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2023.12.20 통계청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요약)
|
1. 인구
|
|
□ ’22년 청년층15~39세 인구는 총 인구의 29.9%(1,492만명), 중장년층40~64세은 40.5%(2,020만 4천명), 노년층65세 이상은 18.1%(904만 6천명)을 차지함
ㅇ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36만 3천명) 감소,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는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하였음
|
2. 경제활동
|
|
□ (등록취업자*) ’22년 등록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중 56.9%(848만 3천명), 중장년층 중 67.9%(1,372만 7천명), 노년층 중 31.7%(286만 7천명)임
* 4대 사회보험 등 일자리 행정자료로 파악된 임금 및 비임금근로자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등록취업자 비중이 소폭 증가
□ (신규 취업자*) 임금근로자의 산업별 신규 취업자 비중은, 청년층은 숙박·음식점업(17.0%), 중장년층은 건설업(17.5%), 노년층은 보건·사회복지업(29.2%) 비중이 가장 높음
* 전년(’21년 10월)에 미취업자에서 금년(’22년 10월)에 등록취업자로 변동된 신규 취업자
|
3. 개인의 경제상황
|
||
□ (소득) ’22년 소득(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는 생애단계별 인구의 연간 평균소득은 중장년층(4,084만원)이 청년층(2,781만원)의 1.5배, 노년층(1,771만원)의 2.3배임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평균소득이 증가하였음
|
□ (대출) 금융권 대출(’22.11.1. 기준)을 보유한 생애단계별 인구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중장년층(6,060만원), 청년층(4,000만원), 노년층(3,300만원) 순임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대출잔액 중앙값이 증가하였음
|
□ (주택소유) 청년층에서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176만 6천명(11.8%), 중장년층은 894만명(44.3%), 노년층은 402만 8천명(44.5%)임
ㅇ 주택소유 비중은 전년에 비해, 청년층은 0.6%p 감소,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0.5%p 증가
ㅇ (주택자산가액)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1억5천만원~3억원 이하’의 비중이 높고, 노년층은 ‘6천만원~1억5천만원’이 높음
|
4. 건강
|
||||
□ (건강보험 진료비) ’22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진료받은 인원의 1인당 연간 진료비는 노년층(515만 2천원), 중장년층(197만 1천원), 청년층(99만 7천원) 순임
□ (사망자 수) 노년층의 사망자 수가 전체의 81.4%를 차지, 중장년층은 여자에 비해 남자 사망자가 2.5배 높게 나타남
ㅇ (사망원인) 청년층 사망원인 1위는 ‘고의적 자해(자살)’이며,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악성신생물(암)’로 나타남
|
5. 가구
|
||||
□ (가구 수) ’22년 가구주가 청년인 가구는 일반가구 중 22.9%(497만 8천가구), 중장년인 가구는 52.6%(1,146만 2천가구), 노년인 가구는 24.5%(533만 1천가구)임
ㅇ 청년 가구는 전년대비 0.5% 감소, 중장년 및 노년 가구는 각각 0.3%, 6.3% 증가
□ (가구유형) 청년 및 노년 가구는 ‘1인 가구’(각각 55.0%, 37.0%) 비중이 가장 높고, 중장년 가구는 ‘2세대 가구’(54.9%)의 비중이 가장 높음
□ (거처유형) 모든 생애단계 가구에서 ‘아파트’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노년가구에서는 ‘단독주택’이 다른 생애단계에 비해서 높은 비중(40.8%)을 차지
|
6.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주요 현황
|
|||||||||
(단위: 천 명, 천 가구, %)
|
|||||||||
구분
|
청년층
[15∼39세]
|
|
중장년층
[40∼64세]
|
|
노년층
[65세 이상]
|
|
|||
비중
|
비중
|
비중
|
|||||||
인
구
|
생애단계별 인구 수
|
14,920
|
(100.0)
|
20,204
|
(100.0)
|
9,046
|
(100.0)
|
||
경
제
활
동
|
등록취업자
|
8,483
|
(56.9)
|
13,727
|
(67.9)
|
2,867
|
(31.7)
|
||
|
성별
|
남자
|
4,598
|
(59.0)
|
7,797
|
(76.8)
|
1,551
|
(39.1)
|
|
여자
|
3,885
|
(54.5)
|
5,929
|
(59.0)
|
1,316
|
(25.9)
|
|||
경제활동 변동자
|
2,850
|
(19.1)
|
2,616
|
(13.0)
|
904
|
(10.0)
|
|||
|
신규 취업자
(’21)미취업→(’22)취업
|
1,730
|
(11.6)
|
1,373
|
(6.8)
|
425
|
(4.7)
|
||
종전 취업자
(’21)취업→(’22)미취업
|
1,120
|
(7.5)
|
1,244
|
(6.2)
|
479
|
(5.3)
|
|||
경
제
상
황
|
소득
|
소득있음
|
11,201
|
(75.1)
|
15,950
|
(78.9)
|
3,489
|
(38.6)
|
|
연간 평균소득 (만 원)
|
2,781
|
-
|
4,084
|
-
|
1,771
|
-
|
|||
대출
|
대출있음
|
6,264
|
(42.0)
|
11,619
|
(57.5)
|
2,352
|
(26.0)
|
||
대출잔액 중앙값 (만 원)
|
4,000
|
-
|
6,060
|
-
|
3,300
|
-
|
|||
주택
소유
(개인)
|
주택소유자
|
1,766
|
(11.8)
|
8,940
|
(44.3)
|
4,028
|
(44.5)
|
||
건
강
|
건강
보험
진료비
|
진료 실인원
1인당 진료비 (천 원)
|
997
|
-
|
