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기준 창업기업실태조사(’23년 조사) 결과 발표
- 2021년말 기준, 창업기업 수는 454만 9,158개(전년대비 5.8% 증가)로 중소기업 전체 771.4만개의 59.0%를 차지
2023.12.28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와 창업진흥원(원장 김용문)은 창업기업(사업 개시 후 7년 이내)의 특성을 조사하는 2021년 기준 ‘창업기업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창업기업실태조사’는 국가승인통계(제142016호)로 매년 작성․공표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의 ‘2021년 기준 기업통계등록부’(에스비알(SBR), ’23.4월 공개)를 전수 분석하여 창업기업 수, 매출액, 종사자 수 등의 일반현황을 작성하였으며, 창업기업 중 표본(8,000개)을 추출하여 특성현황 조사를 진행하였다.
기존 창업기업실태조사는 모집단 작성기준 차이로 인해 창업기업 현황(기업수, 종사자 수, 매출)에 대한 타 통계와 비교에 어려움이 있어, 올해부터 모집단 작성기준을 중소기업기본통계와 동일한 방식(행정자료 & 조사확인 자료→행정자료)으로 변경하여 전체 중소기업과 창업기업의 현황을 직접 비교가 가능하도록 개편하였다.
|
< 창업기업실태조사 개요 >
|
|
||||||||||||
|
|
|||||||||||||
■ 조사 개요 : 국가승인통계(제142016호, ‘13.11.27), 조사주기 1년
■ 조사 기준 :
|
||||||||||||||
구분
|
|
기존
|
➜
|
개편
|
||||||||||
모집단틀
|
통계청 기업통계등록부
|
통계청 기업통계등록부
|
||||||||||||
모집단 작성기준
|
행정자료 기준 & 조사확인기업
|
행정자료 기준
|
||||||||||||
창업기업 현황
|
모집단 전수(기업수, 종사자 수, 매출)
|
모집단 전수(기업수, 종사자 수, 매출)
|
||||||||||||
창업기업 특성
|
표본조사(응답기업 8,000개)
|
표본조사(응답기업 8,000개)
|
||||||||||||
■ ’21년 기준 창업기업실태조사(’23년 조사)
|
||||||||||||||
① ‘21년 기준 기업통계등록부 (’23.4월 통계청) 전수 분석
|
➜
|
• 전체 창업기업 수, 매출액, 종사자 수 확인
* ’15.1.1~‘21.12.31에 창업한 기업
|
||||||||||||
② 전체 창업기업 중 표본추출
(전국, 전 산업 대상)
|
➜
|
• 응답기업 8,000개
• 준비단계(창업경험, 준비활동 등), 실행단계(자금조달, 창업형태 등), 성장단계(재무, 자금, 인력 등)별 특성 조사
|
||||||||||||
창업기업 일반현황
|
’21년 기준 전체 창업기업 수는 454.9만개(전년대비 5.8% 증가)로 전체 중소기업 771.4만개의 59.0%를 차지하며 최근 3개년 기준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 4,016,385개 → (’20년) 4,299,673개 → (’21년) 4,549,158개
전체 창업기업 중 기술기반창업*은 90.3만개(19.8%), 비기술기반업종은 364.7만개(80.2%)로 나타났다.
* 기술기반업종 : 제조업 및 지식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서비스, 사업지원 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유럽연합(EU) 기준 적용)
** 기술기반창업 기업수 : (’19년) 783,195개 → (’20년) 848,036개 → (’21년) 902,599개
’21년 기준 창업기업의 전체 종사자 수는 732.2만명(전년대비 2.1% 증가, 평균 1.6명)이며, 전체 중소기업 종사자 수 1,849.3만명의 39.6% 수준이다.
* (’19년) 6,543,635명 → (’20년) 7,171,330명 → (’21년) 7,321,542명
전체 창업기업의 종사자 수 중 기술기반창업의 종사자 수는 226.6만명(평균 2.5명), 비기술기반창업은 505.6만명(평균 1.4명)으로 나타났다.
* 기술기반창업 종사자수 : (’19년) 2,043,466명 → (’20년) 2,279,287명 → (’21년) 2,265,738명
전체 창업기업의 매출액은 1,108.8조원(전년대비 10.4% 증가, 평균 2.4억원)으로 전체 중소기업 매출액 3,017.1조원의 36.8%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창업기업 매출액 중 기술기반창업은 315.4조원(평균 3.5억원), 비기술기반창업은 793.4조원(평균 2.2억원)으로 나타났다.
기술기반창업 기업수가 전체 창업기업의 19.8%를 차지하지만, 종사자수와 매출액 비중은 각각 30.9%, 28.4%로 비기술기반창업 기업보다 더 높은 경영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1년 기업 수, 종사자 수, 매출액>
구분
|
기업 수(개)
|
종사자 수(명)
|
매출액(조원)
|
||||||||
’19년
|
’20년
|
’21년
|
’19년
|
’20년
|
’21년
|
’19년
|
’20년
|
’21년
|
|||
중소기업
|
6,889,994
|
7,286,082
|
7,713,895
|
17,460,668
|
17,791,969
|
18,492,614
|
2,654.2
|
2,674.6
|
3,017.1
|
||
|
창업기업
|
4,016,385
|
4,299,673
|
4,549,158
|
6,543,635
|
7,171,330
|
7,321,542
|
1,013.2
|
1,004.2
|
1,108.8
|
|
(58.3%)
|
(59.0%)
|
(59.0%)
|
(37.5%)
|
(40.3%)
|
(39.6%)
|
(38.2%)
|
(37.5%)
|
(36.8%)
|
|||
|
업종
|
기술기반
|
783,195
|
848,036
|
902,599
|
2,043,466
|
2,279,287
|
2,265,738
|
295.9
|
283.4
|
315.4
|
(19.5%)
|
(19.7%)
|
(19.8%)
|
(31.2%)
|
(31.8%)
|
(30.9%)
|
(29.2%)
|
(28.2%)
|
(28.4%)
|
|||
비(非)기술기반
|
3,233,190
|
3,451,637
|
3,646,559
|
4,500,169
|
4,892,043
|
5,055,804
|
717.2
|
720.8
|
793.4
|
||
(80.5%)
|
(80.3%)
|
(80.2%)
|
(68.8%)
|
(68.2%)
|
(69.1%)
|
(70.8%)
|
(71.8%)
|
(71.6%)
|
창업기업 특성현황(표본조사)
|
* 복수응답 포함
<창업 준비단계>
창업 직전 직장 경험이 있는 창업자는 전년(63.8%)과 유사한 수준인 63.6%로 절반 이상이 직장 경험을 살려 창업에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업 경험이 있는 재창업 기업은 35.4%(전년 36.2%)였으며, 평균 창업 횟수는 1.4회(전년 1.4회)이었다.

