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곳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신규 지정
녹번역·사가정역·용마터널, 주민 동의 2/3 이상 확보하여 지구지정 완료
2023.12.07 국토교통부
| 
 서울 3곳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신규 지정 
 | 
| 
 - 녹번역·사가정역·용마터널, 주민 동의 2/3 이상 확보하여 지구지정 완료 
- 구리수택은 의향률 확인을 거쳐 후보지 철회, 주민 의견수렴 지속 강화  
 |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12월 8일(금) 서울 녹번역, 사가정역, 용마터널 등 총 3곳 1.6천호를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신규 지정*한다.
* 민간 재개발 사업성이 부족한 노후 도심을 대상으로 공공이 주도하여 용적률 등 혜택을 부여하고 신속히 주택을 공급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지정
| 
 구분 
 | 
 신규 예정지구 
 | 
 지역 
 | 
 유형 
 | 
 면적 
 | 
 공급 세대수 
 | 
| 
 1 
 | 
 녹번역 인근 
 | 
 서울 은평구 
 | 
 역세권 
 | 
 5,581㎡ 
 | 
 172호 
 | 
| 
 2 
 | 
 사가정역 인근 
 | 
 서울 중랑구 
 | 
 역세권 
 | 
 28,139㎡ 
 | 
 942호 
 | 
| 
 3 
 | 
 용마터널 인근 
 | 
 서울 중랑구 
 | 
 저층주거지 
 | 
 18,904㎡ 
 | 
 486호 
 | 
ㅇ 3개 지구는 지난 8월 24일 예정지구로 지정된 이후 주민 2/3 이상 동의를 확보하여 지구지정 절차를 완료하였다. 향후 통합심의를 거쳐 ’25년 복합사업계획을 승인받고 ’27년 착공 및 ’30년 준공될 예정이다.
ㅇ 이번 지구지정으로 현재 전국에 총 13곳 18.4천호의 복합지구가 지정됐고 6곳 11.7천호의 예정지구가 지정됐으며, 복합지구 중 4곳 3천호의 복합지구에서는 복합사업계획에 대한 통합심의가 완료되는 등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 한편, 국토교통부는 구체적 사업계획을 주민들에게 안내한 이후 참여 의향률이 50% 이하로 집계된 구리수택 후보지의 사업추진을 철회*한다.
* 지난 8월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안내한 바와 같이 주민 의향률이 50% 이상이면 예정지구 등 후속 절차를 추진하고, 의향률이 50% 미만 또는 반대 비율이 50%를 넘으면 후보지에서 제외
ㅇ 효과적인 도심복합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도시규제 완화 수준 등을 조속히 검토하고 구체적 사업계획을 주민 안내한 이후 의향률을 확인하여 주민의향이 높은 후보지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이정희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주민들이 주택공급 성과를 조속히 체감하실 수 있도록 향후 주민 의견수렴을 강화하고 지자체·사업자와 적극 협조하여 복합사업계획승인 절차를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참고 1 
 | 
 | 
  신규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3곳 사업 개요 
 | 
□ 녹번역 인근

□ 사가정역 인근
| 
 | 
 △ (유 형) 주거상업고밀지구(역세권)  
△ (위 치)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524-1번지 일원 
△ (면 적) 28,139㎡ 
△ (예상 세대수) 942호 
△ (일정) 승인(’25)→착공(’27)→준공(’30) 
 | 
□ 용마터널 인근
| 
 | 
 △ (유 형) 주택공급활성화지구(저층)  
△ (위 치)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1075번지 일원 
△ (면 적) 18,904㎡ 
△ (예상 세대수) 486호 
△ (일정) 승인(’25)→착공(’27)→준공(’30) 
 | 
| 
 참고 2 
 | 
 |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및 예정지구 지정 현황 
 | 
□ 복합지구
| 
 지역 
 | 
 사업지구 
 | 
 위치 
 | 
 면적 
 | 
 공급 세대수 
 | 
 지정일자 
 | 
| 
 서울 
 | 
 증산4 
(LH) 
 | 
 서울시 은평구 
증산동 205-33 일원 
 | 
 16.7만㎡ 
 | 
 3,550호 
 | 
 ’21. 12. 31. 
