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지원 사업

[국토교통부]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등 중장기 철도 투자방향 제시(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1~'30) 철산위 심의·의결)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1. 6. 30.
반응형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등 중장기 철도 투자방향 제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1~'30) 철산위 심의·의결

국토교통부 2021.06.29

첨부파일

210629(15시이후)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등 중장기 철도 투자방향 제시(철도정책과).pdf

210629(15시이후)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등 중장기 철도 투자방향 제시(철도정책과).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등 중장기 철도 투자방향 제시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1~'30) 철산위 심의ㆍ의결 -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향후 10년간(‘21~’30년) 국가철도망에 대한 투자계획을 담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을 마련,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 철도산업에 관한 기본계획 및 중요정책 등을 심의·조정하기 위해 설치한 위원회로, 국토교통부장관(위원장), 관계부처 차관, 철도유관기관장, 민간위원 등 총 25인으로 구성

 

ㅇ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10년 단위 중장기 법정계획으로, 철도망 구축의 기본 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소요재원 조달방안 등 내용을 담고 있으며,

 

ㅇ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의 용역결과를 토대로 공청회 (‘21.4.22), 전문가 토론회, 지자체를 포함한 관계기관의 폭 넓은 의견수렴 등을 거쳐 확정되었다.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1∼‘30)’은 “국민생활과 나란히, 누구나 누리는 철도”를 구축하겠다는 비전 아래, 7대 추진방향*을 토대로 검토되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7대 추진방향
① 철도운영 효율성 제고
② 주요 거점 간 고속연결
③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④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⑤ 산업발전 기반 조성
⑥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환경 조성
⑦ 남북 및 대륙철도 연계 대비

 

□ 이번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구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병목구간 선로용량 확충, 단절구간 연결  전철화 등 사업을 통해 국가철도망의 운영 효율성 대폭 높일 계획이다.

 

ㅇ 철도 운행 집중구간인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2복선화 사업* 등을 통해 용량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기존 철도노선(공항철도)에 속도가 더 빠른 열차를 투입하는 급행화 사업**도 추진한다.

 

*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2복선화 : 경부ㆍ호남고속선 운행확대, 인천발 KTX 등 신규 고속철도 운행지역 확대 등 고속철도 중심의 철도운행확대 기반 조성

 

* 공항철도 급행화 : 기존 노선에 150km/h급 고속차량 운행

(표정속도 향상 효과: 직통열차 74km/h→97km/h, 일반열차 58km/h→75km/h)

 

ㅇ 또한, 열차 운행 단절구간(Missing Link) 연결*하여 수도권과 지역 거점 또는 지역 거점 간 연계성을 제고하고, 비전철구간을 전철화 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 중부내륙선 문경∼김천 : 남부내륙철도(김천∼거제) 등과 연계하여 내륙 간선축 완성

 

 두 번째로, 고속철도 운행지역 확대하고, 기존노선 선형 개량하여 지역 거점 간 이동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ㅇ 호남고속철도 2단계(광주~목포), 인천발·수원발 KTX 등 사업은 계획대로 진행하고, 서해안 지역  고속철도 소외지역 신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 서해안 지역에 고속철도 서비스 신규 제공

ㅇ 또한, 급구배·급곡선 등으로 열차 운행여건이 좋지 않았던 기존 선로(전라선·호남선·동해선) 고속화·개량하고, 광주~대구 등 신규노선을 건설하여 거점 간 고속 이동이 가능하도록 추진한다.

 

 세 번째로, 비수도권 광역철도 대폭 확대하여 지방 대도시권 조성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조성할 계획이다.

 

ㅇ 그 간 수도권은 도시철도 외에도 다수의 광역철도 노선이 건설·운영되어 수도권 확산·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온 반면, 비수도권은 지방 대도시권 내 이동을 지원하는 광역철도가 부족하여 지방 광역경제권 발전을 더디게 하는 한 요인이 되어왔다.

 

ㅇ 이에 경부선 등 기존 선로를 활용한 광역철도 사업뿐만 아니라, 지방 광역경제권 내 거점을 연결하는 신규 광역철도를 건설하여 지방 대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주민 이동편의 제고한다.

