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12. 20.
반응형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2023.12.20 통계청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요약)
1. 인구
 

□ ’22년 청년층1539 인구는 총 인구의 29.9%(1,492만명), 중장년층406440.5%(2,0204천명), 노년층65세 이상18.1%(9046천명)을 차지함

ㅇ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36만 3천명) 감소,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는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하였음

 

2. 경제활동
 

(등록취업자*)22년 등록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중 56.9%(8483천명), 중장년층 중 67.9%(1,3727천명), 노년층 중 31.7%(2867천명)
* 4대 사회보험 등 일자리 행정자료로 파악된 임금 및 비임금근로자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등록취업자 비중이 소폭 증가

(신규 취업자*) 임금근로자의 산업별 신규 취업자 비중, 청년층은 숙박·음식점업(17.0%), 중장년층은 건설업(17.5%), 노년층은 보건·사회복지업(29.2%) 비중이 가장 높음

* 전년(’21년 10월)에 미취업자에서 금년(’22년 10월)에 등록취업자로 변동된 신규 취업자

3. 개인의 경제상황
 

(소득)22년 소득(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는 생애단계별 인구의 연간 평균소득은 중장년층(4,084만원)이 청년층(2,781만원)1.5, 노년층(1,771만원)2.3배임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평균소득이 증가하였음

 


(대출) 금융권 대출(22.11.1. 기준)을 보유한 생애단계별 인구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중장년층(6,060만원), 청년층(4,000만원), 노년층(3,300만원) 순임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대출잔액 중앙값이 증가하였음


(주택소유) 청년층에서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1766천명(11.8%), 중장년층은 894만명(44.3%), 노년층은 4028천명(44.5%)

주택소유 비중은 전년에 비해, 청년층은 0.6%p 감소,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0.5%p 증가

ㅇ (주택자산가액)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1억5천만원~3억원 이하’의 비중이 높고, 노년층은 ‘6천만원~1억5천만원’이 높음

4. 건강
 

(건강보험 진료비) 22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진료받은 인원의 1인당 연간 진료비는 노년층(5152천원), 중장년층(1971천원), 청년층(997천원) 순임

(사망자 수) 노년층의 사망자 수가 전체의 81.4%를 차지, 중장년층은 여자에 비해 남자 사망자가 2.5배 높게 나타남
ㅇ (사망원인) 청년층 사망원인 1위는 ‘고의적 자해(자살)’이며,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악성신생물(암)’로 나타남

 

 

5. 가구
 

(가구 수)22년 가구주가 청년인 가구는 일반가구 중 22.9%(4978천가구), 중장년인 가구는 52.6%(1,1462천가구), 노년인 가구는 24.5%(5331천가구)

ㅇ 청년 가구는 전년대비 0.5% 감소, 중장년 및 노년 가구는 각각 0.3%, 6.3% 증가

(가구유형) 청년 및 노년 가구는 ‘1인 가구’(각각 55.0%, 37.0%) 비중이 가장 높고, 중장년 가구는 ‘2세대 가구’(54.9%)의 비중이 가장 높음

(거처유형) 모든 생애단계 가구에서 ‘아파트’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노년가구에서는 ‘단독주택’이 다른 생애단계에 비해서 높은 비중(40.8%)을 차지

 

6.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주요 현황
 
(단위: 천 명, 천 가구, %)
구분
청년층
[15∼39세]

중장년층
[40∼64세]

노년층
[65세 이상]

비중
비중
비중
생애단계별 인구 수
14,920
(100.0)
20,204
(100.0)
9,046
(100.0)
등록취업자
8,483
(56.9)
13,727
(67.9)
2,867
(31.7)

성별
남자
4,598
(59.0)
7,797
(76.8)
1,551
(39.1)
여자
3,885
(54.5)
5,929
(59.0)
1,316
(25.9)
경제활동 변동자
2,850
(19.1)
2,616
(13.0)
904
(10.0)

신규 취업자
(’21)미취업→(’22)취업
1,730
(11.6)
1,373
(6.8)
425
(4.7)
종전 취업자
(’21)취업→(’22)미취업
1,120
(7.5)
1,244
(6.2)
479
(5.3)
소득
소득있음
11,201
(75.1)
15,950
(78.9)
3,489
(38.6)
연간 평균소득 (만 원)
2,781
-
4,084
-
1,771
-
대출
대출있음
6,264
(42.0)
11,619
(57.5)
2,352
(26.0)
대출잔액 중앙값 (만 원)
4,000
-
6,060
-
3,300
-
주택
소유
(개인)
주택소유자
1,766
(11.8)
8,940
(44.3)
4,028
(44.5)
건강
보험
진료비
진료 실인원
1인당 진료비 (천 원)
997
-
1,971
-
5,152
-
진료 실인원
1인당 입내원일수 (일)
12.5
-
19.7
-
44.0
-
사망자 수
(전체 사망자 대비 비중)
8
(2.1)
61
(16.2)
303
(81.4)
생애단계별 일반가구 수
4,978
(100.0)
11,462
(100.0)
5,331
(100.0)
주요
가구
유형
1인 가구
2,738
(55.0)
2,790
(24.3)
1,973
(37.0)
부부
348
(7.0)
1,569
(13.7)
1,864
(35.0)
부부+미혼자녀
1,011
(20.3)
4,366
(38.1)
489
(9.2)
한부모+미혼자녀
297
(6.0)
1,410
(12.3)
292
(5.5)
평균 가구원수(명)
1.85
-
2.58
-
1.89
-
자녀와 같이 사는 가구
1,161
(23.3)
6,228
(54.3)
1,216
(22.8)
주택
소유
(가구)
주택소유 가구
1,388
(27.9)
7,233
(63.1)
3,610
(67.7)