1,971
|
-
|
5,152
|
-
|
|
진료 실인원
1인당 입내원일수 (일)
|
12.5
|
-
|
19.7
|
-
|
44.0
|
-
|
|||
사망자 수
(전체 사망자 대비 비중)
|
8
|
(2.1)
|
61
|
(16.2)
|
303
|
(81.4)
|
|||
가
구
|
생애단계별 일반가구 수
|
4,978
|
(100.0)
|
11,462
|
(100.0)
|
5,331
|
(100.0)
|
||
주요
가구
유형
|
1인 가구
|
2,738
|
(55.0)
|
2,790
|
(24.3)
|
1,973
|
(37.0)
|
||
부부
|
348
|
(7.0)
|
1,569
|
(13.7)
|
1,864
|
(35.0)
|
|||
부부+미혼자녀
|
1,011
|
(20.3)
|
4,366
|
(38.1)
|
489
|
(9.2)
|
|||
한부모+미혼자녀
|
297
|
(6.0)
|
1,410
|
(12.3)
|
292
|
(5.5)
|
|||
평균 가구원수(명)
|
1.85
|
-
|
2.58
|
-
|
1.89
|
-
|
|||
자녀와 같이 사는 가구
|
1,161
|
(23.3)
|
6,228
|
(54.3)
|
1,216
|
(22.8)
|
|||
주택
소유
(가구)
|
주택소유 가구
|
1,388
|
(27.9)
|
7,233
|
(63.1)
|
3,610
|
(67.7)
|
Ⅰ. 인 구
|
1. 생애단계별 인구
◇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36만 3천명) 감소하였고,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는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하였음
|
□ ’22.11.1. 기준 청년층 인구는 총 인구1)의 29.9%(1,492만명), 중장년층은 40.5%(2,020만 4천명), 노년층은 18.1%(904만 6천명)을 차지함
ㅇ 전년에 비해 청년층 인구는 2.4%(36만 3천명) 감소하였고,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하였음
< 생애단계별 인구 현황, 2021-2022 >
(단위: 천 명, %)
|
총 인구
(내국인)
|
계
|
|
||||
청년층
[15~39세]
|
|
중장년층
[40~64세]
|
노년층
[65세 이상]
|
||||
[19∼34세]2)
|
|||||||
2021년
|
50,088
|
44,085
|
15,283
|
10,077
|
20,182
|
8,620
|
|
(비 중)
|
(100.0)
|
(88.0)
|
(30.5)
|
(20.1)
|
(40.3)
|
(17.2)
|
|
2022년
|
49,940
|
44,170
|
14,920
|
9,916
|
20,204
|
9,046
|
|
(비 중)
|
(100.0)
|
(88.4)
|
(29.9)
|
(19.9)
|
(40.5)
|
(18.1)
|
|
전년
대비
|
증감
|
-148
|
85
|
-363
|
-161
|
22
|
426
|
증감률
|
(-0.3)
|
(0.2)
|
(-2.4)
|
(-1.6)
|
(0.1)
|
(4.9)
|
|
< 2022년 성별 인구 수 >
|
|||||||
|
남자
|
24,867
|
21,905
|
7,791
|
5,213
|
10,151
|
3,963
|
(비중)
|
(49.8)
|
(49.6)
|
(52.2)
|
(52.6)
|
(50.2)
|
(43.8)
|
|
여자
|
25,073
|
22,265
|
7,129
|
4,703
|
10,053
|
5,083
|
|
(비중)
|
(50.2)
|
(50.4)
|
(47.8)
|
(47.4)
|
(49.8)
|
(56.2)
|
□ (연령구간별) 2022년 연령구간(5세)별 인구 수를 살펴보면, 50대 초반 인구가 가장 많으며, 60대 초반, 50대 후반 순임
ㅇ 전년에 비해 80대 초반 인구(8.6%)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20대 초반 인구(-6.1%)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 연령구간별 인구 수, 2021-2022 >
(단위: 천 명, %, %p)
|
2021년
|
|
2022년
|
|
전년대비
|
|||
비중
|
비중
|
증감
|
증감률
|
비중차
|
||||
총 인구(내국인)
|
50,088
|
(100.0)
|
49,940
|
(100.0)
|
-148
|
(-0.3)
|
(-)
|
|
계
|
44,085
|
(88.0)
|
44,170
|
(88.4)
|
85
|
(0.2)
|
(0.4)
|
|
청
년
층
|
15∼19세
|
2,288
|
(4.6)
|
2,267
|
(4.5)
|
-21
|
(-0.9)
|
(-0.1)
|
20∼24세
|
3,066
|
(6.1)
|
2,879
|
(5.8)
|
-187
|
(-6.1)
|
(-0.3)
|
|
25∼29세
|
3,439
|
(6.9)
|
3,384
|
(6.8)
|
-55
|
(-1.6)
|
(-0.1)
|
|
30∼34세
|
3,081
|
(6.2)
|
3,179
|
(6.4)
|
98
|
(3.2)
|
(0.2)
|
|
35∼39세
|
3,408
|
(6.8)
|
3,210
|
(6.4)
|
-198
|
(-5.8)
|
(-0.4)
|
|
중
장
년
층
|
40∼44세
|
3,831
|
(7.6)
|
3,884
|
(7.8)
|
53
|
(1.4)
|
(0.2)
|
45∼49세
|
4,010
|
(8.0)
|
3,896
|
(7.8)
|
-114
|
(-2.8)
|
(-0.2)
|
|
50∼54세
|
4,351
|
(8.7)
|
4,381
|
(8.8)
|
30
|
(0.7)
|
(0.1)
|
|
55∼59세
|
3,976
|
(7.9)
|
3,955
|
(7.9)
|
-21
|
(-0.5)
|
(0.0)
|
|
60∼64세
|
4,014
|
(8.0)
|
4,088
|
(8.2)
|
74
|
(1.9)
|
(0.2)
|
|
노
년
층
|
65∼69세
|
2,926
|
(5.8)
|
3,086
|
(6.2)
|
161
|
(5.5)
|
(0.4)
|
2,070
|
(4.1)
|
2,169
|
(4.3)
|
100
|
(4.8)
|
(0.2)
|
||
70∼74세
|
||||||||
75∼79세
|
1,577
|
(3.1)
|
1,589
|
(3.2)
|
12
|
(0.8)
|
(0.1)
|
|
80∼84세
|
1,174
|
(2.3)
|
1,275
|
(2.6)
|
101
|
(8.6)
|
(0.3)
|
|
85세 이상
|
874
|
(1.7)
|
927
|
(1.9)
|
53
|
(6.0)
|
(0.2)
|
2. 시도별 생애단계별 인구
◇ 청년층 인구 비중은 세종(40.2%)에서 가장 높고, 중장년층은 울산(50.0%), 노년층은 전남(28.6%)에서 높게 나타남