 

* 비수도권 신규 광역철도 사업: (3차 계획) 1개(0.5조원) → (4차 계획) 11개(12.1조원)

 

- 아울러, 광역철도 지정기준을 생활권 범위확대 등 현실 여건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비수도권 광역철도 사업이 활성화되도록 다양한 개선 방안 연내 마련할 계획이다.

 

 네 번째로, 고질적인 수도권 교통혼잡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3개 노선 차질없이 추진하고, 서부권역*에 광역급행철도 노선을 신설하여 급행철도 서비스 수혜지역 확대할 계획이다.

 

*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을 신설하고, GTX-B노선(송도∼마석) 사업자와의 협의를 거쳐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GTX-B노선을 공용하여 용산역 등 서울도심까지 열차 직결운행 추진

 

ㅇ 또한, 2·3기 신도시 등 수도권 외곽의 주요 개발지역과 서울 간 이동 편의성 제고를 위해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 등 신규 광역 철도 사업도 추진하여 출·퇴근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할 계획이다.

 

 다섯 번째로, 화물열차가 운행할 수 있는 산업철도 노선을 건설하여 기업의 경제 활동 지원하고, 철도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기반시설(철도종합시험선로) 고도화한다.

 

 주요 산업단지와 항만의 물동량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철도 인입선을 건설할 계획이며,

 

ㅇ 오송에 위치한 철도종합시험선로 고도화(순환선 구축)하여 신규 철도차량 주행시험  시험 용량 확대하고, 철도 기술개발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한편,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총 119.8조원(’21~’30년 기간 동안 92.1조원, ’31년 이후 27.7조원)이 소요되어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대비 29조원 이상* 투자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제3차 철도망계획(’16년 수립): 총 90.7조원 투자 계획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투자계획(조원) >>

구분 총 사업비 계획기간 내 계획기간 후
국고 72.4 56.9 15.5
지방비 10.4 8.1 2.3
민자 22.6 16.4 6.3
공단채권,
광역교통개선부담금 등
14.4 10.7 3.7
소계 119.8 92.1 27.7

 

ㅇ 부문별로는 고속철도 15.3조원, 일반철도 47조원, 광역철도 57.4조원이 소요되어 광역철도 투자가 대폭 확대되었으며,

 

ㅇ 재원 구성은 국비 72.4조원, 지방비 10.4조원, 민자유치ㆍ공기업ㆍ기타 37조원으로 국가 재정운용 여건을 고려한 다각적인 재원확보 필요성이 투자계획에 반영되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라 철도망 확충이 차질 없이 이루어질 경우 고속·일반·광역 철도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며, “국가균형발전 지방 대도시권 경쟁력 강화, 지역 거점 간 연결성 강화 등 정책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ㅇ 이용측면에서도 200km/h 이상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지역이 확대되고, 수도권 및 지방대도시권 내 출퇴근 시간이 현재 대비 50% 수준 이하로 단축되어 생활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며,

 

- 철도 이용객 증가 등에 따라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도 감소하여 탄소중립 사회실현을 위한 철도의 중추적 역할이 예상된다.

 

ㅇ 아울러, “47만명의 고용유발 효과 255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생산유발 효과+부가가치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른 변화 >>

구분 2019(A) 2030(B) 비고(B/A)
영업거리(km) 4,274.2 5,340.6 125%
복선화(km) 2,753.6 3,280.3 119%
전철화(km) 3,116.2 4,182.6 134%

 

□ 6.29일 ‘철도산업위원회’를 통해 심의ㆍ의결된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내주 중 관보에 고시될 예정이다.

 

참고1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신규사업 현황(44개, 58.8조원)

 