 

Ⅰ. 인 구

 

1. 생애단계별 인구

◇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36만 3천명) 감소하였고,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는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하였음

 

□ ’22.11.1. 기준 청년층 인구는 총 인구1)의 29.9%(1,492만명), 중장년층은 40.5%(2,020만 4천명), 노년층은 18.1%(904만 6천명)을 차지함

 

ㅇ 전년에 비해 청년층 인구는 2.4%(36만 3천명) 감소하였고,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하였음

 

 

< 생애단계별 인구 현황, 2021-2022 >

(단위: 천 명, %)


총 인구
(내국인)

청년층
[15~39세]

중장년층
[40~64세]
노년층
[65세 이상]
[19∼34세]2)
2021년
50,088
44,085
15,283
10,077
20,182
8,620
(비 중)
(100.0)
(88.0)
(30.5)
(20.1)
(40.3)
(17.2)
2022년
49,940
44,170
14,920
9,916
20,204
9,046
(비 중)
(100.0)
(88.4)
(29.9)
(19.9)
(40.5)
(18.1)
전년
대비
증감
-148
85
-363
-161
22
426
증감률
(-0.3)
(0.2)
(-2.4)
(-1.6)
(0.1)
(4.9)
< 2022년 성별 인구 수 >

남자
24,867
21,905
7,791
5,213
10,151
3,963
(비중)
(49.8)
(49.6)
(52.2)
(52.6)
(50.2)
(43.8)
여자
25,073
22,265
7,129
4,703
10,053
5,083
(비중)
(50.2)
(50.4)
(47.8)
(47.4)
(49.8)
(56.2)

 

 

 

(연령구간별) 2022년 연령구간(5세)별 인구 수를 살펴보면, 50대 초반 인구가 가장 많으며, 60대 초반, 50대 후반 순임

 

ㅇ 전년에 비해 80대 초반 인구(8.6%)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20대 초반 인구(-6.1%)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음

 

 

< 연령구간별 인구 수, 2021-2022 >

(단위: 천 명, %, %p)


2021년
 
2022년
 
전년대비
비중
비중
증감
증감률
비중차
총 인구(내국인)
50,088
(100.0)
49,940
(100.0)
-148
(-0.3)
(-)
44,085
(88.0)
44,170
(88.4)
85
(0.2)
(0.4)
15∼19세
2,288
(4.6)
2,267
(4.5)
-21
(-0.9)
(-0.1)
20∼24세
3,066
(6.1)
2,879
(5.8)
-187
(-6.1)
(-0.3)
25∼29세
3,439
(6.9)
3,384
(6.8)
-55
(-1.6)
(-0.1)
30∼34세
3,081
(6.2)
3,179
(6.4)
98
(3.2)
(0.2)
35∼39세
3,408
(6.8)
3,210
(6.4)
-198
(-5.8)
(-0.4)
40∼44세
3,831
(7.6)
3,884
(7.8)
53
(1.4)
(0.2)
45∼49세
4,010
(8.0)
3,896
(7.8)
-114
(-2.8)
(-0.2)
50∼54세
4,351
(8.7)
4,381
(8.8)
30
(0.7)
(0.1)
55∼59세
3,976
(7.9)
3,955
(7.9)
-21
(-0.5)
(0.0)
60∼64세
4,014
(8.0)
4,088
(8.2)
74
(1.9)
(0.2)
65∼69세
2,926
(5.8)
3,086
(6.2)
161
(5.5)
(0.4)
2,070
(4.1)
2,169
(4.3)
100
(4.8)
(0.2)
70∼74세
75∼79세
1,577
(3.1)
1,589
(3.2)
12
(0.8)
(0.1)
80∼84세
1,174
(2.3)
1,275
(2.6)
101
(8.6)
(0.3)
85세 이상
874
(1.7)
927
(1.9)
53
(6.0)
(0.2)

 

 

2. 시도별 생애단계별 인구

 

◇ 청년층 인구 비중은 세종(40.2%)에서 가장 높고, 중장년층은 울산(50.0%), 노년층은 전남(28.6%)에서 높게 나타남
 

 