|
□ 시도별로 생애단계별 인구 비중을 살펴보면,
ㅇ 청년층 비중은 세종(40.2%)이 가장 높고, 전남(26.5%)이 가장 낮음
ㅇ 중장년층 비중은 울산(50.0%)이 가장 높고, 서울(42.7%)이 가장 낮음
ㅇ 노년층 비중은 전남(28.6%)이 가장 높고, 세종(12.6%)이 가장 낮음
< 시도별 생애단계별 인구 수, 2022 >
(단위: 천 명, %)
|
총 인구
(내국인)
|
생애단계별 인구 수
|
|||||||
소계
|
|
청년층
|
|
중장년층
|
|
노년층
|
|
||
비중
|
비중
|
비중
|
비중
|
||||||
전국
|
49,940
|
44,170
|
(100.0)
|
14,920
|
(33.8)
|
20,204
|
(45.7)
|
9,046
|
(20.5)
|
서울
|
9,057
|
8,188
|
(100.0)
|
3,081
|
(37.6)
|
3,499
|
(42.7)
|
1,608
|
(19.6)
|
부산
|
3,240
|
2,907
|
(100.0)
|
907
|
(31.2)
|
1,300
|
(44.7)
|
700
|
(24.1)
|
대구
|
2,328
|
2,067
|
(100.0)
|
673
|
(32.6)
|
962
|
(46.5)
|
432
|
(20.9)
|
인천
|
2,879
|
2,540
|
(100.0)
|
883
|
(34.8)
|
1,203
|
(47.4)
|
454
|
(17.9)
|
광주
|
1,436
|
1,256
|
(100.0)
|
454
|
(36.2)
|
576
|
(45.9)
|
225
|
(17.9)
|
대전
|
1,447
|
1,279
|
(100.0)
|
479
|
(37.4)
|
569
|
(44.5)
|
231
|
(18.1)
|
울산
|
1,084
|
944
|
(100.0)
|
311
|
(33.0)
|
472
|
(50.0)
|
161
|
(17.0)
|
세종
|
375
|
303
|
(100.0)
|
122
|
(40.2)
|
143
|
(47.2)
|
38
|
(12.6)
|
경기
|
13,117
|
11,439
|
(100.0)
|
4,076
|
(35.6)
|
5,412
|
(47.3)
|
1,950
|
(17.1)
|
강원
|
1,500
|
1,342
|
(100.0)
|
395
|
(29.4)
|
607
|
(45.2)
|
340
|
(25.3)
|
충북
|
1,563
|
1,383
|
(100.0)
|
446
|
(32.3)
|
628
|
(45.4)
|
309
|
(22.3)
|
충남
|
2,085
|
1,832
|
(100.0)
|
589
|
(32.2)
|
818
|
(44.7)
|
425
|
(23.2)
|
전북
|
1,730
|
1,539
|
(100.0)
|
457
|
(29.7)
|
682
|
(44.3)
|
400
|
(26.0)
|
전남
|
1,722
|
1,529
|
(100.0)
|
406
|
(26.5)
|
687
|
(44.9)
|
437
|
(28.6)
|
경북
|
2,542
|
2,270
|
(100.0)
|
637
|
(28.1)
|
1,031
|
(45.4)
|
602
|
(26.5)
|
경남
|
3,185
|
2,794
|
(100.0)
|
825
|
(29.5)
|
1,348
|
(48.2)
|
622
|
(22.2)
|
제주
|
650
|
560
|
(100.0)
|
180
|
(32.2)
|
267
|
(47.8)
|
112
|
(20.0)
|
◇ 1년 전 거주지와 비교하여 시도 경계를 벗어난 이동자는 청년층 8.4%(124만 3천명), 중장년층 2.6%(52만 7천명), 노년층 1.9%(17만 6천명)임
|
□ ’21년과 ’22년의 각 11월 1일 시점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시도 경계를 벗어나 거주지를 이동한 현황을 살펴보면,
ㅇ 청년층 인구 중 8.4%(124만 3천명)가 시도 간 이동을 하였으며, 중장년층(2.6%) 및 노년층(1.9%)에 비해 이동률이 높음
ㅇ 지역으로는 세종시가 모든 생애단계에서 가장 높은 이동률을 보였음
< 시도 간 거주지 이동 현황, 2022 >
(단위: 천 명, %)
지역
|
청년층
|
중장년층
|
노년층
|
||||||
인구
|
이동자
|
이동률
|
인구
|
이동자
|
이동률
|
인구
|
이동자
|
이동률
|
|
전국
|
14,840
|
1,243
|
(8.4)
|
20,132
|
527
|
(2.6)
|
9,033
|
176
|
(1.9)
|
서울
|
3,057
|
262
|
(8.6)
|
3,478
|
80
|
(2.3)
|
1,604
|
28
|
(1.7)
|
부산
|
902
|
63
|
(7.0)
|
1,295
|
21
|
(1.6)
|
699
|
7
|
(1.1)
|
대구
|
670
|
46
|
(6.9)
|
960
|
16
|
(1.7)
|
432
|
5
|
(1.2)
|
인천
|
878
|
80
|
(9.1)
|
1,199
|
38
|
(3.2)
|
453
|
12
|
(2.7)
|
광주
|
453
|
35
|
(7.8)
|
575
|
13
|
(2.3)
|
225
|
4
|
(1.9)
|
대전
|
477
|
54
|
(11.4)
|
567
|
15
|
(2.6)
|
231
|
5
|
(2.0)
|
울산
|
310
|
23
|
(7.3)
|
471
|
8
|
(1.6)
|
160
|
3
|
(1.6)
|
세종
|
121
|
25
|
(20.2)
|
143
|
12
|
(8.2)
|
38
|
2
|
(6.4)
|
경기
|
4,052
|
285
|
(7.0)
|
5,391
|
136
|
(2.5)
|
1,946
|
49
|
(2.5)
|
강원
|
393
|
45
|
(11.4)
|
606
|
22
|
(3.7)
|
340
|
7
|
(2.1)
|
충북
|
444
|
45
|
(10.2)
|
626
|
21
|
(3.3)
|
309
|
7
|
(2.1)
|
충남
|
587
|
70
|
(12.0)
|
816
|
33
|
(4.0)
|
424
|
11
|
(2.6)
|
전북
|
455
|
36
|
(7.8)
|
681
|
16
|
(2.3)
|
400
|
5
|
(1.3)
|
전남
|
404
|
37
|
(9.2)
|
685
|
25
|
(3.6)
|
436
|
8
|
(1.8)
|
경북
|
635
|
65
|
(10.2)
|
1,029
|
31
|
(3.0)
|
601
|
11
|
(1.8)
|
경남
|
822
|
56
|
(6.8)
|
1,345
|
29
|
(2.2)
|
621
|
10
|
(1.6)
|
제주
|
179
|
15
|
(8.5)
|
267
|
11
|
(4.0)
|
112
|
2
|
(1.6)
|
◇ ’22년 초혼은 전년에 비해 청년층 남녀 모두 감소,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남녀 모두 증가, 이혼은 모든 생애단계에서 남녀 모두 감소
