농림어업
광·제조업
건설업
도소매·
숙박음식점업
전기·운수·
통신·금융업
사업·개인
·공공서비스업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경기
연천군
25.9
안산시
31.1
평택시
13.7
가평군
29.6
광주시
18.2
과천시
50.1
강원
평창군
33.7
원주시
12.0
삼척시
10.5
속초시
30.4
원주시
12.1
태백시
56.5
충북
괴산군
49.1
진천군
38.1
청주시
8.3
단양군
19.4
제천시
9.5
증평군
39.4
충남
청양군
46.6
아산시
34.7
서산시
9.5
태안군
20.1
아산시
8.6
천안시
37.0
전북
순창군
53.5
완주군
19.3
전주시
8.8
군산시
19.3
군산시
11.0
전주시
48.1
전남
신안군
59.0
영암군
30.7
여수시
12.3
목포시
22.8
순천시
10.6
화순군
49.0
경북
의성군
58.8
구미시
34.2
포항시
9.4
울릉군
19.3
울진군
16.3
울릉군
43.9
경남
하동군
54.3
거제시
36.0
양산시
6.6
통영시
22.7
양산시
12.9
진주시
40.9
제주
서귀포시
26.6
제주시
3.4
제주시
9.1
제주시
25.9
제주시
10.3
제주시
40.9

1) 산업별 비중은 해당 시군의 전체 취업자 기준

예) 경기도 내 시군에서 취업자의 농림어업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천군이고 그 비중은 25.9%임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을 살펴보면,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은 대구광역시 군위군(52.0%), 광‧제조업은 울산광역시 북구(43.9%), 건설업은 대전광역시 동구(12.1%)에서 높았음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비중은 부산광역시 중구(34.5%),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서울특별시 강서구(24.2%),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인천광역시 옹진군(54.9%)에서 높았음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1) >
(단위: %)
지역
농림어업
광·제조업
건설업
도소매·
숙박음식점업
전기·운수·
통신·금융업
사업·개인
·공공서비스업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서울
성북구*
0.4
금천구
14.3
금천구
10.6
중구
32.8
강서구
24.2
강남구
50.2
부산
강서구*
6.3
강서구
27.2
부산진구
9.7
중구
34.5
동구
14.9
동래구
46.1
대구
군위군
52.0
달성군
29.5
서구
12.0
중구
26.1
수성구
12.0
수성구
51.2
인천
강화군
31.9
남동구
22.1
계양구
10.5
미추홀구
21.7
중구
21.5
옹진군
54.9
광주
남 구*
3.6
광산구
21.3
북구
10.4
북구
21.9
광산구
11.8
남구
52.4
대전
동 구*
1.6
대덕구
18.2
동구
12.1
동구
25.5
중구
12.4
유성구
54.0
울산
울주군*
4.7
북구
43.9
울주군
9.8
중구
19.8
남구
9.8
남구
37.8

1) 산업별 비중은 해당 구의 전체 취업자 기준

예) 서울특별시 내 구에서 취업자의 광·제조업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금천구이고 그 비중은 14.3%임

* 표시 지역은 해당 산업 취업자 수의 상대표준오차값이 25% 이상으로 이용 시 유의하여야 함

 

나.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

도별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을 보면,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취업자 비중은 경기도 과천시(47.3%), 서비스‧판매종사자는 경기도 가평군(34.0%)에서 높았음

❍농림어업숙련종사자 취업자 비중은 전라남도 신안군(58.1%),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는 충청남도 아산시(34.0%), 단순노무종사자는 전라북도 장수군(31.9%)에서 높았음

 

< 도별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1) >
(단위: %)
지역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
서비스·판매
종사자
농림어업숙련
종사자
기능·기계조작
·조립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경기
과천시
47.3
과천시
26.6
가평군
34.0
연천군
26.4
안산시
29.7
동두천시
22.6
강원
춘천시
22.4
춘천시
18.7
속초시
31.4
평창군
31.4
삼척시
21.0
화천군
27.1
충북
청주시
20.6
진천군
22.7
단양군
24.2
괴산군
47.8
진천군
30.2
증평군
17.8
충남
천안시
19.2
천안시
19.0
태안군
24.4
청양군
45.1
아산시
34.0
서천군
17.1
전북
전주시
24.7
전주시
21.6
군산시
22.9
순창군
52.8
군산시
24.3
장수군
31.9
전남
순천시
21.6
목포시
17.2
목포시
28.1
신안군
58.1
광양시
31.8
화순군
26.8
경북
포항시
19.8
구미시
16.0
울릉군
24.6
의성군
57.5
구미시
30.5
영양군
23.6
경남
진주시
20.9
창원시
18.7
통영시
25.3
하동군
53.9
양산시
32.0
의령군
17.2
제주
제주시
19.7
제주시
14.6
제주시
26.9
서귀포시
23.6
제주시
15.8
서귀포시
17.7

1) 직업별 비중은 해당 시군의 전체 취업자 기준

예) 경기도 내 시군에서 취업자의 사무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과천시이고 그 비중은 26.6%임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을 보면,

❍관리자‧전문가및관련종사자 취업자 비중은 서울특별시 강남구(50.3%), 사무종사자는 인천광역시 중구(26.8%), 서비스‧판매종사자는 부산광역시 중구(36.8%)에서 높았음

