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청년들이 생각하는 결혼과 출산, 그 생생한 이야기를 듣다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12. 7.
반응형

청년들이 생각하는 결혼과 출산, 그 생생한 이야기를 듣다

2023.12.07 보건복지부

청년들이 생각하는 결혼과 출산,
그 생생한 이야기를 듣다
- 대한민국의 미래를 찾아가는 대화패밀리스토밍(Family Storming)’ 첫 번째 이야기 ‘둘이서 살아요’(12.7.)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부위원장 김영미, 이하 ‘저고위’)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청년 세대들의 생각과 경험을 생생하게 듣기 위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찾아가는 대화, ‘패밀리스토밍(Family storming)’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패밀리스토밍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고 해결방법을 찾아가는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가족을 뜻하는 패밀리(Family)를 결합하여 만든 용어로, 다양한 구성청년가구들과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저출산‧고령화의 해답을 찾아가기 위한 시리즈 간담회*이다.

 

* (패밀리스토밍 추진 계획(안)) 둘이서 살아요(무자녀가구, 12.7일)혼자서 살아요(미혼가구), 셋이서 살아요(1자녀가구)여럿이 살아요(다자녀가구)새롭게 살아요(비혼가구)

 

첫 번째 시간(‘둘이서 살아요’)으로 12월 7일 19시에 아지토리(서울 서초구)에서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갖지 않은 12명의 청년부부*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참석자들은 결혼을 준비하고 부부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결혼출산에 관한 선택의 과정을 진솔하게 나누었다.

 

* 향후 자녀를 낳지 않겠다고 결정한 부부, 자녀에 대한 특별한 계획이 없는 부부 등

 

정부는 향후에도 정책 현장에 답이 있다는 믿음으로 저출산 문제의 원인 파악과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및 다양한 청년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소통을 통해 제시된 대안들을 저고위 산하 상시 범부처 협의기구‘인구정책기획단’회의 등을 통해 관련 부처와 협의하여 신속히 정책화예정이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 여러분들의 선택은 정말로 행복하게 살기 위한 치열한 고민의 결과라고 생각한다”라고 하면서, “이러한 선택을 하게 된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지, 어떤 경험과 고민들을 하면서 선택하게 된 것인지 듣는 것이 인구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하였다. 이어서 “전문가, 청년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관계부처와 함께 신속히 정책으로 만들겠다”라고 하였다.

 

 

<붙임> 1. 간담회 개요

2. 관련 참고자료

3. 관련 통계

붙임1

간담회 개요
 

 

□ 행사 개요

 

(행사명) 대한민국의 미래를 찾아가는 대화 “패밀리스토밍”

그 첫 번째 이야기 “둘이서 살아요”

 

(일시‧장소) 12.7일 19시~, 서울 서초구 아지토리(HY빌딩 2층)

 

(참석자) 정부 정책담당, 청년세대 무자녀 부부

 

* 향후 자녀를 낳지 않겠다고 결정한 부부 + 자녀에 대한 특별한 계획이 없는 부부

 

- (복지부) 제1차관(주재), 인구아동정책관, 인구정책총괄과장,

청년보좌역 등

 

- (무자녀 부부) 청년세대 12명(저고위 미래세대자문단 등)

 

(논의내용)청년세대 출산에 대한 인식, ▴출산을 하지 않기로 선택한 이유, ▴향후 출산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국가지원 방향 등

 

□ 세부 일정

시간
주요 내용
비 고
19:00~19:05
(‘5)
참석자 소개

19:05~19:10
(‘5)
인사 말씀
제1차관
19:10~19:15
(‘5)
관련 영상 시청

19:15~19:25
(‘10)
결혼‧출산 관련 최근 현황 소개

19:25~20:55
(‘90)
의견 청취

20:55~21:00
(‘5)
사진촬영 및 마무리

 

□ 향후 일정

 

가구 구성별로 5회 패밀리스토밍 순차적 추진 예정(변경가능)

 

* 둘이서 살아요(무자녀 가구, 12.7일) 혼자서 살아요(미혼 가구)

셋이서 살아요(1자녀 가구)여럿이 살아요(다자녀 가구)새롭게 살아요(비혼 가구)

 

 

붙임2

결혼‧출산 관련 참고자료

 

(통계청 사회조사) 청년세대는 결혼과 출산을 개인의 선택으로 생각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응답절반 수준,

 

ㅇ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는 응답비율 10대와 20대에서는 40% 수준

<통계청 2022년 한국의 사회지표>

▸결혼의향 : 결혼을 해야 한다(13세 이상 조사) ☞ 남녀 50% / 男 55.8% / 女 44.3%

▸자녀필요 :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 ☞ ▴10대 41.1% / 20대 44.0% / 30대 54.7%
 

 

 

2 (보사연 조사, ‘20년)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결정한 주요 이유

 

ㅇ 안정적 직장, 주택 문제 등 경제적 불안정성(미혼 44.7%, 기혼 37.4%)

 