|
□ (혼인) 초혼은 전년에 비해 청년층에서 남녀 모두 감소(각각 -2.6%, -0.9%)하였고,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남녀 모두 전년대비 증가하였음
ㅇ 재혼은 청년층 남녀 모두 전년대비 감소(각각 -4.4%, -2.5%)한 반면, 노년층(각각 4.3%, 8.5%)은 남녀 모두 증가
□ (이혼) 이혼은 모든 생애단계에서 남녀 모두 전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중장년층 여자의 감소폭(-9.1%)이 가장 크게 나타남
< 혼인 및 이혼 현황, 2021-2022 >
(단위: 명)
|
청년층
|
중장년층
|
노년층
|
||||||||
초혼
|
재혼
|
이혼
|
초혼
|
재혼
|
이혼
|
초혼
|
재혼
|
이혼
|
|||
2021년
|
남자
|
144,190
|
6,115
|
21,363
|
16,905
|
21,789
|
69,139
|
112
|
3,155
|
11,171
|
|
여자
|
148,961
|
11,175
|
30,803
|
7,397
|
22,562
|
64,662
|
118
|
1,860
|
6,208
|
||
2022년
|
남자
|
140,419
|
5,846
|
19,955
|
19,531
|
22,068
|
63,056
|
139
|
3,290
|
10,220
|
|
여자
|
147,619
|
10,891
|
28,494
|
8,218
|
22,091
|
58,801
|
129
|
2,018
|
5,937
|
||
전년 대비
|
증
감
|
남자
|
-3,771
|
-269
|
-1,408
|
2,626
|
279
|
-6,083
|
27
|
135
|
-951
|
여자
|
-1,342
|
-284
|
-2,309
|
821
|
-471
|
-5,861
|
11
|
158
|
-271
|
||
증
감
률
|
남자
|
(-2.6)
|
(-4.4)
|
(-6.6)
|
(15.5)
|
(1.3)
|
(-8.8)
|
(24.1)
|
(4.3)
|
(-8.5)
|
|
여자
|
(-0.9)
|
(-2.5)
|
(-7.5)
|
(11.1)
|
(-2.1)
|
(-9.1)
|
(9.3)
|
(8.5)
|
(-4.4)
|
Ⅱ. 경 제 활 동
|
◇ 각 생애단계별 인구 대비 등록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56.9%, 중장년층 67.9%, 노년층 31.7%임
|
□ ’22년 10월 기준 생애단계별 인구대비 등록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56.9%(848만 3천명), 중장년층 67.9%(1,372만 7천명), 노년층 31.7%(286만 7천명)임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등록취업자 비중이 소폭 증가
ㅇ (성별) 모든 생애단계에서 남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이 여자보다 높으며, 특히 중장년층에서 남녀 간 등록취업자 비중 차이(17.8%p)가 가장 큼
* ’22년 남녀 등록취업자 비중 차이: 청년층(4.5%p), 중장년층(17.8%p), 노년층(13.2%p)
< 생애단계별 등록취업자 현황, 2021-2022 >
(단위: 천 명, %, %p)
|
청년층
|
|
중장년층
|
노년층
|
|||||||||
[19-34세]
|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
|
||
2021년
|
15,283
|
8,474
|
(55.4)
|
10,077
|
5,910
|
(58.6)
|
20,182
|
13,402
|
(66.4)
|
8,620
|
2,594
|
(30.1)
|
|
2022년
|
14,920
|
8,483
|
(56.9)
|
9,916
|
5,995
|
(60.5)
|
20,204
|
13,727
|
(67.9)
|
9,046
|
2,867
|
(31.7)
|
|
전년
대비
|
증감
|
-363
|
9
|
(1.5)
|
-161
|
84
|
(1.9)
|
22
|
325
|
(1.5)
|
426
|
273
|
(1.6)
|
증감률
|
(-2.4)
|
(0.1)
|
-
|
(-1.6)
|
(1.4)
|
-
|
(0.1)
|
(2.4)
|
-
|
(4.9)
|
(10.5)
|
-
|
|
< 2022년 성별 등록취업자 현황 >
|
|||||||||||||
|
남자
|
7,791
|
4,598
|
(59.0)
|
5,213
|
3,146
|
(60.4)
|
10,151
|
7,797
|
(76.8)
|
3,963
|
1,551
|
(39.1)
|
여자
|
7,129
|
3,885
|
(54.5)
|
4,703
|
2,848
|
(60.6)
|
10,053
|
5,929
|
(59.0)
|
5,083
|
1,316
|
(25.9)
|
□ (연령구간별) 연령구간별 인구 대비 등록취업자 비중은 30대 초반(76.3%)에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낮아짐
ㅇ (성별) 남자는 30대 후반(84.7%)에 등록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고, 여자는 20대 후반(70.0%)에 가장 높음
< 연령구간별 등록취업자 현황, 2021-2022 >
(단위: 천 명, %, %p)
|
2021년
|
2022년
|
전년대비 증감
|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
|
인구
|
등록
취업자
|
비중차
|
||
계
|
44,085
|
24,470
|
(55.5)
|
44,170
|
25,076
|
(56.8)
|
85
|
606
|
(1.3)
|
|
청
년
층
|
15~19세
|
2,288
|
207
|
(9.0)
|
2,267
|
222
|
(9.8)
|
-21
|
15
|
(0.8)
|
20~24세
|
3,066
|
1,152
|
(37.6)
|
2,879
|
1,111
|
(38.6)
|
-187
|
-41
|
(1.0)
|
|
25~29세
|
3,439
|
2,338
|
(68.0)
|
3,384
|
2,345
|
(69.3)
|
-55
|
7
|
(1.3)
|
|
30~34세
|
3,081
|
2,304
|
(74.8)
|
3,179
|
2,425
|
(76.3)
|
98
|
121
|
(1.5)
|
|
35~39세
|
3,408
|
2,473
|
(72.6)
|
3,210
|
2,380
|
(74.1)
|
-198
|
-93
|
(1.5)
|
|
중
장
년
층
|
40~44세
|
3,831
|
2,763
|
(72.1)
|
3,884
|
2,848
|
(73.3)
|
53
|
85
|
(1.2)
|
45~49세
|
4,010
|
2,887
|