□ 시도별로 생애단계별 인구 비중을 살펴보면,

ㅇ 청년층 비중은 세종(40.2%)이 가장 높고, 전남(26.5%)이 가장 낮음

ㅇ 중장년층 비중은 울산(50.0%)이 가장 높고, 서울(42.7%)이 가장 낮음

ㅇ 노년층 비중은 전남(28.6%)이 가장 높고, 세종(12.6%)이 가장 낮음

 

 

< 시도별 생애단계별 인구 수, 2022 >

(단위: 천 명, %)


총 인구
(내국인)
생애단계별 인구 수
소계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전국
49,940
44,170
(100.0)
14,920
(33.8)
20,204
(45.7)
9,046
(20.5)
서울
9,057
8,188
(100.0)
3,081
(37.6)
3,499
(42.7)
1,608
(19.6)
부산
3,240
2,907
(100.0)
907
(31.2)
1,300
(44.7)
700
(24.1)
대구
2,328
2,067
(100.0)
673
(32.6)
962
(46.5)
432
(20.9)
인천
2,879
2,540
(100.0)
883
(34.8)
1,203
(47.4)
454
(17.9)
광주
1,436
1,256
(100.0)
454
(36.2)
576
(45.9)
225
(17.9)
대전
1,447
1,279
(100.0)
479
(37.4)
569
(44.5)
231
(18.1)
울산
1,084
944
(100.0)
311
(33.0)
472
(50.0)
161
(17.0)
세종
375
303
(100.0)
122
(40.2)
143
(47.2)
38
(12.6)
경기
13,117
11,439
(100.0)
4,076
(35.6)
5,412
(47.3)
1,950
(17.1)
강원
1,500
1,342
(100.0)
395
(29.4)
607
(45.2)
340
(25.3)
충북
1,563
1,383
(100.0)
446
(32.3)
628
(45.4)
309
(22.3)
충남
2,085
1,832
(100.0)
589
(32.2)
818
(44.7)
425
(23.2)
전북
1,730
1,539
(100.0)
457
(29.7)
682
(44.3)
400
(26.0)
전남
1,722
1,529
(100.0)
406
(26.5)
687
(44.9)
437
(28.6)
경북
2,542
2,270
(100.0)
637
(28.1)
1,031
(45.4)
602
(26.5)
경남
3,185
2,794
(100.0)
825
(29.5)
1,348
(48.2)
622
(22.2)
제주
650
560
(100.0)
180
(32.2)
267
(47.8)
112
(20.0)

 

 

 

3. 시도 간 거주지 이동3)

 

◇ 1년 전 거주지와 비교하여 시도 경계를 벗어난 이동자는 청년층 8.4%(124만 3천명), 중장년층 2.6%(52만 7천명), 노년층 1.9%(17만 6천명)

 

□ ’21년과 ’22년의 각 11월 1일 시점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시도 경계를 벗어나 거주지를 이동한 현황을 살펴보면,

 

ㅇ 청년층 인구 중 8.4%(124만 3천명)가 시도 간 이동을 하였으며, 중장년층(2.6%) 및 노년층(1.9%)에 비해 이동률이 높음

 

ㅇ 지역으로는 세종시가 모든 생애단계에서 가장 높은 이동률을 보였음

 

 

 

< 시도 간 거주지 이동 현황, 2022 >

(단위: 천 명, %)

지역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인구
이동자
이동률
인구
이동자
이동률
인구
이동자
이동률
전국
14,840
1,243
(8.4)
20,132
527
(2.6)
9,033
176
(1.9)
서울
3,057
262
(8.6)
3,478
80
(2.3)
1,604
28
(1.7)
부산
902
63
(7.0)
1,295
21
(1.6)
699
7
(1.1)
대구
670
46
(6.9)
960
16
(1.7)
432
5
(1.2)
인천
878
80
(9.1)
1,199
38
(3.2)
453
12
(2.7)
광주
453
35
(7.8)
575
13
(2.3)
225
4
(1.9)
대전
477
54
(11.4)
567
15
(2.6)
231
5
(2.0)
울산
310
23
(7.3)
471
8
(1.6)
160
3
(1.6)
세종
121
25
(20.2)
143
12
(8.2)
38
2
(6.4)
경기
4,052
285
(7.0)
5,391
136
(2.5)
1,946
49
(2.5)
강원
393
45
(11.4)
606
22
(3.7)
340
7
(2.1)
충북
444
45
(10.2)
626
21
(3.3)
309
7
(2.1)
충남
587
70
(12.0)
816
33
(4.0)
424
11
(2.6)
전북
455
36
(7.8)
681
16
(2.3)
400
5
(1.3)
전남
404
37
(9.2)
685
25
(3.6)
436
8
(1.8)
경북
635
65
(10.2)
1,029
31
(3.0)
601
11
(1.8)
경남
822
56
(6.8)
1,345
29
(2.2)
621
10
(1.6)
제주
179
15
(8.5)
267
11
(4.0)
112
2
(1.6)