노 선 명 사업구간 사업내용 연장(km) 총 사업비(억원)
운영효율성 제고사업
고속 경부고속선 수색∼서울∼광명 복선전철 26.6 22,285
광명∼평택 2복선전철화 66.3 56,942
일반 문경ㆍ점촌선 문경∼점촌∼김천 단선전철 70.7 11,437
경북선 점촌∼영주 단선전철화 55.2 2,709
공항철도 서울역∼인천국제공항 급행화 63.9 4,912
광역 분당선 왕십리∼청량리 단선전철 1.0 820
소계(6개 사업) 283.7 99,105
주요 거점 간 고속연결 사업
고속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 화성 향남∼경부고속선 복선전철(직결선) 7.1 5,491
일반 광주∼대구 광주송정∼서대구 단선전철 198.8 45,158
평택부발선 평택∼부발 단선전철 62.2 22,383
원주연결선 원주∼만종 복선전철(직결선) 6.6 6,371
동해선 삼척∼강릉 단선전철(고속화) 43.0 12,744
전라선 익산∼여수 복선전철(고속화) 89.2 30,357
호남선 가수원∼논산 복선전철(고속화) 17.8 7,415
소계(7개 사업) 424.7 129,919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 사업
광역 충청권 광역철도(2단계) 신탄진∼조치원 복선전철(기존선) 22.6 364
충청권 광역철도(3단계) 강경∼계룡 복선전철(기존선) 40.7 511
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동탄∼청주공항 단선전철 78.8 22,466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반석∼조치원∼청주공항 복선전철 49.4 21,022
대구권 광역철도(2단계) 김천∼구미 복선전철(기존선) 22.9 458
대구1호선 영천 연장 경산 하양역∼금호 복선전철 5.0 2,052
대구∼경북 광역철도 서대구∼의성 복선전철 61.3 20,444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부산 노포∼울산역 복선전철 50.0 10,631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진영∼울산역 복선전철 51.4 19,354
광주∼나주 광역철도 상무역∼나주역 복선전철 28.1 15,235
용문∼홍천 광역철도 용문∼홍천 단선전철 34.1 8,537
소계(11개 사업) 444.3 121,074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 사업
광역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복선전철 21.1 22,475
별내선 연장 별내역∼별가람역 복선전철 3.2 2,384
송파하남선 오금∼하남시청 복선전철 12.0 15,401
강동하남남양주선 강동∼하남∼남양주 복선전철 18.1 21,032
위례과천선 복정∼정부과천청사 복선전철 22.9 16,990
고양은평선 새절∼고양시청 복선전철 13.9 14,100
인천 2호선 고양 연장 인천 서구∼고양 일산 서구 복선전철 18.5 17,502
위례삼동선 위례∼삼동 복선전철 10.4 8,168
일산선 연장 대화∼금릉 복선전철 10.9 12,127
분당선 연장 기흥∼오산 복선전철 16.9 16,015
신분당선 호매실∼봉담 단선전철 7.0 4,374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용산∼삼송 복선전철 20.2 18,002
대장홍대선 부천대장∼홍대입구 복선전철 20.0 21,526
제2경인선 청학∼노온사 복선전철 21.9 16,879
신구로선 시흥대야∼목동 복선전철 12.4 9,430
소계(15개 사업) 229.4 216,405
산업발전 기반조성 사업
일반 새만금선 대야∼새만금항 단선전철 47.2 13,569
대합산단산업선 대구산단∼대합산단 단선전철 5.4 2,653
동해신항선 삼척해변∼동해신항 단선철도 3.6 1,650
부산신항 연결지선 부산신항선∼부전마산선 단선전철(연결선) 6.5 2,151
철도종합시험선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 단선전철 3.6 1,071
소계(5개 사업) 66.3 21,094
총 계(44개 사업) 1,448.4 587,597

 

참고2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계획도

 

<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계획도(전국) >

※ 본 노선도는 향후 사업추진 과정에서 변동 가능

<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계획도(수도권) >

※ 본 노선도는 향후 사업추진 과정에서 변동 가능

 

 

 

 

참고3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기대효과

 

1. 철도관련 주요 지표 변화

 

□ 영업거리는 4,274.2km에서 5,340.6km(125%↑), 전철화 연장은 3,116.2km에서 4,182.6km(134%↑)로 대폭 제고

 

<철도 주요지표 변화>

구분 2019(A) 2030(B) 비고(B/A)
영업거리(km) 4,274.2 5,340.6 125%
복선화(km) 2,753.6 3,280.3 119%
전철화(km) 3,116.2 4,182.6 134%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내 사업 완료시 4,274.2km→ 5,340.6km(125%↑)

 

 철도 수송분담률은 11.5%(’19년)에서 5%p 수준 증가(약 17%) 예상

 

 

2. 철도운영 효율화

 

□ 고속·고속화철도 운행용량 확보*로 수도권과 지역 간, 지역 주요거점 간 원활한 교류가 가능해지며, 철도 관련기관 수입증대 효과 기대

 