(72.0)
|
3,896
|
2,854
|
(73.3)
|
-114
|
-33
|
(1.3)
|
|
50~54세
|
4,351
|
3,049
|
(70.1)
|
4,381
|
3,133
|
(71.5)
|
30
|
83
|
(1.4)
|
|
55~59세
|
3,976
|
2,584
|
(65.0)
|
3,955
|
2,644
|
(66.8)
|
-21
|
60
|
(1.8)
|
|
60~64세
|
4,014
|
2,119
|
(52.8)
|
4,088
|
2,248
|
(55.0)
|
74
|
129
|
(2.2)
|
|
노
년
층
|
65~69세
|
2,926
|
1,233
|
(42.1)
|
3,086
|
1,366
|
(44.3)
|
161
|
133
|
(2.2)
|
70~74세
|
2,070
|
681
|
(32.9)
|
2,169
|
753
|
(34.7)
|
100
|
73
|
(1.8)
|
|
75~79세
|
1,577
|
408
|
(25.9)
|
1,589
|
431
|
(27.1)
|
12
|
22
|
(1.2)
|
|
80세 이상
|
2,048
|
272
|
(13.3)
|
2,202
|
317
|
(14.4)
|
154
|
45
|
(1.1)
|
나. 종사상 지위별 등록취업자
◇ 등록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청년층에서 90.4%로 가장 높고,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노년층이 25.1%로 가장 높음
|
□ ’22년 10월 기준 등록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청년층에서 90.4%로 가장 높고, 중장년층은 77.6%, 노년층은 72.7%임
ㅇ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점 높아지다가, 60대 후반(26.2%)에 가장 높게 나타남
< 연령구간별, 종사상 지위별 등록취업자, 2022 >
(단위: 천 명, %)
|
계
|
임금근로자
|
비임금근로자
|
병행근로자
(임금근로+비임금근로)
|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청
년
층
|
계
|
8,483
|
(100.0)
|
7,669
|
(90.4)
|
606
|
(7.1)
|
207
|
(2.4)
|
15~19세
|
222
|
(100.0)
|
219
|
(98.5)
|
3
|
(1.3)
|
0
|
(0.2)
|
|
20~24세
|
1,111
|
(100.0)
|
1,070
|
(96.4)
|
30
|
(2.7)
|
11
|
(1.0)
|
|
25~29세
|
2,345
|
(100.0)
|
2,191
|
(93.5)
|
112
|
(4.8)
|
41
|
(1.8)
|
|
30~34세
|
2,425
|
(100.0)
|
2,166
|
(89.3)
|
193
|
(8.0)
|
66
|
(2.7)
|
|
35~39세
|
2,380
|
(100.0)
|
2,023
|
(85.0)
|
269
|
(11.3)
|
89
|
(3.7)
|
|
[19~34세]
|
5,995
|
(100.0)
|
5,540
|
(92.4)
|
336
|
(5.6)
|
118
|
(2.0)
|
|
중
장
년
층
|
계
|
13,727
|
(100.0)
|
10,651
|
(77.6)
|
2,426
|
(17.7)
|
649
|
(4.7)
|
40~44세
|
2,848
|
(100.0)
|
2,333
|
(81.9)
|
386
|
(13.5)
|
129
|
(4.5)
|
|
45~49세
|
2,854
|
(100.0)
|
2,270
|
(79.5)
|
437
|
(15.3)
|
147
|
(5.1)
|
|
50~54세
|
3,133
|
(100.0)
|
2,432
|
(77.7)
|
539
|
(17.2)
|
161
|
(5.1)
|
|
55~59세
|
2,644
|
(100.0)
|
2,000
|
(75.6)
|
522
|
(19.8)
|
122
|
(4.6)
|
|
60~64세
|
2,248
|
(100.0)
|
1,616
|
(71.9)
|
541
|
(24.1)
|
91
|
(4.0)
|
|
노
년
층
|
계
|
2,867
|
(100.0)
|
2,083
|
(72.7)
|
718
|
(25.1)
|
65
|
(2.3)
|
65~69세
|
1,366
|
(100.0)
|
967
|
(70.8)
|
358
|
(26.2)
|
41
|
(3.0)
|
|
70~74세
|
753
|
(100.0)
|
548
|
(72.7)
|
190
|
(25.3)
|
15
|
(2.0)
|
|
75~79세
|
431
|
(100.0)
|
326
|
(75.7)
|
99
|
(22.9)
|
6
|
(1.4)
|
|
80세 이상
|
317
|
(100.0)
|
243
|
(76.7)
|
71
|
(22.5)
|
3
|
(0.9)
|
다. 종사상 지위별 주된 일자리 특성
◇ 임금근로자의 산업은 청년층과 중장년층에서 제조업 비중이 가장 높고, 노년층에서 보건·사회복지업 비중이 가장 높음
|
□ (임금근로) 임금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특성을 살펴보면,
ㅇ (종사자 규모별) 모든 생애단계에서 300명 이상의 비중이 가장 높음
* 임금근로자 300명 이상 등록취업자 비중: 청년층(42.4%), 중장년층(37.9%), 노년층(42.7%)
ㅇ (산업별) 청년층은 제조업(21.6%), 도·소매업(11.7%) 비중이 높고, 중장년층은 제조업(21.6%), 건설업(11.7%), 노년층은 보건·사회복지업(25.9%), 사업시설·지원업(13.4%) 순임
□ (비임금근로) 비임금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특성을 살펴보면,
ㅇ (종사자 규모별) 모든 생애단계에서 1∼4명의 비중이 가장 높음
* 비임금근로자 종사자 규모(1~4명) 등록취업자 비중: 청년층(95.3%), 중장년층(94.1%), 노년층(94.9%)
ㅇ (산업별) 청년층 및 중장년층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에서 등록취업자 비중이 높고, 노년층은 부동산업, 도·소매업 순임
< 종사상 지위별, 일자리 특성별 등록취업자 수, 2022 >
(단위: 천 명, %)
|
청년층
|
|
중장년층
|
노년층
|
||||||
[ 19~34세 ]
|
||||||||||
등록
취업자
|
비중
|
등록
취업자
|
비중
|
등록
취업자
|
비중
|
등록
취업자
|
비중
|
|||
임
금
근
로
자
|
계
|
7,877
|
(100.0)
|
5,658
|
(100.0)
|
11,300
|
(100.0)
|
2,148
|
(100.0)
|
|
종사자
규모
|
1~4명
|
897
|
(11.4)
|
653
|