 

4. 혼인 및 이혼4)

 

◇ ’22년 초혼은 전년에 비해 청년층 남녀 모두 감소,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남녀 모두 증가, 이혼은 모든 생애단계에서 남녀 모두 감소

 

(혼인) 초혼은 전년에 비해 청년층에서 남녀 모두 감소(각각 -2.6%, -0.9%)하였고,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남녀 모두 전년대비 증가하였음

 

ㅇ 재혼은 청년층 남녀 모두 전년대비 감소(각각 -4.4%, -2.5%)한 반면, 노년층(각각 4.3%, 8.5%)은 남녀 모두 증가

 

(이혼) 이혼은 모든 생애단계에서 남녀 모두 전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중장년층 여자의 감소폭(-9.1%)이 가장 크게 나타남

 

 

< 혼인 및 이혼 현황, 2021-2022 >

(단위: 명)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초혼
재혼
이혼
초혼
재혼
이혼
초혼
재혼
이혼
2021년
남자
144,190
6,115
21,363
16,905
21,789
69,139
112
3,155
11,171
여자
148,961
11,175
30,803
7,397
22,562
64,662
118
1,860
6,208
2022년
남자
140,419
5,846
19,955
19,531
22,068
63,056
139
3,290
10,220
여자
147,619
10,891
28,494
8,218
22,091
58,801
129
2,018
5,937
전년 대비
남자
-3,771
-269
-1,408
2,626
279
-6,083
27
135
-951
여자
-1,342
-284
-2,309
821
-471
-5,861
11
158
-271
남자
(-2.6)
(-4.4)
(-6.6)
(15.5)
(1.3)
(-8.8)
(24.1)
(4.3)
(-8.5)
여자
(-0.9)
(-2.5)
(-7.5)
(11.1)
(-2.1)
(-9.1)
(9.3)
(8.5)
(-4.4)

 

 

Ⅱ. 경 제 활 동

 

1. 등록취업자 5)현황

 

가. 등록취업자 수

 

◇ 각 생애단계별 인구 대비 등록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56.9%, 중장년층 67.9%, 노년층 31.7%임

 

□ ’22년 10월 기준 생애단계별 인구대비 등록취업자 비중은 청년층 56.9%(848만 3천명), 중장년층 67.9%(1,372만 7천명), 노년층 31.7%(286만 7천명)

 

ㅇ 전년에 비해 모든 생애단계에서 등록취업자 비중이 소폭 증가

 

(성별) 모든 생애단계에서 남자의 등록취업자 비중이 여자보다 높으며, 특히 중장년층에서 남녀 간 등록취업자 비중 차이(17.8%p)가 가장 큼

 

* ’22년 남녀 등록취업자 비중 차이: 청년층(4.5%p), 중장년층(17.8%p), 노년층(13.2%p)

 

 

< 생애단계별 등록취업자 현황, 2021-2022 >

(단위: 천 명, %, %p)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19-34세]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
2021년
15,283
8,474
(55.4)
10,077
5,910
(58.6)
20,182
13,402
(66.4)
8,620
2,594
(30.1)
2022년
14,920
8,483
(56.9)
9,916
5,995
(60.5)
20,204
13,727
(67.9)
9,046
2,867
(31.7)
전년
대비
증감
-363
9
(1.5)
-161
84
(1.9)
22
325
(1.5)
426
273
(1.6)
증감률
(-2.4)
(0.1)
 -
(-1.6)
(1.4)
- 
(0.1)
(2.4)
- 
(4.9)
(10.5)
- 
< 2022년 성별 등록취업자 현황 >

남자
7,791
4,598
(59.0)
5,213
3,146
(60.4)
10,151
7,797
(76.8)
3,963
1,551
(39.1)
여자
7,129
3,885
(54.5)
4,703
2,848
(60.6)
10,053
5,929
(59.0)
5,083
1,316
(25.9)

 

 

 

(연령구간별) 연령구간별 인구 대비 등록취업자 비중은 30대 초반(76.3%)에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낮아짐

 

 

(성별) 남자는 30대 후반(84.7%)에 등록취업자 비중이 가장 높고, 여자는 20대 후반(70.0%)에 가장 높음

 

 

< 연령구간별 등록취업자 현황, 2021-2022 >

(단위: 천 명, %, %p)