❍농림어업숙련종사자 취업자 비중은 대구광역시 군위군(50.7%), 기능‧기계조작‧조립종사자는 울산광역시 동구(43.1%), 단순노무종사자는 인천광역시 옹진군(35.4%)에서 높았음

 

<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직업별 비중1) >
(단위: %)
지역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
서비스·판매
종사자
농림어업숙련
종사자
기능·기계조작
·조립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서울
강남구
50.3
마포구
26.8
중구
28.3
강북구*
0.3
중랑구
22.6
금천구
14.7
부산
해운대구
27.9
연제구
22.3
중구
36.8
강서구*
6.4
사상구
29.6
영도구
21.8
대구
수성구
34.7
수성구
24.8
남구
29.7
군위군
50.7
달성군
29.0
서구
22.7
인천
연수구
30.6
중구
26.8
옹진군
27.4
강화군
31.4
계양구
27.1
옹진군
35.4
광주
남구
28.1
서구
21.7
동구
24.4
남 구*
3.5
광산구
27.4
동구
16.4
대전
유성구
39.2
서구
21.6
동구
27.5
동 구*
1.6
대덕구
25.3
대덕구
15.1
울산
남구
23.3
남구
19.7
중구
21.3
울주군*
4.8
동구
43.1
남구
12.6

1) 직업별 비중은 해당 구의 전체 취업자 기준

예) 인천광역시 내 구에서 취업자의 사무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중구이고 그 비중은 26.8%임

* 표시 지역은 해당 직업 취업자 수의 상대표준오차값이 25% 이상으로 이용 시 유의하여야 함

 

다.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도별 취업자의 임금근로자 비중을 살펴보면,

❍경기도 수원시(85.4%), 경상남도 거제시(81.1%)가 높았고, 전라남도 신안군(30.8%), 경상북도 의성군(32.3%)이 낮았음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차이는 경상남도(47.5%p), 경상북도(44.9%p) 순으로 크게 나타났음

 

< 도별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비중
비중
경기 (31)
수원시
85.4
연천군
55.3
30.1
강원 (18)
태백시
79.8
횡성군
47.3
32.5
충북 (11)
청주시
78.9
괴산군
41.3
37.6
충남 (15)
천안시
79.7
청양군
41.2
38.5
전북 (14)
전주시
76.4
순창군
35.8
40.6
전남 (22)
광양시
73.8
신안군
30.8
43.0
경북 (22)
구미시
77.2
의성군
32.3
44.9
경남 (18)
거제시
81.1
산청군
33.6
47.5
제주 (2)
제주시
68.6
서귀포시
57.0
11.6

특광역시별 취업자의 임금근로자 비중을 살펴보면,

❍울산광역시 북구(88.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85.9%)가 높았고, 대구광역시 군위군(35.8%), 인천광역시 강화군(46.0%)이 낮았음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차이는 대구광역시(42.8%p), 인천광역시(39.1%p) 순으로 크게 나타났음

 

< 특광역시별 임금근로자 비중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비중
비중
서울 (25)
영등포구
85.9
중구
70.2
15.7
부산 (16)
사하구
81.5
중구
72.6
8.9
대구 (9)
중구
78.6
군위군
35.8
42.8
인천 (10)
중구
85.1
강화군
46.0
39.1
광주 (5)
광산구
80.7
남구
73.7
7.0
대전 (5)
유성구
81.7
동구
75.2
6.5
울산 (5)
북구
88.0
울주군
79.4
8.6

 

3. 실업률

도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을 살펴보면,

❍경상남도 통영시(4.6%), 경기도 시흥시(4.5%)가 높았고, 전라남도 해남군(0.1%), 경상북도 청도군(0.1%)이 낮았음

 

< 도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시군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실업률
실업률
경기 (31)
시흥시
4.5

연천군
1.0
*
3.5
강원 (18)
원주시
3.0

양구군
0.4
*
2.6
충북 (11)
증평군
3.5

보은군
0.2
*
3.3
충남 (15)
홍성군
2.9

금산군
0.3
*
2.6
전북 (14)
전주시
2.6

무주군
0.1
*
2.5
전남 (22)
목포시
2.7

해남군
0.1
*
2.6
경북 (22)
구미시
3.7

청도군
0.1
*
3.6
경남 (18)
통영시
4.6

합천군
0.3
*
4.3
제주 (2)
제주시
1.8

서귀포시
1.2
*
0.6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 시 유의하여야 함

특광역시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을 살펴보면,

❍인천광역시 동구(6.2%), 서울특별시 관악구(5.3%)가 높았고, 인천광역시 강화군(0.8%), 대구광역시 군위군(1.3%)이 낮았음

 

< 특광역시별 실업률 상·하위 지역 >

(단위: %, %p)
지역(구 수)
상위 지역

하위 지역

차이
실업률
실업률
서울 (25)
관악구
5.3

강서구
2.2

3.1
부산 (16)
연제구
4.9

남구
2.6
*
2.3
대구 (9)
서구
3.6

군위군
1.3
*
2.3
인천 (10)
동구
6.2

강화군
0.8
*
5.4
광주 (5)
동구
4.4

서구
2.1

2.3
대전 (5)
중구
2.9

대덕구
2.1

0.8
울산 (5)
동구
4.8

남구
3.7

1.1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 시 유의하여야 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