(11.5)
|
1,445
|
(12.8)
|
222
|
(10.3)
|
|
5~9명
|
764
|
(9.7)
|
557
|
(9.8)
|
1,177
|
(10.4)
|
164
|
(7.7)
|
||
10~49명
|
1,521
|
(19.3)
|
1,106
|
(19.6)
|
2,410
|
(21.3)
|
409
|
(19.0)
|
||
50~299명
|
1,353
|
(17.2)
|
969
|
(17.1)
|
1,986
|
(17.6)
|
437
|
(20.3)
|
||
300명 이상
|
3,342
|
(42.4)
|
2,373
|
(41.9)
|
4,282
|
(37.9)
|
916
|
(42.7)
|
||
주요
산업별
|
C 제조업
|
1,702
|
(21.6)
|
1,159
|
(20.5)
|
2,436
|
(21.6)
|
174
|
(8.1)
|
|
F 건설업
|
401
|
(5.1)
|
269
|
(4.8)
|
1,326
|
(11.7)
|
212
|
(9.9)
|
||
G 도·소매업
|
919
|
(11.7)
|
670
|
(11.8)
|
1,070
|
(9.5)
|
112
|
(5.2)
|
||
H 운수업
|
271
|
(3.4)
|
189
|
(3.3)
|
528
|
(4.7)
|
69
|
(3.2)
|
||
I 숙박·음식점업
|
611
|
(7.8)
|
487
|
(8.6)
|
393
|
(3.5)
|
74
|
(3.4)
|
||
J 정보통신업
|
490
|
(6.2)
|
364
|
(6.4)
|
390
|
(3.4)
|
10
|
(0.5)
|
||
K 금융·보험업
|
311
|
(4.0)
|
195
|
(3.5)
|
534
|
(4.7)
|
34
|
(1.6)
|
||
L 부동산업
|
75
|
(1.0)
|
51
|
(0.9)
|
257
|
(2.3)
|
117
|
(5.5)
|
||
M 전문·과학·기술업
|
481
|
(6.1)
|
359
|
(6.3)
|
463
|
(4.1)
|
66
|
(3.1)
|
||
N 사업시설·지원업
|
453
|
(5.8)
|
334
|
(5.9)
|
714
|
(6.3)
|
288
|
(13.4)
|
||
O 공공행정
|
583
|
(7.4)
|
431
|
(7.6)
|
701
|
(6.2)
|
155
|
(7.2)
|
||
P 교육서비스업
|
483
|
(6.1)
|
329
|
(5.8)
|
774
|
(6.8)
|
44
|
(2.1)
|
||
Q 보건·사회복지업
|
761
|
(9.7)
|
576
|
(10.2)
|
1,221
|
(10.8)
|
557
|
(25.9)
|
||
S 협회·기타서비스업
|
139
|
(1.8)
|
98
|
(1.7)
|
240
|
(2.1)
|
190
|
(8.9)
|
||
비
임
금
근
로
자
|
계
|
814
|
(100.0)
|
455
|
(100.0)
|
3,075
|
(100.0)
|
783
|
(100.0)
|
|
종사자
규모
|
1~4명
|
775
|
(95.3)
|
437
|
(96.2)
|
2,894
|
(94.1)
|
743
|
(94.9)
|
|
5~9명
|
29
|
(3.5)
|
13
|
(2.9)
|
128
|
(4.2)
|
23
|
(2.9)
|
||
10~49명
|
9
|
(1.1)
|
4
|
(0.8)
|
47
|
(1.5)
|
12
|
(1.5)
|
||
50명 이상
|
0
|
(0.1)
|
0
|
(0.0)
|
7
|
(0.2)
|
5
|
(0.7)
|
||
주요
산업별
|
C 제조업
|
38
|
(4.7)
|
19
|
(4.2)
|
279
|
(9.1)
|
50
|
(6.4)
|
|
D 전기·가스·증기업
|
6
|
(0.8)
|
4
|
(0.8)
|
35
|
(1.1)
|
17
|
(2.2)
|
||
F 건설업
|
40
|
(4.9)
|
21
|
(4.6)
|
273
|
(8.9)
|
32
|
(4.1)
|
||
G 도·소매업
|
266
|
(32.7)
|
153
|
(33.6)
|
777
|
(25.3)
|
139
|
(17.8)
|
||
H 운수업
|
48
|
(5.9)
|
23
|
(5.1)
|
333
|
(10.8)
|
105
|
(13.3)
|
||
I 숙박·음식점업
|
164
|
(20.2)
|
101
|
(22.2)
|
449
|
(14.6)
|
79
|
(10.1)
|
||
J 정보통신업
|
22
|
(2.7)
|
13
|
(2.9)
|
43
|
(1.4)
|
3
|
(0.4)
|
||
L 부동산업
|
28
|
(3.4)
|
14
|
(3.1)
|
272
|
(8.8)
|
270
|
(34.5)
|
||
M 전문·과학·기술업
|
34
|
(4.1)
|
17
|
(3.7)
|
94
|
(3.1)
|
13
|
(1.7)
|
||
N 사업시설·지원업
|
23
|
(2.8)
|
12
|
(2.7)
|
68
|
(2.2)
|
8
|
(1.0)
|
||
P 교육서비스업
|
43
|
(5.3)
|
21
|
(4.7)
|
111
|
(3.6)
|
3
|
(0.4)
|
||
Q 보건·사회복지업
|
8
|
(1.0)
|
2
|
(0.4)
|
61
|
(2.0)
|
7
|
(1.0)
|
||
R 예술·스포츠·여가업
|
24
|
(3.0)
|
14
|
(3.1)
|
59
|
(1.9)
|
9
|
(1.2)
|
||
S 협회·기타서비스업
|
62
|
(7.7)
|
37
|
(8.1)
|
179
|
(5.8)
|
26
|
(3.4)
|
◇ 전년과 비교하여 취업 여부가 변동된 사람의 비중은 청년층 19.1%(285만명), 중장년층 13.0%(261만 6천명), 노년층 10.0%(90만 4천명)임
|
□ 생애단계별 인구의 ’22년 10월의 등록취업 상황과 1년 전(’21년 10월)의 취업 상황을 비교하면,
ㅇ (취업자로 변동) 전년에 미취업 상태였으나, 금년 취업으로 변동된 사람은 청년층 11.6%, 중장년층 6.8%, 노년층 4.7%로 나타남
ㅇ (미취업자로 변동) 전년에 취업 상태였으나, 금년 미취업으로 변동된 사람은 청년층 7.5%, 중장년층 6.2%, 노년층 5.3%로 나타남
ㅇ (변동 없음) 전년과 금년에 취업을 유지한 비중은 중장년층(61.1%)이 가장 높고, 미취업 상태를 유지한 비중은 노년층(63.0%)에서 가장 높음
< 경제활동(등록취업 여부) 변동, 2022 >
(단위: 천 명, %)
|
전체
|
등록취업 여부 변동 있음
|
등록취업 여부 변동 없음
|
||||||
소계
|
(’21)미취업
→(’22)취업
|
(’21)취업→
(’22)미취업
|
소계
|
취업
유지
|
미취업
유지
|
||||
청년층
|
|
14,920
|
2,850
|
1,730
|
1,120
|
12,070
|
6,753
|
5,317
|
|
비중
|
(100.0)
|
(19.1)
|
(11.6)
|
(7.5)
|
(80.9)
|
(45.3)
|
(35.6)
|
||
|
[19~34세]
|
|
9,916
|
2,289
|
1,394
|
895
|
7,627
|
4,601
|