2021년
2022년
전년대비 증감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
인구
등록
취업자
비중차
44,085
24,470
(55.5)
44,170
25,076
(56.8)
85
606
(1.3)
15~19세
2,288
207
(9.0)
2,267
222
(9.8)
-21
15
(0.8)
20~24세
3,066
1,152
(37.6)
2,879
1,111
(38.6)
-187
-41
(1.0)
25~29세
3,439
2,338
(68.0)
3,384
2,345
(69.3)
-55
7
(1.3)
30~34세
3,081
2,304
(74.8)
3,179
2,425
(76.3)
98
121
(1.5)
3539세
3,408
2,473
(72.6)
3,210
2,380
(74.1)
-198
-93
(1.5)
40~44세
3,831
2,763
(72.1)
3,884
2,848
(73.3)
53
85
(1.2)
45~49세
4,010
2,887
(72.0)
3,896
2,854
(73.3)
-114
-33
(1.3)
50~54세
4,351
3,049
(70.1)
4,381
3,133
(71.5)
30
83
(1.4)
55~59세
3,976
2,584
(65.0)
3,955
2,644
(66.8)
-21
60
(1.8)
6064세
4,014
2,119
(52.8)
4,088
2,248
(55.0)
74
129
(2.2)
65~69세
2,926
1,233
(42.1)
3,086
1,366
(44.3)
161
133
(2.2)
70~74세
2,070
681
(32.9)
2,169
753
(34.7)
100
73
(1.8)
75~79세
1,577
408
(25.9)
1,589
431
(27.1)
12
22
(1.2)
80세 이상
2,048
272
(13.3)
2,202
317
(14.4)
154
45
(1.1)

 

 

나. 종사상 지위별 등록취업자

 

◇ 등록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청년층에서 90.4%로 가장 높고,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노년층이 25.1%로 가장 높음

 

□ ’22년 10월 기준 등록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청년층에서 90.4%로 가장 높고, 중장년층은 77.6%, 노년층은 72.7%임

 

ㅇ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점 높아지다가, 60대 후반(26.2%)에 가장 높게 나타남

 

 

< 연령구간별, 종사상 지위별 등록취업자, 2022 >

(단위: 천 명, %)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병행근로자
(임금근로+비임금근로)

비중

비중

비중

비중
8,483
(100.0)
7,669
(90.4)
606
(7.1)
207
(2.4)
15~19세
222
(100.0)
219
(98.5)
3
(1.3)
0
(0.2)
20~24세
1,111
(100.0)
1,070
(96.4)
30
(2.7)
11
(1.0)
25~29세
2,345
(100.0)
2,191
(93.5)
112
(4.8)
41
(1.8)
30~34세
2,425
(100.0)
2,166
(89.3)
193
(8.0)
66
(2.7)
3539세
2,380
(100.0)
2,023
(85.0)
269
(11.3)
89
(3.7)
[1934세]
5,995
(100.0)
5,540
(92.4)
336
(5.6)
118
(2.0)
13,727
(100.0)
10,651
(77.6)
2,426
(17.7)
649
(4.7)
40~44세
2,848
(100.0)
2,333
(81.9)
386
(13.5)
129
(4.5)
45~49세
2,854
(100.0)
2,270
(79.5)
437
(15.3)
147
(5.1)
50~54세
3,133
(100.0)
2,432
(77.7)
539
(17.2)
161
(5.1)
55~59세
2,644
(100.0)
2,000
(75.6)
522
(19.8)
122
(4.6)
6064세
2,248
(100.0)
1,616
(71.9)
541
(24.1)
91
(4.0)
2,867
(100.0)
2,083
(72.7)
718
(25.1)
65
(2.3)
65~69세
1,366
(100.0)
967
(70.8)
358
(26.2)
41
(3.0)
70~74세
753
(100.0)
548
(72.7)
190
(25.3)
15
(2.0)
75~79세
431
(100.0)
326
(75.7)
99
(22.9)
6
(1.4)
80세 이상
317
(100.0)
243
(76.7)
71
(22.5)
3
(0.9)

 

 

다. 종사상 지위별 주된 일자리 특성

 

◇ 임금근로자의 산업은 청년층과 중장년층에서 제조업 비중이 가장 높고, 노년층에서 보건·사회복지업 비중이 가장 높음

 

(임금근로) 임금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특성을 살펴보면,

 

(종사자 규모별) 모든 생애단계에서 300명 이상의 비중이 가장 높음

 

* 임금근로자 300명 이상 등록취업자 비중: 청년층(42.4%), 중장년층(37.9%), 노년층(42.7%)

 

(산업별) 청년층은 제조업(21.6%), 도·소매업(11.7%) 비중이 높고, 중장년층은 제조업(21.6%), 건설업(11.7%), 노년층은 보건·사회복지업(25.9%), 사업시설·지원업(13.4%) 순임

 

(비임금근로) 비임금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특성을 살펴보면,

 

(종사자 규모별) 모든 생애단계에서 1∼4명의 비중이 가장 높음

 

* 비임금근로자 종사자 규모(1~4명) 등록취업자 비중: 청년층(95.3%), 중장년층(94.1%), 노년층(94.9%)

 

(산업별) 청년층 및 중장년층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에서 등록취업자 비중이 높고, 노년층은 부동산업, 도·소매업 순임

 

 