* 서울∼수색구간: 255회/일(’21) → 476회/일(’30), 221회/일 증가

경부고속선 광명∼평택구간: 190회/일(’21) → 380회/일(’30), 190회/일 증가

 

ㅇ 문경~김천 등 철도 단절구간(Missing Link)을 연결하여 수도권과 주요 지역 거점 간 소통 원활화

 

ㅇ 고속철도 이용객 증가로 철도운영기관의 수입이 증가하고, 선로사용료 납부액도 증가하여 철도건설 부채 감소 효과도 기대

 

 기존 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속도향상 및 재정부담 경감

 

ㅇ 인천공항철도에 150km/h급 차량을 투입하여 이동 시간이 단축(일반열차: 66분→51분, 직통열차 53분→39분)되고, 운임수입 증대

3. 주요 거점 간 이동시간 단축

 

*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내 사업 완료시

 

 기존선로 고속화 개량, 신규 고속철도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고속 서비스를 확대하고, 지역 거점 간 이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ㅇ 전라선, 호남선, 동해선을 개량하여 고속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해안 지역에 신규 고속철도 서비스 제공

 

< 지역간 주요거점 간 통행시간 변화>

 

 

 

※ 실제 시간단축 효과는 구체적인 사업계획 및 사업추진 여건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음

 

 

 

 

4. 국민 생활여건 개선

 

 

□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권 등 주요 광역권 출퇴근 시간 단축

 

 수도권 주요 지점 간 이동 시간이 기존의 50% 미만으로 단축 기대

 

* (강일∼남양주) 64분→14분, (시흥∼목동) 45분→15분, (인천∼광명) 76분→33분 등

 

 지방 대도시권 지점 간 이동 시간이 기존의 50% 미만으로 단축 기대

 

* (부울경권: 진영∼울산) 135분→37분, (광주전남권: 광주∼나주) 81분→33분

(대구경북권: 대구∼의성) 118분→29분, (충청권: 대전∼청주공항) 90분→43분 등

 

< 수도권 및 지방 광역철도 투자에 따른 통행시간 변화>

 

※ 실제 시간단축 효과는 구체적인 사업계획 및 사업추진 여건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음

 

5. 오염물질 배출저감 및 교통사고 감소

 

 철도이용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물질 배출 저감

 

ㅇ 수도권 광역철도 이용객(110만명↑) 및 고속·일반·지방 광역철도 이용객증가(62만명↑)에 따라 연간 미세먼지(PM2.5) 204톤 이상 감소 예상

ㅇ 이 밖에도 CO, NOx, VOC도 각각 매년 6,781톤, 3,657톤, 536톤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

 

 승용차 등 도로이용 감소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

 

ㅇ 승용차 등 도로 수단이 철도로 대체되어 교통사고 발생은 연간 10,343건 감소 예상(부상자 연간 6,868명, 사망자 연간 74명 감소)

 

6. 철도산업 발전기반 조성

 

□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 순환선 확보로 국내 철도차량 수요대응과 해외수출 차량 기술·안전성 확보에 기여

 

ㅇ 철도차량 주행시험 용량이 일 최대 24회, 280km → 일 120회, 1,474km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1.4월 기준 국내·외 철도차량 제작 검토 사업이 70여 건을 초과하는 등 철도종합시험선로 이용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

 

7. 경제적 파급효과

 

□ 계획기간(’21~’30) 동안 총 92.1조원 투자계획이며,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255조 2,533억원으로 추산

 

ㅇ 생산유발효과 180조 1,517억 원, 부가가치효과 75조 1,016억 원,

고용유발효과 469,961명

 

<경제적 파급효과>

생산유발효과(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억원) 고용유발효과(인)
1,801,517 751,016 469,961
참고4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Q&A

 

1. 신규사업 선정기준은?

 

□ 현행 예비타당성조사 기준 등을 활용하여 개별 사업별로 경제성, 정책효과, 지역균형발전 효과  사업타당성*을 평가하였으며,

 

* (사업 타당성) 수도권은 경제성(B/C)과 정책성을 평가 / 비수도권은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효과를 평가

 

 신규사업 투자재원 범위 내에서 사업 타당성, 지역 간 투자규모 균형, 기타 정책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음

 

* 총 투자규모: (신규사업) 44개(58.8조원) / (신규사업+계속사업) 101개(119.8조원)

 

 

 

2. 신규사업 선정 시 지역별 안배를 고려한 것인지? 경제성 중심으로 평가하여 수도권 사업이 많이 포함된 것 아닌지?