3,026
|
비중
|
(100.0)
|
(23.1)
|
(14.1)
|
(9.0)
|
(76.9)
|
(46.4)
|
(30.5)
|
||
중장년층
|
|
20,204
|
2,616
|
1,373
|
1,244
|
17,587
|
12,354
|
5,233
|
|
비중
|
(100.0)
|
(13.0)
|
(6.8)
|
(6.2)
|
(87.0)
|
(61.1)
|
(25.9)
|
||
노년층
|
|
9,046
|
904
|
425
|
479
|
8,142
|
2,442
|
5,700
|
|
비중
|
(100.0)
|
(10.0)
|
(4.7)
|
(5.3)
|
(90.0)
|
(27.0)
|
(63.0)
|
◇ 임금근로자의 산업별 신규 취업자 비중은, 청년층은 숙박·음식점업(17.0%), 중장년층은 건설업(17.5%), 노년층은 보건·사회복지업(29.2%) 비중이 가장 높음
|
□ (종사상 지위별) 신규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청년층(91.1%)이 가장 높고, 비임금근로자 신규 취업 비중은 중장년층(21.5%)이 가장 높음
< 신규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2022 >
(단위: 천 명, %)
|
신규 취업자
|
임금근로자
|
비임금근로자
|
병행근로자
|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청년층
|
1,730
|
1,575
|
(91.1)
|
134
|
(7.8)
|
20
|
(1.2)
|
||
|
[19~34세]
|
1,394
|
1,293
|
(92.8)
|
86
|
(6.2)
|
15
|
(1.0)
|
|
중장년층
|
1,373
|
1,050
|
(76.5)
|
296
|
(21.5)
|
27
|
(2.0)
|
||
노년층
|
425
|
332
|
(78.0)
|
91
|
(21.3)
|
3
|
(0.6)
|
□ (산업별) 신규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는 청년층 숙박·음식점업(17.0%), 중장년층 건설업(17.5%),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29.2%) 비중이 가장 높음
ㅇ 비임금근로자는 청년층 및 중장년층은 도·소매업(각각 36.1%, 24.0%), 노년층은 부동산업(41.8%) 비중이 가장 높음
◇ 전년에 취업자에서 금년 미취업자로 변동된 임금근로자의 종전 일자리는 청년층 숙박·음식점업, 중장년층 제조업,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 비중이 높음
|
□ (종사상 지위별) 전년에 등록취업자에서 금년 미취업자로 변동된 사람 중 전년에 임금근로자였던 비중은 청년층(91.7%)이 가장 높고, 전년에 비임금근로자였던 비중은 노년층(18.9%)이 가장 높음
< 종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2022 >
(단위: 천 명, %)
|
종전
취업자
|
임금근로자
|
비임금근로자
|
병행근로자
|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청년층
|
1,120
|
1,027
|
(91.7)
|
82
|
(7.3)
|
12
|
(1.0)
|
||
|
[19~34세]
|
895
|
838
|
(93.6)
|
49
|
(5.5)
|
8
|
(0.9)
|
|
중장년층
|
1,244
|
998
|
(80.2)
|
227
|
(18.3)
|
19
|
(1.5)
|
||
노년층
|
479
|
386
|
(80.5)
|
90
|
(18.9)
|
3
|
(0.6)
|
□ (산업별) 종전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는 청년층 숙박·음식점업(16.6%), 중장년층 제조업(17.2%),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23.0%) 비중이 가장 높음
ㅇ 종전 취업자 중 비임금근로자는 청년층 도·소매업(41.2%), 중장년층 도·소매업(25.5%), 노년층 부동산업(37.1%) 비중이 가장 높음
◇ 지난 1년 동안 개인기업체를 등록하여 ’22년 10월 현재 운영 중인 청년 인구는 21만 3천명, 중장년은 27만 7천명, 노년은 2만 9천명임
|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는 전체 신규등록자 대비 청년층 41.0%(21만 3천명), 중장년층 53.4%(27만 7천명), 노년층 5.5%(2만 9천명)를 차지함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수, 2021-2022 >
(단위: 천 명, %, %p)
|
총계
|
청년층
|
중장년층
|
노년층
|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
비중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
비중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
비중
|
||||
2021년
|
515
|
(100.0)
|
210
|
(40.9)
|
275
|
(53.5)
|
29
|
(5.7)
|
|
2022년
|
518
|
(100.0)
|
213
|
(41.0)
|
277
|
(53.4)
|
29
|
(5.5)
|
|
전년
대비
|
증감
|
3
|
-
|
2
|
(0.1)
|
2
|
(-0.1)
|
-1
|
(-0.2)
|
증감률
|
(0.6)
|
-
|
(1.0)
|
-
|
(0.6)
|
-
|
(-1.8)
|
-
|
□ (산업별)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산업별 현황을 살펴보면,
ㅇ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에서 신규등록자가 가장 많이 분포함
|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상위 3개 산업, ’22 >
|
□ (전년도 취업상황)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전년도 취업상황을 살펴보면, 청년층은 ‘임금근로’,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미취업’이 높음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전년도 취업상황, 2022 >
(단위: 천 명, %)
|
신규등록자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전년도 취업상황
|
||||||||
미취업