< 종사상 지위별, 일자리 특성별 등록취업자 수, 2022 >

(단위: 천 명, %)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 19~34세 ]
등록
취업자
비중
등록
취업자
비중
등록
취업자
비중
등록
취업자
비중
7,877
(100.0)
5,658
(100.0)
11,300
(100.0)
2,148
(100.0)
종사자
규모
1~4명
897
(11.4)
653
(11.5)
1,445
(12.8)
222
(10.3)
5~9명
764
(9.7)
557
(9.8)
1,177
(10.4)
164
(7.7)
10~49명
1,521
(19.3)
1,106
(19.6)
2,410
(21.3)
409
(19.0)
50~299명
1,353
(17.2)
969
(17.1)
1,986
(17.6)
437
(20.3)
300명 이상
3,342
(42.4)
2,373
(41.9)
4,282
(37.9)
916
(42.7)
주요
산업별
C 제조업
1,702
(21.6)
1,159
(20.5)
2,436
(21.6)
174
(8.1)
F 건설업
401
(5.1)
269
(4.8)
1,326
(11.7)
212
(9.9)
G 도·소매업
919
(11.7)
670
(11.8)
1,070
(9.5)
112
(5.2)
H 운수업
271
(3.4)
189
(3.3)
528
(4.7)
69
(3.2)
I 숙박·음식점업
611
(7.8)
487
(8.6)
393
(3.5)
74
(3.4)
J 정보통신업
490
(6.2)
364
(6.4)
390
(3.4)
10
(0.5)
K 금융·보험업
311
(4.0)
195
(3.5)
534
(4.7)
34
(1.6)
L 부동산업
75
(1.0)
51
(0.9)
257
(2.3)
117
(5.5)
M 전문·과학·기술업
481
(6.1)
359
(6.3)
463
(4.1)
66
(3.1)
N 사업시설·지원업
453
(5.8)
334
(5.9)
714
(6.3)
288
(13.4)
O 공공행정
583
(7.4)
431
(7.6)
701
(6.2)
155
(7.2)
P 교육서비스업
483
(6.1)
329
(5.8)
774
(6.8)
44
(2.1)
Q 보건·사회복지업
761
(9.7)
576
(10.2)
1,221
(10.8)
557
(25.9)
S 협회·기타서비스업
139
(1.8)
98
(1.7)
240
(2.1)
190
(8.9)
814
(100.0)
455
(100.0)
3,075
(100.0)
783
(100.0)
종사자
규모
1~4명
775
(95.3)
437
(96.2)
2,894
(94.1)
743
(94.9)
5~9명
29
(3.5)
13
(2.9)
128
(4.2)
23
(2.9)
10~49명
9
(1.1)
4
(0.8)
47
(1.5)
12
(1.5)
50명 이상
0
(0.1)
0
(0.0)
7
(0.2)
5
(0.7)
주요
산업별
C 제조업
38
(4.7)
19
(4.2)
279
(9.1)
50
(6.4)
D 전기·가스·증기업
6
(0.8)
4
(0.8)
35
(1.1)
17
(2.2)
F 건설업
40
(4.9)
21
(4.6)
273
(8.9)
32
(4.1)
G 도·소매업
266
(32.7)
153
(33.6)
777
(25.3)
139
(17.8)
H 운수업
48
(5.9)
23
(5.1)
333
(10.8)
105
(13.3)
I 숙박·음식점업
164
(20.2)
101
(22.2)
449
(14.6)
79
(10.1)
J 정보통신업
22
(2.7)
13
(2.9)
43
(1.4)
3
(0.4)
L 부동산업
28
(3.4)
14
(3.1)
272
(8.8)
270
(34.5)
M 전문·과학·기술업
34
(4.1)
17
(3.7)
94
(3.1)
13
(1.7)
N 사업시설·지원업
23
(2.8)
12
(2.7)
68
(2.2)
8
(1.0)
P 교육서비스업
43
(5.3)
21
(4.7)
111
(3.6)
3
(0.4)
Q 보건·사회복지업
8
(1.0)
2
(0.4)
61
(2.0)
7
(1.0)
R 예술·스포츠·여가업
24
(3.0)
14
(3.1)
59
(1.9)
9
(1.2)
S 협회·기타서비스업
62
(7.7)
37
(8.1)
179
(5.8)
26
(3.4)

 

2. 경제활동의 변동

 

가. 경제활동의 변동 6)현황

 

◇ 전년과 비교하여 취업 여부가 변동된 사람의 비중은 청년층 19.1%(285만명), 중장년층 13.0%(261만 6천명), 노년층 10.0%(90만 4천명)

 

□ 생애단계별 인구의 ’22년 10월의 등록취업 상황과 1년 전(’21년 10월)의 취업 상황을 비교하면,

 

(취업자로 변동) 전년에 미취업 상태였으나, 금년 취업으로 변동된 사람은 청년층 11.6%, 중장년층 6.8%, 노년층 4.7%로 나타남

 

(미취업자로 변동) 전년에 취업 상태였으나, 금년 미취업으로 변동된 사람은 청년층 7.5%, 중장년층 6.2%, 노년층 5.3%로 나타남

 