ㅇ 양육비, 사교육비 돌봄․교육 비용 문제(미혼 19.3%, 기혼 25.3%)

 

ㅇ 부부가 함께 사는 것으로 충분히 행복하고 생활의 여유가 있음

(미혼 12.6%, 기혼 11.9%)

 

ㅇ 적절한 주거환경을 갖추지 못함(미혼 7.6%, 기혼 10.3%)

 

지역사회양질교육‧돌봄 인프라 부족(미혼 7.8%, 기혼 8.3%)

 

바쁜 업무로 아이를 가질 수 없음(미혼 6.5%, 기혼 4.0%)

 

ㅇ 난임․질병 등 건강상 문제(미혼 0.7%, 기혼 2.2%)

 

각종 흉악범죄, 환경오염의 문제,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아이들이 성인이 된 시기에 겪을 사회적 부담 등 기타사항(미혼 0.7%, 기혼 0.8%)

 

< 출산하지 않는 이유 > * 성인 남녀 약 2,000명(기혼 1,029명, 미혼 947명)

구 분
경제적
불안정
양육‧교육
비용
생활의
여유
주거환경
미비
돌봄인프라
미비
바쁜 업무
난임
기타
미 혼
44.7%
19.3%
12.6%
7.6%
7.8%
6.5%
0.7%
0.7%
기 혼
37.4%
25.3%
11.9%
10.3%
8.3%
4.0%
2.2%
0.8%

* 출처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심층조사」 (보사연, ‘20년)

 

 

붙임3

기혼여성의 무자녀 비중(통계청, ‘21년)

 

(무자녀 비율) 기혼여성 중 출생아수 없음(무자녀) 비중

‘10년 4.4% → ’15년 6.6% → ‘20년 8.4%로 10년만에 4.0%p 증가

기혼여성(15세이상) 연령별 출생아 수(2010, 2015, 2020) (단위: 천명, 명, %)


기혼여성
출생아수
평균
출생아수
없음
1명
2명
3명
4명
5명이상
2010년
15,227
607
2,719
6,972
2,518
1,132
1,278
2.38
(100.0)
(4.0)
(17.9)
(45.8)
(16.5)
(7.4)
(8.4)
15∼49세*
7,673
485
2,009
4,299
784
89
7
1.74
(100.0)
(6.3)
(26.2)
(56.0)
(10.2)
(1.2)
(0.1)
15∼29세
634
(27.2)
(51.1)
(19.3)
(2.2)
(0.2)
(0.0)
0.97
30∼39세
3,125
(7.1)
(32.7)
(51.4)
(8.1)
(0.6)
(0.1)
1.63
40∼49세
3,914
(2.3)
(16.9)
(65.6)
(13.2)
(1.8)
(0.1)
1.96
50∼59세
3,248
(1.8)
(13.5)
(58.2)
(20.2)
(4.8)
(1.5)
2.18
60세이상
4,305
(1.5)
(6.3)
(18.2)
(25.0)
(20.6)
(28.4)
3.66
2015년
15,929
1,044
2,940
7,477
2,513
990
965
2.19
(100.0)
(6.6)
(18.5)
(46.9)
(15.8)
(6.2)
(6.1)
15∼49세*
6,920
778
1,820
3,585
670
58
9
1.63
(100.0)
(11.2)
(26.3)
(51.8)
(9.7)
(0.8)
(0.1)
15∼29세
439
(40.6)
(40.0)
(17.2)
(2.0)
(0.1)
(0.0)
0.81
30∼39세
2,640
(15.4)
(32.9)
(43.2)
(7.8)
(0.6)
(0.1)
1.46
40∼49세
3,842
(5.0)
(20.2)
(61.7)
(11.9)
(1.1)
(0.2)
1.84
50∼59세
3,873
(3.2)
(17.0)
(63.9)
(13.4)
(2.0)
(0.5)
1.95
60세이상
5,135
(2.8)
(9.0)
(27.6)
(25.8)
(16.6)
(18.3)
3.13
2020년
16,549
1,393
3,122
7,890
2,477
887
780
2.07
(100.0)
(8.4)
(18.9)
(47.7)
(15.0)
(5.4)
(4.7)
15∼49세*
6,063
881
1,803
2,798
526
46
8
1.52
(100.0)
(14.5)
(29.7)
(46.2)
(8.7)
(0.8)
(0.1)
15∼29세
367
(47.1)
(36.1)
(14.8)
(1.8)
(0.1)
(0.0)
0.72
30∼39세
2,204
(20.3)
(36.4)
(36.4)
(6.3)
(0.6)
(0.1)
1.31
40∼49세
3,492
(7.5)
(24.9)
(55.6)
(10.9)
(0.9)
(0.2)
1.73
50∼59세
4,006
(4.9)
(17.5)
(64.9)
(11.4)
(1.1)
(0.2)
1.87
60세이상
6,480
(4.9)
(9.5)
(38.5)
(23.1)
(12.3)
(11.8)
2.7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