 

□ 4차 철도망계획의 신규사업은 총 44개(58.8조원)로,

 

ㅇ 수도권 18개, 비수도권 23개, 전국단위* 3개 사업이 반영되었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유사한 규모

 

* 수색∼광명,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2복선화, 철도종합시험선로 고도화 등 사업 효과가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에 미치는 사업

 

3. 이번 4차 철도망계획의 주안점은? 이전 계획과 차별화되는 부분은?

 

□ 4차 철도망계획은 철도가 국민이 원하는 경쟁력을 갖추고, 국가 균형발전 그린모빌리티를 주도하기 위한 7대 추진방향 설정

 

ㅇ 3차 계획 기조를 유지하여 철도운영 효율성 제고, 전국 주요거점의 고속연결,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이용 환경을 조성 등 과제 추진 계획

 

※ 철도의 친환경성, 지역발전효과 등을 고려하여 철도투자 규모를 종전 대비 대폭 확대(3차 계획 90.7조원 → 4차 계획 119.8조원)

□ 특히, 4차 철도망계획에서는 비수도권 광역철도 대폭 확충하여 지방 광역경제권을 육성하고,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할 계획

 

ㅇ 그 간 광역철도가 수도권 중심으로 건설·운영되어 비수도권은 지역 거점 내 이동을 지원하는 광역철도가 매우 부족했으며, 광역철도 부족 문제가 지방 광역경제권 발전을 더디게 하는 한 요인이 되어옴

 

ㅇ 이에 4차 철도망계획에 비수도권 광역철도 신규사업을 11개(12.1조원) 반영하여 3차 철도망계획(1개 사업, 0.5조원) 대비 대폭 확대

<4차 철도망계획 7대 추진방향>

4. 공청회 이후 추가로 반영된 사업은?

 

□ 공청회 이후 관계기관 협의(5.7~27) 등을 거쳐 “광주~대구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가 반영하였음

 

* (사업구간) 광주송정∼서대구 간 199km(단선전철), (사업비) 4.5조원

 

ㅇ 광주~대구 사업은 6개 광역 시·도*를 경유하여 지역균형발전  지역 거점 간 연결성 강화 효과가 크고,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ㅇ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횡축 철도망을 확대*하는 등 정책 필요성을 고려하였음

 

* 전주∼김천 사업은 추가검토 사업으로 반영하되, 사전타당성조사 등을 통해 타당성이 확보되는 노선이 있는지를 추가검토하고, 타당성이 확보되는 노선이 있는 경우 사업 추진

(사전타당성조사 조속 추진)

 

□ 아울러, 수도권 서부권의 교통여건을 고려하여 “서울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을 “추가검토 사업*”으로 새롭게 반영하였음

 

* 장래 여건변화에 따라 추진검토가 필요한 사업

 

5. 철도망계획에 포함된 사업들의 향후 추진일정 및 계획은? 철도망 계획에 포함되면 사업이 확정된 것인지?

 

□ 철도망계획에 포함되었다 하더라도 사업추진이 확정되는 것은 아님

 

ㅇ 철도망계획에 반영된 사업은 사전타당성 조사  예타조사 통과(또는 면제) → 기본계획 수립 → 기본 및 실시설계 → 착공 절차로 사업 추진

 

□ 신규로 반영된 사업도 사전타당성 조사를 조속히 추진하여 예타조사 착수 등 후속절차를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임

6. (서부권 광역급행) 김포·검단(인천) 등에서 강남구간 등 노선 연장을 강력 건의했는데,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노선으로 반영한 사유는?