(변동 없음) 전년과 금년에 취업을 유지한 비중은 중장년층(61.1%)이 가장 높고, 미취업 상태를 유지한 비중은 노년층(63.0%)에서 가장 높음

 

 

< 경제활동(등록취업 여부) 변동, 2022 >

(단위: 천 명, %)


전체
등록취업 여부 변동 있음
등록취업 여부 변동 없음
소계
(’21)미취업
→(’22)취업
(’21)취업→
(’22)미취업
소계
취업
유지
미취업
유지
청년층

14,920
2,850
1,730
1,120
12,070
6,753
5,317
비중
(100.0)
(19.1)
(11.6)
(7.5)
(80.9)
(45.3)
(35.6)

[19~34세]

9,916
2,289
1,394
895
7,627
4,601
3,026
비중
(100.0)
(23.1)
(14.1)
(9.0)
(76.9)
(46.4)
(30.5)
중장년층

20,204
2,616
1,373
1,244
17,587
12,354
5,233
비중
(100.0)
(13.0)
(6.8)
(6.2)
(87.0)
(61.1)
(25.9)
노년층

9,046
904
425
479
8,142
2,442
5,700
비중
(100.0)
(10.0)
(4.7)
(5.3)
(90.0)
(27.0)
(63.0)

 

 

 

나. 신규 취업자7)의 일자리 특성

 

◇ 임금근로자의 산업별 신규 취업자 비중은, 청년층은 숙박·음식점업(17.0%), 중장년층은 건설업(17.5%), 노년층은 보건·사회복지업(29.2%) 비중이 가장 높음

 

(종사상 지위별) 신규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청년층(91.1%)이 가장 높고, 비임금근로자 신규 취업 비중은 중장년층(21.5%)이 가장 높음

 

< 신규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2022 >

(단위: 천 명, %)


신규 취업자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병행근로자
 

비중

비중

비중
청년층
1,730
1,575
(91.1)
134
(7.8)
20
(1.2)

[19~34세]
1,394
1,293
(92.8)
86
(6.2)
15
(1.0)
중장년층
1,373
1,050
(76.5)
296
(21.5)
27
(2.0)
노년층
425
332
(78.0)
91
(21.3)
3
(0.6)

 

(산업별) 신규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는 청년층 숙박·음식점업(17.0%), 중장년층 건설업(17.5%),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29.2%) 비중이 가장 높음

 

ㅇ 비임금근로자는 청년층 및 중장년층은 도·소매업(각각 36.1%, 24.0%), 노년층은 부동산업(41.8%) 비중이 가장 높음

 

 

 

 

다. 종전 취업자8)의 일자리 특성

◇ 전년에 취업자에서 금년 미취업자로 변동된 임금근로자의 종전 일자리는 청년층 숙박·음식점업, 중장년층 제조업,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 비중이 높음

 

(종사상 지위별) 전년에 등록취업자에서 금년 미취업자로 변동된 사람 중 전년에 임금근로자였던 비중은 청년층(91.7%)이 가장 높고, 전년에 비임금근로자였던 비중은 노년층(18.9%)이 가장 높음

 

< 종전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2022 >

(단위: 천 명, %)


종전
취업자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병행근로자
 

비중

비중

비중
청년층
1,120
1,027
(91.7)
82
(7.3)
12
(1.0)

[19~34세]
895
838
(93.6)
49
(5.5)
8
(0.9)
중장년층
1,244
998
(80.2)
227
(18.3)
19
(1.5)
노년층
479
386
(80.5)
90
(18.9)
3
(0.6)

 

(산업별) 종전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는 청년층 숙박·음식점업(16.6%), 중장년층 제조업(17.2%), 노년층 보건·사회복지업(23.0%) 비중이 가장 높음

 

ㅇ 종전 취업자 중 비임금근로자는 청년층 도·소매업(41.2%), 중장년층 도·소매업(25.5%), 노년층 부동산업(37.1%) 비중이 가장 높음

 

 

 

 

라.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9)

 

◇ 지난 1년 동안 개인기업체를 등록하여 ’22년 10월 현재 운영 중인 청년 인구는 21만 3천명, 중장년은 27만 7천명, 노년은 2만 9천명임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는 전체 신규등록자 대비 청년층 41.0%(21만 3천명), 중장년층 53.4%(27만 7천명), 노년층 5.5%(2만 9천명)를 차지함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수, 2021-2022 >

(단위: 천 명, %, %p)


총계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비중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비중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비중
2021년
515
(100.0)
210
(40.9)
275
(53.5)
29
(5.7)
2022년
518
(100.0)
213
(41.0)
277
(53.4)
29
(5.5)
전년
대비
증감
3
- 
2
(0.1)
2
(-0.1)
-1
(-0.2)
증감률
(0.6)
 -
(1.0)
- 
(0.6)
- 
(-1.8)
- 

 