창업 장애요인은 작년과 유사하게 ‘자금확보’라고 응답한 비율이 71.0%로 가장 높았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37.9%), ‘창업 지식․능력․경험 부족’(30.1%) 순으로 응답한 반면, ‘지인 만류’(3.1%), ‘부정적인 사회분위기’(2.6%)라고 응답한 비율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년 기준 창업 장애요인) 자금확보 70.7%, 실패에 대한 두려움 40.3%, 창업 지식·능력·경험 부족 28.3%, 창업까지 경제활동 22.2% 등 순
< 창업 장애요인(복수응답) >

<창업 실행단계>
창업기업들의 주요 창업동기는 전년과 유사한 ‘더 큰 경제적 수입을 위하여(50.8%)’, ‘적성에 맞는 일이기 때문에(37.1%)’, ‘경제·사회 발전에 이바지(31.3%)’ 순으로 나타났다.
* (’20년 기준 창업동기) 더 큰 경제적 수입을 위하여 52.7%, 적성에 맞는 일이기 때문에 38.0%, 경제·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기 위하여 28.6% 등 순
창업 시 소요되는 자금은 전년보다 낮은 수준인 평균 2.85억원(전년기준 3.18억원)이며, 자금 조달방법으로는 ‘자기자금’이 94.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정부지원이나 투자를 받은 경우는 4.0% 수준이었다.
* (’20년 기준 자금 조달방법) 본인자금이 93.8%, (비)은행대출 26.2%, 개인 간 차용 16.3%, 정부융자·보증 3.3% 등 순
<창업 성장단계>
창업기업의 정규직 비율은 전체 인력의 85.1%(전년 83.7%) 수준이었으며, 평균 자산은 5.5억원(자본은 32.9%, 부채는 67.1% 차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5.3%, 금융비용은 2.4%, 당기순이익은 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년 기준 자산 평균자산 5.0억원(자본 30.1%, 부채 69.9%),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7.9%, 금융비용 2.4%, 당기순이익 4.2% 차지
평균 3.79건(전년 3.15건)의 산업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진출 경험이 있는 기업은 2.8%(전년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 창업 성장단계 >

중소벤처기업부 박용순 창업정책관은 “이번 창업기업실태조사는 중소기업기본통계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중소기업과 창업기업의 종사자 수, 매출 등을 직접 비교할 수 있어 우리 경제의 창업기업 비중과 중요도를 확인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 이번 실태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보고서는 창업진흥원 누리집(http://www.kised.or.kr)에서 내려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동네 사업체 분포와 변화” 지도에서 직접 분석할 수 있어요! (0) | 2023.12.28 |
---|---|
2022년 소상공인실태조사 잠정결과 발표 (0) | 2023.12.28 |
2024학년도 대학(대학원) 등록금 법정 인상 한도 공고 (0) | 2023.12.28 |
교원의 사교육업체 관련 겸직허가 가이드라인 마련 (0) | 2023.12.28 |
50인 미만 중대재해 취약기업 획기적 지원한다 (0) | 2023.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