 

□ 대안별 경제성, 총사업비, 국가균형발전 등 정책적 측면을 종합고려하여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을 신설(부천종합운동장역 이후 구간은 GTX-B노선 공용)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음

 

ㅇ (경제성)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 구간을 신설하는 방안이 사업비 규모* 및 경제적 타당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

 

* (철도망계획 반영안) 2.2조원, (경기도 건의안) 6.4조원, (인천시 건의안) 9.5조원

 

ㅇ (균형발전 측면) 지자체 건의안 추진 시 4.2조원~7.3조원의 사업비가 추가 소요되어 수도권-비수도권 간 투자규모 균형 측면 등 고려 필요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의 건설 구간은 “장기역~부천종합운동장역”이나,

 

 실제 열차 운행 GTX-B 노선을 공용하여 신도림역, 여의도역을 거쳐 용산역 등 서울도심까지 직결운행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임

 

* GTX-B노선 선로용량(부천종합운동장∼용산역 간 270회) 및 GTX-B 열차 운행횟수(예타기준 92회) 등 고려 시 여유 선로용량이 170회 이상으로,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직결운행 시에도 선로부족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

 

□ 아울러, 4차 철도망계획 확정 후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에 대한 사전타당성 조사, 예비타당성조사 등 후속절차를 최대한 조속 추진할 계획임

 

 

7. (서부권 광역급행) GTX-B 노선과 직결하여 서울까지 환승없이 운행하는 방안이 확정된 것인지?

 GTX-B 노선(송도~마석) 사업자와 협의를 거쳐 GTX-B 노선을 공용하여 서울도심까지 열차를 직결운행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임

 

ㅇ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열차가 GTX-B 노선을 공용하여 운행할 경우 김포·검단(인천)에서 신도림역(2호선 환승역), 여의도역(9호선 환승역), 용산역  서울도심까지 환승 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GTX-B노선 직결운행 시 이동시간: 장기역↔여의도역 24분, 장기역↔용산역 28분

 

8. (서부권 광역급행) 김포·검단(인천) 등 수도권 서부권의 교통혼잡 문제가 큰 데,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사업 외에 추가적인 대책이 있는지?

 

□ 수도권 서부권의 교통혼잡 문제 개선을 위해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외에도 다양한 철도노선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철도 외에도 도로,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적극 검토·추진할 계획임

 

ㅇ (철도 연계노선 최적화) GTX-B 노선 공용을 통한 서울 직결운행 및 건설·계획 중인 노선과 연계한 다양한 철도 이동경로 구축할 계획

 

- (GTX-B 공용)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신도림, 여의도를 거쳐 용산역  서울도심까지 직결운행하는 방안을 GTX-B 사업자와 협의를 거쳐 추진

 

 

- (다양한 철도노선 연계) 인천2호선 고양연장 및 공항철도 급행화(4차계획 신규사업 반영), 인천1·2호선 검단연장(1호선 공사 중, 2호선 예타 중) 등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통해 서울도심까지 고속이동 지원

 

* (인천2호선 고양연장) 킨텍스역에서 GTX-A 환승(킨텍스∼삼성역 간 21분 소요)

(공항철도 급행화) 계양역에서 공항철도 환승(계양∼서울역 간 28분 → 23분)

 

<김포∼서울 주요 도심 간 철도 이동경로>

 환승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순수 열차이동 시간만 산정한 수치로 실제 이동시간은 사업여건에 따라 변동가능(환승시간은 역별 여건에 따라 다양하나, GTX 노선 간에는 평면환승 또는 최단거리 수직환승 등을 통해 환승시간 대폭 단축 계획)

 

- (5호선 김포·검단연장사업 추진 검토) 노선계획·차량기지 등에 대한 지자체 간 합의 시, 타당성 분석을 거쳐 추진(추가검토 사업 반영)

 

ㅇ (서부권 교통개선대책 마련) 철도뿐만 아니라 도로,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조속히 검토·추진

9.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청주시, 충북도에서 청주도심을 통과하는 광역철도 노선 신설을 지속 건의했는데, 반영되지 않은 것인지?

 

□ “대전 반석~세종청사~조치원” 구간을 신설하고,

 

 오송~청주공항  구체적인 노선계획은 향후 사업추진 과정에서 2가지 대안*에 대해 경제성, 지역발전 영향 등을 고려하여 최적대안으로 검토·추진 할 계획임

 

* 기존 충북선을 활용하는 방안 또는 “오송∼청주도심∼청주공항” 간 노선 신설 방안

붙임
김포·검단(인천)~서울 주요도심 간 철도 이동경로

 

* 정거장 등 구체적인 사항은 사업추진 과정에서 변동 가능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열차는 GTX-B 노선을 공용하여 직결운행하는 방안 추진)

반응형

댓글