(산업별)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산업별 현황을 살펴보면,

ㅇ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에서 신규등록자가 가장 많이 분포함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 상위 3개 산업, ’22 >
 

 

(전년도 취업상황)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전년도 취업상황을 살펴보면, 청년층은 ‘임금근로’,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미취업’이 높음

 

<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전년도 취업상황, 2022 >

 

(단위: 천 명, %)


신규등록자
개인기업체 신규등록자의 전년도 취업상황
미취업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병행근로자

비중

비중

비중

비중

비중
청년층
213
(100.0)
99
(46.5)
104
(48.8)
8
(3.7)
2
(1.0)
중장년층
277
(100.0)
130
(46.9)
127
(45.8)
16
(6.0)
4
(1.4)
노년층
29
(100.0)
18
(64.5)
7
(24.9)
3
(9.7)
0
(0.9)

 

Ⅲ. 개인의 경제상황

 

1. 소득

◇ 연간 평균소득은 중장년층이 4,084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청년층은 2,781만원, 노년층은 1,771만원임

 

□ ’22년 소득(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는 생애단계별 인구의 연간 평균소득10)은,

 

ㅇ 중장년층(4,084만원)이 청년층(2,781만원)의 1.5배, 노년층(1,771만원)의 2.3배임

※ 19~34세의 연간 평균소득은 2,469만원(소득있음 비중은 82.0%)임

 

□ 소득구간별로 보면 청년층과 노년층은 ‘1천만원 미만’(각각 33.4%, 56.0%)이 가장 많고, 중장년층은 ‘1천만원~3천만원 미만’(29.7%)이 가장 많음

 

 

< 연간 평균소득(2021-2022) 및 소득구간별 분포(2022) >

(단위: 천 명, 만 원, %, %p)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소득
있음
소득있음
비중
연간
평균소득
소득
있음
소득있음
비중
연간
평균소득
소득
있음
소득있음
비중
연간
평균소득
2021년
11,124
(72.8)
2,613
15,554
(77.1)
3,890
3,182
(36.9)
1,645
2022년
11,201
(75.1)
2,781
15,950
(78.9)
4,084
3,489
(38.6)
1,771
전년
대비
증감
77
(2.3)
168
396
(1.8)
193
307
(1.7)
125
증감률
(0.7)
 -
(6.4)
(2.5)
- 
(5.0)
(9.7)
- 
(7.6)

소득 있음

소득구간별 비중
1천만원
미만
13천만원
미만
3 5천만원
미만
5~7천만원
미만
7천만원
1억원 미만
1억원 이상
청년층
11,201
(100.0)
(33.4)
(28.5)
(22.2)
(9.4)
(4.1)
(2.3)

[19∼34세]
8,131
(100.0)
(34.9)
(30.8)
(22.7)
(7.5)
(2.9)
(1.2)
중장년층
15,950
(100.0)
(24.7)
(29.7)
(18.1)
(10.1)
(9.6)
(7.8)
노년층
3,489
(100.0)
(56.0)
(29.9)
(8.6)
(2.5)
(1.3)
(1.8)

 

 

 

(연령구간별)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연간 평균소득이 4,477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소득있음 비중은 30대 초반(88.3%)이 가장 높음

 

 

(성별) 남자의 연간 평균소득이 여자에 비해 청년층은 1.4배, 중장년층은 2배, 노년층은 2.3배 높음

 

(주택소유 여부별) 청년층 주택소유자가 미소유자에 비해 연간 평균소득이 1.9배 높으며, 중장년층은 1.6배, 노년층은 1.4배 높음

 

 

< 주요 특성별 연간 평균소득 현황, 2022 >

(단위: 천 명, %, 만 원)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소득
있음
소득
있음
비중
연간
평균
소득

소득
있음
소득
있음
비중
연간
평균
소득

소득
있음
소득
있음
비중
연간
평균
소득
남자
5,885
(75.5)
3,201
남자
8,697
(85.7)
5,282
남자
1,838
(46.4)
2,426
여자
5,316
(74.6)
2,317
여자
7,254
(72.2)
2,646
여자
1,651
(32.5)
1,042
15∼29세
5,669
(66.5)
1,824
40∼44세
3,269
(84.2)
4,334
65∼69세
1,670
(54.1)
2,145
45∼49세
3,263
(83.7)
4,477
70∼74세
912
(42.0)
1,708
30∼34세
2,807
(88.3)
3,493
50∼54세
3,598
(82.1)
4,477
75∼79세
520
(32.8)
1,240
55∼59세
3,079
(77.8)
4,058
35∼39세
2,725
(84.9)
4,039
80세이상
387
(17.6)
1,015
60∼64세
2,742
(67.1)
2,828
주택소유
1,605
(90.9)
4,729
주택소유
7,511
(84.0)
5,031
주택소유
1,801
(44.7)
2,075
미소유
9,596
(72.9)
2,456
미소유
8,439
(74.9)
3,241
미소유
1,688
(33.6)
1,446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