|
임금근로자
|
비임금근로자
|
병행근로자
|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청년층
|
213
|
(100.0)
|
99
|
(46.5)
|
104
|
(48.8)
|
8
|
(3.7)
|
2
|
(1.0)
|
중장년층
|
277
|
(100.0)
|
130
|
(46.9)
|
127
|
(45.8)
|
16
|
(6.0)
|
4
|
(1.4)
|
노년층
|
29
|
(100.0)
|
18
|
(64.5)
|
7
|
(24.9)
|
3
|
(9.7)
|
0
|
(0.9)
|
Ⅲ. 개인의 경제상황
|
1. 소득
◇ 연간 평균소득은 중장년층이 4,084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청년층은 2,781만원, 노년층은 1,771만원임
|
□ ’22년 소득(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는 생애단계별 인구의 연간 평균소득10)은,
ㅇ 중장년층(4,084만원)이 청년층(2,781만원)의 1.5배, 노년층(1,771만원)의 2.3배임
※ 19~34세의 연간 평균소득은 2,469만원(소득있음 비중은 82.0%)임
□ 소득구간별로 보면 청년층과 노년층은 ‘1천만원 미만’(각각 33.4%, 56.0%)이 가장 많고, 중장년층은 ‘1천만원~3천만원 미만’(29.7%)이 가장 많음
< 연간 평균소득(2021-2022) 및 소득구간별 분포(2022) >
(단위: 천 명, 만 원, %, %p)
|
청년층
|
중장년층
|
노년층
|
||||||||
소득
있음
|
소득있음
비중
|
연간
평균소득
|
소득
있음
|
소득있음
비중
|
연간
평균소득
|
소득
있음
|
소득있음
비중
|
연간
평균소득
|
|||
2021년
|
11,124
|
(72.8)
|
2,613
|
15,554
|
(77.1)
|
3,890
|
3,182
|
(36.9)
|
1,645
|
||
2022년
|
11,201
|
(75.1)
|
2,781
|
15,950
|
(78.9)
|
4,084
|
3,489
|
(38.6)
|
1,771
|
||
전년
대비
|
증감
|
77
|
(2.3)
|
168
|
396
|
(1.8)
|
193
|
307
|
(1.7)
|
125
|
|
증감률
|
(0.7)
|
-
|
(6.4)
|
(2.5)
|
-
|
(5.0)
|
(9.7)
|
-
|
(7.6)
|
|
소득 있음
|
|
|||||||
소득구간별 비중
|
|||||||||
1천만원
미만
|
1~3천만원
미만
|
3~ 5천만원
미만
|
5~7천만원
미만
|
7천만원~
1억원 미만
|
1억원 이상
|
||||
청년층
|
11,201
|
(100.0)
|
(33.4)
|
(28.5)
|
(22.2)
|
(9.4)
|
(4.1)
|
(2.3)
|
|
|
[19∼34세]
|
8,131
|
(100.0)
|
(34.9)
|
(30.8)
|
(22.7)
|
(7.5)
|
(2.9)
|
(1.2)
|
중장년층
|
15,950
|
(100.0)
|
(24.7)
|
(29.7)
|
(18.1)
|
(10.1)
|
(9.6)
|
(7.8)
|
|
노년층
|
3,489
|
(100.0)
|
(56.0)
|
(29.9)
|
(8.6)
|
(2.5)
|
(1.3)
|
(1.8)
|
□ (연령구간별)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연간 평균소득이 4,477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소득있음 비중은 30대 초반(88.3%)이 가장 높음
□ (성별) 남자의 연간 평균소득이 여자에 비해 청년층은 1.4배, 중장년층은 2배, 노년층은 2.3배 높음
□ (주택소유 여부별) 청년층 주택소유자가 미소유자에 비해 연간 평균소득이 1.9배 높으며, 중장년층은 1.6배, 노년층은 1.4배 높음
< 주요 특성별 연간 평균소득 현황, 2022 >
(단위: 천 명, %, 만 원)
청년층
|
중장년층
|
노년층
|
|||||||||
|
소득
있음
|
소득
있음
비중
|
연간
평균
소득
|
|
소득
있음
|
소득
있음
비중
|
연간
평균
소득
|
|
소득
있음
|
소득
있음
비중
|
연간
평균
소득
|
남자
|
5,885
|
(75.5)
|
3,201
|
남자
|
8,697
|
(85.7)
|
5,282
|
남자
|
1,838
|
(46.4)
|
2,426
|
여자
|
5,316
|
(74.6)
|
2,317
|
여자
|
7,254
|
(72.2)
|
2,646
|
여자
|
1,651
|
(32.5)
|
1,042
|
15∼29세
|
5,669
|
(66.5)
|
1,824
|
40∼44세
|
3,269
|
(84.2)
|
4,334
|
65∼69세
|
1,670
|
(54.1)
|
2,145
|
45∼49세
|
3,263
|
(83.7)
|
4,477
|
||||||||
70∼74세
|
912
|
(42.0)
|
1,708
|
||||||||
30∼34세
|
2,807
|
(88.3)
|
3,493
|
||||||||
50∼54세
|
3,598
|
(82.1)
|
4,477
|
||||||||
75∼79세
|
520
|
(32.8)
|
1,240
|
||||||||
55∼59세
|
3,079
|
(77.8)
|
4,058
|
||||||||
35∼39세
|
2,725
|
(84.9)
|
4,039
|
||||||||
80세이상
|
387
|
(17.6)
|
1,015
|
||||||||
60∼64세
|
2,742
|
(67.1)
|
2,828
|
||||||||
주택소유
|
1,605
|
(90.9)
|
4,729
|
주택소유
|
7,511
|
(84.0)
|
5,031
|
주택소유
|
1,801
|
(44.7)
|
2,075
|
미소유
|
9,596
|
(72.9)
|
2,456
|
미소유
|
8,439
|
(74.9)
|
3,241
|
미소유
|
1,688
|
(33.6)
|
1,446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 14조 3,493억 원 확정 (0) | 2023.12.21 |
---|---|
근로자 이동행태 실험적통계 작성 결과 보도자료 (0) | 2023.12.21 |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조속한 법 개정과 양형기준 개선 강조 (0) | 2023.12.20 |
’24년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0) | 2023.12.20 |
과기정통부, '제4차 인공지능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 (0) | 202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