 | 
| 
 신길2 
(LH) 
 |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205-136 일원 
 | 
 6.0만㎡ 
 | 
 1,332호 
 | 
||
| 
 방학역 
(LH) 
 |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 622-6 일원 
 | 
 0.8만㎡ 
 | 
 420호 
 | 
||
| 
 연신내역 
(LH) 
 | 
 서울시 은평구 
불광동 319-1 일원 
 | 
 0.8만㎡ 
 | 
 392호 
 | 
||
| 
 쌍문역동측 
(LH) 
 | 
 서울시 도봉구 
창동 663-2 일원 
 | 
 1.6만㎡ 
 | 
 639호 
 | 
||
| 
 쌍문역서측 
(LH) 
 |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138-1 일원 
 | 
 4.1만㎡ 
 | 
 1,428호 
 | 
||
| 
 녹번역 인근 
(LH) 
 | 
 서울시 은평구 
응암동 61-4번지 일원 
 | 
 0.5만㎡ 
 | 
 172호 
 | 
 ’23. 12. 8. 
(신규) 
 | 
|
| 
 사가정역 인근 
(LH) 
 |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524-1번지 일원 
 | 
 2.8만㎡ 
 | 
 942호 
 | 
||
| 
 용마터널 인근 
(LH) 
 |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1075번지 일원 
 | 
 1.9만㎡ 
 | 
 486호 
 | 
||
| 
 경기 
 | 
 부천원미 
(LH) 
 | 
 경기도 부천시 
원미동 166-1 일원 
 | 
 6.5만㎡ 
 | 
 1,628호 
 | 
 ’21. 12. 31. 
 | 
| 
 인천 
 | 
 제물포역 
(iH) 
 | 
 인천시 미추홀구 
도화동 94-1 일원 
 | 
 9.9만㎡ 
 | 
 3,410호 
 | 
 ’22. 2. 9. 
 | 
| 
 굴포천역 
(iH) 
 | 
 인천광역시 부평구 
895-2번지 일원 
 | 
 8.6만㎡ 
 | 
 2,530호 
 | 
 ’23. 7. 5. 
 | 
|
| 
 부산 
 | 
 부산부암 
(LH) 
 | 
 부산시 부산진구 
부암3동 458-4 일원 
 | 
 5.5만㎡ 
 | 
 1,425호 
 | 
 ’22. 12. 8. 
 | 
* 통합심의 완료지구 : 서울 3곳(방학역, 연신내역, 쌍문역 동측/’23.10.26.), 경기 1곳(부천원미/’23.11.28.)
□ 예정지구
| 
 지역 
 | 
 사업지구 
 | 
 위치 
 | 
 면적 
 | 
 공급 세대수 
 | 
 지정일자 
 | 
| 
 서울 
 | 
 신길15 
(LH) 
 |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동 278-121 일원 
 | 
 10.5만㎡ 
 | 
 2,300호 
 | 
 ’23. 8. 24. 
 | 
| 
 경기 
 | 
 중동역 동측 
(LH) 
 | 
 경기도 부천시 
중동 852-2 일원 
 | 
 5.0만㎡ 
 | 
 1,536호 
 | 
 ’23. 7. 10. 
 | 
| 
 중동역 서측 
(LH) 
 | 
 경기도 부천시 
상동 329-8 일원 
 | 
 5.4만㎡ 
 | 
 1,680호 
 | 
||
| 
 소사역 북측 
(LH) 
 | 
 경기도 부천시 
소사동 43-8 일원 
 | 
 4.2만㎡ 
 | 
 1,350호 
 | 
||
| 
 금광2동 
(LH)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 3546 일원 
 | 
 14.0만㎡ 
 | 
 3,056호 
 | 
||
| 
 인천 
 | 
 동암역 남측 
(LH) 
 |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518-4 / 
남동구 간석동 218 일원 
 | 
 5.3만㎡ 
 | 
 1,800호 
 | 
 ’23. 7. 10.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울증, 디지털 기술로 편리하게 돌본다 (0) | 2023.12.10 | 
|---|---|
| 한눈에 보는 정보보호 투자 현황, ‘23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 분석 결과 공개 (0) | 2023.12.10 | 
| 2025년부터 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을 담는다 (0) | 2023.12.08 | 
| 농촌진흥청 ‘서비스혁신 사례’ 우수한 평가 받아 (0) | 2023.12.08 | 
| 미세먼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0) | 2023.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